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校 學年部長敎師의 役割期待에 관한 硏究

        서명옥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expected role of chief grade teachers and real pictures of the chief grade teachers. This study will addres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ly, it will identify the role of chief grade teachers through the documentations and books. Secondly, it will factor in personal background and their position in schools (gender, their hierarchy, work experience and the size of schools. Thirdly, how is the performance of chief grade teacher being evaluated with the above-mentioned aspects factored i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search on documents and regulations and went on to the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preliminary research. The polled survey helped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expected roles for chief grade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and used Chi-square (x^2) methodology to identify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tested groups. This research sued ANOVA to measure the level of actual recognition on the role of chief grade teachers. Following the above-mentioned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came to these conclusions. Firstly, teachers point out the liaison role between principals and non-management teachers. In greater detail, the focus was on the communicative ability of the chief grade teachers. Secondly,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responded that chief grade teachers' role as a advisor takes on the greatest importance. Thirdly, chief grade teachers performed the administration tasks most faithfully with emphasis on the administration work particular to the grade they are in charge of. Fourthly, The different school settings contributed to forming a different expectation for chief grade teachers. However, in larger schools, chief grade teachers become the backbone to the management of school and take on the heavy responsibility.

      • 체육활동에 의한 자아 존중감 효과를 중심으로 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적 임팩트 연구 : 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적 임팩트 연구

        서명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체육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 존중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역아동센터 연합회에 속한 지역아동센터인 775개의 기관 중 아동의 자아 존중감 효과를 위해 체육활동을 진행한 20개의 기관을 실험집단으로 하였으며 그 중 체육활동 참여 아동 10명을 실험대상 아동으로 주2회 100분씩 총 30회 로 진행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로젠버그의 자아 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수기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자아 존중감 효과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의 자아 존중감이 체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보다 교사들과의 친밀감과 신체적 발달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체육활동에 참여한 아동은 참여하지 않은 아동보다 대인관계성 발달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자아 존중감 효과 체육활동에 참여 한 아동은 참여 하지 않는 아동에 비해 자기 주도적 생활태도가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결론적으로 체육활동에 의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이 자아존중감을 갖게 하는데 효과성을 사회적 임팩트로 연구하여 나타내었다. “즉”교사들과의 라포 형성과 신체적 발달, 대인 관계성 등 자기주도적인 생활태도 등이 자아 존중감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기여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인 체육활동 사업은 자아 존중감 향상을 위해 자신을 탐색하고 상대의 감정을 수용하게 되며, 또래와의 대화를 통해 대인관계의 기술을 습득하고, 신체적 발달과 자기 주도적 생활태도를 통해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하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의 실태 및 서비스욕구에 관한 연구

        서명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경상북도지역의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의 실태 및 서비스욕구에 관한 연구로 지역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북도지역에 소재하는 9개 장애인종합복지관(안동, 영주, 문경, 상주, 김천, 구미, 포항, 영천, 경주)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보호자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행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북도지역은 사회복지기관과 시설의 부족으로 장애아동의 양육과 교육에 어려운 실정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은 낮은 수혜율을 보이고 있으며 만족도 또한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경상북도지역의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욕구는 5점 척도에서 경제지원서비스가 평균4점 이상의 가장 높은 욕구를 나타내었으며, 지역사회지원서비스, 의료지원서비스, 가족관계지원서비스, 교육지원서비스 순으로 평균 4점에 가까운 높은 욕구를 나타났다. 넷째, 보호자와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가족지원서비스 욕구는 30대에서 40대 사이의 보호자가 어머니일때,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이 무직 및 주부일때,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연령이 어릴수록, 장애진단을 받은 경우, 정신지체 장애아일때,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지원서비스의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경상북도의 지역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원서비스 욕구는 지역 내 치료 및 교육기관의 이용 가능성이 낮을수록, 지역사회재활시설이 필요할수록, 각종치료프로그램이 필요할수록 지원서비스의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아동가구의 경우 장애아동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므로 소득보장을 위한 각종 경제적 지원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의 확충이 필요하다. 장애아동의 경우 조기의 치료와 재활훈련을 통한 상당부분 장애상태가 호전될 수 있지만,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더욱 각종 재활치료서비스를 받기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지역 내의 시설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경상북도의 지역적인 특성과 장애로 인하여 교육을 받을 기회가 부족하므로 교육의 평등성 보장받을 수 있도록 재택교육, 순회교육의 지원과 특수교육의 전달체계와 지원체제의 개혁 방안 연구 및 학생중심의 교재, 교구의 개발보급으로 실천지향적인 학술 홍보 활동의 추진을 통해 장애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아동을 위한 재가 복지서비스의 확충이 필요하다. 주. 단기보호서비스, 장애인 활동지원 사업,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 (재활치료사업, 언어발달지원사업, 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돌봄서비스, 휴식지원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지역별로 균형 있게 확충되어야 하고 사업내용과 특성 등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각종프로그램의 확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을 위한 방과 후나 방학 중 프로그램, 취미․ 문화․ 여가활동프로그램이나, 가족교육(부모, 비 장애 형제교육, 가족관계개선 등) 프로그램개발의 확대가 필요하다. 여섯째,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관련법규 및 제도를 제정하거나 개정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장애아동 가족지원 관련법규들을 보완, 정리하거나 장애아동가족지원법을 제정하고 장애아동 가족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장애아동 가족의 욕구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the actuality of the support project of Gyeongsangbuk-do region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 and their service needs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to be helpful for the welfare promotion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To achieve this, 205 caregivers of the disabled children using those 9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Andong, Yeongju, Mungyeong, Sangju, Kimcheon, Gumi, Pohang, Yeongchun, Gyeongju) in Gyeongsangbuk-do were chosen as the subjects for a survey which required the whole family members rather than just one caregiver. Below are the condensed results. First, Gyeongsangbuk-do turned out lac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so that its(Gyeongsangbuk-do) support level for rearing and educa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were unsatisfactory. Second, its benefit rates for the support project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is low and and unsatisfying. Third, the need for financial support service was over 4 points on the average on a 5- point scale among the needs for the support service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followed by in order of local social support service, medical support service, family relations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 support service all of which were close to average 4-points, quite a high needs. The needs of family support service according to the caregivers and disabled children's' characteristics turned out higher in case the caregivers were the mothers in their 30s-40s, higher in academic background, jobless or housewives, higher in monthly income, the younger their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disabilities, their children were mentally retarded, the severe the disabilities level were. Fifth, needs of family support service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buk-do turned out higher in case of the lower for the chance to medical treatment or educational institution within the region, the more the region was in need of rehabilitation center, the more various therapy programs were required. Following are proposals for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households with disabled children increase by the disabled children, diverse financial support policies to secure their income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rehabilitation therapy project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s to be expanded. Early medical treatment or rehabilitation training could be the factors to increase the condition of the disables children, and yet the regional state which is financial difficulties makes them unable to take various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s, and so a plan to connect the service to the facilities with the region must be reviewed. Third, as the disabled children have less chances to educate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buk-do and their disabilities, a measurement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e disabled children is necessary by promoting practice-driven academic public relations in the manner of supporting home schooling, itinerant education, study on reform plans for special education 야delivery system and support system & development and supply of student-centered teaching materials, instruments for the disabled children to secure the equity in education. Fourth, domiciliary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children must be expanded. Lots of services such as day, short term care service, disabled people activity support project, support project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rehabilitation therapy project, linguistic development support project, rearing support project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care service, relaxation support program)must be enlarged in equilibrium, along with active PR for the project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Fifth, many sorts of program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must be developed. Programs of after school or during holiday, of hobbies, cultures, leisure activity, of education aimed their families(parents, non-disabled siblings, or for the betterment of family relations, etc)need to be enlarged. Sixth, the welfare service support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requires those following matters to be achieved such as enactment or reform of related regulations & system by securing necessary budget, and a long-term supplementation or arrangement of the support regulations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establishment of the law for the supporting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and then installation of support centers for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aiming to meet the needs of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 투사적 심리검사자료를 활용한 초보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사례개념화 비교 연구

        서명옥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se conceptualizations of beginning and experienced counselors through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xtent their case conceptualiza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actual information of the client in case. To this end, 10 beginning and 10 experienced counselors were recrui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from private and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such as the college student counseling centers, Adolescent Counseling Centers in the Busan city and Gyeongnam privince. These two groups of subject were presented with various data of an anonymous client, such as her personal and family information, and her test results of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s like Kinetic Family Drawing, Thematic Apperception Test, and Sentence Completion Test. Subjects are supposed to write down their case formulations on a sheet after 20~30 minutes of personal analysis of the case. These case conceptualizations were coded and rated by 3 raters including the researcher on the rating guidlines by Kim(2001) and Lee(2001). Besides, the case conceptualizations were rated by the client concerning how much their contents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lient. The above mentioned two rating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d counselors included more elements in their case conceptualization than the beginners. Second, the experienced counselors had a broader understanding of clients' current problems and symptoms an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factors of the client, than the beginners. Third, the client rated the experienced counselors as excelling the beginners in that the case formulations of the experienced helped her explore more into unknown parts of her personality and represented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er real personality.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 data help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in the field and build a credible relationship with clients. In addition, appropriate education and training for beginning counselors would be needed concerning basic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s and case formulation through the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test data. 본 연구의 목적은 투사적 심리검사 자료를 활용한 사례개념화에 있어서 초보상담자와 경력상담자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집단의 사례개념화 내용이 내담자의 사실적 정보에 합치하는 정도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현재 부산과 경남지역 대학상담기관, 청소년 상담기관, 사설 상담기관 등에서 심리 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초보상담자와 경력상담자를 눈덩이 표집의 방식으로 각각 10명씩 선정하였다. 이 두 집단에 익명의 한 여성 내담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과 이 내담자가 작성한 동적가족화, 주제통각검사, 문장완성검사 등 세 가지 투사적 심리검사의 원자료들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내담자의 검사 자료들을 20~30분 가량 분석한 후 사례개념화 작성 양식지에 자신이 세운 사례개념화 내용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사례개념화의 내용은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의 평정팀에 의해서 이윤주(2001)의 사례개념화 요소목록표, 김은혜(2001)의 평정매뉴얼과 평정지침서에 의거하여 두 차례 평정되었다. 또한 초보상담자 및 경력상담자 집단이 작성한 사례개념화의 내용은 이것이 내담자의 사실적 정보와 얼마나 합치되는지에 관하여 내담자에게 평정되었다. 위의 두 평정치 자료들은 Mann-Whitney 검정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상담자는 초보상담자에 비해 그들의 사례개념화에 더 많은 요소들을 포함시키고 있었다. 둘째, 경력상담자는 초보상담자에 비해 내담자의 현재 문제 및 증상에 대한 더 폭넓은 이해와 내담자의 개인적 요인과 대인관계 특성을 잘 파악하여 더욱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담자는 초보상담자보다는 경력상담자의 사례개념화 내용에서 자신이 미처 깨닫지 못 했던 부분을 더 많이 탐색할 수 있었고, 경력상담자가 자신을 좀 더 종합적으로 파악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상담현장에서 상담자가 상담초기에 사례개념화를 시행할 때 투사적 심리검사의 결과자료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상담의 효과성을 높이고 내담자로부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상담자 교육에서 개별 투사적 심리검사에 대한 교육과 훈련 및 이 검사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요약하여 사례개념화하는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한 자녀 이상의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서명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자녀 이상의 지적장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삶의 질을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과제로는 첫째, 한 자녀 이상의 지적장애아 자녀를 둔 어머니는 어떻게 자녀를 양육하며, 그들의 삶에 있어서 지적장애아 자녀의 존재는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 둘째, 자녀를 낳기 전과 자녀를 낳아 키우면서 어머니의 삶은 어떻게 변화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은 어떠할까? 마지막으로 자녀로 인한 스트레스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스트레스를 어떠한 방법으로 해소하고 있는가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 목적 및 과제를 통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 자녀 이상의 지적장애아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경험 및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유용한 식견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는 Strauss &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방법은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가 실제로 경험하는 삶의 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실재를 기반으로 하여 귀납적으로 개념과 이론을 추출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참여자는 지적장애 진단을 받고 지적장애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로서 한 자녀의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와, 비장애자녀와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 그리고 두 명의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로, 총 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가 이론적 포화에 이를 때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의 면접자료는 참여자와 인터뷰를 하는 현장에서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면접 후 바로 상세하게 다시 컴퓨터기록을 하여 각 사례별 기록모음을 만들고 컴퓨터 파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시작하여, 분석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지속적인 비교, 통합, 수정, 재해석을 반복하였다. 자료분석은 참여자의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개방코딩에서는 개념, 하위범주, 범주를 도출하고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다. 선택 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파악하고 이야기윤곽을 기술하였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한 후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상황모형을 통해 연구와 관련된 광범위한 상황을 고려해 보고 자료를 통한 연구의 전 과정과 결과를 통합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19개의 범주와 32개의 하위범주, 9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서 인과적 상황은 장애발현이었고, 현상은 절망감, 죄의식, 마음의 병, 신체의 병이었으며,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결혼생활의 갈등, 좌절감,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 또는 맥락적 조건 속에서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재적 조건은 지지체계, 적극적인 양육경험, 신앙심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존재감, 가족의 인식변화, 스트레스 해소, 잠재적 불안감이었고 결과는 성인기 삶 대비로 나타났다. 또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가설적 관계진술문을 근거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해 보면서, 참여자의 실제경험과 일치하는 관계진술을 바탕으로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에 대해 확인한 결과 4개의 가설이 도출되었다. <1> 결혼생활의 갈등이 있고, 좌절감이 크며, 양육스트레스가 많으며, 지지체계가 넓고, 적극적인 양육경험이 있으며 신앙심이 강한 경우의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적극적인 양육경험과 삶의 질 변화’는 존재감, 가족의 인식변화, 스트레스 해소, 잠재적 불안감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 <2> 결혼생활의 갈등이 있고, 좌절감이 크며, 양육스트레스가 적으며, 지지체계가 넓고, 적극적인 양육경험이 있으며 신앙심이 약한 경우의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적극적인 양육경험과 삶의 질 변화’는 존재감, 가족의 인식변화, 스트레스 해소, 잠재적 불안감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삶의 질은 향상된다. <3> 결혼생활의 갈등이 있고, 좌절감이 크며, 양육스트레스가 많으며, 지지체계가 좁고, 적극적인 양육경험이 있으며 신앙심이 강한 경우의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적극적인 양육경험과 삶의 질 변화’는 존재감, 가족의 인식변화, 스트레스 해소, 잠재적 불안감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삶의 질은 향상된다. <4> 결혼생활의 갈등이 없고, 좌절감이 크며, 양육스트레스가 많으며, 지지체계가 넓고, 적극적인 양육경험이 있으며 신앙심이 강한 경우의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적극적인 양육경험과 삶의 질 변화’는 존재감, 가족의 인식변화, 스트레스 해소, 잠재적 불안감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적장애자녀를 수용한 어머니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과 그에 따른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소득보장정책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장애인 가족에게는 주택마련에 인센티브를 주는 것과 각종 세금의 감면 내지 면제와 같은 간접적 소득지원제도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시설 입소시 많은 금액을 납부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가까이에서 믿고 맡길 수 있는 복지시설의 질적 향상 및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부모 사후 장애자녀만 남았을 경우, 장애인의 재산관리에 대하여 국가에서 제도적인 시스템을 구축, 효율적으로 운영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희귀한 질환으로 장애인이 된 자녀에 대하여 조기발견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관련 정보를 상세하게 제시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먼저 소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임으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며 여기에 소개된 표본은 연구자의 의도에 따른 표본이므로 대표성을 갖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모두 가정적으로 양육하는 부담과 스트레스는 가지고 있어도 장애자녀를 중심으로 가정생활을 잘 영위하고 있으며, 장애자녀에 대한 사랑과 정성이 지극하였다. 따라서 장애자녀를 끝까지 거부하거나 방치하는 연구 참여자의 사례는 접하지 못함으로써 연구 비교대상을 확보하는데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with one or more 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tasks selected in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mothers with one or more mentally disabled child(ren) raised him or her(them), how their lives were affected by mentally disabled child(ren), what changes there were in their lives before and after having the disabled child(ren), what future plans they had, what sorts of stress their child(ren) gave them and how they got rid of the stress. This study was ultimately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ve information on th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with one or more disabled child (ren) and their stress coping, to suggest feasibl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ppropriate for them and to bolster their quality of life. Strauss & Corbin(1990)'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had been adopted since that 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was to have a profound and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with mentally disabled children to set up relevant concepts and theories in an inductive mann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ability and attended special school with mental disability. Out of them, some had a mentally disabled child, and some had a nondisabled child and a mentally disabled child. The others had two mentally disabled children. Data was gathered by having an in-depth interview and making a participant observation until the collected data were more than enough. The interview with the mothers was recorded with their consent, and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classified by case by using the computer, and computer files were prepared for each case. Each data was analyzed immediately after it was gathered, and the data was repeatedly compared, incorporated, modified and reinterpreted. The focus of analysis was placed on the interview materials. Open coding was used to select concept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and axial coding was employed to make a categorical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paradigm. Selective coding was utilized to grasp the key category and offer an overview of their experiences, and the relevance of the selected categorie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key category. And then the types of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 situational model was used to get a big picture of the contexts of their experiences, and an integrative analysis was made. There appeared 19 categories, 32 subcategories and 96 concepts in this study. The causal situation for the maternal experience of the mothers with 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the discovery of disability. Their experiential phenomena were despair, guilt, mental disease and physical illnes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 phenomena were conjugal conflicts, frustration and maternal stress. Backing system, activ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faith were interventions that facilitated or curbed their reality-coping strategies in such situations or context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used by them were seeking a reason for being, changing the mind-set of families, stress easing and potential anxiety. And the results of the strategies was that they made a preparation for their children's adulthood life.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is study about their possible relationship were compared to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what sorts of relationship was repeatedly experienced by the mothers. As a result, four hypotheses were selected: 1. Some of the mothers were characterized by conjugal conflicts, serious frustration, heavy maternal stress, extensive backing system, activ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strong faith. To bring a change to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those mothers who accepted 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re should be interaction among seeking a reason for being, changing the mind-set of families, stress easing and potential anxiety. 2. Some of the mothers were characterized by conjugal conflicts, serious frustration, light maternal stress, extensive support system, activ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weak faith. To bring a change to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maternal experiences of those mothers who accepted 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re should be interaction among seeking reason for being, changing the mind-set of families, stress removing and potential anxiety. 3. Some of the mothers were characterized by conjugal conflicts, serious frustration, heavy maternal stress, small backing system, activ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strong faith. To chang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maternal experience of the mothers who accepted 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re should be interaction among seeking a reason for being, changing the mind-set of families, stress easing and potential anxiety. 4. Some of the mothers didn't face any conjugal conflicts but were characterized by serious frustration, heavy maternal stress, extensive backing system, activ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strong faith. To bring a change to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maternal experience of the mothers who accepted 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re should be interaction among seeking a reason for being, changing the mind-set of families, stress removing and potential anxiety.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social welfare sector: First, more down-to-earth income distribution policies should be formulated in favor of the disabled. Second,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to families with disabled people in terms of housing, and indirect income distribution systems should be enlarged by reducing or exempting all sorts of taxes imposed on the families. Third, there should be quality and trustworthy welfare facilities in every part of the nation from which disable people could benefit without paying much.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take measures to help improve the property management of disabled people whose parents have passed away. Fifth, children who had made a normal growth at first but suddenly became disabled due to any particular disease should be detected and treated as early as possible. To make it happen, require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Just a small number of people was examined, and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just based on this researcher's own purpose and didn't represent the groups they belonged to. All the subjects were under pressure due to child rearing, but they led a normal life and took care of the disabled children with love and devotedly. None of them rejected disabled children or let them alone, which didn't make it possible to make a comparison of mothers who took a different maternal attitude.

      • 국어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방안 연구

        서명옥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남북 분단의 역사를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는 것이 역사의 필연이라 믿으며, 통일을 앞당기고 새로운 통일국가를 세우는 일에 국어교육이 어떤 몫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올해로 남북은 분단 60년을 맞았는데 이념과 사회체제 차이로 인한 문화적, 정서적 이질감이 심각하다. 한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통일이 되어야 한다고 당위성을 앞세우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가져올 수 도 있다. 따라서, 정치, 경제, 문화, 예술,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서로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면서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 통일을 이룰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통일을 앞당기는데 일조하는 것, 이것이 통일교육의 목표인데 국어교육 역시 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국어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통일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본다. 분단된 이후 통일교육은 내용의 변화를 보이며 계속되어 왔다. 과거의 통일교육 내용은 상호 이념 대립으로 인해 반공교육, 안보교육 역할이 강했다. 그러나 현행 통일교육은 민족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통일의지를 고취하는 교육, 통일문제에 대한 판단 능력을 배양하고 상대방 체제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교육, 민족공동체 속에서의 삶 준비, 통일국가 국민으로서 자질함양이라는 과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통일교육을 위해 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제시하기 위해 남북한 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비교해 본다. 이것을 근거로 현 국어교육의 내용과 목표가 어떤 지향점을 두어야 하는지 제안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안한 내용을 근거로 국어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단원별로 통일교육 내용에 접목시켜보았다. 그리고 학교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통일교육 교수법을 조사하였고 고등학교 국어교육에서 통일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는 점을 보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국어교육을 통한 통일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첫째로 통일교육을 전교과로 확대하되 특별히 국어교과를 통일교육의 주 교과로 설정할 것, 둘째로 국어교과 학습목표에 통일교육 내용을 설정할 것, 마지막으로 교사들에게 통일교육에 관한 재교육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basically understands that going beyon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n and achieving to reunify them is Korean people's great task and the necessity of history. For this, it aims to study what role Korean language study should do. It has already passed 60 years since the division, which widened the cultural and emotional disparity between the two, along with their difference on ideology and social systems. Therefore, to achieve the nation's reunification, getting over the discrepancy which is seen in every areas including that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arts, a long-term plan and preparation work are needed. It is obvious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on reunification is to prepare reunification itself and its future and so doe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 II, the study deals with changes of reunification education to propose a plan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Reunification education has changed since the division. In the pas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cused more on anti-communism and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because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of the two Koreas. But the current education for the reunification more concerns about the cultivation of the sense of national homogeneity, will for the reunification, conscious ability to deal with problems of the reunification, object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and Korean people's quality as the people living in a reunified state. Part III tries to compare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e North and South Kor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arefully suggest a possible gold of the education. In part IV, the study shows that each unit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book is applied to the content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propose reunification education plan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shows activation plan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teaching methods for the education and as a result it stresses the important role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high school. In the part V as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ree proposals to activate re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reunification education is needed to be expanded to all subjects. Second, reunification education is to be stated clearly in the purpose of study o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lastly, the study suggests teachers to reeducate reunification education fo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