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약국 실무실습에서 프리셉터와 비프리셉터의 스트레스, 만족도, 보상 및 중요도-수행도 차이 및 개선 방향

        서희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년부터 약학대학 학제가 2+4 년제로 개편되면서 실무실습이 크게 강화되었다. 실무실습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실무실습 참여 약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약사 프리셉터와 비프리셉터를 대상으로 두 군에서의 실습관련 스트레스, 만족도, 보상, 중요도- 수행도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 5일부터 2015년 5월 25일까지 2014년 한국병원약사회의 병원실무실습실태조사에서 학생실무실습을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된 63개 병원 중 온라인 설문에 참여의사가 있는 36개 병원 근무 약사 10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약사는 579명(54.3%)였고 이중 프리셉터는 395명(68.2%)이고, 비프리셉터는 184명(31.8%)이었다. 설문 결과 프리셉터는 업무량과 업무 부담증가가 주된 스트레스 요인이었고 비프리셉터는 인원, 공간, 시설지원 부족이 주된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업무량과 업무 부담증가는 두군 모두에서 프리셉터 활동 지속 또는 참여에 대한 주된 저해 요인이었다. 프리셉터와 비프리셉터 모두 프리셉터 활동에 대한 중요한 이점으로 개인의 능력 향상을 꼽았고 이는 프리셉터 활동을 지속하거나 참여하고자 하는 주된 동기였다. 프리셉터는 비프리셉터 보다 전반적으로 실습관련 스트레스가 높았지만 직무 및 직업 만족도는 프리셉터군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는 프리셉터 활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으로 금전적 보상을 선택 하였고 비프리셉터는 관련 교육 기회 제공을 선택하였다. 프리셉터 역량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두 군 모두 전문가적 롤모델에 대한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특히 프리셉터는 교육에 대한 열정이 낮았다. 본 연구 결과 프리셉터의 활동 지속과 비프리셉터 약사들의 프리셉터 활동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업무량 과 업무 부담 증가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o According to the changed 2+4-year pharmacy school curriculum in Korea, preceptors play a crucial role in experienti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make an effort to decrease the stress and increase satisfaction of preceptors. Non-preceptors also may have stress related to experiential education and they are potential preceptors. Thus, we conducted online survey to measure stress, satisfaction, compensa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preceptors and non-preceptors in hospital pharmacy experiential education. A cross-sectional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was sent to 63 experiential sites chief pharmacists. The survey contained two kind of instruments consisted of 53questions for preceptors and 48questions for non-preceptors. If the chief pharmacists decided to participate in our survey, they sent to survey instruments to their staff pharmacists. Thirty-six sites including 1,066 pharmacists participated in our survey. Five hundred seventy-nine pharmacists responded (54.3%) to the survey. Three hundred ninety-five (68.2%) of these were preceptors and 184(31.8%) were non-preceptors. Workload was highly associated with experiential education related stress in preceptors, whereas lack of support for precepting was main dissatisfaction factor in non-preceptors. Both groups considered workload as key barriers for continuing or volunteering preceptors. Preceptors and non-preceptors placed improvement of personal ability as the most valuable benefit of teaching pharmacy students. In spite of higher stress related to precepting pharmacy students, preceptors had better job and career satisfaction. The most valued rewards for precepting in both groups were monetary compensation in preceptors and continuing education in non-preceptors. The results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pharmacy preceptors’ competencies revealed that both groups had low competencies in professional role model. Our study provides perceptions into the issues that concern preceptors and non-preceptors and the findings could be used to improve quality of experiential education in hospital pharmacy.

      • Analysis of Piperacillin/Tazobactam-associated hypokalemia using hospital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FAERS) database

        서희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Piperacillin/tazobactam (TZP)는 넓은 항균 범위와 카바페넴계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한 대체 항균제로 중등증 및 중증의 감염질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 중 하나이다. TZP 투여 환자에서 중증의 저칼륨혈증 발생에 대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빈도나 중증도 및 위험인자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자료를 이용하여 TZP를 투여한 성인환자에서 저칼륨혈증 발생에 대해 평가해 보았다(연구 1). 또한 대규모 부작용 보고 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통합 분석(pooled analysis)을 적용하여 TZP 투여환자에서 저칼륨혈증 발생 위험에 대해 평가해 보았다(연구 2). 연구 1에서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3년간(2015년~2017년) TZP를 투여 받은 18세이상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저칼륨혈증의 발생 빈도와 중증도를 평가하고 다변량분석을 통해 위험인자를 탐색하는 후향적 관찰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2에서는 FDA 부작용보고시스템 (Adverse Event Report System, FAERS)에 보고된 자료(2004년~2018년)를 활용하여 보고분율비(Proportional Reporting Ratio, PRR), 보고오즈비(Proportional Odds Ratio, ROR), 베이지안신뢰전달신경망(Bayesian Confidence Propagation Neural Network,BCPNN)의 정보성분(Information Component, IC)등 세가지 데이터마이닝지표로 불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합 분석을 통해 각 연도별 보고오즈비를 구하고 이를 통합 하여 전체에 대한 오즈비를 구하였다. 연구 기간 중 최종 보고건을 추출하여 불균형 분석에 이용하였고 첫 보고건을 추출하여 통합분석에 이용하였다. 총 2,089명의 환자 중 44.9%에서 TZP 투여 중 저칼륨혈증이 발생하였고, 경증, 중등증, 중증의 저칼륨혈증 빈도는 각각 25.8%, 17.8%, 그리고 1.3%였다. TZP 투여 중 고칼륨혈증이 발생한 57명의 환자를 제외한 20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나이, 여성, 중환자 재실, TZP 투여기간, 만성 심부전, 알칼리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이뇨제 사용, 그리고 경장 또는 주사용 영양제 사용 등이 저칼륨혈증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ZP 투여 전 혈중 칼륨 농도가 높거나 β 차단제 나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저칼륨혈증 발생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FAERS 자료를 이용한 연구 2의 결과 총 64,606,404건의 약물-이상사례 조합이 선택되었고 그 중 36,601건이 TZP 관련 약물-이상사례 조합이었다. 다른 약물에 의한 보고건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불균형분석을 실시한 경과 10개의 전해질 이상반응 중 저칼륨혈증만이 TZP의 실마리 정보로 확인되었고, 다른 모든 페니실린계 항생제 그룹을 비교 대상으로 실시한 불균형 분석에서도 실마리 정보로 확인되었다. 첫 보고건 추출 결과 총 56,388,026건의 약물-이상사례 조합이 선택 되었고 36,430건이 TZP관련 조합이었다. 통합 분석 결과 TZP가 다른 약물들에 비해 2배 정도의 저칼륨혈증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ooled ROR, 2.07 [95% CI 1.49 to 2.86]). 본 연구 결과 병원자료분석에서 TZP 투여 중 저칼륨혈증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특성, 질병, 약물 등 다양한 인자들이 TZP 투여 중 저칼륨혈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규모 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 분석 결과에서도 TZP 투여가 저칼륨혈증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TZP 투여시 면밀한 혈중 칼륨 농도 모니터링을 통해 저칼륨혈증을 신속히 발견하고, 원인을 찾아 지체 없이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PURPOSE: Piperacillin/tazobactam (TZP)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antibiotics in moderate to severe infections because of its broad spectrum and a recommendation as a carbapenem-sparing agent. TZP-associated severe hypokalemia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the frequency, magnitude, and risk factors of hypokalemia are not well known. Th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TZP-associated hypokalemia in hospitalized adult patients (study 1) and to assess the risk of TZP-associated hypokalemia using the data mining method and pooled analysis in a pharmacovigilance database (study 2). METHODS: In study 1,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hypokalemia and to explore the risk factors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17. In study 2, drug-adverse event (drug-AE) pairs were extracted from the FDA Adverse Event Report System (FAERS) database from 2004 to 2018. Disproportionalit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both frequentist and Bayesian methods to calculate the reporting odds ratios (ROR), proportional reporting ratios (PRR), and information components (IC). In pooled analysis, each year’s ROR was calculated and then, was combined together to estimate overall ROR. RESULTS: A total of 208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incidence and severity analyses; 2032 of these patients (57 patients who developed hyperkalemia during TZP treatment were excluded) were included in the risk factor analysis. The incidence of hypokalemia was 44.9% (mild, 25.8%; moderate, 17.8%; and severe, 1.3%).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nin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hypokalemia: age, female sex, ICU residence, duration of TZP therapy, chronic heart failure, alkalosis, hypomagnesemia, kaliuretic diuretics use, and nutritional preparation use. In contrast, high baseline serum potassium level, and β antagonists or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use were related to a reduced risk of hypokalemia. In study 2, a total of 64,606,404 drug-AE pairs from the last version selection, 36,601 pairs of which were associated with TZP, were extracted and used to calculate disproportionality; 56,388,026 drug-AE pairs from the first version selection, 36,430 of which were related to TZP, were extracted and used to perform a pooled analysis. The disproportionality analyses revealed that of the ten electrolyte disorders, hypokalemia was only a signal of TZP as compared to all other medications in the database. Besides, hypokalemia was also identified as a signal of TZP as compared to all other penicillins in the database. The pooled analysis showed that hypokalem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ZP as compared to all other drugs in the database (pooled ROR, 2.07 [95% CI 1.49 to 2.86]). CONCLUSION: The incidence of hypokalemia during TZP therapy was high in a hospital data analysis. Hypokalem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ZP in large-scale pharmacovigilance data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various pati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orbid diseases, medical conditions, and medications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ypokalemia. Thus, it is essential to monitor serum potassium levels closely and correct hypokalemia rapidly during TZP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