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치모형에 의한 부유물질 이송확산 해석에 관한 연구

        성민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다와 인접해 있는 개발공사는 전국 해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공사현장에서 건설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유 퇴적물이 발생되어 주변해역의 확산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연안해역의 SS농도가 증가하며 수질환경 및 생태계는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부유물질 확산에 대한 영향을 예측하여 공사전 사전 저감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근 해역에서 부유물질 확산현상은 조류 등에 의한 해수유동, 난류확산, 부유물질의 침강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준설 등의 해상공사로 인하여 해수중에 부유되는 퇴적물 중 비교적 입경이 큰 퇴적물은 발생지역인근에 바로 침강하고, 비교적 입경이 작은 퇴적물은 인근 공사현장에서 인근해역 멀리까지 이송확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립퇴적물의 거동예측을 통하여 세립퇴적물에 흡착되어 이동하는 오염물질의 이동 또한 예상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어 부유물질 확산을 모의하기 위하여 이송-확산방정식의 이송항 차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치분산과 불안정성을 저감할 수 있는 입자추적모형을 적용하였다. 조석에 의한 해수유동의 계산에는 2차원 유한차분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부유물질 확산계산은 입자추적방법을 사용하였다.

      • 무선 HMD 장비를 이용한 가상현실 리듬 게임 설계 및 구현

        성민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virtual reality industry develops and the game market grows significantly, game profits are about half in the entire field of the virtual reality industry and receiving attention. In addition, sales of HMD Device mainly used in virtual reality content also expected to see an increase. However, most HMDs rely on cables to deliver display screens, power, etc., which has been found threaten users' safety, make users uncomfortable and cause immersion depressions. Especially The problem is more prominent in activity Full-Body-Experience game.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irtual reality rhythm games which is allowed to watch and follow a character’s dance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rough select appropriate equipment to minimize risk through HMD related prior studies. The components of rhythm games and virtual reality, characteristics of mobile media, were considered together in the design through prior studies to increase user immersion. The development engine was developed using Unreal Engine 4,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non-game field as well as in the game field. Designed and implemented games are freed from cables that interfere with immersion, allowing you to focus on games more safely, It includes components of virtual reality rhythmic games, which can provide immersion, learning effects, and fun to users. In futur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has been developed somewhat limitedly due to the effects of the safety, user immersion, cost and convenience of HMD. 가상현실 산업이 발전과 더불어 게임 시장이 대폭 성장함에 따라 가상현실 산업 전체에서 게임 분야의 수익이 절반 정도로 가장 많으며 대중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비 판매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HMD는 대부분 디스플레이 화면, 동력 등을 전달하는데 케이블에 의존하고 있어 이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불편함을 주며 몰입 방해를 유발하 는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움직임이 활발한 체감형 게임 등에서 더욱 문제가 두드러진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HMD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위험 성을 최소화하기에 알맞은 장비를 선정하고 캐릭터의 춤을 보며 따라 출 수 있는 가상현실 리듬 게임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사용자의 몰입 증대를 위해 리듬 게임과 가상현실의 구성요소와 모바일 미디어의 특성 요소를 선행연구를 통해 설계 시 함께 고려하였다. 개발 엔진으로는 게임 분 야는 물론 비게임 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언리얼 엔진 4를 이용해 개발하였다. 설계 및 구현된 게임은 몰입에 방해되는 케이블에서 해방되어 보다 안전하게 게 임에 몰입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리듬 게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 게 몰입, 학습효과 재미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무선 HMD의 안전성, 사용자 몰입, 비용, 편의성 등의 효과 때문에 다소 제한적으로 개발되었던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에 참고될 수 있다.

      • Bisphenol A의 노출에 의한 미성숙 동물의 행동변화 및 Estrogen Receptor 발현과, 뇌신경세포에서의 Calcium농도에 미치는 효과

        성민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large number of chemical pollutants including phthalates, alkylphenolic compound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have the ability to disrupt endocrine function and alter cognitive function in animals.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seem to be mediated by the endocrine-like action of these chemicals because hormone-mediated events play important roles in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and fun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sphenol A (BPA), a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on neuro-behavioral pattern, and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and tyrosine hydroxylase, a limiting enzyme of dopamine synthesis pathway, and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BPA alters calcium homeostasis. BPA resulted in the increased stereotype behaviors (jumping, rearing and forepaw tremor) determined at 6 or 9 weeks after treatment. The time response to tail flick, and locomotor activity were decreased, whereas the time for rota-rod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BPA.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alpha and beta was increased in the brain and pituitary gland. Tyrosine hydroxylase was increased in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s in the brain but no change was found in the pituitary gland. Unlike other neurotoxic agents which cause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intracellular calcium, BPA decreased [Ca2+]i dose-dependently in PC12 cells and cortical neuronal cells regardless of the calcium existence in buffer. These data show that exposure of BPA in the young mouse could alter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and dopamine synthesis pathway, thereby modulate neuro-behavioral patterns. BPA also decreased [Ca2+]i in cultured nuronal cells which could contribute neuro-behavioral alteration. Keywords: Bisphenol A (BPA), Behavior alterations, Estrogen receptors, Tyrosine hydroxylase, Calcium homeostasis, Neurotoxic mechanism.

      • 대도시와 중도시 국민학교 아동의 우식성 식품 섭취 및 구강건강관리실태에 관한 비교조사연구

        성민제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우식예방법의 하나인 식이조절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대도시 아동 4,528명과 중도시 아동 1,849명을 대상으로 우식성 간식섭취 실태와 구강건강관리실태를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도시 아동에서 중도시 아동보다 간식섭취빈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간식섭취의 빈도가 점차 낮아졌다. 2. 간식을 먹게 된 동기는 주로 아동이 허기를 느끼거나 특정식품에 대한 욕구가 생길때이므로 아동의 건강생활을 위하여 간식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간식품을 선택하게된 이유는 주로 과거에 먹어본 경험으로 특정간식품을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간식마련 방법은 대도시와 중도시 아동 모두에서 본인이나 부모가 마련해주는 예가 많았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점차 본인이 직접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므로, 식이조절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시 아동과 부모 모두에게 실시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4. 우식성 간식품을 접하는 아동의 태도에 있어서, 우식유발식품의 섭취근절 보다는 섭취를 전제로한 응답이 많으므로 섭취후 잇솔질이나, 우식유발지수가 낮은 간식품 권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5. 하루중 간식품의 섭취빈도는 대도시 아동에서 당포함 우유, 곡류, 비스켓류, 과일류, 청량음료의 순이었고, 중도시 아동에서는 당포함 우유, 비스켓류, 과일류, 곡류, 빙과류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6. 하루중 간식품에 의한 우식유발 가능시간은 대도시 아동에서 49.15분, 중도시 아동에서 36.97분 정도로 추정되었으며, 주식가지 포함하면 대도시 아동에서 88.77분, 중도시 아동에서 76.85분 정도 우식유발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7. 1일 간식품 섭취에 의한 우식유발 가능시간별로 추정해본 결과 대도시 아동에서는 비스켓류가 18.09분, 곡류가 6.90분, 당포함 우유가 4.86분, 과일류가 4.56분, 빙과류가 4.29분의 순이었고 중도시 아동에서는 비스켓류가 14.04분, 빙과류가 5.17분, 곡류가 4.90분, 당포한 우유가 4.26분의 순으로 나타나서 대도시 아동과 중도시 아동에서 공히 비스켓류의 섭취에 의한 우식유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8. 우리나라 아동의 간식품 섭취 실태로 보아 식이조절을 통한 아동의 우식예방에 기여하기 위하여서 특히 비스켓류의 섭취빈도를 줄이도록 하는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제과제조업체에 대해서도 우식이 덜 발생할 수 있는 대체식품 및 비우식성 비스켓류 간식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9. 간식섭취후 잇솔질은 중도시 아동에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대도시 아동에 있어서 간식섭취 빈도가 가장 높은 오후 간식후에 잇솔질을 시행하는 경우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우식성식품섭취후 반드시 잇솔질을 해야겠다는 의식이 점차 줄어든 것으로 보아 오후간식후에도 잇솔질을 하는 구강보건교육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uthor have examined the oral health control attitude and the uptake of cariogenic snacks on 4,528 school children at Seoul and 1,849 at Cheonan to observe diet patterns with questionaries and diet diary method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frequency of snack uptake was more in Seoul children than Cheonan children and the frequency decreased as they grew older. 2. The reason that children are chosen the foods is because they felt hungry or desired a special taste.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y selected certain food from their experiences. 3. The snacks were provided by themselves or their parents. As they grew older the more they chose for themselves. 4. Toothbrushing was recommended after uptake cariogenic snacks because more children were favor to uptake the snacks rather than to decrease or to crease them. 5. Children favored such snacks as milks, grains, bisckets, fruits, soft drinks in Seoul and milks, bisckets, fruits, grains, ice creams in Cheonan. 6. Total potential time of snacks to initiate caries was estimated 49.15 minutes in Seoul and 36.97 minutes in Cheonan, that included regular meal time, 88.77 minutes in Seoul and 79.85 minutes for Cheonan children. 7. The potential caries initiating time of snacks uptake in a day is 78.09 minutes in bisckets, 6.9 minutes in grains, 4.86 minutes in milks, 4.56 minutes in fruits, 9.29 minutes in ice creams in Seoul and in Cheonan children 14.04 minutes in bisckets, 5.17 minutes in ice creams, 4.90 minutes in grains and 4.26 minutes in milks. So it is concluded that biscket had the highest caries initiating potential both in Seoul and Cheonan children. 8. To prevent caries through controlling diet, we need oral health education to decrease uptake of bisckets and suggest a confectionary company to produce less cariogenic biscket type snacks. 9.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after their afternoon snacks was relatively low as the grades grew higher, toothbrushing must be emphasized after afternoon snacks.

      • FPGA 기반 열상 카메라 시스템

        성민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영상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한 FPGA 기반의 영상처리에 대한 방법을 다루고 있다. FPGA 기반의 열상카메라의 영상 처리기법에는 크게 5 가지의 중요 기능이 있으며 그 기능은 이산 자동 노출제어(DAE), 디지탈 잡음 감소 기능(DNR), Pseudo Color, 온도 검출과 윤곽선강화 기능이다. 여기서 다루는 FPGA 기반 영상 카메라의 목적은 최소의 유 무형 자원을 사용하여 최대의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열상 카메라는 외부 중앙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내부 영상신호 처리장치(ISP)의 레지스터를 제어하여 열상 카메라의 각 기능을 동작 시킬 수 있게 구성되었다. 열상 카메라의 가장 큰 기능인 온도 검출에 의한 영상 판독 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자동 노출제어 기법을 제시한다. 전에 사용하던 단순 자동 노출제어는 열상 센서의 검출기에서 검출된 온도의 최소, 최대값을 검출하여 정규화하는 방법으로 동작하며 이런 방식에서는 온도차이가 크게 나고 실제 주목하고 있는 온도가 이 최소, 최대의 중간 값 일 때에는 분해 능이 많이 떨어진다. 입력온도의 최소, 최대 값이 실제 입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규화 시에 넓은 범위에서 온도를 영상으로 전환하기 때문이다. 이런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식의 자동 노출 제어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하는 열상 카메라를 구현해 보았다.

      • Analyzing characteristics affecting vibration level of heavy impact sound transmitted through members in building

        성민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벽식구조 형태의 아파트가 주 주거지인 우리나라에서 층간소음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건축구조적인 측면에서 층간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정부는 표준바닥구조 제도와 인정바닥구조 제도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발맞추어 건설 산업에서는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바닥마감재, 완충재, 뜬바닥구조, 이중바닥구조, 중량·고강성 바닥구조 등 여러 종류의 구조들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층간소음 문제는 2005년 이후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왜냐하면 정부의 정책과 건설산업에서 연구되고 개발된 구조들은 벽식구조로 구성되는 아파트 건물의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기 보다는 충격이 주로 처음 가해지는 바닥구조를 개발하여 소음진동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는 경량충격음에만 효과가 있었으며, 층간소음의 주요 원인인 중량충격음에는 효과가 미미했다. 벽식구조 형태의 건물에서는 소음진동이 바닥으로 수직 전달될 뿐만아니라 벽, 천장등을 통해서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벽식구조 건물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건물 내에서 어떻게 소음진동이 전달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험을 통해서 건물 내 부재로 전달되는 중량충격음 진동레벨을 측정하고 그 중량충격음 진동레벨에 영향을 주는 진동전달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거리와 진동레벨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로 건물 부재의 재료와 진동레벨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콘크리트 재료 부재는 거리와 진동레벨 사이의 관계가 없었으며, 건물 부재의 재료가 진동레벨에 주는 영향도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존의 바닥구조에만 집중하여 소음진동 저감을 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비내력벽에 해당하는 석고벽을 활용한 소음진동 저감구조 개발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Interlayer noi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problems in Korea. To alleviate the interlayer noise,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the government implements several legislations which is the standard floor structure and the permitted floor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policy,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s many structures which includes developing finishing materials, buffer materials, floating floor, double-layered floor and weight-high rigidity floor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However, despite of these efforts, the interlayer noise complaints have increased since 2005. Because the government policies and developed structures by construction industry mainly concentrate on developing floor structures where floor impact sound is firstly transmitted and do not fully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buildings which is constructed by wall type structure. However, this only worked for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and the effect on the heavy impact sound which is the main cause of interlayer noise, was insignificant. The noise-vibration can be transmitted not only through floors but also through walls and ceilings in the building of wall type structure. Howev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ll type stucture condition, how the noise-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mbers in the buil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that affect the noise-vibration transmission is not fully discuss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measure the amount of noise-vibration transmission through field measurements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that affect noise-vibration transmission in building members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 resul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e first measure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distance and vibration level. The second measure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material of the building members affect to vibration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diagonal and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vertical direction and the vibration level of gypsum made structures is not different to the vibration level of concrete made structures. Based on these results, reducing noise vibration by utilzing floor structures has limit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noise-vibration reduction structure using gypsum wall which is a non-bearing wall can be effective.

      • 유기랭킨사이클(ORC)을 위한 주전열면 열교환기의 형상에 따른 유동 및 열전달 특성

        성민제 國民大學敎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보급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지열은 기후조건에 좌우되는 태양력이나 풍력과 달리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점이 있어 화력 원자력과 함께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열발전을 위해서는 180℃이상의 고온이 필요한데 우리나라에는 고온의 지열자원이 부존하고 있지 않아 지열발전이 어렵다. 따라서 국내의 저온성 지열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 유기랭킨사이클을 활용한 발전이 제안되었다. 유기랭킨사이클이란 유기냉매를 작동유체로 하는 랭킨사이클로써 최근 74℃의 저온을 활용한 발전을 성공하여 국내적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저온발전의 특성상 효율이 매우 낮은데 기존의 ORC에서는 응축기와 증발기에 체적이 큰 열교환기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극복해왔다. 큰 체적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주전열면 열교환기를 적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주전열면 열교환기의 형상에 따른 설계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열교환기에서 냉매측 채널의 종횡비와 주름비를 바꾸어가며 복합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열수측의 Reynolds수는 발전소가 설립 될 석모도의 지열수 유량을 고려하여 100으로 고정하였다. 냉매측은 50에서 150까지 변화를 주어가며 열전달특성과 유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CFD코드인 ANSYS14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지배방정식으로 연속방정식과 비압축성 운동량방정식, 에너지방정식을 해석하였다. 유동특성의 경우 해석을 진행한 범위 내에서는 유동박리와 같은 특별한 유동특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열전달 특성은 채널종횡비가 커질수록 Nusselt수의 변화가 민감해지는 특성이 있으며, 채널주름비가 커질수록 Nusselt수 또한 커짐으로써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회기분석을 수행하여 채널주름비, 채널종횡비 그리고 Reynolds수에 따른 마찰계수와 열전달의 설계식을 정립하였다.

      • 4H SiC MOSFET 제작을 위한 핵심단위공정 연구

        성민제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re unit process for SiC-based MOSFET Fabrications. This study includes two main categories. One is for 4H-SiC MOSFET gate oxidation. I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surface roughness and states after high temperature annealing using reduced-graphene oxide (r-GO) capping layer on ion-implanted 4H-SiC epitaxial layer.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iO2 gate oxides on 4H-SiC were analyzed with NO post annealing formed by thermal oxidation an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he other is to study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trench etch profile and gate oxidation, which are important problems in the SiC trench MOSFET.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micro-trench, which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in the SiC trench MOSFET. Ar reshape process was used and trench shapes were observ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process time. Additionally, in order to confirm the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Shaped SiC interface, dry/wet oxidation were carri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