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 시행 이후 5세 유아를 둔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서순조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selec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by mothers with a 5-year-old child depending on their general background after the enforcement of Nuri Curriculum;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depending on their awareness of Nuri Curriculum; and lastly,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asons for their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mothers’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mother’s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depending on their awareness of Nuri Curriculum? 3.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asons for mothers’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mothers who have5-age children using the nurri curriculum in the nursery facility or the kindergarten located at the Seoul are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 by post, visiting and email over the period from Oct. 17, 2013 to Nov. 8, 2013 (3 weeks), and 558 copies (82.0%) of total 680 copies, including 330 copies of questionnaires for nursery facility and 350 copies for the kindergarten respectively, were recovered. 535 copies except for 24 unfaithful answers were finally analyzed.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were made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research by the Children Policy Institute (2012), Han Sung-sook (2012), etc suitably of this study. A Chi-squared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 of selecti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how different selection reas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gnition of mothers’ general background and the nurri curriculu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others’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after the enforcement of Nuri Curriculum, most of the mothers who chose each institution were in their 30s. Regarding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st of the mothers who chose a public nursery school or private nursery school were college graduates, most of those who selected a public kindergarten or private kindergarten were university graduates. In addition, for the type of the mothers’ employment, most of those who chose a public nursery school or private nursery school were full time employees or part-timers while most of those who chose a private kindergarten were full-time homemakers. Second, regarding the mothers’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Nuri Curriculum, overall, all mothers using each institution responded that they were aware of Nuri Curriculum that integrated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Nuri Curriculum could narrow the ga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look into the effect of support for expenses on the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upport for expenses had an impact on the mothers who chose a public nursery school and public kindergarten. As the factors determining the mothers’ selection of an institution with the enforcement of Nuri Curriculum, most of them chos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as such factors. As for the difficulties they had in selecting an institution, there was a relatively high rate of response that the institution they wanted was not available, and especially, more mothers who chose a public nursery school responded so as compared to those who chose other institutions. Third,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reasons for moving to another institution after the enforcement of Nuri Curriculum, most of the mothers who chose a public kindergarten or private kindergarten responded, To prepare for elementary school” while those who chose a public nursery school or private nursery school responded, “To experience a new program.” This shows that they were expecting a new curriculum. To look into the reason why the mothers used the same institutions to those they used in the previous year, most of those who chose a public kindergarten responded “It is suitable for my child to prepare for elementary school” while most of those who chose a public nursery school, private nursery school or private kindergarten responded, “I am satisfied with the qualities of the director or teac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n further research, it would be necessary to inquire into the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an institution for all groups aged between 3 and 5 in Nuri Curriculum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an institution. Second, an inquiry into changes in the mothers’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before and after the children go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would show the impacts of the enforcement of Nuri Curriculum on their selection. Third, although Nuri Curriculum has been enforced, there is not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Nuri Curriculum provided. A discussion of consumer-oriented detailed public relations is necessary so as to allow the mothers to get information objectively. 본 연구는 만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누리과정 시행 이후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차이가 있는지, 누리과정 인식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차이가 있는지, 마지막으로 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이유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차이가 있는가? 2. 누리과정 인식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차이가 있는가? 3. 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이유는 어떻게 다른가? 대상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재원중인 누리과정을 이용하고 있는 만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13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3주)에 걸쳐 우편, 방문, 이메일로 배포하여 어린이집 330부, 유치원 350부, 총 680부중 558부(82.0%)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불성실한 답변 24부를 제외한 53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육아정책연구소(2012), 한성숙(2012)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누리과정 인식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차이와 선택이유가 어떻게 다른지 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시행 후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있어서 각 교육기관을 선택하는 어머니의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학력은 국공립 어린이집이과 민간 어린이집은 전문대 졸업이 가장 많았으며,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은 대학 졸업이 가장 많았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 형태는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민간 어린이집은 종일제 취업이나 시간제 또는 파트타임이 많았으며 사립 유치원의 경우 전업주부가 많았다. 둘째, 누리과정 인식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각 유아교육기관 어머니는 보육․교육을 통합한 누리과정을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누리과정 시행 여부에 따른 변화로 유아교육기관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비용지원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국공립 어린이집과 국공립 유치원은 비용지원이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누리과정 시행되면서 기관 선택을 하는데 있어서 결정 요인으로 교육환경 및 교육과정이 많았다. 기관 선택시 겪었던 어려움은 원하는 기관에 자리가 없었다는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국공립 어린이집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다른 기관보다 많았다. 셋째, 누리과정 시행 이후 기관을 이동한 경우 변경이유를 살펴본 결과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은 ‘초등학교 준비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어머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접하고자’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해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년도와 동일하게 이용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국공립 유치원 어머니는 ‘초등학교 준비에 적절’하다는 대답이 많았으며, 국공립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사립 유치원 어머니는 ‘원장 또는 교사의 자질에 만족’한다는 대답이 많았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연구에서는 기관에 따른 선택 차이뿐만 아니라 3-5세 누리과정 전 연령을 대상으로 연령 간에 선택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기 전후의 선택기준 변화를 봄으로써 누리과정 시행이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누리과정이 시행되고 있으나 누리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이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객관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세밀한 홍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