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언어장애에 대한 인식 연구

        서종례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대학생의 언어장애에 대한 인식 연구 서종례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언어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에 대한 또래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하는 3개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500명이며,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Vignette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7개 형용사 짝으로 이루어진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1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문제별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장애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비하-잘난체하는, 신체적으로 정상적이지 못한-신체적으로 정상적인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언어장애인 대면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 차이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적대적-우호적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장애를 경험했던 경우 10문항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어 아직까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언어장애를 가진 자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좀 더 많은 접촉이나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예민한-평온한, 긴장된-이완된, 민감한-둔감한, 안절부절-침착한, 겁이 많은- 겁이 없는, 수동적-공격적, 내향적-외향적, 감정기복이 큰-무덤덤한, 부주의한-완벽한, 자기비하-잘난체하는, 유머감각 없는-유머감각 있는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 보다 장애인에 대해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인식 차이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실하지 못한-성실한’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 계열별로 살펴보면, 인문-사회학 전공학생, 이학 전공학생, 공학 전공학생 순으로 긍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WOCN)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

        서종례 이화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omplications in roles related to work performance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WOCN) as well as their work satisfaction and a descriptive interrelated study to identify relation between these two. Study participants were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WOCN) responsible for nursing tasks in wound, ostomy and continence areas. Total of 64 random samples were selected from 10 organizations. The study measurement were edited-supplemented to fit in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tested for contents validity by 5 of professional group and they are measuring measurement for complications in roles developed by Kim and Park(1994) and edited-supplemented by Lee(2006),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developed by Slavitt(1978) and translated by Song(1998).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14th of Jan 2010 to 31st of May 2010, total 35days, an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ccording to study purpose using SPSS Win 17.0 program. The following presents summary of this study. 1. The complication in roles of study participants were 2.80±0.33(out of 4) and categories of complications were environmental(3.05±0.42), lack of ability (2.90±0.47), vague role(2.78±0.37) and low cooperation(2.54±0.44). 2. The work satisfaction of study participants were 2.63±0.22(out of 4) and categories of satisfactions were professional jobs(3.40±0.54), work requirements(2.94±0.52), interactions(2.86±0.39), requirements of organization(2.68±0.57), autonomy(2.41±0.30) and wage(2.17±0.44). 3. In difference of role complicatio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 experience(F=4.083, p=.023), completion of WOCN course(t=-1.972, p=.026) and educational background(F=6.430, p=.003) were shown. In difference of role complications according to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were type of hospital(F=6.200, p=.004), size of hospital(F=9.960, p=.000), work style(F=7.789, p=.001), work type(F=4.564. p=.006), work plan(F=8.779, p=.000), number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 (F=4.134, p=.021) were shown. 4. In difference of role complicatio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presented higher satisfaction for the group completed WOCN course(t=2.687, p=.004) than the group didn't. In difference of role complications according to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were size of hospital(F=14.220, p=.000), work style(F=3.667, p=.031), work type(F=3.437, p=.022) and work plan(F=5.209, p=.003) 5. The complication of role and work satisfaction of the study object had inverse relation (r=-.512, p=.000). With above results, organizations encourage nurses serving wound, ostomy, continence patients to secure their qualification and there is a definite need to provide systematic and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 and supplement training that can improve work ability. Also, it suggests necessary supply of wound ostomy continence workforce and resources for work performance and clear role identification for them at work environment.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대장암과 직장암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결장루 보유자도 증가하고 있다. 장루 보유자들은 암이라는 질병자체에 대한 적응 뿐 아니라 변화된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수용해야 하고, 욕창을 포함한 상처와 장루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 및 장루로 인한 심리적 지지와 관심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문화되는 의료 환경 속에서 장루, 상처, 실금 간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질 높은 간호와 전문화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역할갈등 완화와 직무만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병원 상처, 장루, 실금 간호사회(KAWOCN)의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주요 병원의 리스트를 통해 5개 대학병원과 4개의 2차 병원, 1개의 1차 병원을 편의 표본 추출하여 상처 및 장루, 실금 영역의 간호업무를 담당하는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문실과 박상연(1994)이 개발하고 이혜진 등(2006)이 수정․보완한 역할갈등 측정도구와 Slavitt 등(1978)이 개발하고 송명숙(1998)이 번역한 직무만족 측정도구(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월 14일부터 2010년 5월 31일까지 기간 중 총 35일간 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3.3±5.07세로 기혼이 38명(59.4%)이었으며, 최종학력은 석사학위 소지자가 25명(39.1%)이었다. 연구대상자 중 47명(71.2%)이 WOCN(Wound, Ostomy, Continence Nurse) 과정을 이수하였고, WOCN 경력은 평균 50.5개월이었으며, 간호사 근무경력은 평균 129.7개월이었다. 근무 병원은 2차 병원이 65.6%, 병상 수는 평균 690병상이었고, 소속부서는 간호부 소속이 93.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근무형태는 상근이 66.2%였으며, 업무 유형은 ‘병동간호사로서 상처장루실금 환자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43.1%로 가장 많았다. 처방권 위임 정도는 ‘전부 또는 일부 부여받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71.6%였다.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로서 근무하게 된 동기는 ‘보다 전문적인 간호사가 되기 위해’(36.9%), ‘자기발전의 기회가 되므로’(36.9%) 라고 응답하였다.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로서의 근무계획은 51.6%가 ‘가능한 오래 근무할 예정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의 근무외시간은 일평균 2.2시간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역할갈등은 2.80±0.33점(4점 만점)이었으며, 역할갈등 하위영역 중 환경장애(3.05±0.42점), 능력부족(2.90±0.47점), 역할모호성(2.78±0.37점), 협조부족(2.54±0.44점) 순으로 갈등을 나타냈다. 3.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은 2.63±0.22점(4점 만점)이었으며, 직무만족 하위영역 중 전문직(3.40±0.54), 업무요구(2.94±0.52점), 상호작용(2.86±0.39점), 조직요구(2.68±0.57점), 자율성(2.41±0.30점), 보수(2.17±0.44점) 순으로 만족을 나타냈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의 차이에서 먼저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력(F=6.430, p=.003)과 WOCN 과정 이수여부(t=-1.972, p=.026),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 경력(F=4.083, p=.023)에 따른 역할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 중 병원형태(F=6.200, p=.004), 병원 규모(F=9.960, p=.000), 근무형태(F=7.789, p=.001), 업무유형(F=4.564. p=.006), 근무계획(F=8.779, p=.000),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 수(F=4.134, p=.021)에 따른 역할갈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에서 먼저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상처․장루․실금 간호(WOCN) 과정 이수여부(t=2.687, p=.004)에 따른 직무만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WOCN과정을 이수한 집단의 직무만족 점수가 미이수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 중 병원규모(F=14.220, p=.000), 근무형태(F=3.667, p=.031), 업무유형(F=3.437, p=.022), 근무계획(F=5.209, p=.003)에 따른 직무만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8. 연구대상자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12, p=.000).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일반적 특성 중 WOCN 과정 이수여부는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로서 전문교육과정 이수는 역할갈등을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기관에서는 상처, 장루, 실금 간호를 하는 간호사에게 전담간호사로서의 자격을 확보하도록 권장하고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질 높은 수준의 교육프로그램 및 보수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병상수가 500병상 미만일수록 역할갈등이 증가하고 직무만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갈등의 하위영역 중 환경장애 영역이 직무만족과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업무환경에 있어서 상처장루실금전담간호사의 명확한 역할 정립, 업무수행에 있어 상처장루실금 담당 인력 및 자원 공급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