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수 총인 제거를 위한 응집제 주입량 최적화 시스템 연구

        서정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총인 수질기준 강화로 인하여 생물반응조 유출수와 2차 침전지 유출수를 대상으로 III지역 방류수 총인 수질기준(0.5 mg/L) 만족을 위한 응집제 주입량 최적화 시스템 (Coagulant dose Optimization System, COS)을 구성하고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용화 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하적정에 의한 응집제 주입량 최적화 시스템 (Charge titration-Coagulant dose Optimization System, 이하 C-COS)과 Jar test 기법을 이용한 응집제 주입량 최적화 시스템 (Jar test-Coagulant dose Optimization System, 이하 J-COS)을 구성하여 최적운전을 통한 결과로부터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여 발전적이고 차별성이 있는 시스템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COS는 생물반응조 유출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에 의해 발생되는 부유물질이 2차 침전지에서 침전 제거되어 침전지 이후 여과와 같은 별도의 후단공정 설치가 어려운 하수처리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J-COS는 2차 침전지 유출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에 의해 발생되는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공정과 같은 후단공정이 설치된 하수처리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하고자 하였다. C-COS의 경우 생물반응조 유출수에 대해 기본인자인 대조군 응집제 주입량에 반영되는 대조군의 최적 및 최소 응집제 주입량을 결정하였고, 운전에 대한 sampling 주기와 logic diagram을 도출하였다. 또한, 운전조건 변화를 통하여 최적 운전인자를 도출하였고, 0.5 mg/L 이하의 저농도 총인 유입시 처리수의 안정적 수질 확보를 위하여 최소 default 주입량도 결정하였다. 도출된 최적 운전인자를 적용한 검증운전을 통하여 대조군과 C-COS 실험군의 응집제 효율 및 경제성 분석의 효율성 평가로부터 C-COS가 대조군 대비 각각 14.4%와 15.1% 더 높게 나타나 효율적인 시스템임을 제시해 주었다. J-COS의 경우는 PO4-P 농도와의 연계 운전 개념을 도입하였고, 2차 침전지 유출수에 대해 기본인자인 대조군 응집제 주입량을 결정하였다. 또한, 운전에 대한 sampling 주기와 logic diagram을 도출하고 최적 운전한 결과, 대조군과 J-COS 실험군의 응집제 효율 및 경제성 분석의 효율성 평가로부터 J-COS가 대조군 대비 각각 34.3%와 21.2% 더 높게 나타나 효율적인 시스템임을 제시해 주었다. In this study, we configured and applied Coagulant dose Optimization System(COS) as pilot plant in field to satisfy reinforced total phosphorus (TP) regulation (0.5 mg/L) in coagulation treatment of bioreactor effluent and secondary effluent. Charge titration-COS (C-COS) and Jar test-COS (J-COS) were applied and they were shown as developmental and preferential systems from efficiency evaluation of optimal operation results. C-COS was designed to be applicable to sewage treatment plant that suspended solid produced by coagulation treatment of bioreactor effluent was removed in secondary clarifier and so didn’t need to install extra process such as filter. J-COS was designed to be applicable to sewage treatment plant that suspended solid produced by coagulation treatment of secondary effluent could be removed in extra process such as filter. In C-COS, optimal and minimum coagulant dose of control were determined about bioreactor effluent, and sampling cycle and logic diagram of operation were deduced. Optimum operation factors were deduced from various operation conditions, and minimum default dose was determined to ensure a stable water quality in case of inflow of low TP concentration. C-COS was shown as effective system from efficiency evaluation that coagulant effectiveness and economical analysis compared with control in optimal verification operation were 14.4% and 15.1%, respectively. In J-COS applying link operation concept with PO4-P concentration, coagulant dose of control was determined as basic factor about secondary effluent, and the sampling cycle and logic diagram of operation were deduced. J-COS was also shown as effective system from efficiency evaluation that coagulant effectiveness and economical analysis compared with control in optimal operation were 34.3% and 21.2%, respectively.

      • 말뭉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

        서정미 경기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use many words that are not found even in the standard enlarged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and there is no Korean language dictionary (KLD) specifically designed for secondary scholars, eith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pplicable guideline for the compilation of a KLD for high-schoolers. Utilizing a word-corpus extracted from several dozens textbooks of Korean high-school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llustrations of both macro- and micro-structural descriptions for each study level of high school curriculum. To get the compilation guideline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ly, Chapter One, Introduction described the goal, the limitation and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with a survey of precedent studies. While some basic principles for compilation of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were found from the survey, it was also evident that the interest for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for specific users was very low. In Chapter Two, editorial features of three present KLDs that claim their goal of compilation is to "help the learning process of its readers" either in Preface or in Using the Dictionar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user groups and years of publication. The present KLDs that have a similar compilation purpose to that of this study are Modern Student Korean Language Dictionary [현대학생우리말사전(1950)], Yonsei Korean Language Dictionary [연세한국어사전(1998)], and Yonsei Elementa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연세초등국어사전(2002)]. The goal of compilation, the entry selection criteria, and the positioning method of the KL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chapt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cluding spelling system, pronunciation system, word-definition, grammar, and examples were also analyzed to discover problems that need improvements in order to construct a practical, tentative guideline of KLD compilation. In Chapter Three, word-data were collected and sorted out from 78 high school textbooks to form the word-corpus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cquired corpus, the data from each textbook were digitally keyed in and were properly converted to fit for compilation softwares. While Geuljabee II [글잡이 II], the compiling software indexed all entries showing their usages, SynKDP Kamjaksae [깜짝새] program formed a word-unit (어절) index which shows all different usages, too. A stepwise explanation for the usage of the programs and some predictabl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were also presented. Furthermore, the acquired word-corpus of the "7th High School Textbook" vocabulary was sorted out according to both its alphabetical order and frequency; especially for 1,000 words of high frequency words were all listed up with its auxiliaries 조사 and endings 어미, resulted in a full entry list for a KDL for high schoolers. In Chapter Four, a guideline of KDL compilation was devised in reference to The Guideline for the Compilation of a Gr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지침(2000)]. The features of the guideline for the KDL are: First, the entry list covers all vocabulary written in the textbooks with auxiliaries and endings. Second,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shows each pronunciation of word-entry when the alphabet itself differs from its pronunciation, even for the cases that the attached auxiliary (조사) alters the pronunciation of its substantive (체언) and the ending of its verb (용언). Third, the definition information renders an accurate and easy meaning only for the entry words that are recorded in the existent KLDs. Fourth, the grammar information uses grammar terminologies and meta-languages of who, where, and what show both possible declensions and compound-word information. Fifth, the usage information principally offers textbook usages for each entry with bibli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abbreviated names of the book and its page number,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reader's learning process. At the end of Chapter Four, a sample of a tentative KDL for high-schoolers was illustrated revealing its features and abbreviation codes. The compilation of a KDL for high schoolers should consider both the felt-needs of the scholars and the convenience of both usage and handl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attempt to design a guideline for KDL for high schoolers when there is no such KDL at all. Furthermore, it is also the first attempt to enlist the full word-entry of the "7th High School Textbook" applying the word-corpus apparatus to the all kinds of high school textbooks in Korea. 이 연구는 아직까지 ‘중학생만을 위한’ 국어사전이나 ‘고등학생만을 위한’ 국어사전이 편찬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궁극적으로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말뭉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국어사전 편찬에 대한 기초 연구로 고등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맞는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 기술 방법으로 그 예를 함께 제시하였다.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 지침을 얻기까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서론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어사전 편찬에 관한 기본 원리들을 검토하였으나 특정한 사전 이용자를 위한 사전 편찬 연구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활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기존 국어사전의 ‘머리말’과 ‘일러두기’에서 나타나는 편찬 목적이 ‘학습’인 경우의 국어사전을 사전 이용자별과 연대별로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기존 국어사전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어사전으로 「현대 학생 우리말 사전」(1950), 「연세 한국어사전」(1998), 「연세초등국어사전」(2002)을 선택하였다. 이 사전들의 사전 편찬 목적과 표제어의 선정과 배열 방법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철자 정보, 발음 정보, 정의 정보, 문법 정보, 용례 정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 방법을 마련하는 데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편찬하고자 하는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을 제시하고 78권의 고등학교 교과서 말뭉치를 설계하였다. 설계에 따라 각 교과서를 디지털 형태로 입력하여 말뭉치를 구축하고 가공하였다. ‘글잡이Ⅱ(색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제항을 선정하고, ‘글잡이Ⅱ(직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개별 단어의 쓰임을 보이고, ‘깜짝새(SynKD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어절 색인과 용례 사전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들의 활용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활용하면서 생긴 문제들을 기술하였다. 위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얻은 ‘제7 차 고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조사 결과를 품사별, 가나다순, 고빈도수별 등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고빈도수 단어목록 1000개와 조사, 어미, 접사 목록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표제항을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말뭉치를 이용한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 지침을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국립국어연구원: 2000)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성한 편찬 지침의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제항은 교과서에 실린 단어를 모두 수록하고 조사와 어미도 수록하는 것으로 하였다. 둘째, 발음 정보는 표제항과 일치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표제항의 발음을 보여 주고 체언이 조사와 결합한 경우와 용언의 활용형도 발음이 다를 경우 보여주는 것으로 하였다. 셋째, 정의 정보는 표제항의 의미를 정확하고 쉽게 풀이하기 위하여 사전에 수록되는 단어로 한정하여 뜻풀이를 하도록 하였다. 넷째, 문법 정보는 문법 용어를 사용하고 ‘누구’, ‘어디’, ‘무엇’들의 메타언어와 용언의 활용 및 연어 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용례 정보는 모든 표제항에 교과서 용례를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용례는 교과서명의 약명과 쪽수를 표시한 출전을 용례 끝에 달아서 교과 학습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7.에서는 「고등학교 국어사전」(가칭)의 견본을 제시하여 그 국어사전의 특징들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고, 사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약호들을 정리하였다. 고등학교 국어사전의 편찬은 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하여, 특히 교과 학습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전 이용자가 지니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사전 제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국어사전 중에 고등학교 학습자만을 위한 국어사전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서 말뭉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국어사전 편찬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모색하는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 전교과서에서 과목별로 1권씩을 선택하여 말뭉치를 구축하였고, ‘제7 차 고등학교 교과서’ 말뭉치에서 말뭉치 활용 도구를 이용하여 선정한 고등학교 교과서 단어 목록 일부분을 제시하고 있는 것도 최초라는 것을 밝혀 둔다.

      • 광주광역시 노인학교 수강생의 교육만족에 관한 연구

        서정미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사회는 산업화에 의한 급격한 변화와 고령화 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노인문제가 가정문제 뿐 아니라 사회문제로 확산되어 노인문제의 요인을 규명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방법의 모색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노인문제 해결의 여러 가지 방법 중 특히 평생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노인교육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광주시 대부분의 노인교육 운영자들은 의욕은 많지만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줌과 동시에 균형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노인학교 수강생들의 특성과 교육만족을 분석하여 노인교육의 방향과 노인교육 개선에 필요한 노인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② 노인학교 교육 만족도를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으로 나누어서 파악한다. ③ 노인학교 운영주체에 따른 교육 만족도를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으로 나우어서 파악한다. ④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만족도를 파악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광주광역시 노인학교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자료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변수는 ANOVA로 분석하였으며 노인대학 운영주체에 따른 교육만족도는 x^2-test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 여자노인, 연령은 70-74세, 교육정도는 초등졸업이 가장 많았다. 배우자 유무에서는 배우자와 함께 살고 가족형태로는 배우자하고만 사는 노인부부 가족 노인이 가장 많았다. 종교는 기독교가 가장 많고 생활을 자녀들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노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생활수준은‘중’이고 건강상태는 ‘보통’이 가장 많았다. 노인학교 수강방법은 ‘친구를 통해서 알게되었다’와 노인학교에 오게된 이유로는 여가를 보람있게 보내기 위한 노인이 가장 많았다. 이용정도는‘1-2년’이 많고 출결석 정도는‘1-2번’정도 결석하고 노인학교 수강에 대한 효과는‘여가시간등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다’가장 많이 나타났다. 2. 노인학교 만족도에서 교육방법 문항분석에서는‘관찰실습을 통한 학습’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교육내용 문항분석에서는‘종합학습(야유회, 견학, 영화, 방송출연, 체육대회, 여행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교육환경 문항분석에서는‘교육기관에 대한 운영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 문항분석에서‘토의학습’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교육내용 문항분석에서는‘법률문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고 교육환경 문항분석에서는‘냉난방 시설 등의 시설비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노인학교 운영주체에 따른 교육 만족도 중 교육방법 문항분석에서 A노인학교는(노인복지관)강의교육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B노인학교(노인복지관)와 C노인학교(종합복지관), D노인학교(사설노인학교)는 관찰 및 실습을 통한 학습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교육내용 문항분석에서 A노인학교(노인복지관)는 취미 활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B노인학교(노인복지관)와 C노인학교(종합복지관), D노인학교(사설노인학교)는 종합학습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교육환경 문항분석에서 A노인학교(노인복지관)와 C노인학교(종합복지관)는 강사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B노인학교(노인복지관)는 시설의 위생정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D노인학교(사설노인학교)는 교육기관에 대한 운영만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학교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문대 이상, 배우자와만 사는 노인부부가족 노인, 직업을 가지고 생활비 및 용돈을 충당하는 노인, 생활수준이‘상중’의 노인, 매우 건강한 노인과 건강한 편이 논인, 노인학교 수강 이유가‘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얻기 위해’라고 응답한 노인과 3-4년 정도 이용한 노인, 한번도 빠지지 않고 열심히 출석하는 노인, 노인학교 수강 효과가‘사회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었다’라고 응답한 노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노인학교 운영자들은 노인들이 관심을 갖고 필요로 하는 노인교육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노인들이 보다 더 적극적인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욕구를 자극함으로써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자긍심을 느끼게 하며, 가정과 사회 속에서 노인들의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여 노인들 자신의 사회적응과 노인 고유의 역할을 다하며 보람있는 노후생활을 하도록 도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modern times, as society is rapidly being changed by industialization, population aging has caused a serious problem for senior citizens who lose their role and position in family and society. solving senior citizen's problems and investigating ways of developing their quality of life is now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Among the solutions for the senior citizen problem, educational program senior citizen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is gaining recognition as a necessity these days, operating balanced educational program that meets with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has not yet been achieved, in spite of instructor's enthusiasm.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base of senior citizen for navigating and developing senior citizen education. In detail, the goals of this study are: 1. To survey participatns' general characteristics 2. To investigate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the type of classes,the subject of classe,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3.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institution. with these three categories, 4. To investigate satisfaction levels with educ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enior school students. Based on data analysis tools, the actual number, percentage was used for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A NOVA for analyzing the Variable of General Characteristic, x^2-test for analyzing Satisfaction level of Senior School depending on Institution. The results is here below. 1. This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that most of the aged who responded wereFemale, aged around 70-74, graduated elementary school, married and living with spouse, not with children. The lagrest number of the aged are Christian supported by their children. They most commonly have a middle stanard of living, and are in a normal state of health. Friends recommended senior school to them and the reason of taking class is to enjoy spare time. Most attend senir school for 1-2 years and are absent 1-2 times in a year. They attend school because they want to “spend spare time meaningfully” 2. In this investigation of Senior school satisfaction levels, practice type classes got the ghihgest grade among the section of calss type and the subjects named integrated study (picnic, field trip, movie, participating in a TV program, physical training, trip etc) as the highest preference. In the categrory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class administer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got the best grades. Conversation calsses got the lowest grades in the section on class type and among class subjects, legal question class got the lowest grade. Air-conditioned facilities got the lowest score on the test of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3. In the survey of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institution, each section analysis of class type shows that in A(Welfare center for the aged) senior school, lecture calsses got the best grades and in B (The Aged Welfare center), C (complex welfare center) and, D (private senior school) observing and practicing classes got the best grades. Among the subjects of the classes, hobby classes received the best grades and in A and B senior schools, integrated study got the best grades. In the survey of educational circumstane, in A, C senior schools, lectures got the best grade. In B senior school, sanitary facility got the best grade. In D senior School, administration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got the best grade. 4. In the analysis of senior school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ged having more than a college degree, living just with spouse, having a job, whose earnings meet their living expenses and daily use, and in a middle -high standard of living and excellent or good health condition answered that their reason for attending senior school was, "it's for obtaining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aged attending school for 3-4 years said that they learned new knowledge for managing rapid changing society. In conclusion, Senior School administrators need to motivate senior citizen to participate in senior school more actively and stimulate their study with an effort to understnad their needs. Senior Citizens can improve self confidence by playing a role in society as a member with the abilities achieved through senior school. The activities of senior citizens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ety and family. Their quality of life should be supported by stimulating their activities and helping theri adaptation to a changing society, making them play their original role in community.

      •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서정미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 도모를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 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학업스트레스에 효과가 어떠한지 둘째,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셋째,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중학생에게 미치는 질적변화는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먼저 첫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구성요소와 내용을 추출하였다.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게임놀이 프로그램은 조사, 설계, 구안, 자문의 과정을 거쳐 총 12회기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B중학교 1,2,3 학년 중 교사의 추천을 받아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22명은 실험집단에 20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검사도구는 기윤민(2011)의 학업스트레스 설문지와 이규미(2005)의 학교적응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분석에서는 회기 중 대상자의 보고내용과 면담내용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학사적 요소에 있어서 학업스트레스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게임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학교적응에 대해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학업스트레스의 학사적 요소 중 성적, 시험, 공부에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가 줄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자기인식 및 표현 등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고 참여자들의 학업 및 학교생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소인 학사적 요소에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학업스트레스, 학교적응, 집단게임놀이 프로그램, 중학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target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for academic stress reduc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Effect on academic stress by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2)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3)Identify qualitative chang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by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The components and information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 on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to develop the program development. Th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reduction was developed to play a total of 12 sessions over the investigation, design, advi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ho are recommended by teachers were selected in 1,2,3 grade of B meddle school in Gyeonggi. 22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students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It was used academic stress questionnaire based Ki Yun Min(2011) and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questionnaire Lee Gyu Mi(2005).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and verified by the paired t-test. To sum up the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he program using game had the effect of reduced stress in the academic. (2)The control group didn't participate the program using game was not meaningful. (3)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d not happen any change on the school adaptation. (4)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academic factors that are grades, tests, studying decreased through program implementation. (5)Expression and individual satisfaction about their studies and school life was increased as well as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elf-awareness. In this study,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academic factors as a sub-element of academic stress.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and the limit of the future research studies. key word: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School adjustment,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 한주환과 원장현의 대금산조 선율비교 연구 : 자진모리를 중심으로

        서정미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Sanjo was first performed by Kim Chang-jo on the Kayagum. Baek Nak-jun and Park Jong-gi systemized Keomungo Sanjo and Taegum Sanjo respectively, and Sanjo has since been performed by using every instrument, including Ajaeng, Haegum, Piri and Danso, on which one can play a solo. Specifically, Taegum Sanjo has been transmitted from Park Jong-gi to Han Ju-hwan and then to Lee Saeng-gang, Seo Yong-seok and Weon Jang-hyeon. Sanjo is said to be mostly originated in Taegum Sanjo of Han Ju-hwan style, but there isn't yet any definite academic evidence about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Taegun Sanjo of Han Ju-hwan style and that of Weon Jang-hyeon style in terms of Jajinmori Jangdan in an effort to determine how much Taegum Sanjo melodies of Han Ju-hwan style were found in Taegum Sanjo of Weon Jang-hyeon styl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n Ju-hwan style included six Jos and 203 Jangdans, and Weon Jang-hyeon style consisted of 10 Jos and 150 Jangdans. Overall, C-Boncheong Kyemyeonjo was the pivot of both styles in general. Second, the musical scores of the two styles seemed to have the same-type melodies in 20phrases. The 20 phrases accounted for 9.9 percent of the music of Han Ju-hwan style and 13 percent of that of Weon Jang-hyeon style respectively. Third, the musical scores of the two styles appeared to have similar melodies in 28 phrase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Shigimsae or decorations. The 29 phrases represented 13.8 percent of the music of Han ju-hwan style and 18.7 percent of that of Weon Jang-hyeon style respectively. When the phrases that carried the same and similar melodies were added up, 49 phrases could be said to contain the same or similar melodies, which accounted for 23.6 percent of Han Ju-hwan style and 32 percent of Weon Jang-hyeon styl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Jajinmori melodies of Taegum Sanjo of Weon Jang-hyeon style were in compliance with those of Han Ju-hwn style by approximately 30 percent. 산조는 19C 말경에 김창조가 처음 가야금으로 산조의 틀을 만들었고, 이어 백낙준이 거문고 산조를, 박종기가 대금 산조를 체계화하였다. 그 뒤를 이어 아쟁, 해금, 피리, 단소 등 독주가 가능한 거의 모든 악기에서 산조가 만들어졌다. 그 중 대금산조는 박종기로부터 한주환을 거쳐 현재에는 이생강, 서용석, 원장현 등에게 전승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산조들이 한주환 대금산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에 따른 명확한 학술적 근거를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주환 대금산조 선율이 원장현 대금산조 선율에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자진모리장단 부분을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주환류는 모두 6가지 조에 203장단, 원장현류는 모두 10가지 조에 150장단으로 짜여져 있었고, 전체적으로는 이 두 종류의 산조에 공통적으로 핵심 조 구성은 대부분 ‘C본청 계면조’ 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한주환류 대금산조와 원장현류 대금산조의 악보 중에서 선율이 동일한 선율형으로 짜여졌다고 판단되는 곳은 모두 20마디(장단) 였는데, 이 20마디는 한주환류의 9.9%, 원장현류의 13%에 해당하였다. 셋째, 한주환류 대금산조와 원장현류 대금산조의 악보 중에서 시김새와 꾸밈음의 유무에 관계없이 선율선이 유사한 선율로 짜여졌다고 판단되는 곳은 모두 28마디(28장단) 였는데, 이 28마디는 한주환류의 13.8%, 원장현류의 18.7%에 해당하였다. 동일선율 20마디(20장단)와 유사선율 28마디(28장단)를 합하면 모두 48마디(48장단)의 선율이 동일하든지 유사한 선율로 짜여져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주환류의 23.6%, 원장현류의 32%를 차지하였다. 결과적으로 한주환 대금산조 자진모리 선율이 원장현 대금산조 자진모리 선율에 30%정도의 선율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 중학교 국어교과서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중학교 3학년 국어교과서 토론단원을 중심으로

        서정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민 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국어과목은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 언어 능력을 기르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언어 문화적 교양을 갖추게 하는 과목이다. 토론은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검증된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 토론의 가치가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교육적으로 인정되었다. 이에 따라 토론 능력 발달을 목표로 하는 토론 교육의 필요성이 점점 커져 우리나라도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초, 중, 고등학교에 지도내용으로 포함시켰다.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토론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2015년인 올해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 정식으로 토론단원이 생겨 중학교 과정에서도 토론교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16종의 토론단원에서 토론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살펴보고 교육과정에 고시된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지금 진행되는 토론교육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문제점을 보완한 토론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토론단원에서 제시된 논제가 대립성, 변화성, 균형성을 갖춘 적절한 논제인가 분석하였고 토론단원의 토론 이론이 어떤 설명방식으로 되어있는가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맞게 토론의 학습활동이 가능하게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학교 국어교과서 토론단원에서 제시된 논제가 대립성, 변화성, 균형성을 갖춘 적절한 논제인가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어교과서의 토론단원에 제시된 논제는 52개인데 이 중에서 논제로서 대립성, 변화성, 균형성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논제는 33개이며 63%를 차지한다. 하지만 37%를 차지하는 19개의 논제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국어교과서 토론단원은 토론 이론의 설명방식이 어떻게 되어있는가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론 이론의 설명방식은 16종의 교과서 중에서 12종의 교과서가 요약형으로 제시되어 있고, 설명형으로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는 1종이고, 혼합형으로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는 3종이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맞게 토론의 학습활동이 가능하게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는가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론단원의 학습활동을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에 맞춰 일곱 가지 분석 기준으로 나눠 분석해 보니 6종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에 맞게 모든 활동이 제시되어 있어 토론활동을 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나머지 10종의 교과서는 성취기준에서 빠진 활동이 있어 원활한 토론활동을 하기에 미흡하다. 분석 기준은 토론 전 활동으로 입장 정하기, 논거 찾기 그리고 상대 주장 이해하기이고 토론 중 활동으로 토론을 직접 수행하는 활동, 그리고 토론 후 활동으로 과정 평가, 결과 평가, 태도 평가이다. 특히 상대주장 이해하기 활동이 빠진 교과서가 7종으로 가장 많고 토론 과정평가가 빠진 교과서가 5종이다. 그리고 상대주장 이해하기와 과정평가가 동시에 빠진 교과서가 3종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건에 맞는 적절한 논제를 만들고 토론 이론을 잘 설명하며 토론의 학습활동을 만들어야 하는 교과서 집필에 참고가 되면 좋을 것이다. 토론교육의 논제는 토론의 시작점으로서 대립성, 변화성, 균형성 중에서 하나의 조건이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원활한 토론이 힘들다. 그러므로 조건에 맞는 적절한 논제를 제시해야 한다. 토론이론의 설명방식을 설명형과 요약형의 장점을 적절히 조합한 혼합형으로 하여 학생들이 토론교육의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에 맞게 토론단원의 토론 전·중·후의 학습활동이 모두 제시되어야 하며 토론의 평가항목을 다양화하고 적정한 수의 평가문항이 제시되도록 평가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Korean language subject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was a important foundation of education and nourishes basic linguistic abilities for everyday life. the subject helped to keep the Korea's national identity, to acquire the Cultural literacy. Educationally, culturally and socially, Values of debate achieved recognition as a qualified Problem Solving Method. It was important to nourish a debating ability. Accordingly, debate was includ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since the 2007 revised school curriculum. furthermore, In 2015, debate units was made for middle School 3rd graders. By analyzing the debate units of 16 different Korean textbooks that have been officially verified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areas of improvement for the debate education. The target of the study was limited on the debate units of the sixteen text books. Prior to the actual examination of stock issues, an analysis of the debate section was held in terms of topics and form, and then analyzing stock issues according to topics. Topics were also analyzed to see how debate theory was explained and whether they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nd had confrontation, variability, balance. First, debate units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see whether they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proper topics that had confrontation, variability, balance. The number of proper topics was only 33 among the topics that were presented at the debate units. in other words, the percentage of proper topics was only 63%. Second, an analysis result of how debate units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explained debate theory was as follows : the number of abstract formats was 12, the number of description Formats was 1 and the number of mixed formats was 3. Finally, an analysis result of whether debate units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was as follows : the number of proper units was only 6 among the 16 units. Explain concretely,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were Before debating, On debating and After debating : Before debating were Share Your side, Present basis of an argument, To Understand a Opponent argue, On debating was Debate on subject, After debating were Assessment of process, Assessment of result, Assessment of attitude. the number of missing Share Your side was 7, the number of Assessment of process was 5 and the number of missing To Understand a Opponent argue and Assessment of process was 3.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developing Korean textbooks. without anything of confrontation, variability and balance, those subjects of the debate were unsuited for the debate. So, proper subjects were most important. Among the formats of the debate theory, mixed format was the most suitable format for explanation to students. Before, on, after debating must be present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nd appraisal standards were diversified and A reasonable number of appraisal standards was presented.

      • 현대 한국어 접두 파생어

        서정미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어법은 기존의 언어 형태를 이용하는 중요한 어휘 확장 방법 중의 하나이다. 한국어 조어법에서 파생어는 접사의 위치에 따라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로 나뉜다. 접두 파생어를 만드는 방법을 접두 파생법이라 한다. 사전들을 살펴보면, 사전마다 임의적으로 접두사를 수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접두사의 선정 기준을 밝히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두사에 어떠한 설정 기준을 적용한다는 언급도 없다. 그리고, 파생어의 경우에 그 결합 관계를 표시하고 있는데, 그 결합 관계도 동일하지 않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고유어 접두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접두사의 기능과 의미 분류, 접두사의 타당성 여부, 접두사의 설정 기준 등이 제시되었으나 표준어를 연구 대상으로 접두 파생어만을 형태론적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구명한 것은 찾아볼 수가 없다. 본 연구는 김계곤(1969ㄴ), 김규선(1971), 성환갑(1972), 김종훈(1973), 서병국(1974), 이재성(1990), 국어대사전(이희승,l988), 새우리말 큰사전(신기철 외,1992), 국어대사전(김민수 외,1992), 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1992), 우리말 분류사전(남영신,1993)에서 532개의 접두사를 조사한 후, 1.4.에서 제시한 접두사의 설정 기준에 의하여 접두사 108개를 확정했다. 그런 다음 국어대사전(이희승,1998), 새우리말 큰사전(신기철 외,1992), 국어대사전(김민수 외,1992), 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1992)에서 각 접두사로 파생된 2,576개의 접두 파생어를 수집하여 형태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사한 형태구조를 지닌 접두 파생어를 형식화하여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생산성과 접두사별 생산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두 파생어의 형태구조는 ‘두-체언’과 ‘두-용언’으로 분류되고, 이 두 구조는 25개의 유형으로 다시 세분되었다. ‘접두사-체언’의 구조는 16개의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고, 이 구조에 속하는 접두 파생어는 2,000개이며 전체 접두 파생어의 77.64%를 차지하고 있다. ‘접두사-용언’의 구조는 9개의 유형으로 세분되고, 이 구조에 속하는 접두 파생어는 576개로 전체 접두 파생어의 22.36%이다. ‘두-명’의 구조는 1.660개의 접두 파생어를 가지고 있으며 66.44%의 분포를 보여 가장 생산적인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둘째, 108개의 접두사 중에서 접두사 ‘개-’의 생산성이 가장 높다. 반면에 접두사 ‘걸_(1)^(-), 걸_(2)^(+), 햅^(2)-’가 생산성이 제일 낮은 접두사이다. 셋째, 접두사의 형태구조 유형수와 접두 파생어의 생산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국어 사전을 편찬할 때에 일정한 기준에 따라 현대 한국어 접두사를 수록하고, 접두 파생어의 결합 관계를 표시할 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접두 파생어의 구조를 접두사별·유형별로 조사하여 그 생산성을 밝힌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생산성이 높은 접두사가 붙어 이루어진 접두 파생어를 생산성이 낮은 접두사가 붙어 이루어진 접두 파생어보다 우선적으로 학습시키는 어휘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ord-formation is a important lexical expansion-method, which is a system of making use of the estabilished linguistic form. in word formation method of the Korean Language, derivative words are divided into prefixal derivatives and suffixal derivatives, according to position of affix. Making a prefixal derivative word is a prefixation. After looking through the existing dictionaries, I found that there is no principle commonly applied for selecting and using prefixes. Also found is that there is no coherence in using hyphen which means it is a derivative word. The estabilished study took a prefix of Korean native words as the subject of study and presented general classification of function and meaning, adequacy of prefix, a standard of creation, and so on. In this study,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is taken as the studying subject, and systematic light was shed on prefixal derivative ward, in terms of morphology. For more efficient approach to this study, I look into 532 prefixs shown in Kim Gye-Gon(1968ㄴ), Kim Gyu-Seon(1971), Seong Hwan-Kap(1972), Kim Jong-Hoon(1973), Suh Byung-Kook(1974), Lee Jae-Seong(1990), KUKOˇ TAESACHOˇN(Lee Hi-Seung,1988), SAEURIMAL KUˇNSACHOˇN(Shin Ki-Cheol als.,1992), KUKOˇ TAESACHOˇN(Kim Min-Su als.,1992), URIMAL KUˇNSACHOˇN(The Korean Language Society,1992), URIMAL PUNRYU SACHOˇN(Nam Yeong-Sin,1993), then I selected 108 prefix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prefix selection showing in the chapter 1.4.. Then I collected 2,576 prefixal derivatives and analyzed the formation-structure of 2,576 prefixal derivative words used in KUKOˇ TAESACHOˇN(Lee Hi-Seung,1988), SAEURIMAL KUˇNSACHOˇN(Shin Ki-Cheol als.,1992), KUKOˇ DAESACHOˇN(Kim Min-Su als.,1992), URIMAL KUˇNSACHOˇN(The Korean Language Society,1992). Prefixal derivative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word-groups with similar-typed formation-structure. In addition, I studied the productivity of each formation-structure and prefix.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 the prefixal derivative words of contemporary Korean. First, formation-structure of prefixal derivatives is classified into 'prefix-subject' and 'prefix-predicate'. This two structures are subdivided into 25 types. The structure of 'prefix-subject' is subdivided into 16 types. 2,000 words belong to 'prefix-subject' structure groups, accounting for 77.64 percent of the total. The structure of 'prefix-predicate' is subdivided into 9 types to which 576 words belong, taking 22.36 percent. The structure of 'prefix-noun' has 1,160 derivative words, holding 66.44 percent of the total. This structure is the most productive structure. Second, productivity of prefix 'kae-(개-)' is the highest of all. On the other hand, productivity of prefixs 'koˇl_(1)-(걸_(1)^(-)), koˇl_(2)-(걸_(2)^(-)), haep^(2)-(햅^(2)-)', prefixs is the lowest among others. Third, the number of type of formation-structure which a prefix has is not always in proportion to productivity of prifixal derivative word.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used in edition or publication of new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as well as in education of Korean vocabul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