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 현황조사, 국외 지침분석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다문화서비스의 개념 및 필요성, 어린이프로그램의 특성 및 유형,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프로그램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국내 현황조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현황 및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어린이장서개발 담당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 한국도서관연감』(2007)의 ‘어린이실 현황’에 나와 있는 343개관 가운데 어린이실의 장서수가 2만권 이상인 200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67개관에 배포하여 90부(53.9%)가 회수되었다. 그 중 무성의 답변 2부를 제외한 88부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 중 80.7%는 다문화 가정의 어린이와 일반 가정의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어린이를 서비스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응답자들의 80%이상이 어린이들에게 외국어 자료와 다문화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제공하는 자료의 유형으로는 그림책, 문학책, 지식책, 비도서, 연속간행물 순으로 나타났다. 제공 외국어 수는 1개가 가장 많았으며, 이 경우 영어를 제공하였다. 최대 7개의 외국어를 제공하였으며, 이 경우 영어, 중국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일본어, 필리핀어 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국어 자료 소장 순위별 언어로는 1순위가 영어였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장서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부분 공공도서관에서는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나 목적, 비전, 정책 등을 갖고 있지 않았다. 29.5%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장서에 관한 지역사회 또는 이용자의 요구가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중 지역사회조사를 실시한 곳은 6개관에 불과했다. 요구 집단의 유형으로는 ‘국제결혼 이민자, 외국인 노동자, 새터민’, ‘지역 다문화 관련 단체와 기관’이 가장 많으며, 요구 자료의 유형은 도서, 비도서, 연속간행물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는 자료의 선정 방법으로 ‘여러 도서관, 출판사, 기관 등에서 발행하는 추천 도서 목록’을 선호하였다. 또한 영어 자료와 영어 이외의 외국어 자료의 입수방법에는 차이가 없었다. 두 경우 모두 ‘국내 대행사’, ‘인터넷 서점과 현지 서점, 출판사 등과의 직거래’, ‘기증이나 자료 교환’ 을 통해 자료를 입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자료는 어린이들의 다문화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자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어린이장서개발 담당자들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장서개발 시 문제점으로 ‘사서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관련 교육 부족(4.0)’, ‘자료 입수의 어려움(4.0)’, ‘지역사회 및 이용자의 정보 요구 파악의 어려움(4.0)’ 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프로그램에 관한 기타 의견에는 직원 교육, 온라인을 통한 정보 공유, 국외 우수 사례 소개, 국내 실정에 맞는 콘텐츠 개발,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인식 정보서비스, 학교를 비롯한 교육기관과 연계한 다문화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의견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외 현황조사를 위해 국외 지침분석 및 사례연구를 하였다. 지금까지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지침으로 개발된 것 중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미국, 캐나다, 호주의 지침을 분석하고, 이들 각 나라의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모든 국가 및 관종의 도서관을 적용대상으로 한 국제적 지침인 IFLA의 다문화서비스 지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침이 공통적으로 직원 교육, 정기적인 지역사회조사 실시,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지침 및 나라별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할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조사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장서개발 방안과 프로그램 다양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장서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자료선정 시 유형별로는 그림책, 문학책, 지식책 순으로 도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적절한 비도서 수집 및 연속간행물의 구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나이에 맞는 양질의 자료, 국내외에서 출판된 현재 유통되는 정확한 자료, 다양한 가치와 의견을 반영하는 자료, 지역사회의 문화를 반영하는 자료, 전 세계의 지역사회를 소개하는 자료, 다문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료, 한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 습득을 위해 필요한 자료 등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현재 국내의 다양한 어린이자료에 관한 서평 및 추천 목록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자료 선정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자료 입수 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 소수사회와 연계가 필요가 있다. 이들은 지역사회의 다문화측면 파악 및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 외국어 자료의 선정, 주문, 검수 등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언어문제를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지역도서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력하여 자료를 입수함으로써 사서들의 시간적․경제적 손실을 줄여 자료 구매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다양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 온라인 어린이 다문화 정보원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는 세계 여러 나라들에 대한 간략한 정보 및 관련 도서관 자료, 세계 여러 문화에 관한 짧은 이야기, 어린이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의 이미지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어린이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시 어린이의 특성 및 프로그램의 대상을 고려해야 하며, 영․유아, 초등학생, 부모 및 가족 등 3부분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공공도서관은 적절한 어린이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정기적인 지역사회조사를 실시해야 하며, 특히 학교와의 협력을 통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는 지역 및 도서관 주변 학교를 통해 취학 어린이 현황과 그들의 요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어린이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다. 넷째, 어린이 다문화 프로그램 개발 지원을 위한 다문화 도서관 포털이 운영되어야 하며, 그 운영 주체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어린이자료 입수 및 선정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어린이 다문화서비스 전반에 걸친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해야 한다. 어린이사서 간 다문화서비스 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국내외 우수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 및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어린이사서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문화 감수성 배양, 우리사회 내 인종 간 관계, 다문화 법률 및 도서관 정책 리뷰 등을 포함한 다문화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및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어린이사서를 위한 어린이 다문화서비스 관련 직무 교육 프로그램과 어린이 다문화서비스 전문사서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The paper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present status research by questionnaire survey.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types and characters of a children's program, the features of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librarians in charge of children's collection development in public libraries and was developed for the present status of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librarian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services for children and the services should be targeted for every child both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 regular families. Second, multilingual materials and multicultural materials were being provided to children in more than 80 percent of respondents. The types of materials are provided by books, non-books and serial publications order. The majority of libraries provided only one language and it was English. The library which provided seven languages were the maximum, and it was English, Chinese, Thai, Indonesian, Vietnamese, Japanese and Pilipino. Most librarians were interesting in developing children's collection for multicultural services. Third, most public libraries need to make clear goals, objectives, visions and policies for multicultural services and conduct a community analysis. As a selection of tools, book reviews and lists of selected books published by other libraries, publishers, organization, etc. were preferred by librarians. As an acquisition method for foreign materials, local vendors, direct transaction with online book stores, bookstores and publishing companies abroad, donation or exchange of materials were preferred by librarian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an acquisition method for English and the rest of other languages. Librarians in charge of children's collection development recognized that children's materials for multicultural services would help children to understand multicultural in our community and it was needed. Fourth, librarians had difficulties in children's collection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services especially due to lack of staff training(4.0), some trouble in acquisition(4.0), difficulties to recognize demands of the community and patrons(4.0). Some librarians express their opinion about staff training for multicultural services, sharing information online, introducing excellent cases abroad, developing suitable contents, information services for multicultural awareness, developing a multicultural program connecte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etc. As a case study, 4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guidelines of IFLA, ALA, NLC, the Library Board of Victoria which are currently used in abroad are selected and analyzed, and study children's programs in USA, Canada, Australia. The results lead to draw point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lans for developing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The plans are divided into two parts, plans for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plans for program diversity. Above all, the plans for collection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as children's materials for multicultural services, the types of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by books, non-books and serial publications order. It should be select materials such as good age-appropriate materials, currently circulating exact materials from home and abroad, materials that reflect diverse values and opinions, materials that reflect local cultures, materials that introduce the community, materials that need for learning languages including Korean, materials that delivery exact information about cultural diversity, and so on. Second, public libraries should cooperate with external human resources for reducing difficulties in acquiring materials and build a network for their province or region to maximize purchasing power. Then, the plans for program d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ing a online reference source of various cultur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cessary. It could include brief information and related materials about several nations in the world, short stories about diverse cultures in the world, images related to daily life in abroad and etc. Second, characteristic of children and target of th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program services. The target of a program could be divided into infants and toddl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and family. Third, public libraries are needed to carry out a regular community analysis to develop an appropriate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This will allow public libraries to have drawn up the multicultural profile of the community and grasp user's needs. Fourth, to support to develop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a multicultural library portal should be run at a national scale such as the National Library of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Fifth, staff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services at a national level are necessary. Multicultural sensitivity training should be offered to every staff member in a library and job training should be offered to librarians. And a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librarians specialized in multicultural services is needed.

      •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 : Q-방법론적 접근

        서미정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 : Q 방법론적 접근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고 그 유형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추상성 높은 개념을 객관화가기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Q-방법론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Q-모집단은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의 고찰, 그리고 투석환자와 심층면담과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Q-모집단을 추출하여 총 194개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한 194개 진술문 중 내용의 중복과 표현의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Q-모집단을 의미와 주제별로 5개의 범주로 분류한 다음 각 범주에서 대표적이거나 상이한 의미의 Q-표본 43항목을 선정하였다. 셋째, P-표본은 만19세 이상 성인으로 만성신부전을 진단받고 3개월 이상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 34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넷째, 43개의 Q-표본은 7×5cm 카드에 인쇄하여 연구대상자들로 하여금 강제 정상분포가 되도록 각자의 의견의 중요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 Q-분류하도록 하였다. 이후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자와의 후속면담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Q-분류된 결과를 PC-QUANL program에 맞는 자료를 작성한 후 Q-요인분석(Q-factor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 유형은 3개 유형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유형은 전체변량의 49.9%를 설명하고 있으며 각 유형별 설명력을 보면 제 1유형이 35.8%, 제 2유형이 8.1%, 제 3유형이 6.1%였다. 제 1유형이 35.8%의 설명력을 가지므로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제 1유형‘열정적 자기주도형’으로 질병으로 인한 혈액투석을 해야 하는 상황을 걱정만 하기 보다는 치료의 중심에서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자기관리가 되지 않을 시 생길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예방하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났다. 나아가 투석생활을 잘 해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계획적으로 관리하려는 유형이다. 제 2유형 ‘비관적 현실위축형’으로 투석으로 인해 경제적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대인관계에 제약이 따르고 그로인해 심리적 위축과 우울한 감정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석을 하지 않으면 생명의 위협을 받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투석생활을 유지하려는 노력은 해보지만 부정적인 마음과 자신감이 결여된 유형이다. 제 3유형 ‘지지기반 의존형’으로 이 유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투석생활을 적응하는데 신앙의 힘이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이나 혈액투석 환우들에게 의지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고 위안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스스로 자기관리를 하기 보다는 병원치료와 의료진에게 의존적인 모습을 보이는 유형이다. 유형에 따른 고유한 특성이 있지만, 모든 유형에서 나타난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공통적 견해는‘혈액투석생활 중에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며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하여 건강한 투석생활을 하고 싶은 소망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을 3개 유형으로 발견함으로써 각 유형이 지닌 특성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향상을 위한 맞춤형 간호 중재방안을 모색하고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환자중심의 질적 간호서비스의 제공과 아울러 혈액투석환자의 간호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12회기를 시행하였다. 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는 특수한 근무환경과 정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간호수행에 따른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므로 감정표현에 영향이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정신과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자신만의 문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과 의료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간호업무의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직무 스트레스 감소는 절실히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감정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내의 정신과 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12명 간호사를 대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시행하였으며, 양적 연구에는 직무 스트레스 척도, 정서표현 질문지,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양적 분석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 정서표현, 우울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질적 분석은 집단구성원간의 진솔한 감정표현과 긍정적인 에너지로 집단의 응집력과 자아 통합을 갖게 되어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가 정신과 병동의 간호사, 의료인에게만 국한 된 것은 아니라고 보며,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모든 직장인들에게 실시하기를 권장한다. This study took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12-sessions,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emotional express of psychiatry ward nurses. Psychiatric ward nurses get a high level job stress, because of working in a special conditions and doing the emotional labor that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 patient of affective disorder. So we have recognized that it has an effect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need to be reduced why job stress of the nurses in psychiatric ward have not only staying on their own problems, but i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patients, healthcare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consequently. In this study, we set the following a subject of inquiry with the group art therapy. First, how to effect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job stress in psychiatric ward nurses? Second, how to effect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psychiatric ward nurs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12 nurses who are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in Gwangju. For quantitative analysis, levels of job stress, questionnair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are used and pre- and post- survey were also undertaken bot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Qualitative analysis has been consisted of group art therapy in order to see the impact onto the stress level and emotional expressio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gab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he ares of job stress,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a positive effect. Having been integrated into the energy of group cohesion and self-unity, stress and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were positively influence. The study encourage other office workers to receive the group art therapy, with an assumption that this is not the case only for nurses working in the psychiatric wards, but equally influential to others working under stress.

      •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culture medium of primary and immortalized Adipose-Derived Stem Cells

        서미정 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유래 줄기세포(ADSC)는 조직 내 여러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며 세포 재생능력이 있어 세포치료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전의 연구에서 ADSC 배양액 속에는 지방유래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다양한 성장인자와 cytokine이 포함되어 있어, 모발의 재생을 강화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ADSC를 배양 시 증식속도와 수명이 짧아, ADSC 배양액을 사용하여 제품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DSC 내에 SV40 T 항원을 도입시켰다. SV40 T 항원은 기존의 동물세포를 암화 시키며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SV40 T 항원을 ADSC 내에 발현시켜 암화가 일어난 ADSC 만을 분리하였으며, 이 세포를 ADSC-T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DSC와 ADSC-T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ADSC는 섬유아세포의 형태를 나타내며, 중간엽 줄기세포만의 표면항원을 발현하였다. 2.ADSC는 지방세포로 분화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ADSC-T에서 SV40 T 항원이 안정하게 발현하였고, ADSC의 특이한 표면항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ADSC-T의 세포의 수명과 성장속도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5.ADSC-T의 길이가 짧아지고 방추형으로 형태가 변화하였다. 6.ADSC와 ADSC-T의 배양액에서 모발증식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 결과 확인하였다.

      • TPA-PPV 합성 및 PLED의 전류-전압(J-V) 특성연구

        서미정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PA(triphenylamine)unit having low ionization energy was synthesized to PPV chain by Wittig reaction, where the polymer with 3097 molecular weight was used. PLED. (Polymer Light Emission Diode) structure was fabricated by using this TPA polymer and their J-V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O₂ plasma treatment of anode, the process of polymer film coating and acting layers of device structure. UV-vis., and PL absorbance peak were shown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407 nm and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 of 483 nm, respectively in the synthesised TPA-PPV. From the result of TGA, the 5 % weight loss and the heat stability in the range of 458 ℃∼526 ℃ were observed. Before the fabrication of the device, O₂ plasma was treated to ITO (indium tin oxide) glass surface in order to improve the surface property of the anode. Basically the optimum coating condition of polymer emitting layer, such as the way of drying, the type of the solvent,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thin-film was determined from the single-layer structure(ITO/TPA-PPV/Al).Accordingly,(ITO/TPA-PPV/Liq/Al)and (ITO/PEDOT:PSS/TPA-PPV/Liq/Al) were fabricated, where PEDOT:PSS blend and Liq material were used for the smooth mobility of the hole and for more easy electron injec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ITO/PEDOT:PSS/TPA-PPV/Liq/Al) device, relatively improved J-V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acting layer.

      •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결혼생활 어려움 극복과정

        서미정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marital maintenance for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nd identifies various factors and overall interactions during the sam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theories that could explain the process of marital maintenance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nd how to effectively intervene the difficulties of women in keeping their marriage intact under the impact of parental divorce.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February 2017 to August 2018, and the final participants were 12 wom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1-3 sessions per person upon the subject’s consent, and each session lasted about 90-120 minut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pplied by the grounded theories by Strauss and Corbin (1998) for data analysis. First, 102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extracted through open coding. Next, the process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radigms through axis coding. Lastly, the correlations among each category were identified through selective coding with a focus on the core categories. These findings were consented and approved through the consultations with one professor, three Ph.D researchers who have studied the grounded theories, and one married woman who has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To summarize the findings, the causal conditions of marital maintenance for the wom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were ‘burdensome marriage,’ ‘impressions of both families on divorce’ and ‘strong wish to keep a happy family’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expectation of a special marriage,’ and ‘trauma from parental divorce.’ The central phenomenon was ’struggling to take root.’The meditative conditions were ‘individual willingness,’ ‘support from others,’ and ‘vitalit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he reactive/interactive strategies were ‘finding the center in the mind,’ ‘exploding and confronting’ ‘touching one’s heart, and ‘ approaching.’ The results were identified into the categories of ‘deciding to bury’, ‘stabilizing one’s mind’, ‘leading one’s own life,’ and ‘peace at home.’These identified results were constantly repea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o reveal the four stages of experience: ‘finding the center,’‘settling’,‘taking root,’ and ‘branching.’These experience may come in sequence but also in combination. And ‘struggling to take root’had a positive impact on ‘taking shaking root and leading one’s own lif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reactive/interactive strategies. The selective coding attempted categorization with a focus on the cor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that encompasses other categories while experiencing ‘struggling to take root’ was identified as ‘taking shaking root and leading one’s own life.’ The four identified types were the ‘doubtful,’ ‘passive,’ ‘receptive to reality,’ and ‘proactive.’ In conclusion, ‘taking shaking root and leading one’s own life’ experienced by the subjects was to overcome the pains of marriage, getting separated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finding the stability of marriage to maintain their own marriage freely and independently. The subjects struggled to find the stability of their shaking and burdensome marriage with their strong willingness to make a happy family, and successfully took root with their own personal willingness, supports from their families and other people, and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the process of marital maintenance of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s ‘struggling to take root’despite any pains to ‘take shaking root and lead one’s own life.’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discovering the experience of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in their own marital maintenance and the interactions in which they ‘take their shaking root and lead their own life.’ This study also offered differentiated information to apply to various program development and individual counselling using such process experiences and types and discussed future research projects. Keywords: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married life, overcoming process, approach to grounded theories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이 결혼생활의 어려움 속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요인과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결혼생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2월부터 2018년 8월까지였으며, 참여자는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여성 12명이었다. 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후 1인당 1-3회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심층면담은 1회당 회당 90-120분 정도 소요되었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는 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하여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개방 코딩을 통하여 102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축 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선택 코딩에서는 각각의 범주들의 연관성을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결혼유지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버거운 결혼생활’, ‘이혼에 대한 양가감정’과 ‘좋은 가정을 이루고 싶은 강한 소망’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결혼 결정 이유가 남다름’, ‘부모이혼의 상처’였고, 중심현상은 ‘뿌리내리려 안간힘을 씀’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삶의 긍정적 태도’,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를 통한 활력’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분노의 폭발’과 ‘이해 폭의 확장’, ‘정서의 변화’, ‘다가가기’였다. 결과는 ‘자신을 조절함’, ‘주도적으로 살기’, ‘마음의 안정’, ‘관계회복’, ‘미래에 대한 설계’로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지속적으로 반복, 비교 분석하여 4단계의 경험과정을 밝혀냈다. 그 과정은 ‘중심잡기 단계’, ‘자리잡기 단계’, ‘뿌리내림 단계’, ‘뻗어가기 단계’이다. 이러한 경험은 순차적으로 오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뿌리내리려 안간힘을 씀’은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개입으로 ‘흔들리는 뿌리를 내리고 주체적 삶을 살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선택 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뿌리를 내리려 안간힘을 씀’을 경험하면서 다른 범주들을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흔들리는 뿌리를 내리고 주체적 삶을 살기’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4가지 유형은 ‘회의형’, ‘수동형’, ‘현실수용형’, ‘적극대처형’이었다.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이 경험한 ‘흔들리는 뿌리를 내리고 주체적 삶을 살기’는 , 원가족과 분리하고 결혼생활의 고통을 이겨내어, 심리적 안정감을 찾아 자유롭고 자주적으로 결혼을 유지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버거운 결혼생활을 견디며, 좋은 가정을 이루고 싶은 강한 소망으로 결혼생활의 안정감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썼으며, 참여자 개인의 의지와 가족 및 주변의 지지, 사회참여를 통한 활력 등의 도움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결혼생활의 어려움 극복과정이란 ‘흔들리는 뿌리를 내리고 주체적 삶을 살기’를 위해서 어떤 고통 속에서도‘뿌리내리려 안간힘을 씀’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이 결혼생활에서 무엇을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상호작용으로 ‘흔들리는 뿌리를 내리고 주체적 삶을 살기’를 하는지를 발견하고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이 결혼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후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들이 좀 더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상담 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부모이혼을 경험한 여성, 결혼생활, 극복과정, 근거이론 접근

      • 리포좀을 형판으로 한 TiO2 나노 디스크의 합성 : 광학적 특성과 광촉매 활성에 관한 연구

        서미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New spherical nanostructures of titania have been synthesized through formation of liposome-TiO2 nanocomposites by using egg-lecithin lipid as a template, and their optical properties have been investigated with regard to dynamics of surface charge-carriers and photocatalytic activities by using UV-VIS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ic techniques.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XRD, TEM and AFM, the spherical titania nanostructures are identified to be anatase crystalline nanodisks with the average diameter of 9 nm and height of 0.5 nm. The nanodisks have a large BET specific surface area 0f 227 m2/g. The FT-IR and X-ray photoemission spectra of the nanodiscs confirm that skeleton structure of the titania nanodisk is formed through H-bonding of -Ti-O-Ti- network through tetrahedral coordinated vacancies designated 4Ti4+-OH. Analysis of the UV-VIS and PL spectra release that the band-gap energy is red-shifted to 3.02 eV from the that of TiO2 nanoparticle dots and its transition nature is exclusively indirect. The photoluminescence (PL) emission spectrum of the titania nanodisks exhibit a strong structural emission band around 420 nm with shoulders around 470nm and 550nm, which is attributed to the transition from three different exciton-trapped surface states. In addition, another surface emission originated from the coordinatively unsaturated ions (Ti3+) is observed at 618 n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pling of the surface charge-carriers with the lattice phonon of the nanostructures is so strong that the dominant route to charge recombination in titania nanodisks is nonradiative. Supporting the steady-state spectral observations, the decay profiles of the surface emission measured by using fs-laser time-resolved PL system fit into tri-exponential function with relatively longer lifetimes (20~30 ps, 1.1~1.5 ns and 4.5~6.0 ns) as compared to those of simple nanoparticle dots, indicating that recombinationof the charge carriers on the nanodisk surface is much prolonged. Being consistent with this, the photocatalytic efficiency for the reduction of methyl orange is much higher in the presence of the titania nanodisks than that observed in the presence of Degussa P-25.

      • 김대중 정부 경제개혁 정책의 이념적 성향분석 : 기업구조조정 정책을 중심으로

        서미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ecific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reform policies enacted by Kim Dea Jungs government, and to determine if the policies are in accord with the Republic of Koreas Constitution and current economic ideology. This study will also incorporate an Economic Ideology Frame of reference, which will be analyzed and used to determine if the core contents, probable consequences, and the pervasive impact of Kim Dea Jungs economic reform policy would remain consistent with the governments objective to stimulate a market econom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while pursuing the Constitutions economic ideology. This study will begin in Chapter 2 with a mutu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various economic philosophies to identify the fundamental differences and breakpoint in ideology. Chapter 3 will utilize the previous discussion to develop an Economic Ideology Frame of reference. Chapter 4, will use the Economic Ideology Frame of reference to determine if the economic reform policies enacted by Kim Dea Jung s government consistently adheres to the economic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set forth by the Republic of Korea. Chapter 5, will identify, and analyze different examples, which will examine the ideological tendency of corporate structural adjustments proposed and implemented by present government.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itutions economic ideology, the economic ideology of Kim Dea Jungs government, and the corporate structural adjustment policies enac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are briefly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After closely examining the Constitutions economic ideology and Kim Dea Jungs economic ideology, we are able to identify a strong relationship with Order-Liberalism in the government sector. However, there are apparent inconsistencies with the corporate structural adjustment policy enacted by South Koreas government. The ideological tendency of Kim Dea Jungs corporate adjustment policie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government intervention aspects of social democracy. As a result, Kim Dea Jungs government initially demonstrates market self-control, however, it eventually implements government policies, which are more consistent with market intervention and not the free market reforms initially intended to revitalize the South Korean economy. In order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and reform in South Korea, it is imperative that the government practices a policy that is consistent with its ideology. It is also imperative that the government is patient in its excessive desire to generate reform and stimulate development. The inability of Kim Dea Jungs government to maintain a consistent economic ideology in its policy making has hindered its ability to reduce policy failure and confusion in the face of dramatically diverging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본 연구는 김대중 정부 출범이후 시행된 주요 경제개혁정책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즉 이념적 좌표를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러한 경제정책의 이념적 성향이 우리나라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경제이념에 부합하는 지, 또한 나아가 현(現) 정부의 경제이념과도 그 일관성을 유지하는 지를 밝혀보고자 수행되었다. 즉 현(現) 정부가 추진한 많은 경제정책들 중 경제개혁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의 핵심적 내용과 개연적 결과, 정책적 파급효과 등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경제이념적 유형틀에 맞추어 분석함으로써, 과연 그러한 정책들이 실제로 시장경제중심주의와 민주주의의 병행발전이라는 국정목표에 충실하고 또한 적합한 정책이었는지, 또 우리 헌법의 경제이념을 정책적으로 구현하는 데에도 적절한 정책이었는지를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체제는 다음과 같다. 2장 이데올로기 유형에서 다양한 경제철학적 이데올로기들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개별 이데올로기간의 주요 차이점과 사상적 분기점을 규명하였다. 또한 3장에서는 앞장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될 분석의 틀을 정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4장에서 우리나라 헌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경제분야 이데올로기를 분석한 후, 김대중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경제이데올로기의 사상적 좌표점을 설정하는 작업을 차례로 수행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 이은 정책사례분석 연구를 연장하여 김대중 정부 하에서 이루어진 경제개혁정책 중 기업구조조정 정책이 지니는 이데올로기적 성향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우리나라 헌법이 지향하는 경제이념과 김대중 정부의 경제이념, 그리고 현(現) 정부 하에서 시행된 기업구조조정정책에서 드러나는 경제이념 간의 상호 교차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 헌법이 구현하고 있는 경제이념과 현(現)정부의 경제이념을 그 분석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이념적 분석틀에 맞춰 분석해 본 결과, 이들은 가치부문과 시장부문, 그리고 정부부문에서 동이 질서자유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기업구조조정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김대중 정부 하에서 시행된 경제정책이 지니는 이념적 성향은 사회민주주의적 혹은 국가개입주의적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 정부는 집권초기부터 시장을 중심으로 한 자율경쟁체제의 지지를 표명해 왔으나 실제 경제정책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분히 시장개입적인 사회민주주의적 태도를 지양치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김대중 정부의 경제이념과 우리나라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경제철학이 동이 자유주의적 시장체제를 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정책수행과정에 있어 초래된 정부의 과잉의욕이 불러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정부는 시장을 통한 경제개혁이 정부의 의지대로 조속히 시행되지 못하자 과거처럼 정부가 시장에 주도적으로 개입하여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민주주의적 국가관의 유혹을 떨쳐버리지 못했던 것이다. 결국 현(現) 정부는 그들 스스로 표명했던 경제이념은 물론 그들이 지향해 왔던 경제이념과도 배치되는 정책을 폄으로써, 경제정책 수행에 있어 이념적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이념상의 편의적 선택을 함으로써 경제정책 수행상의 혼선과 잡음을 초래하고 말았다. 즉 정부 스스로 확고한 경제이념적 철학을 확립하지 못함으로써 상황논리에 휘둘리고 나아가서는 지나친 과욕(過慾)과 과신(過信)적 정책행태를 보임으로써 스스로 정책실패의 길을 자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