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장과의 도시맥락적 상관성을 고려한 도시건축박물관 계획

        설진원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그리스 시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광장은 도시적 개방공간으로 정치·종교·상업·교통 등 행사의 중심지로 기능을 해왔다. 따라서 시대의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해주는 사회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특성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 시대에 따른 광장의 변화는 사회 저변 의식을 반영을 통해 광장의 주변건축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중세에서 근세시대에 이르기까지 광장의 주변건축물은 그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장점 등을 이유로, 국가의 주요 건축물(궁전, 정부청사 등)이 들어서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문화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광장의 주변건축물이 문화시설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그 대표적 문화시설로서 박물관을 언급할 수 있다. 현대 광장과 주변건축물의 관계에 있어서 이러한 박물관, 기념관 등을 중심으로 문화벨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의 정체성이나 시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광장 일대는 물론 사회의 전반적 활동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박물관은 건축공간이 가지는 실제적 기능과 광장의 개방적인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전시영역이 광장으로 뻗어 나가기도 한다. 그것은 비단 전시영역 뿐 아니라 박물관의 공공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 휴게영역 등이 광장을 통해 확장하여 광장 자체가 박물관으로 거듭나게 된다. 반대로 광장의 광역적 프로그램들은 박물관에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여 공간을 활성화 시킨다. 이렇듯 상호의 건축적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 프로그램의 호환이 가능한 것은 광장과 박물관의 관계에 있어서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광장 주변에는 도시와 국가를 대표하는 건축물이 들어서는 것이 적합한데, 한 도시의 물리적인 중심점에 위치한 광장은 도심을 상징하며 공간발전 및 위계를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문화시설 중 그 중요도가 높은 건축물로 도시건축박물관을 언급할 수 있으며, 도시건축박물관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필요성 등을 볼 때, 그 가치와 국가적 인지도 및 주변에 미치는 여파는 어느 한 부분에 한정될 수 없을 만큼 큰 것이다. 종합하여 볼 때, 본 논문에서는 광장과 그 주변건축물(박물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도시맥락적 관점에서 광장 주변건축물을 계획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통해, 광장 일대의 문화벨트를 조성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시건축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사회·문화적 역할과 필요성, 그리고 공간체계분석을 통해 계획 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도시건축 박물관의 계획을 통해 광장이라는 공간과 주변건축물의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의 대표적 광장과 함께 현대 건축사를 재조명 할 수 있는 도시건축박물관은 국민 의식고취와 역사성을 널리 알릴 수 있으며, 건축적 구심점으로서 역사적·상징적 의미 이상의 가치를 가질 것이다. Square is a metropolitan (urban) open space that has functioned as a herb of the events such as politics, religion, commerce and transportation, and the change of square ha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he buildings around the square in times. Ranging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era, it is general that the nation's major buildings(palace, government buildings, etc.) around the square have been erected. However, in modern, buildings around the square have been in a trend changing to cultural facilities, so in this context, museums are being positioned as representative cultural fac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square and surrounding buildings, based on these museums and memorials, it was known that cultural belts have been formed, and it can be described compatibility among programs while clearing mutually architectural boundaries is a representative features in the relation between square and museum. It is general to build up buildings that represent city and country around square, but out of cultural facilities, urban constructional museums are mentioned as a constructional building with a high priority in its the importance, and when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role and necessity of the urban museum, the values and national awareness and the effected influence round about are very powerful to restrict to any one part. Consequently, in this paper, the purpose is to study creating a cultural belt around the square through the things to be considered, when analyzing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a square and surrounding buildings (museums) and designing buildings around the square in the contextual point of urban. Also, based on some examples of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roles and the need, and the space systematic analysis, we suggest the method that the program of space and surrounding constructions of square can be mutually interactive by analyzing the considerations necessary for planning, and finally, planning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