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래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동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과 음악 활동 안에서 표현된 내용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상자 선정은 서울시에 소재한 D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에서 발병 2년 이내인 60세 이상 75세 미만의 환자 6명을 대상으로 그룹 음악치료를 시행하였다. 시행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매 회기마다 약 50분간 총 14회기가 시행 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가 직접 노래를 부르고 가사와 연주를 완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첫 번째,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대상자의 재활동기척도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의 시행에 있어 사전, 사후 재활동기척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 대상자의 언어표현 내용을 분석한 결과 14회기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재활동기와 관련된 대상자들의 긍정적인 언어표현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세 번째, 음악치료 활동 안에서 보여지는 대상자들의 음악활동 모습은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변화되었고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대상자들의 노래 부르는 모습과 목소리의 크기, 자세, 악기 연주하기 등의 음악활동 모습 또한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직접 만든 노래가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감정들이 반영되었으며, 재활에 대한 의지가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자들은 노래를 부르고 연주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타인에게 표현하고 장애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며, 성공적인 과제 수행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자존감의 향상은 물론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Inclusion criteria of participants was 1) less than 2 years of first-time stroke attack, 2) the age range between 60 and 75, and 3) the completion of consent forms. A total of six participants was selected at D hospital in Seoul. The 50-minut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weekly for 7 weeks. Throughout the sessions, spontaneous participation was encouraged by the research and participants' verbal and mus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ach session was completed. Patient Questionnai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PAREMO) and audio recordings of sessions were used.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of PAREMO. Analysis of audio data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positive verbal expression and emotional affects were increased demonstrated by active involvement in playing instruments or improved voice projection during singing. In addition, it seemed that participants' positive internal changes were reflected in words completed by participants. Overa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mood induction was yielded after the completion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nd singing and song-writing incorporated with instrument playing may facilitate stroke patients' pos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al ch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 역형성 뇌수막종 : 임상적 특징, 예후 인자 및 생존 결과에 대한 분석

        서동옥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Purpose Anaplastic meningioma is very rare and is generally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However, due to its rarit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ognosis and prognostic factors is not clear. We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outcomes of patients with anaplastic meningioma. Moreover, we analyzed on the progression pattern and the response to treatment about anaplastic meningioma.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48 patients with diagnosi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rade 3 meningioma was performed. According to diagnosis type, primary anaplastic meningioma was included in 28 cases and secondary anaplastic meningioma in 20 cases. Gross tot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36 patients (75%) and 32 patients (66.7%) received adjuvant radiotherapy after tumor resection with confirmed WHO grade 3 meningioma. Kaplan-Meier survival curve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ing were used for outcome analysis. Results Adjuvant radiotherapy was a robust prognostic factor for PFS and OS. Stereotactic radiosurgery confirmed the result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local recurrence of tumors in the case of small size and higher radiation dose. In previous study, chemotherapy was known to have limit effect for anaplastic meningioma. There were patients who showed a partial effects. Conclusion Adjuvant radiotherapy is an essential treatment arm in patients with anaplastic meningiomas. Stereotactic radiosurgery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salvage treatment. But chemotherapy seems to have limited efficacy. Because of the disseminated nature of the disease, further investigations to improve survival outcome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