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급성 뇌동맥 폐색에서 두개내 동맥경화증을 감별할 수 있는 영상 지표

        서홍일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대한민국에서 흔한 사망 원인인 뇌경색은 갈수록 빠른 진단 및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다. 최근 시행된 외국의 다기관 연구들은 색전증에 효과적인 장치를 사용한 연구인데 우리나라는 서구에 비해 두개내 동맥경화증의 유병률이 높으므로, 급성기 뇌동맥 폐색증 환자에게서 동맥경화증이 내재되어 있는지 예측해볼 수 있는 영상 지표에 대한 연구를 계획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아주대학교 부속 병원을 방문한 급성 뇌경색 환자 중 134명을 추려내어 두개내 동맥경화증 군과 뇌색전증 군으로 나눈 다음 기본적인 임상 정보, 영상학적 정보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나이, 성별, 흡연 여부, 폐색된 부위, 뇌경색 유형(영역형 뇌경색, 경계부 뇌경색), 혈전 부하 점수, 뇌경색 조직 부피 등이 두 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M1 부위의 폐색과 뇌경색 유형(경계부 및 산란형 뇌경색)이 두개내 동맥경화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일 가능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급성 뇌경색 환자에게서 뇌혈관 폐색이 발생한 부위가 M1 이거나 뇌경색 유형이 경계부 및 산란형 뇌경색이라면 두개내 동맥 경화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해외공장 제조경쟁력 향상을 위한 교육자생력 확보에 관한 연구

        서홍일 아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기업교육은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전개되는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인력의 확보를 위한 주요한 기업경영활동이다. 과거 전통적인 산업시대가 “양과 규모”의 시대였다면 현대는 “질과 속도”의 시대로 전환되었다. 현대는 한 사람의 창의적 인재가 천 명, 만 명을 먹여 살리는 “아이디어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기업교육은 말 그대로 수많은 교육 가운데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 최근에 국내 기업들의 해외로 이전하면서 글로벌시대에 맞는 기업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기업은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이익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기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교육을 받는 개인의 발전은 물론 개인이 담당하는 직무와 과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해외공장 인력을 집중 양성하기 위해서는 해외공장 우수한 핵심 인력을 선정하여 해외공장 자체적으로 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사내강사를 양성해야 한다. 언어, 문화가 다른 현지 인력은 사내강사가 자체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해외공장 교육자생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Research on guaranteeing self-recovery of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of overseas factories . Corporate education is primary business management activity of securing best manpower for survival to keep up the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It is emphasized that secure competitive core human resource, retain and bring up will be fundamental condition for deciding business competitiveness Past traditional industry era was focused on "volume and scale", modern time is transferred to era of " quality and speed" Our time is changing to "the era of idea" which one creative person support thousands of people. Recently, it is needed to carry out globalized corporate education while domestic company transferred factory overseas Company has to generate profit by improve productivity. After all, ultimate goal of corporate education is to help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perform individual's work and duty more efficiently by maximizing the effect of education . In order to improv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of overseas factory, entire system should be local staff -centered To intensively bring up the staffs of overseas factory with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overseas factory, select competitive core human resource in overseas factory and bring up the internal lecturer so that factory can operate education itself It will gain its own autonomy in operating education by carrying out education itself for local staffs having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 9-Axis IMU와 뉴럴 네트워크 기반 Modified IONet을 이용한 실시간 3차원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

        서홍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딥러닝 프레임워크가 개발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서 측정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위치추정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세추정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6축 IMU에 3축 지자기가 포함된 9축 IMU와 뉴럴 네트워크 기반 Modified Inertial Odometry Network를 제안한다. 제안한 Modified IONet은 9축 IMU 데이터에 IONet을 적용함으로써 중력가속도 및 지자기의 특성을 반영한다. 또한 현재 자세를 추정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Inertial System Drift를 보정하는 Pose-TuningNet과 자세변화량 및 속도를 추정하는 9-Axis IONet을 종속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위치추정 성능을 향상시켰다. 제안한 네트워크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9축 IMU 기반 공인 데이터셋인 OxIOD를 학습하여 기존의 6축 IMU 기반 IONet과 제안한 방법에 대한 오차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또한 IONet의 연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LSTM을 GRU로 대체하여 오차 및 소요시간을 비교하였다. Quantitative 및 Qualitative 평가 결과, Modified IONet은 기존 6-Axis IONet에 비해 궤적 RMSE가 49.8% 감소하였고 랜덤하게 발생하는 오차를 개선하였으며 fast Modified IONet은 궤적추정 성능을 유지하면서 연산속도를 15% 향상시켰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모델에 관한 연구

        서홍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논문개요 오늘날 대기업의 경쟁력은 자사의 제품개발과 조립생산의 능력뿐만 아니라 부품 및 소재를 공급하는 중소기업과 관련된 공급사슬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간 협력의 필요성을 ‘상생’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하며 독려하는 것을 보면, 협력하지 않으면 모두가 죽을 수 있다는 대?중소기업 간의 절박성이 깔려 있는 것 같다. 이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발전적 협력을 위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 구조와 이러한 구조에 따라 협력이 강화되고 성과가 높아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모델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청관계가 없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하청관계가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성공모델과 실패모델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고, 상생협력에 관한 기존의 성공사례를 종합 원용하여 하청관계가 없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기업간 상생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산업체에 적용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발전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 방안으로 7가지 모델을 제안하고, 제시한 7가지 모델을 실제 기업에서 적용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 발전은 물론, 궁극적으로 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연구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조사하였고, 삼성경제연구소, 산업자원부, 중소기업 전문기관들과 중소기업관련 연구소의 자료 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현재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관계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7가지 상생협력 모델은 상생협력의 효과나 중요도가 높은 순서대로 본론 1절에 제시하였다. 7가지 모델은 하청관계가 없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기존의 대기업과 중소하청업체간의 상생협력 방안보다 더욱 포괄적이면서, 향후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에 나타날 수 있는 대부분의 경우를 감안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에 관한 개념과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실태와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생협력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하였으며 넷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의 실태와 부진이유에 대하여 사례분석을 하였으며, 다섯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와 여섯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위한 7가지 모델의 개요와 특징을 연구하였으며 일곱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모델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 기업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업의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본론에서 제안한 7가지 상생협력모델의 실제 적용을 위하여 가상의 상황과 실제 적용되고 있는 것을 활용하여 상생협력 모델의 실제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논의 하였다. 그 결과 7가지의 모델은 실제 적용 가능성분석에서 모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해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이며 상호의존적으로 상생협력이 가능한 모델로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청관계가 전혀 없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에 관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7가지 모델 각각에 대한 수치적인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se days coope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their subsidiaries or related small firms has become one of major issues as a way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industries. This means that cooperation among companies will become a key to winning competition in the future. As President Lee proposed long-term based business strategies, what Korean companies need at the moment to ensure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enterprises is to build up a win-win structure that can embrace all large and small corporations. However, Korean society has suffered a couple of setbacks that impeded the creation of "environment of cooperation" among large and small firms. Among others, the importance of SMEs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large conglomerates have focused too much on short-term performance; SMEs have not had an easy access to capital-raising and human resources; and the government has imposed some sanctions that discourage corporate activities. Realizing such issues, the study suggests ''7 models of cooperation for large conglomerates and SMEs''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The study developed 7 models based on large and small corporations that do not have subcontract relationship. The models were created on a condition that both large and small companies can benefit from relationship of cooperation among them. In order to analyz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7 models, the study took both empirical and virtual approaches and discussed the effect of these models. As a result, no conflicts of interest arose between large and small enterprises when the 7 models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models prov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remained stable and interdependent. To my regret, the lack of cases about large and small companies cooperation made it difficult to use statist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I hope a great deal of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7 models statistical and quantitative effect.

      • 축제 개최를 통한 수원 「화성」의 관광매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서홍일 明知大學校 交通觀光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Lately, self-governing communities are endeavoring to activate its economy through holding a local festival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developing a new one. With Suwon Hwasung (a historical castle) ascribed to international historical remains by UNESCO, international culture organization on late 1997, the value of Suwon Hwasung in culture's perspective has been internationally recognized. When we see, however, the cultural festival of Hwasung which is precious cultural resource as was strongly stated above has been held only as People's Day celebration progra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program for jumping from the simple event level of festival and developing Suwon Hwasung Festival to the level of a local festival which is a vivid, live and full of history and culture. A survey targeting the civilians of Suwon and other place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using statistic program, SPSS 8.0 version. The questions in the survey which aims to lay down a elevation program for tourist attraction through holing a festival in Suwon Hwasung are classified in four sections which are shown below. First question was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interest in Hwasung. Second question was on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Suwon Hwasung cultural festival presently held in Suwon. Third question was on the extent of interest in the festival and on Hwasung Hangkung (the mundane house of Hwasung) now being restored. Fourth question wa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ose who were questioned.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proceeded after the survey. Firstly, 161 persons out of 246 who were questioned whether they know Hwasung being ascribed to an international cultural remain have been found knowing it, which showed serious problems in an organized policy for publicizing Hwasung. Secondly, the schedule of the event, which was held in Suwon as a part of the Hwasung cultural festival, was far from expectation of the people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and even failed to give a special impression. Thirdly, the restored Hwasung Hangkung would be found more attractive to people as a tourist resort. Fourthly, there would be more participants in the festival when it is worth seeing and can afford visitor's direct experience. The elevation program, based upon these analysis results, for tourist attraction in Suwon Hwasung is as follows. 1. A Preventive of Traffic Congestion in the downtown area -Inhibiting a bus from passing the downtown area by rearranging its service route, removing a passenger car parking on the sidewalk, regulating traffic in a time based way and leading passengers to walk in the downtown area can be available. 2. A Development of the Restored Hwasung Hangkung as a tourist attraction - Develop a new cultural tourist attraction around the Hwasung Hangkung by remodeling it into a street of a culture and a traditional market or by securing a sufficient green zone. 3. The maintenance of a cultural space through the conservation of nature - Need to secure a cultural space through the systematic repair work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Suwon stream. 4. Activation of residential function - Preventing the outflow of residents to newly formed cities by the improvement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reation of new dwelling style. In parallel with this, a prior condition or my suggestion for a successful local festival is as follows. 1. The civilian's mind toward the local festival should be changed. 2. A long term plan beyond 100 years should be set at the beginning. 3. A training program for a specialist in a festival and tourism is needed in Suwon. 4.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hardware as well as of the software in the long term city planning based on tourist attraction through remodeling the surroundings of Hwasung sh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최근 지방자치단체들마다 각 지방에서 예전부터 내려오는 향토축제를 활성화하고 또한 새로운 향토축제를 개발해서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97년말 세계문화기구인 유네스코에 수원 '화성' 이 등록됨으로서 수원 '화성' 의 문화유산적가치는 국제적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 귀중한 역사·문화적 자원을 화성문화제를 통한 시민의 날 경축행사 수준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이러한 일정부문의 단순행사수준을 극복하여 역사와 문화가 살아있는 지역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수원시민 및 다른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축제개최를 통한 화성의 관광매력도 제고 방안을 위한 설문조사 내용은 크게 4개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에 대한 인지도와 화성에 대한 관심정도에 대한 질문이다. 둘째, 현재 수원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원 화성문화제의 전반적인 현황에 관하여 질문 하였다. 셋째, 최근 복원중인 화성행궁에 대한 질문과 축제의 개최시 관심도에 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넷째 부분은 응답자의 개인신상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 되었다. 설문조사의 실시 후 나타난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의 인지도면에서 화성이 세계문화유산 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응답자가 전체응답자 246명중 161 명 나타나 화성의 체계적인 홍보정책에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었고, 수원시 거주자중 36명이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문제의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지금까지 수원시에서 정책적으로 개최해온 화성문화제는 전만적인 행사의 내용이 아직까지는 축제 참가자들에게 특별한 매리트를 주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성행궁은 복원 후 관광지로 매력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제의 내용이 볼거리가 있고, 방문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축제로 구성할 경우에는 주변에 권유의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관광상품으로서 수원화성의 매력도 제고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도심지역내의 교통억제책 - 버스노선의 재조정을 통한 버스의 도심지 통과 억제, 이면도로의 승용차 억제, 공급교통의 시간적 허용 및 보행 교통으로의 유도 등을 들 수 있다. 2. 화성행궁 복원에 따른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활성화 - 화성행궁 주위를 문화의 거리, 전통시장의 거리 또는 녹색공간의 확보로 화성행궁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3. 환경보전을 통한 문화공간의 확보 - 수원천 주현 환경의 체계적인 정비를 통한 문화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4. 주거기능의 활성화 -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주거형태의 창출로 주민들의 신시가지로 의 이전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와 병행하여 수원의 지역축제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몇 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시민의 축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축제 개최 시 100년 이상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셋째, 수원지역 내의 축제 및 관광전문인을 양성하여야 한다. 넷째, 소프트웨어 뿐만이 아닌 팔달문, 화서문, 장안문, 창룡문 등 4 대문 내부의 시가지에 대한 단계별 복원계획안을 수립하여, 화성성곽 내부를 하나의 주제 공원(Theme park)으로 조성하는 장기적인 도시계획상의 하드웨어 정비와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 대·중소 상생형 지원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대한 영향 평가 연구

        서홍일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스마트팩토리는 전통적인 제조기업의 노동집약적인 시대에서 자동화 시대를 거쳐 ICT를 활용한 CPS까지 결점을 줄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스마트팩토리는 어느 일부만 완성이 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닌 공장 내 모든 시설의 H/W 부분과 이를 오차 없이 가동하고 운영할 수 있는 S/W가 서로 유기적 관계를 유지해야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부지원정책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과 정부의지에 따라 지원 사업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 패밀리혁신활동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는 모기업과 모기업의 협력회사가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어떠한 요인들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훈련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중소기업 스스로 유지관리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양성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넷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그리고 교육훈련이 스마트팩토리와 경영성과 관계에서 매개효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다. 스마트팩토리 성공 구축요인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교육훈련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구축 기대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패밀리혁신활동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로 설문을 발송한 후 표본 집단의 설문을 회수하여 정리를 하였고, 설문결과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이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그리고 교육훈련이 경영성과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매개효과인 스마트팩토리도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지원 사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및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팩토리 확산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사업이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대기업의 스마트 제조기술 혁신 노하우를 공유하고 정부와 대기업이 함께 구축 비용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이 실질적인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업이므로 중소기업에서 많은 참여가 필요해 보인다. 연구의 한계점은 패밀리혁신활동은 모기업과 모기업의 협력사를 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혁신활동이지만 아직까지 패밀리혁신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이 많지 않아 조사표본의 수가 충분하지 못해 심층적인 분석을 하지 못했다. 일부 중소기업은 스마트팩토리 도입은 시스템과 자동화가 우선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제조현장 기본 갖추기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른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의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정부의 지원정책과 대기업의 상생경영 그리고 지속적인 인력양성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향후에는 스마트팩토리를 도입을 했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실패한 원인이 무엇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의 무엇인지를 좀 더 집중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 운동 중재가 심방세동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계량학 및 메타 분석 연구

        서홍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ABSTRACT The influence of exercise arbitration o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bibliometric study and META analysis Hong, Xu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udies.StudyA literature 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o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is studied.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search status of atrial fibrillation intervention, classify the academic combination, hotspot simultaneous appearance and evolution of atrial fibrillation intervention, explore the progress of research over the past 15 years, and identify the latest research problems in atrial fibrillation intervention. This study conducted visualiz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us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Cite Space,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f 1,793 articles in the web science journal for 15 years from 2006 to 2021. We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f literature in six aspects: global annual publication, high-quote literature, keyword simultaneous presentation analysis, keyword clustering, keyword burst distention, and topic simultaneous presentation analysis. Cardiomotor rehabilitation has been shown to improve motor ability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coronary heart disease (CAHD) and heart failure. Nationally,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Italy have posted more in this field. The United States is working most closely with other countries.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cardiovascular and heart disease studies are the most frequent, and studies on exercise intervention in atrial fibrillation also show multidisciplinary situations. The most commonly cited paper in this study is 'Global Dynamics of Atrial Fibrillation: A Global Disease Burden Study 2010'. For example, keywords such as 'risk factor', 'heart failure', 'care', 'mumps', and 'quality of life' are research hotspots in this field.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heart diseas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other keywords are expected to be a trend of research in this area over the next few years Research B Exercise Effects o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Systematic Evaluation and Meta-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quality of life, exercise ability, cardiopulmonary function, blood pressure, and static heart rate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through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 trials of patients with exercise intervention. Method: In this study, we search the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database, search for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the effects of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evaluate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on random controlled trials using the revised Pedro scale, and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using Stata15.1 software, as well as a combination of research data. total of 12 documents, including 3 high-quality literature, 5 medium-quality literature, and 4 low-quality literatu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total of 287 AF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total of six research indicators are divided into four subgroups: six-minute gait tests, diastolic blood pressure, systolic blood pressure, static heart rate, quality of life, and athletic ability, each of which includes training type, country, average age, and training intensity. Exercise can significantly improve quality of life SMD: 0.720, 95% CI (0.038, 1.402) and 6-minute gait trials SMD: 87.87, 95% CI (42.23, 133.51); static heart rate i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can significantly improve SMD: -7.63, 95% CI (-11.42, -3.85), while cardiopulmonary function SMD: 2.37, 95% CI (0.97) and exercise's blood pressure is not yet clear. Exercise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exercise ability, static heart rate,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the effect of exercise on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is not yet clear Keywords: atrial fibrillation, bibliometrics ,meta analysis, exercise 摘要 运动干预对心房颤动患者影响的文献计量学及META分析研究 祥明大学 體育学科 徐洪 本文以二个研究构成:研究A运动对房颤患者的影响的文献计量学分析;本研究旨在探讨房颤运动干预的研究现状,梳理房颤运动干预领域的学科耦合,热点共现和演变过程,探讨近15年的研究进展,掌握房颤运动干预领域的研究前沿问题.本研究采用文献计量学研究方法,采用CiteSpace进行可视化处理和分析,对Web科学杂志2006-2021年以来15年内的1793篇文章进行统计分析.从全国年度出版物,高引文献,关键词共现,关键词聚类,关键词突发检测和主题共现六个方面进行了文献计量学分析.心脏运动康复已被证明可以改善冠心病,心力衰竭等心血管疾病患者的运动能力和症状.从国家的角度来看,美国.德国,意大利等国家在这一领域发表了更多的文章.美国与其他国家的合作最密切.从学科的角度来看,心血管系统和心脏病学研究的发生频率最高,对房颤的运动干预的研究也呈现出多学科的情况.本研究最常引用的是文章<房颤的全球流行病学:2010年全球疾病负担研究>,如“风险因素”,“心力衰竭”,“管理”,“中风”和“生活质量”等关键词是这一领域的研究热点.心脏再同步化治疗,心脏病,肥厚性心肌病等关键词为此领域未来几年的研究趋势.研究B运动对房颤患者的影响,一项系统性评价与Meta分析;本研究通过检索国内外数据库,对运动干预房颤患者的随机对照试验进行Meta分析,探讨运动对房颤患者的生活质量,运动能力,心肺功能,血压及静态心率的影响.本研究检索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数据库,搜索运动对房颤患者的影响相关随机对照实验研究,采用修订版Pedro量表对随机对照试验进行文献的质量评价,使用Stata15.1软件进行统计分析,对研究数据进行合并效应量分析.共12篇文献,其中包括3高质量文献,5篇中等质量文献,4篇低质量文献,共287名AF患者参与研究;共6项研究指标,分别为6分钟步行试验,舒张压,收缩压,静态心率,生活质量,运动能力每个指标分为四个亚组,其亚组分类模式包括:训练形式,国家,平均年龄以及训练强度.运动可以显著改善房颤患者生活质量和6分钟步行试验,对房颤患者的静态心率具有显著的改善,同时运动可以改善房颤患者生活质量,运动能力,静态心率,心肺功能的影响. 关键词: 心房颤动, 文献计量学, meta分析, 运动 국문 요약 운동 중재가 심방세동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계량학 및 메타 분석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서 홍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심방세동운동 개입의 연구 현황을 논의하고 심방세동운동 중재분야의 학문적 결합, 이슈 동시출현 및 진화과정을 분류하고 지난 15년 동안의 연구 진행 상황을 탐색하고 심방세동운동 중재분야의 연구 최신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과 CiteSpace를 사용하여 시각화 처리 및 분석을 수행하고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 동안 웹 과학 저널의 1,793개 연구에 대한 통계분석을 진행했다. 글로벌 연간 출판물, 인용룔 높은 문헌, 주요어 및 주제 빈도분석, 주요어 군집, 주요어 버스트 디텐션 및 의 6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문헌을 분석한 결과, 심장 운동 재활은 관동맥 심장병(coronary atherosclerotic heart disease, CAHD) 및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 질환 환자의 운동 능력과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적으로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 등이 이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미국 문헌의 인용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빈도분석결과 심혈관계 및 심장병 연구의 빈도가 가장 높으며, 심방세동에 대한 운동 중재에 대한 연구도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군집분석 결과 '위험 요인', '심부전', '관리', '중풍', '삶의 질'과 같은 주요어가 유사한 범주로 추출되었다. 심장 재동기화 치료, 심장병, 비후성 심근병증 및 기타 주요어는 향후 몇 년 동안 이 분야의 연구 추세라고 예상한다. 심방세동환자의 운동중재 연구에 대한메타분석을 통해 심방세동 환자의 삶의 질, 운동능력, 심폐기능, 혈압 및 안정시 심박수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사이트에서 진행하였으며, 개정판 Pedro척도를 이용하여 무작위 운동중재에 대한 문헌의 품질 평가를 수행하고 Stata15.1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12편의 문헌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287명의 심방세동 환자가 포함되었다.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는 총 6개의 주요 연구 지표를 추출하였는데 6분 보행검사, 확장기 혈압, 수축기 혈압, 안정시 심박수, 삶의 질, 운동 능력으로 각 지표는 4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뉜다. 그 하위집단의 분류패턴은 훈련 주기, 국가, 평균 연령 그리고 훈련 강도를 포함되어 있다. 운동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의 삶의 질 및 6분 보행검사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심방세동 환자의 안정시 심박수 와 심폐 기능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심방세동 환자의 혈압에 대한 운동의 개선효과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은 심방세동 환자의 삶의 질,운동능력, 안정시 심박수, 심폐기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심방세동 환자에게 운동은 심장혈관 계통의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 할 수 있는 치료적 중재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주요어: 심방세동, 문헌계량학, 메타 분석, 운동

      • 安部公房の文體硏究

        서홍 廣島大學 大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아베 코보의 소설의 특징을 작품의 내용 및 주제와 관련시켜 분석 고찰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문체연구가 문학적 문체론과 어학적 문체론으로 나뉘어져 연구되어져 왔음을 지적하고, 금후의 문체연구는 양 관점에서 동시에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요소에 주목하는 것이 유효한 연구방법으로서 성립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아베 코보의 경우,청각표현, 반복표현, 화법의 세가지 요소에 주목함으로서 문체의 특징을 밝혔다. 제1장에서는 청각표현에 관해 논했다. 1절에서는 『S 카르마씨의 범죄』,『바벨탑의 너구리』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양작품에서는 주인공의 눈이 거부된다는 공통의 상황이 설정되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이야기는 청각표현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양작품에서는 누구나 가장 정확한 감각으로 인식하는 시각에 회의를 가짐으로서, 청각을 시각보다 우위에 서는 감각으로서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양작품의 청각표현은 그 표현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뿐만아니라, 외형상의 현실을 재인식하고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되어, 새로운 자신을 창조할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표현으로서 성립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2절에서는 『타버린 지도』를 분석, 청각표현이 주된 표현으로 작용함으로서 '실종'이라는 본작품의 내용이 부각되는 형상에 대해 논했다. 『타버린 지도』에서는 청각표현은 돌발적이고 부정적인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실종'이라는 작품의 내용 그자체를 반영하는 문체상의 표현효과에 수렴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제2장에서는 반복표현에 관해 분석 고찰했다.1절에서는『침입자』에서 다용되는 회화표현이, 표면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듯이 보이지만, 오히려 그것을 차단하는 표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본작품에서의 회화표현은 상대의 말을 받아서 그것이 의외인 것을 나타내는 형식의 반복표현과 상대의 말을 반복하지만 그 말의 의미를 왜곡해서 반복하는 형식의 반복표현이 존재하며, 이러한 반복표현이 커뮤니케이션을 차단하고 있음을 지적했다.2절의 『타버린 지도』에서는 반복표현이 본작품의 시간 진행과 관계되는 양상에 관해 논했다. 이야기의 모두와 종결에서 행해지는 '원형' 반복표현과 앞의 말을 받아서 다음 문에 잇는 '꼬리 잇기'식 반복표현은 시간의 선조성을 차단하는 표현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밝혔다. 제3장에서는 화법에 관해 고찰했다. 1절에서는『S 카르마씨의 범죄』에서 행해지고 있는 '나'에서 '그'에의 인칭변환의 과정을 밝혔다.『S 카르마씨의 범죄』의 화자는, 이야기를 하는 '나'와 이야기의 주인공으로서의 '나'로 분열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을 '나'의 다용, '나'가 주어가 되는 문말에 쓰인 '노다'의 다용, 추가법의 다용이라는 문체상의 특징을 밝힘으로서 지적했다. 또, 이야기의 종결부에서 이루어지는 '그'의 '나'에의 재변환은, '거울단계'의 통과를 의미하며, 이 이야기는 균열이라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획득된 '나'의 '자기를 나라고 부를 수 있는 존재'에의 성숙을 표현한 작품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2절의 『모래 여인』에서는 지금까지 정당하게 평가되지 않았던 화법에 대해 새로운 평가를 행했다.『모래 여인』의 화법에는 '화자가 청자와 이야기를 주고 받는 화법','예고하는 화법','주인공과 화자의 이중의 목소리가 존재하는 화법'이라는 3가지의 특징이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이들 세가지의 특징은 청자를 이야기속으로 끌어들이는 효과에 수렴되는 것이다.이 사실로부터 『모래 여인』은 '모래'라는 발상과 더불어 청자를 이야기속으로 끌어들이는 화법의 힘에 의해 성립되는 작품임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아베 코보의 문체는 중심적인 문체적 사실이 존재하고, 이것을 부각시키는 형태로 성립되어 있다는 사실과, 청각표현,반복표현,화법의 3가지의 문체적 사실이 다른 작품의 문체를 논하는 경우에도 유효한 지표가 될 가능성에 대해 논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