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취학아동의 노작활동에 의한 프탈레이트 노출 평가

        혜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프탈레이트류는 산업계에서 널리 그리고 가장 많은 양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이다. 프탈레이트류는 가소제로써 화장품, 생활용품, 바닥재, 페인트, 장난감 등에 첨가되어 있다(ATSDR, 2002). 프탈레이트류의 유해영향은 잠재적인 내분비장애물질로써 발암성이 규명되었고(NTP, 1989), 폐기능과의 관련성(Hoppin, Ulmer and London, 2004) 및 어린이에서의 호흡기 영향 및 기관지 협착에 대한 의견을 제기하고 있는 물질이다(Jaakkola, Verkasalo and Jaakkola, 2000). 어린이는 타 인구집단에 비해 민감한 집단으로, 동일한 유해화학물질의 오염수준에 노출되더라도 성인보다 더 큰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프탈레이트에 노출될 수 있는 경로가 어른들보다 많으며, 실제 소변을 통해 DEHP 대사산물의 내적 노출량 평가에서 2차 대사산물의 농도가 어른들보다 어린이의 소변에서 상당히 높은 것이 발견되었다(Koch, Drexler and Angerer, 2004).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의 권고용량(RfD)과 유럽 식품안전국의 1일 섭취허용량(TDI)을 초과한 사례도 있었다(Wittassek et al., 2007a). 지금처럼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도처에 프탈레이트가 노출될 수 있는 상황에서 노출원이나 경로를 더 많이 가지는 어린이의 프탈레이트 노출실태에 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현재 어린이용품 내 프탈레이트 함량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노작활동 시 얼마나 노출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활동공간의 5~7세 미취학아동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작활동에 이용되는 (어린이용품 등)제품 표면 및 활동 후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관찰조사를 통해 노출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 표면과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환경 중 노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들이 빈번히 접촉하는 제품군을 선정하여 표면 프탈레이트류를 살펴본 결과, DEHP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DEHP, DnBP는 100% 검출율을 보인 반면, BBzP와 DEP는 모두 불검출되었다. DEHP의 경우, 제품군별로 평균값 살펴보았을 때 책상과 염색섬유(0.26 ug/cm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5th% 값 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제품은 PVC소재의 놀이매트, 바니쉬로 마감된 책상과 학습교구로 조사되었다. DnBP는 염색섬유(0.14 ug/cm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5th% 값 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제품은 인조가죽 소재의 쇼파, 플라스틱 교구 및 코팅된 종이로 조사되었다. 30분간의 자유 놀이 활동 후 손 표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4종 프탈레이트 총 농도 평균값은 32.58 ug/hand으로 10.82~73.54 ug/hand 범위로 측정되어, 조사 대상자에 따라 넓은 농도 편차를 보였다. 총 농도의 95th% 값은 56.72 ug/hand이었다. 이 중 DEHP의 농도는 평균값은 18.45 ug/hand로 7.97~29.81 ug/hand 범위이고, 95th% 값은 26.82 ug/hand이었다. DEHP 다음으로 검출율이 큰 DnBP의 평균 농도는 14.10 (2.39~46.56) ug/hand었으며, DEP는 매우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손 표면 프탈레이트 농도는 대체로 제품 표면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와 노출 형태(손 빨기, 제품 빨기, 제품 잡기)간의 상관성를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손 표면 프탈레이트 농도와 손 빨기 시간과의 약한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거의 무시될 수준의 선형 관계이며, 제품 빨기 시간과도 약한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 손 표면의 프탈레이트 농도와 제품 잡기 시간에서는 약한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에 제품 잡기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바, 손 표면 프탈레이트류 농도에서 책(코팅종이)을 잡는 빈도 및 노출시간의 회귀계수는 양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반면 손 표면 DEHP 농도의 경우, 빈도와 노출시간 모두에서 교구2(플라스틱)의 회귀계수(B)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 관리법」상 모든 어린이용품에 DEHP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이 반영된 결과로 사료된다. 보다 대표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추후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며, 제품 표면의 경우, 교구의 종류가 나날이 다양해지므로 제품의 기능 뿐 아니라 성상까지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손 표면은 개인별 활동력 차이를 고려하여 단회가 아닌 연령별로 반복 측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Phthalate is one of chemical materials that used considerable amount in broad industrial cycles. Phthalates are added to cosmetics, daily supplies, floorings, paints and playthings as plasticizer. DEHP is particularly included PVC(polyvinyl chloride) flooring more than 30 %. There is harmful effect of phthalates as potential endocrine disruptor. Also, phthalates are defined as a carcinogenicity material and recently argued relation of lung function, respiratory organ influence of child and bronchiostenosis. Children are damaged seriously compared to adult despite of same amou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exposure because they are a vulnerable social group of peop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ildren have opportunities to expose phthalates than adult. It is proved by children’s urine that the second metabolite concentration is higher compared to adult’s from the test of DEHP metabolite inner exposure. Furthermore, there is exceed case in RfD(Oral Reference Dose) of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Total Daily Intake(TDI) of EFSA(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about children’s phthalates exposure because children are easily exposed to phthalates and use frequently plastic product. Lately, the study of phthalates contents about child goods is concerned. However, there are not studies about how much phthalates expose during work-oriente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showed phthalates concentration of child goods surface and surface of child’s hand after using child good in work-oriented education from 30 children of 5 years to 7 years. Also, it was verified correlation of phthalates concentration between child good’s surface and surface of child’s hand according to analysis of exposure cause through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In this study, we selected frequent using product of children for understanding exposure state abou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hthalates exposure evaluation, DEHP(diethylhexyl phthalate) was found highest detection and DEHP, DnBP(dibutyl-n-butyl phthalate) were detected at 100 %. On the other hand, BBzp (butylbenzyl phthalate) and DEP(Diethyl phthalate) were not founded. DEHP wa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desk and stained fiber (0.26 ug/cm2 )fromphthalatesaverageofobjectofinvestigation.Productsofs howedtheabove95th% Concentration were play mate of PVC, desk used varnish and study parish. Stained fiber was showed the highest DnBP(0.14 ug/cm2 ) and artificial leather of sofa, plastic parish and coated paper were surveyed concentration of the above 95th%value. After free choice activities for 30 minutes, the result of child’s hand surface analysis was measured average concentration of 32.58 ug/hand(10.82~73.54 ug/hand) about 4 types of phthalates. Also, there was broad concentration deviation from object of investigation and 95th% value of total concentration was 56.72 ug/hand. DEHP average concentration among phthalates concentration was 18.45 ug/hand(7.97~29.81 ug/hand) and 95th% value was 26.82 ug/hand. DnBP average concentration was evaluated the second detection as 14.10 (2.39~46.56) ug/hand and DEP was detected by the lowest concentration. There was similar propensity of phthalates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of hand and child goods surface. There was weak correlation between phthalates concentration of children hands surface and thumb sucking time through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ren’s hands surface phthalates concentration and exposure form (thumb sucking, product sucking, goods holding).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results about linear relationship. Also, there was weak negative correlation of product suck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thalates concentration of children hand surface and goods holding. The result was showed positive a regression coefficient and significance between frequency of holding books(coated paper) and exposure time from children hands surface phthalate concentration in accordance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valuation of holding goods from children hands surface phthalates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EHP concentration of children hands surface,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holding frequency and exposure time about a regression coefficient (B) of study parish (plastic) but showed negative value. In this case, the result was reflected on forbid of DEHP using about child goods of Quality management and industrial safety laws. It demands later large scale study for reliable results and product surface should be evaluated product’s function as well as material due to development of a variety type of study parish. Also, hand surface measurement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 activities differences and need to perform repeatedly according to age.

      • Factors Associated with Hand-Hygiene Compliance in Healthcare Settings

        정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1919

        Background Hand hygiene (HH) is an important method to prevent pathogen transmission in hospital environments because the hands of healthcare workers (HCWs) can become contaminated with and subsequently transmit pathogens. The 200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recommend monitoring HH practice by direct observation to improve HH compliance. However, this approach may overestimate compliance rates due to the Hawthorne effect. Previous studies also reported that professional categories of HCWs, HH indications, and hospital workplaces affect adherence to HH practices.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bservation methods, calendar years, professional categories, HH indications, and workplaces on HH compliance rates. Methods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ver an 8-year period, from 2016 to 2023. Hospital workplaces were categorized into outpatient departments (OPD), examination facilities, wards, intensive care units (ICU), and emergency rooms (ER). Observed HCWs included personnel involved in patient care, such as nurses, the intravenous therapy and injection team (IV team), nursing assistants (NAs), paramedics, and physicians. Dedicated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s monitored HH practices using both overt (direct) and covert (blind) observation. Observational data were recorded based on WHO recommendations (My Five Moments for Hand Hygiene): (1) before touching a patient; (2) before a clean or aseptic procedure; (3) after body fluid exposure risk; (4) after touching a patient; (5) after touching patient surroundings. HH compliance rates were defined as the ratio of HH actions performed to observed HH opportunities. Results In total, 75,668 HH opportunit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verall HH compliance rates observed by overt and covert methods were 95.19% and 37.34% respectively. The compliance rate observed overtly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Z = 6.54, P < 0.001), whereas the covert compliance rate remained unchanged (Z = 0.55, P = 0.58).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eriod (February 2020 to April 2023), compliance rates were higher relative to the non-pandemic period for both observation methods,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under overt observation (odds ratio [OR] 1.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43—1.71 for direct observation; OR 1.10, 95% CI 1.03—1.18 for covert observation). Among professional categories, physicians showed the lowest compliance rate (87.95% for overt observation and 28.20% for covert observation), whereas the IV team demonstrated the highest compliance rate (98.98% for overt observation and 66.10% for covert observation). The WHO moment with the lowest HH compliance rate was Moment 5 (after touching patient surroundings) [92.79% for overt observation and 21.92% for covert observation]). HH compliance significantly varied across workplaces; the ER showed the lowest compliance rate according to both observation methods (87.56% for overt and 26.24% for covert observ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nvolve a substantial amount of HH compliance data collected over an extended period in Korea. The higher compliance rates observ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and among the IV team may be attributed to educa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motivations for self-prot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reasons for low compliance rates associated with Moment 5 and in the ER.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factors influencing HH practices and will inform strategies to increase HH compliance rates. Background Hand hygiene (HH) is an important method to prevent pathogen transmission in hospital environments because the hands of healthcare workers (HCWs) can become contaminated with and subsequently transmit pathogens. The 200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recommend monitoring HH practice by direct observation to improve HH compliance. However, this approach may overestimate compliance rates due to the Hawthorne effect. Previous studies also reported that professional categories of HCWs, HH indications, and hospital workplaces affect adherence to HH practices.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bservation methods, calendar years, professional categories, HH indications, and workplaces on HH compliance rates. Methods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ver an 8-year period, from 2016 to 2023. Hospital workplaces were categorized into outpatient departments (OPD), examination facilities, wards, intensive care units (ICU), and emergency rooms (ER). Observed HCWs included personnel involved in patient care, such as nurses, the intravenous therapy and injection team (IV team), nursing assistants (NAs), paramedics, and physicians. Dedicated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s monitored HH practices using both overt (direct) and covert (blind) observation. Observational data were recorded based on WHO recommendations (My Five Moments for Hand Hygiene): (1) before touching a patient; (2) before a clean or aseptic procedure; (3) after body fluid exposure risk; (4) after touching a patient; (5) after touching patient surroundings. HH compliance rates were defined as the ratio of HH actions performed to observed HH opportunities. Results In total, 75,668 HH opportunit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verall HH compliance rates observed by overt and covert methods were 95.19% and 37.34% respectively. The compliance rate observed overtly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Z = 6.54, P < 0.001), whereas the covert compliance rate remained unchanged (Z = 0.55, P = 0.58).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eriod (February 2020 to April 2023), compliance rates were higher relative to the non-pandemic period for both observation methods,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under overt observation (odds ratio [OR] 1.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43—1.71 for direct observation; OR 1.10, 95% CI 1.03—1.18 for covert observation). Among professional categories, physicians showed the lowest compliance rate (87.95% for overt observation and 28.20% for covert observation), whereas the IV team demonstrated the highest compliance rate (98.98% for overt observation and 66.10% for covert observation). The WHO moment with the lowest HH compliance rate was Moment 5 (after touching patient surroundings) [92.79% for overt observation and 21.92% for covert observation]). HH compliance significantly varied across workplaces; the ER showed the lowest compliance rate according to both observation methods (87.56% for overt and 26.24% for covert observ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nvolve a substantial amount of HH compliance data collected over an extended period in Korea. The higher compliance rates observ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and among the IV team may be attributed to educa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motivations for self-prot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reasons for low compliance rates associated with Moment 5 and in the ER.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factors influencing HH practices and will inform strategies to increase HH compliance rates. 배경 손 위생은 의료 환경에서 병원체 전파를 예방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의료 종사자의 손은 병원체에 오염됨으로써 병원체 전파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2009년 WHO 가이드라인에서는 손 위생 수행 개선을 위해 직접 관찰 방식의 손 위생 모니터링을 권장하고 있다. 직접 관찰 방식은 호손 효과로 인한 수행률 과대 평가의 위험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의료종사자의 직군, 환자 처치 및 진료 유형, 근무 부서 등이 손 위생 수행률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손 위생 모니터링 방법, 관찰 연도, 의료 종사자의 직군, 손 위생 수행 시점 및 근무 부서가 손 위생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부터 2023년까지 8년 동안 단일 기관에서 획득한 손 위생 모니터링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병원 구역을 외래, 검사실,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의 5개 부서로 분류하였다. 관찰 대상 의료 종사자에는 간호사, 정맥 주사 팀(IV 팀), 의사, 간호조무사, 보조의료인력 등 환자 치료에 관련된 모든 직군을 포함하였다. 감염 관리 전담 간호사가 직접 관찰과 블라인드 모니터링의 두 가지 방법으로 손 위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관찰 데이터는 WHO의 ‘손 위생이 필요한 5개 상황’ 등 WHO의 권장 사항에 따라 기록하였다: (1) 환자 접촉 전; (2) 청결, 무균술 전; (3) 환자 체액 접촉 위험 후; (4) 환자 접촉 후; (5)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손 위생 수행률은 ‘손 위생이 필요한 상황’ 관찰 수에 대한 손 위생 수행 수의 비율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75,668개의 ‘손 위생이 필요한 상황’이 관찰되었다. 8년 동안 직접 관찰로 확인한 손 위생 수행률은 95.19%였고, 블라인드 모니터링에서 측정된 손 위생 수행률은 37.34%였다. 직접 관찰 시의 손 위생 수행률은 해가 지남에 따라 유의미한 증가 추세를 보였고(Z = 6.538, P < 0.001), 블라인드 모니터링 시의 수행률은 시간과 연관되어 아무 추세도 보이지 않았다(Z = 0.545, P = 0.58). 2020년 2월부터 2023년 4월까지의 COVID-19 유행 기간 동안 두 가지 관찰 방법 모두 다른 기간에 비해 손 위생 수행률이 높게 확인되었다(직접 관찰 오즈비(OR): 1.57, 95% 신뢰구간(CI): 1.43-1.71; 블라인드 모니터링 OR: 1.10, 95% CI: 1.03-1.18). 직군 중에서는 의사가 가장 낮은 수행률을 보였고(직접 관찰 87.95%, 블라인드 모니터링 28.20%), IV 팀은 가장 높은 수행률을 보였다(직접 관찰 98.98%, 블라인드 모니터링 62.60%). ‘손 위생이 필요한 상황’ 중에서는 ‘(5)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의 손 위생 수행률이 가장 낮았다(직접 관찰 92.79%, 블라인드 모니터링 21.92%). 손 위생 수행률은 근무 부서에 따라 유의하게 달랐고, 응급실은 두 가지 관찰 방법 모두에서 가장 낮은 수행률을 보였다(직접 관찰 87.56%, 블라인드 모니터링 26.24%). 결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장기간 수집된 방대한 양의 손 위생 관찰 데이터를 활용한 최초의 연구이다. 직접 관찰 시의 손 위생 수행률은 블라인드 모니터링으로 확인된 손 위생 수행률에 비해 높고 연간 변동이 적었다. 이는 직접 관찰이 실제 손 위생 수행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COVID-19 유행 기간과 IV 팀에서 손 위생 수행률이 높게 확인된 것은, 감염 관리의 중요성과 자기 보호 목적성에 대한 강조와 교육이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는 요인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5)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의 상황과 응급실에서 손 위생 수행률이 낮게 확인된 원인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손 위생 수행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 '손' 과'발' 을 중심으로

        가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03

        This study seeks Korea and China body related idiom education plan for Chinese lear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difficulties when Chinese and korean learn idiom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plan of idioms step by step. First, This study describ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Korean educational prior research is summarized. Then,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idioms related to 'hand' and 'foot' in the 『Korean idioms dictionary』 and 『the Chinese idiom dictionary』 were performed. There are things that has the same meaning and expression idiom related to korea and china ‘hand’ and ‘foot’ and there is same meaning but different expression and expression is same but meaning is different and divided things that are only in Korea and things that are only in China and analyzed semantic difference about idioms related to 'hand' and 'foot' in both Korea and China. And This study have selected Korean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hand' and 'foot' related idiom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this, current problems about korean idiom education were also proposed and analyzed. In Chapter 4, using prior analyzed result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list of idioms for 'hand' and 'foot' were determined and the list of idioms was presented step by step. In this study, Chinese learners sought effective guidance for chinese who may have many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In the future, I hope this study helps learners and teachers of Korean idioms in the curriculum.

      • 손연성 작편곡의 트로트 대중가요 <오늘이 젊은 날> (2017) 작품 분석

        연성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71

        작곡가 손연성(B.1977. 3. 1.-)은 2016년에 KBS 드라마 ‘별이 되어 빛나리’ OST인 트로트 풍의 대중가요 ‘나이야 가라’ 라는 음원을 발표했다. 이후 가수 김용임의 소속사 측에서 원곡의 재구성을 통해 음원을 발표하고 싶다는 요청을 받아 악곡의 구성, 화성의 구성, 악기 편성, 곡 제목을 재구성하여 2017년 5월 11일 ‘오늘이 젊은 날’ 을 발표하게 되었다. ‘오늘이 젊은 날’ 의 멜로디 구성은 우리나라 전통 민요에서 흔히 나타나는 5음계 구성이다. 트로트 형식의 창법 구사를 위해 도약음을 줄이고, 음의 개수를 최대한 절제하였다. 또한 노래 멜로디의 리듬 표현에서 당김음을 많이 썼다. 화성적 구성에 있어서는 코드 전체가 diatonic 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정적인 진행 형태이다. 또한 멜로디를 강조하는 한국 전통적인 곡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모든 화음이 triad 인 것이 특징이다. 최근 나이를 극복하는 내용이 주제인 트로트 형식의 곡들이 다수 발표되고 있다. 이 점을 참고 하여 손연성은 ‘오늘이 젊은 날’ 의 가사의 주제를 ‘세월이 흘러 나이가 들어가도 마음만은 항상 젊게 살자’ 로 정했다. 그리고 가사의 소재로 장년층이 공감 할 수 있는 단어와 해학적인 단어를 사용하였다. ‘오늘이 젊은 날’ 의 기본 리듬은 경쾌한 disco 형식으로 rhythm section, brass, strings가 fill in의 조화와 통일성을 이루어 트로트 형식의 색채를 더 해 준다. 작곡가 손연성은 가창 표현에 대한 지침으로 비음, 가성, 긁어내기, 비브라토, 꺽기 등 트로트 풍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창기법을 도입하였다.

      • 고대 동북아시아 차마구와 기마구의 변천

        손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본고에서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출토된 광의적 마구를 크게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삼국시대로 3단계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마구는 한반도에서 확인되지 않고 중국 동북지역에서만 확인되었다. 마구는 중국 내몽고 동남부, 요령성 서부, 요령성 중부 심양지구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거의 차마구로 판단된다. 대부분 魏營子文化, 夏家店上層文化, 十二臺營子文化에 속하며 갖춤새로 보아 獨&#36616;車에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중원지역 차마구와 비교해 보면 차축두는 편평하고 둥글며 정교하지 않고 고삐걸개(掛&#32366;鉤)는 W형이나 닻형이며 차마갱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蓋弓帽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서주 말~춘추 초에는 하가점상층문화와 십이대영자문화의 차마구는 차이를 보인다. 원삼국시대의 마구는 한반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시기는 중국의 차마 역사에서 獨&#36616;車가 사라지고 雙轅車가 보편화되는 단계이다.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출토된 차마구는 모두 쌍원차와 관련된 것들이며 대체로 낙랑군이 설치된 이후에 한나라의 영향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차마구 가운데 위만조선을 비롯한 토착세력과 직접 관련시킬만한 것은 거의 없다. 기존 연구에서 한반도 토착 계통 차마구의 근거가 되었던 乙자형동기와 관형동기의 조합은 쌍원차의 멍에대를 오인한 것이다. 노부제도에 따르면, 한대에 독주차는 삼공 이상만 사용할 수 있다. 평양 일대는 낙랑군의 중심지역으로 가장 높은 급의 관료가 태수여서 쌍원차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 북부지역에 서 출토된 차마구가 모두 1마리의 말이 끄는 쌍원차(一駕)와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한대의 노부제도 내용과 일치하며, 차마구가 한나라와 관련되는 것을 방증 해주고 있다. 원삼국시대의 마구를 고찰할 때 차마구와 기마구는 구분되어야 한다. 특히 말을 제어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어 차마구와 기마구를 판정하고 이를 논하는 것이 타당하다. 차마구 부장은 초반에는 일괄 부장을 하다가 일부만 부장하는 것으로 변화하는데 기마구 단계에도 이런 현상이 보인다. 물론 이런 현상은 계층 차이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삼국시대의 기마구는 안정용 기마구인 안장과 등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초기 등자의 등장에 있어서 자세히 논하였다. 초기 등자의 기원에 대한 관점은 중원기원설과 기마민족기원설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 등자는 수직 고교인 안장에 올라가기 위한 상마석을 대신한 것으로, 중원지역 귀족들이 말에 손쉽게 안정적으로 기승하기 위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기 등자는 단등으로 발생하였는데 선비지역에서는 중장기병의 무게 중심을 위한 개선책으로 쌍등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것이 선비지역을 중심으로 한족 지역이나 유라시아 초원지역, 한반도로 전파되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차마구와 마구를 기능을 비롯하여 등장,배경, 변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 동북아시아 3~6세기 등자 고찰

        손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and background of stirrups by the shapes in Northeast Asia and to review the birth and spreading process of early stirrups. Early stirrups include stirrups(Youndung) and stirrups(Hodung)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 stirrups that have been used from those days till the present time.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ategorized the stirrups excavated in Northeast Asia from the 3rd to 6th century in terms of shapes. Harness is referred to all kinds of tools attached to a horse. Stirrups are used to stabilize the feet when the rider mounts a horse and rides it. They are connected to the saddle through the leather strip going through the holes at the end of the handle. Stirrups are usually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 and shape. As for material, there are stirrups that are made of wood and have leather or metal covers outside and those which are made of only metal. And as for shape, they are divided into stirrups(Youndung) and stirrups(Hodung). There have been rich researches on the birth and background of early stirrups and their evolution to complete stirrups. There are two major perspectives regarding the origin; first, it's estimated that they originated from the Han race that's a non-horse-riding people, then were passed to Europe through the Eurasia steppe, and finally went back to China. And the other estimation tells that they originated from a horse-riding people such as the Huns and then were spread to other regions by non-horse-riding peoples and through the Eurasia stepp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s thought that a non-horse-riding people devised stirrups to create cavalry. But the presence of cavalry was confirmed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Considering that stirrups didn't appear until after Han Dynasty fell, there is an apparent gap of time. It's rather more plausible to relate stirrups to Gaoanqiao saddle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noble class of the Han people invented stirrups to replace the Shangmashi used to mount the Gaoanqiao saddle in an easier and more stable manner. In the beginning, there were single stirrups to replace the 상마석. In the Xianbei region, they improved the single version and created double stirrups for the center of gravity ofheavily armed cavalry. In the study, I examined early stirrups in relation to Gaoanqiao saddles and came up with the following hypothesis: "Single stirrups were invented to replace the Shangmashi by the Han people, then spread to the Xianbei people that engaged in both agriculture and stock farming, improved and reinvented by them, and finally evolved into double stirrups, which were passed to the Han area, Eurasia steppe, and Korean Peninsula later." The hypothesis can solve almost all the problems including stirrups not being excavated in the regions occupied by horse-riding peoples, stirrups first making appearance among the Han people, the relations between stirrups and cavalry, casting of single stirrups, and double stirrups being metal stirrups with wooden core. But since it's still a hypothesis, there should be more in-depth researches on the Steppe Culture. It's also required to test the theory of stirrups being spread to the Eurasia steppe in future. 본고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등자의 변천과정과 그 배경을 밝혀 초기 등자의 발생과 전파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초기 등자는 당시기에서 현재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는 완전한 등자와 대응하는 개념으로 윤등과 호등이 포함된다. 본고에서는 3세기부터 6세기까지 동북아시아에서 출토된 등자를 분석하였다. 등자의 柄部 끝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에 가죽끈을 연결하여 鞍裝에 매는 것으로서 그 재질과 모양에 따라 분류된다. 재질로는 크게 나무로 제작한 후 겉면에 가죽이나 금속판을 덧댄 것과 순수하게 금속으로만 제작된 것으로 분류된다. 또 모양에 따라서는 크게 輪&#37913;과 壺&#37913;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등자의 발생 시기와 배경 및 완전한 등자로의 변천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원에 대한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중국 비기마민족인 한족에게서 기원하였는데 유라시아초원을 경유하여 유럽으로 전파되었다가 개선 후 다시 중국대륙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둘째는 흉노와 같은 기마민족에게서 기원하여 비기마민족과 유라시아 초원 등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본고는 등자의 기원이 비기마민족에 있을 것으로 보지만 기존의 견해와는 다르다. 기존의 견해는 등자가 기병을 위해 고안되었다고 보았지만 중국 전국시기부터 기병이 존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나라 멸망 때까지 등자가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시기적 공백이 크기 때문에 수용하기 어렵다. 등자의 발생은 수직 고교인 안장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등자는 수직 고교인 안장에 올라가기 위한 상마석을 대신한 것으로, 한족 지역 귀족들이 말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기승하기 위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기 등자는 상마석을 대신하여 단등으로 발생하였는데 선비지역에서는 중장기병의 무게 중심을 위한 개선책으로 쌍등으로 변화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초기등자의 발생에 대해 수직 고교인 안장와 관련하여 살펴보았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단등은 한족 지역에서 상마석을 대신하여 생겨난 것으로 반농반목의 선비족에게 전파되어 개선되고 재창조되어 쌍등으로 발전되었다. 이것이 선비지역을 중심으로 한족 지역이나 유라시아 초원지역, 한반도로 전파되었다. 이와같은 가설에 의하면 기마민족지역에서 등자가 출토되지 않는 문제, 단등이 먼저 한족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 등자와 기병의 관계 문제, 단등이 주조한 것과 쌍등이 목심금속판피인 것 등 현재 학계의 논쟁점들을 거의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제시된 결론은 가설이기 때문에 초원문화 등에 대해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유라시아 초원 지역으로의 전파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증은 추후 보완해야 할 점이라고 생각된다.

      • 동양적 자연관을 통한 손애경의 작품에 관한 연구

        애경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According to Oriental Naturalism, Nature means not only Biological organism but also all creatures including Sky and ground. Begin of the spring goes to until winter and another getting spring, full moon goes to empty then slowly fill it up and being empty form again. It'll be distinct and reproduced again any plastic chair or wood chairthe circulation principal of nature like this is not only beyond our recognition and symbol but beyond time and space so that is everywhere, having a circular, unlimited concept. I tried to apply this concept to our lives, and then, accepting that, I made my work. I think we can feel the originally pure world if we take things as they are. They are not artificial and controlled. I made my work using the wood. The wood is the carrier of purity. The dead tree will be never extinct even if a living tree could have died. Because the nutrient of a dead tree can make a soil fertile so that can make the forest rich. The tree in my work is processed but the tree is alive so it can disappear and appear again. I wants to recognize the present of my work through a process of making my work. The recognition of the present will be the important basis to a forward way and i hope you will pursuit a better life as you look back on the meaning of life.

      • 역사·문화가로 경관색채 평가 지침 개발 및 적용 연구 : 중국 카이펑 시(中國 開封市) 市) 역사·문화가로를 중심으로

        손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역사 문화가로의 경관색채 평가에 중점을 · . 두고 진행되었다 현대사회의 도시화 가 지속되면서 도시의 전체적인 이 , 미지에도 중요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전통적인 역사 문· 화공간은 현대적인 건축물로 대체되고 역사문화 유산을 , 둘러싼 건축물과 시설들은 각자의 상 징성을 강조하면서 지역 고유의 색채 정체성이 약화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 한 각 지방 자치 단체의 역사 문화가로의 · 복원적개발의 상당 부분은 가로 개선의 물리적인 측면에 서만 한정되어 있었다. 색채는 역사 문화가로의 중요한 시 · 각적 요소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을 표현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지만, · 역사 문화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 문화도시인 카이펑 시의 역사 문화가로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 · . 였다 카이펑 시 옛 시 가지의 리모델링은 다소 지체되어 부분적으로만 이뤄졌을 뿐만 아니라, 아직 도시 색채 디자 인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여 카이펑 시 역사 문화가로 색채 연구 · 는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역사 문화가로의 경관과 구성요소 색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 문화 · · 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 개발된 평가요소 및 기준을 바탕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 문화도시인 카이펑 시 · · 네 곳의 역사문화 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진행하여 역사 문화가로 경관색채 디자인을 어 · 떻게 보존 및 발전시킬지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 은 고찰 및 분석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찰 및 분석 과정을 거쳤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 문화가로의 관련 개념과 전통 색채 카이펑 시의 도시 색채 · , 및 역사 문화가로의 경관 구성요소와 역사 문화가로 경관색채의 연구 방법에 대한 정리를 · · 진행하였다. 둘째, 경관색채와 역사 문화 경관색채 평가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 문화가로 경관색채의 평가요소를 역사문화성 지역성 연속성 조화성 기능성 통일성의 개 평가항목과 , , , , , 6 9 개의 평가요소 개의 세부 평가 내용으로 정리하 , 21 였다. 델파이 기법을 통해 차례에 2 걸쳐 설 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선정 , 된 역사 문화가로 경관색채의 평가기준 · 은 역사문화성(3), 지역성 연속성 조화성 기능성 통일성 등 상위 평가 항목 개와 세부 평가 내용 (2), (2), (2), (3), (2) 6 14개로 구성되었다. 셋째, 3 제 장을 통해 도출된 평가 지표를 통해 카이펑 시 역사 문화가로 · 네 곳의 경관색채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가로등, 보행 관련 안내사인 등의 시설물 , 은 제외하고 거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관련 대형 사인시설물 및 건축물에 부착된 상업 사인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 가로와 주변 건축색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가로와 주변 대형 건 축물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본, 문의 연구사례에 대한 평가조사는 제 장에서 3 작성된 평가 지표에 따라 설문조사를 작성하였으며, 5년 이상 거주한 지역주민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역사 문화 · 가로의 경관색채에 대한 평가의견을 취합하고 조사결과에 대해서 , 는 SPSS WIN 22.0 통계 프로 그램을 이용한 분석과 평 SD 균값 등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네 곳의 역 사 문화가로 경관색채 계 · . 획 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역사 문화가로 · · 는 서로 다른 역사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재활성화 후 사용 기능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도시의 현대화 발전 과정에서 역사 문화가로 주변을 · 둘러싼 건축물과 시설물이 고도로 현대화된 환경으로 대체되면서 지역 고유의 색채 정체성이 약화되었다. 그리하 여 역사 문화가로 경관색채 계 · 획 시, 각 가로의 역사 문화적인 시대적 배경과 조합하 · 여 가로 의 역사 문화적 건축물의 차별화 · . 활용과 지역의 역사 상징성 색채의 활용을 확보해야 한다 아 울러 지역 환경 요소의 영향을 고려하면서 도시 전체의 색채 환경과 일치성을 유지해야 한다. 역사 문화가로 주변의 건축물과 시설물 및 내부 안내사인 등 시설물 · · 은 역사 문화가로의 경관 색채를 기준점으로 삼아야 하며, 지속적인 색채계획의 수립은 지역 역사문화의 정체성과 지역 환경의 정체성 형성 역사 문화가로의 역사 문화적 가 , · · 치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 다.

      • 중국 온라인 여행 사이트 이용자들의 커뮤니티 참여행동 연구

        손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Chinese online travel community has been considered central to models of Internet marketing and electronic commerce in the travel industry.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n online travel community depends on the understanding of member participation intention and loyal behavior intention of the online travel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erceived member support, sense of unity,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online travel community attachme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and sustainable online travel communit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