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주노동자소설의 공간 연구

        사승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criptive meaning of space through a mechanism that creates others in space and anxiety and countermeasure aspects of migrant workers by integrating a perspective of space being an important background of becoming others and fixing focus on others attention.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d consciousness of authors that gets revealed in space setting and narration. Narrative space analysis was conducted at a double layer of space of thematic layer and space of narrative function layer. Characteristics of work space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II, residential space in Chapter III, and private space in Chapter IV. To be specific, a mechanism of Koreans creating others that appeared in individual work and pain that migrant workers go through as others were investigated in paragraph 1‧2‧3 of Chapter Ⅱ‧Ⅲ‧Ⅳ through experience, breathing, and maternal spa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consciousness of authors that appeared in individual works. Also, in paragraph 4 of Chapter Ⅱ‧Ⅲ‧Ⅳ, this study examined responses for anxiety and otherness that migrant workers experience in three works of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mechanism of Koreans creating others and aspects of anxiety of others in Chapter Ⅱ‧Ⅲ‧Ⅳ, Koreans treated labor of men as expendables because they are easy to replace and took women’s body as hostage by considering female sexuality as a target of sexual desire. Therefore, migrant workers show ethical anxiety of longing for living like a human being and economic worries of doing anything they could for living than physical anxiety or sexual objet. In residential area, Koreans treated them as others through alienation and contempt, and as a result, foreigners show uneasiness about physical injury, forced deportation and returning home. In private space, Koreans show ambivalent attitude as hospitality and alienation, and consideration and selfishness. Therefore, migrant women express anxiety caused by sexual hunger, anxiety about freedom of not making them to do anything, and anxiety of infert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ow the otherized space influences attitude of migrant workers, migrant workers of work space do not refuse conflict with Koreans and show resistant attitude. For that, they make firm spatial relocation, but it is hard for them to free themselves from the bondage of otherness even though they endure any cost by becoming illegal alien, murder, and getting their money robbed. Strangers of residential area disregard a situation of becoming otherized by focusing on inner conflicts or conflict between colleagues. They do not move space but make a habit of doing eccentric behavior as stealing, bleaching hair, and burying severed finger. Whereas migrant women of private space accept family order and do not reveal their presence externally, they long for identification internally and are searching for ways to adjust in their own way to live in Korea by supplementing deficient love outside their family. Otherness mechanism of Koreans is in line with coping patterns of migrant workers by space by resisting to physical oppression in work space, dealing emotional disregard with emotional silence in residential space, and dealing private alienation between married couple with privat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private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consciousness of authors appeared in space setting and narration, authors suggested seriousness of a problem of Korean society making migrant workers into others. However, the writer himself unconsciously perceived migrant workers as others or revealed a perspective that cause for otherness is in attitude and selection of migrant workers, conflicts between them, and failure to adapt to Korean society. Authors who recognized problems of otherness and wrote novel were negligent in approaching migrant workers and paying attention to their voices. Migrant workers novels revealed exclusion, a sense of class, and duplicity that Korean society was hiding, and clearly showed precarious life of migrant workers who are living with topophilia for homeland and topophobia for Korea in both hands. Unless awareness of Koreans change and admit that migrant workers are equal human beings as themselves who need to coexist with them,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migrant workers cannot be restored and there will be no choice for them but to be aliens forever. 이주노동자소설은 2000년대 들어 아시아의 일부 가난한 나라에서 유입된 이주노동자를 내국인에 의해 억압당하고 소외되는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다. 이주노동자는 경계 해체와 공간 이동을 통해 한국에 왔으며, 낯선 공간에 배치되면서 타자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주노동자소설은 타자에 대해 말하기이다. 낯선 타인으로서의 타자가 아니라, 지배욕망의 대상, 동일화를 강요당하는 상대, 열등한 존재로서의 타자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주노동자소설에서 공간은 타자화의 중요한 배경이 된다. 이 논문은 타자의 시선에 초점을 맞추어 공간에서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메커니즘과 이주노동자의 불안‧대응 양상을 통해 공간의 서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아울러 공간 설정과 서사에서 드러나는 작가의식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주노동자소설의 개념이 다양하므로 연구 의의에 맞게 2000년대 이후 이주노동자를 모티프로 한 소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중 내국인 작가가 쓰고, 한국 땅을 배경으로 하고, 저개발국에서 가난을 탈피하기 위해 한국에 온 이주노동자가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소설로 연구대상을 한정했다. 한편, 탈북 주민과 중국 출신의 조선족은 내국인과 한 민족이고 같은 언어를 사용하므로 자기방어를 위한 최소한의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중심인물로 한 소설은 배제했다. 서사 공간 분석은 ‘주제적 층위의 공간’과 ‘서사기능적 층위의 공간’의 이중 층위에서 진행했다. 주제적 층위의 공간은 이주노동자의 행동반경을 기반으로 하는 재현 공간으로서 노동 공간, 거주 공간, 사적 공간으로 구분했으며, 서사기능적 층위의 공간은 재현 공간에서 이주노동자의 삶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공간으로 체험 공간, 숨통트기 공간, 모성 공간으로 구분했다. 먼저 주제적 층위의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세 가지 주제적 층위의 공간에서 각각 서사기능적 층위의 공간의 서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Ⅱ장에서는 노동 공간, Ⅲ장에서는 거주 공간, Ⅳ장에서는 사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Ⅱ‧Ⅲ‧Ⅳ장의 각 1‧2‧3절에서는 개별 작품에서 나타나는 내국인이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메커니즘과 이주노동자가 타자로서 겪는 고통을 체험‧숨통트기‧모성 공간을 통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개별 작품에서 나타나는 작가의식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Ⅱ‧Ⅲ‧Ⅳ장의 각 4절에서는 각 범주 공간의 세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주노동자가 겪는 불안과 타자화에 대한 대응방식을 다루었다. 먼저, 내국인이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메커니즘과 이주노동자의 불안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타자화 메커니즘은 타자화의 주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는데, 타자화의 주체가 사장, 공사장 관리자와 같은 권력자의 경우와 타자화의 주체가 배우자인 경우, 그리고 타자화의 주체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연동해 이주노동자의 불안 양상이 나타났다. 다음은, 타자화된 공간이 이주노동자의 태도에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주노동자는 타자화된 공간에서 내국인의 억압이나 소외에 대해 극단적으로 저항하거나, 한국사회의 지배질서를 수용하거나, 그런가하면 자신의 정체성을 견지하기 위해 애를 쓰는 등 세 가지 태도를 나타냈다. 첫째의 경우, 내국인과의 갈등과 충돌을 마다하지 않고 단행한 이주노동자의 저항은 불법체류자, 살인자 신세가 됨으로써 어떠한 희생을 감내해도 타자화의 굴레를 벗어나기 쉽지 않다는 걸 보여주었다. 둘째의 경우, 결혼이주여성들이 가족질서를 수용하고 존재감을 드러내려 하지 않으면서 동일화를 갈망해도 이들의 타자성 극복은 부부간의 상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셋째의 경우, 이주노동자들이 타자화된 상황을 외면하고 있지만, 이들의 외면은 타자화된 공간의 고립화와 강제추방을 초래하고 말아 침묵과 외면도 타자화의 극복방안이 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에서 드러난 작가의식을 몇 가지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했다. 아홉 작품 모두 이주노동자를 타자화시키는 한국사회를 고발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 들어가면 각자 다른 입장을 나타냈다. 이주노동자의 타자성 극복방법을 모색하는가 하면, 이주노동자 스스로 타자성을 극복할 수 없으니 내국인의 태도변화가 꼭 필요하다는 견해를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타자화의 책임을 내국인에게 일방적으로 물을 수 없고 이주노동자에게도 책임의 일단이 있다고 하거나, 이주노동자는 타자의 굴레에서 도저히 헤어나지 못한다는 비관적인 견해도 있었다. 이주노동자소설은 한국사회가 숨기고 있던 배타성, 계층의식, 이중성을 드러냈으며, 고향에 대한 토포필리아와 한국에 대한 토포포비아를 양손에 쥐고 사는 이주노동자의 불안한 삶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내국인의 인식이 바뀌어 이주노동자도 자신과 동등한 인간이며 공존해야할 존재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한 이주노동자의 주체성과

      • Runoff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and Its Influence on Shallow Lake Water Quality

        사승환 Tottori University 2004 해외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돗또리현 (鳥取縣) 동북부에 위치한 코야마호 (湖山池)와 그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강우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영양물질 (특히, 인) 유출특성과 유출된 물질이 호소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입자물질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하였다. 특히 입자성 인의 생물이용가능성(BAP)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코야마호의 1973년부터 2002년까지의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관측기간 동안의 평균 엽록소 a 농도 , 평균 총인 농도, 최대 투명도가 41.3 ㎎/㎥, 64 ㎍/ℓ, 3.5 m를 나타내어 부영양호와 과부영양호 사이의 수질 특성을 보였다. 질소/인 비와 수질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질소보다는 인이 제한영양염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수질 항목간의 상관관계와 모델을 이용한 모의 결과 부유물질과 인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입자성 물질에서 기인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입자성 물질은 강우시 많이 유입되며, 유입된 입자성 물질 중 24 % ~ 68 %가 유출되지 않고 호수내에 침전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코야마호의 수질관리에 있어서 인, 특히 입자성 인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코야마호 유역에서 관개기와 비관개기에 강우시 유출되는 입자성 물질의 유출특성과 토지용도별의 생물이용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강우시 유출되는 탁류의 입도분포는 각 하천별, 시간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입자의 면적비로 보았을 경우 약 10 ~ 100 ㎛사이의 입자가 많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개기와 비관개기에 입도분포의 차이를 보이는데, 비관개기에 첨두값이 더 크며, 작은 입자의 유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하천의 BAP / TP 비와 PCOD / SS 비는 시간 및 유역별로 다른 값을 보이며, 변화의 폭도 관개기의 경우보다 비관개기에 더 컸다. 이는 유출되는 부유물질의 유출특성이 시간에 따라, 유역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코야마호 유역에서는 BAP가 유출되는 총인의 약 60 ~ 80 %를 차지하였다. 강우시 유출되는 부유물질의 대부분이 토양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하여, 나가라 유역과 오바타케 유역의 토양을 대상으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토지용도별 입도분포를 보면 논이 밭과 산림토양에 비하여 작은 입자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강우시 유출되는 탁류의 입도분포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200 ㎛이하의 고운모래는 약 40 % ~ 60 %를 포함하고 있었다. 비중은 2.52 ~ 2.58 사이의 값을 보였으며, 토지이용과 유역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중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탄소와 질소의 함유량은 산림 〉 논 〉 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작은 입자일수록 함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인 비를 보면 밭과 논토양이 산림 토양에 비하여 매우 작은 값을 보였다. 이는 농업활동에 의한 비료의 축적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입자성 인의 생물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H2O-P, NH4Cl-P, NaOH-P, HCl-P, Org.-P로 분리하여 측정하였다. 총인의 함유량은 밭 〉 논 〉 산림 토양 순이었으며, 입자가 작아질수록 함유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토양 시료에서 NaOH -P과 Org-P의 함량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밭 토양에서 H2O-P과 NH4Cl-P의 함량이 다른 토지이용의 시료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모델화하여 오바타케 유역에서 유출되는 부유물질에 함유된 인의 생물이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범용토양손실공식 (USLE)을 이용하여 유출토사량을 계산하고, 여기에 강우시 유출되는 탁류의 입도분포와 토양의 입도별, 존재형태별 인의 함유량을 적용함으로서 탁류로 유출되는 각 존재형태별 인을 계산하였다. 모의한 결과, 밭이 유역에 대한 면적비는 작지만, BAP의 유출 가능성이 가장 크며, 유출 후 즉시 생물에게 이용 가능한 형태 (H2O-P와 NH4Cl-P)로 많이 유출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우시 유출되는 입자성 물질의 입도, 물리적·화학적 특성은 하천과 호소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는 강우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부하가 호소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유역의 입자성 물질의 특성, 강우시 유출특성 및 생물이용가능성에 관한 이해도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해와 함께 호소내로 이동한 입자성물질의 거동을 고려한, 유역으로부터 호소 내의 이동까지 연계된 장기적인 시점의 강우시 비점원오염부하 평가법이 호수수질관리 및 유역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