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고온성 미생물의 분리 및 활용

        白賢珠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For treatment of food waste, ten strains of thermophil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forests and composts. The activity of hydrolytic enzymes, including cellulase, amylase, protease and lipase, were determined by degradation of suitable substrates. Based on their 16S rRNA gene sequences. The ten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trains of six species in the genus Geobacillus, The strains had the growth optimum at either 55 or 60℃, and optimal pH from pH 6.0 to 7.0. After mixing these ten strains, the bacterial culture was inoculated into organic matters (leaf and rice). And incubated at 60℃, after 24 hour, total bacterial number in leaf and rice samples were 1.3 × 10^(8) cell ml^(-1) and 2.1 × 10^(8) cell ml^(-1), respectively. The total bacterial number of uninoculated rice was only 3.0 × 10^(6) cell ml^(-1). Decomposition rate in the inoculated leaf and rice were 13% and 17% for 5 days, respectively. These thermophilic Geobacillus strains were proven to be useful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such as food waste and horticulture waste.

      • 그림책 독서를 활용한 시 창작 지도 모형 연구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백현주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이 시 창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에서 시작되었다. 그림책은 상상력이 풍부한 아동들의 상상을 더욱 구체화 시켜주는 힘이 있으며, 구성요소의 특성 때문에 독서 중 동일시를 일으킨다. 그림책 독서 중의 동일시는 그 요소가 독자의 경험과 일치하는 경우 감정 이입이 더 잘 일어난다. 또한 제한된 시간 안에 완결성 있는 서사구조를 지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읽기 부진 학생에게 동기를 부여하는데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학계에서도 그림책을 많이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그림책 독서를 시 창작 지도 모형에 활용하여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시 창작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모형연구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시 창작 교육을 검토하였다. 둘째, 그림책 독서를 위한 노들먼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셋째, 그림책 독서에서 얻은 느낌을 바탕으로 한 생활 속의 시 창작하기를 시작으로 그림책 독서에서 얻은 이미지를 시로 표현해 보았으며, 동일화의 이론을 적용하여 시 창작을 하였다. 그리고 시가 주는 효용성 중 재미를 극대화 하기 위한 지도 모형을 연구하였다. 연구자가 설계한 모형은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들 일부를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참여한 인원은 초등학교 6학년 16명이다. 연구를 위한 수업은 9∼10월에 걸쳐 매주 화요일에 총 6회 진행했다. 연구자가 설계한 시 창작 지도 모형이 6학년 학생들의 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들이 창작한 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아동들이 시적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요소는 우리 삶의 어디에서나 찾을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책의 구성 요소들은 시적 대상이나 비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세 번째, 학습자가 그림책에서 가져온 시적 대상이 그림책의 이미지를 통해 더 구체화 된다. 네 번째, 그림책 독서 중 책의 등장인물과 동일화 되는 현상이 시에서도 나타나 창작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섯 번째, 그림책에서 파악한 등장인물간의 갈등을 학습자의 가정이나 학교생활 등에서 겪는 경험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시를 창작하는 재미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그림책 독서가 아동들의 시 창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그림책 독서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창의적 글쓰기 모형 연구가 계속된다면 시에 대한 아동들의 거리감을 극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많은 시들이 여전히 교과서 속에 있는 학습된 시로만 남는다면 문학의 교육목적은 이루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 아동들이 시가 자신의 삶에 늘 가까이 있음을 알고 적극적인 창작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학습자들의 창작 능력 뿐만 아니라 문학적 소양도 높아질 것이다. 더불어 그림책을 활용한 시 창작 모형 연구가 일반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프로그램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통일신라시대 범종에 나타난 전통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백현주 경북대학교 특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Living in an era where the spread of information is accelerating, we will first have to be familiar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in order to know a predictable future. Seeing various trends repeat the process of creation and extinction, what is common in each country is its own traditions. It would be of interest. It can be seen that Korea's perspective on traditions that were neglect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is also chang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fashion products that apply traditional patterns that appeared in the Buddhist bell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mong Korean cultures that are attracting global attention. Firs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bells were examined, and nine Buddhist bell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investigated among the Buddhist bells by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were described by abbreviating the patterns common to the Buddhist bells of this period into six, and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patterns were investigated. The patterns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Sangwonsa Temple Beomjong, which is the most beautiful and has the perfect basic form among Korean Beomjong, were first investigated, and textile designs were designed using Adobe Photoshop and Illustrator. The production of the work uses digital textile printing (DTP) for pattern design in 540mm x 540mm silk fabric. Eight works were written and two colorways were added for each work. Through a series of studies, we hope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traditional culture that has been forgotten or far from our consciousness, and that its beautiful value will increase when tradition is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정보의 확산이 가속화 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예측 가능한 미래를 알기 위해서 먼저 과거와 현재를 숙지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트렌드들이 생성과 소멸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보며 각 나라별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그 나라만이 가지는 고유의 전통에 관한 관심일 것이다. 우리나라 또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도외시 되었던 전통에 대한 시각이 변화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는 한국의 문화 중에서도 통일신라시대 범종에 나타난 전통적 문양을 응용한 패션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배경 연구로 한국범종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시대별 범종 중에서도 통일신라시대의 범종을 9구 조사하였다. 이 시대 범종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양을 6가지로 축약하여 각 문양의 특징을 서술하였으며, 문양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을 조사하였다. 한국의 범종 중 가장 아름답고, 기본적인 형태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상원사 범종 외 8구 범종의 표면에 새겨진 문양을 먼저 조사하고, 그에 나타나는 문양들로 보상화문, 당초문, 연화문, 운문, 용문, 주악비천문을 도출하여 포토샵(Adobe Photoshop CS6) 및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 CS6)를 활용하여 텍스타일 디자인화하였다. 작품제작은 6가지 문양의 이미지를 패턴화하여 540mm×540mm크기의 실크원단에 디지털 프린팅(DTP)을 활용하여 8작품을 제작하고 각 작품별 2개의 컬러웨이(Color way)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범종의 특징과 조형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종은 상대. 중대. 하대로 나누어지며, 용뉴, 음통, 천판, 연좌, 연곽, 당좌, 비천 등으로 각 부분의 문양과 그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의 외부에 조각된 전통문양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당초문, 연화문, 운문, 용문, 보상화문, 비천문을 살펴본 결과 각 문양의 의미와 상징하는 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위의 전통문양을 응용하여 스카프 디자인을 제작함으로써 각 문양이 가지고 있는 한국적인 조형미를 화려한 컬러와 조화로운 배치를 통해 다양한 스타일의 패턴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스카프 디자인을 DTP 기술을 활용하여 패스트 시대의 트렌드에 맞도록 제품의 소량 다품종 생산으로 개인의 개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범종에 나타나는 전통문양을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이, 산사에서 소리의 장엄을 알리는 범종에서 나아가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드러내듯이, 한국다움에서 디자인의 창조적 개발이 전통문화산업에 새로운 가치 창출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

      • 형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와 재질의 시각적 무게감에 관한 연구

        백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swiftly changing trends, the visually outstanding colors in the whole design field are fluorescent colors. The fluorescent colors are commonly called neon colors but are different physically and emotionally from general colors. In recent, the fluorescent colors are used in various design fields, and even though fluorescent materials are not included, specific colors are sometimes used and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However, because domestic preceding studies on the emotion of fluorescent colors are still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subject is required much more.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clarify color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Furthermore, this study presumes a specific emotion out of some colors that are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to be weight and reveal the weight of fluorescent colors. In addition, due to the presumption that the visual weight as well as color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a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exture, textile materials that are often used in various design fields were also used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fluorescent colors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study through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on weight among color emotion were reviewed. Second, the first empirical study was progressed only with color stimulu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visual weight of color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was revealed. Third, the second empirical study was progressed on the color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and weight by using textiles of various texture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empirical stud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lor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only with color stimulus, the colors of GY series with high lightness and R, RB series with middle lightness and high chroma were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and when the texture of a textile fabric is included, GY series with high lightness, middle and high chroma and YR series with high lightness and high chroma and R series with high lightness and middle chroma were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Colors that are not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in color stimulus are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in a textile fabric and the recognition of similar colors as fluorescent colors is different according to texture. Regarding the weight of colors, lightness influences the most and color has some influence as well. The colors of GY with high lightness and R with middle lightness and high chroma and colors of RB serie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were felt light. In case that texture was included, on the analysis of the visual weight, the numbers and variables of stimulus became increased and dispersion was not equal and as dispersion is bigger, it means different judgment criteria and difficult judgment. In particular, even though lightness in tone was defined as the factor that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weight, the fact that increased texture shows big differences of dispersion in low and high lightness, high lightness·high chroma of achromatic colors can be considered that texture influences weight more than colors. In texture with high transparency and low lightness or texture that looks opaque and heavy, dispersion was bigger in case of high lightness. In the result of small dispersion, mainly transparency and lightness were closely related to weight but it is different according to color seri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even though practical weight is light, the visual weight can be felt heavier according to colors and texture. In texture materials, even colors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were divided into big and small dispersion of weight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of texture. To sum it up, fluorescent colors are recognized light by colors but in case of including texture, it was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texture on weight is bigger than colors. That is to say, texture has more importance on the visual weight than colors. This study expects that we can figure out colors that are recognized as fluorescent colors from various colors used by us and use colors that can replace them without a fluorescent material.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also satisfy the emotion of fluorescent colors like weight. 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help select and use materials of appropriate texture as well as plan and design light products using fluorescent colors. 급변하는 유행 속에서 현대인들의 감성적이고 미적인 측면을 충족시켜주기 위 한 요소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색채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주목받고 있다. 이 러한 색채 중 최근, 제품과 패션 등 디자인 전반적인 분야에서 눈에 띄게 각광받 고 있는 색채가 바로 형광색이다. 형광색은 흔히 네온색이나 네온컬러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일반적인 색과는 물리적으로나 감성적으로 차이가 있다. 특히 형광색 특유의 감성이 디자인을 비롯 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형광색의 감성을 명확하게 밝히는 연구가 더욱더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그러한 연구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또 한 이렇게 사용되는 형광색 중에는 실제로 형광물질이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색채가 형광색으로 인지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형광색으로 인지하는 색채를 규정하고자 한다. 또 한 형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의 감성 중 특징적인 것이 무게감일 것으로 예상하 고 형광색의 무게감에 대하여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형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와 시각적 무게감은 재질의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 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인 직물 소재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을 통한 이론 연구로 형광색에 대하여 알아보고, 색채감성 중 무게감 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고찰하였다. 둘째, 색 자극물만을 가지고 1차 실증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형 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의 시각적 무게감을 밝혔다. 셋째, 다양한 재질의 직물을 사용하여 형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와 시각적 무게 감에 대한 2차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 요약하였고, 1차 실증 연구 결과와의 비교 분석하였다. 색 자극물만을 가지고 형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를 알아본 결과, 고명도의 GY 계열과 중명도·고채도의 R, RB계열의 색채가 형광색으로 인지되는데, 직물의 재 질이 포함될 경우에는 고명도·중, 고채도의 GY, 고명도·고채도의 YR과 중, 고 명도·중채도의 R계열이 형광색으로 인지되었다. 색 자극물에서 형광색으로 인지 되지 않은 색채도 직물에서는 형광색으로 인지되기도 하며, 유사한 색채라도 재질 감에 따라 형광색 인지 여부가 달라졌다. 색채의 무게감에 대해서는 명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색상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이 중 형광색으로 인지된 고명도의 GY와 중명도·고채도의 R, R 에 가까운 RB계열의 색채는 가볍게 느꼈다. 재질이 포함될 경우, 자극물의 수와 변수가 많아지면서 시각적 무게감에 대한 결과의 분산이 고르지 않았는데, 분산이 클수록 무게감에 대한 판단 기준이 다르거나 판단이 어려움을 의미한다. 특히, 톤 에서 명도가 무게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재질이 더해지면서 무채색의 저명도, 고명도와 고명도·고채도 등에서 분산이 큰 결과를 보이는 것은 색채보다 재질이 무게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볼 수 있다. 재질 중에서는 투명도가 높은데 명도가 낮거나, 반대로 불투명하고 무거워 보이는 재질에서 명도가 높을 때 분산이 컸다. 분산이 작은 결과에서는 주로 투명 도와 명도가 무게감과 관계가 높지만 이는 색상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재질의 실제 무게는 가벼워도 색채 및 재질에 따라 시각적 무 게감은 더 무겁게 느낄 수 있음을 밝혔다. 직물 소재에서 형광색으로 인지되는 색채도 재질의 투명도에 따라 무게감의 분 산이 큰 결과와 작은 결과로 나뉘었다. 이러한 결과를 모두 종합했을 때, 색만으 로 형광색은 가볍게 인지되지만 재질이 포함될 경우에는 무게감에 색채보다 재질 이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시각적 무게감에는 색채보다 재질이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수많은 색채 중 형광색이라고 인지되는 색채를 밝힘으로써, 형광물질을 포함하지 않고도 그를 대신할 수 있는 색채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그러한 색채는 무게감과 같이 형광색이 가지고 있는 감성까지 충족시킬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재질 특성의 직물을 사용한 연구를 통해서 보다 실용적으로 연구 결과를 디자인에 활 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형광색을 사용한 경량 제품을 기획하고 디 자인할 때 색채뿐만 아니라 적합한 질감의 소재를 선택하고 사용하는데 본 연구 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화학적 재난 시 응급센터 대응지침서 개발

        백현주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재난이 일어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재난으로 인한 대량 환자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위한 유형별 재난계획이 요구된다. 특히 응급센터는 처음 재난환자들이 내원하는 일차적인 장소이므로 병원진료가 필요한 비 재난환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재난 환자진료를 위한 실무 지침서의 근거를 마련한 지침서가 필요하다.이에 본 연구는 재난의 유형 중 화학적 재난에 대비한 예비지침서를 문헌 고찰을 통해 개발하였다. 이를 Y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와 응급센터 근무 간호사(응급센터 간호 파트장, 8년 경력 책임간호사)그룹에게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단계를 거친 후 최종 화학적 재난 시 응급센터의 대응 지침서를 개발 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준비단계 영역 80개, 제염단계 영역 54개, 의학적 치료단계 영역은 37개, 재난직후 심리적 지지단계 영역으로 1개로 총 171개의 세부항목 중 CVI 80%이상의 타당도 점수를 보인 총 171개의 세부항 목을 선정해 이를 근거로 수정 보완하여 화학적 재난 시 응급센터 대응지침서를 개발하였다.본 지침서는 화학적 재난 시 응급센터 간호사의 실무능력을 향상시켜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귀중한 인명과 의료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우리나라의 병원재난간호 발전에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 초등학교 학급경영계획에 관한 연구

        백현주 수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lass management plans, by setting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class management plans and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lass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based on the criterion prepa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issues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What should be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class management planning? 2. In view of the established process, what is the actual status of class management plans presently being followed by each school? 3. What is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lass management plans? In order to clarify the above problems of study, a review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study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reviewing the literature, the process of class management planning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compositional elements of the content of class management and process, etc.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As well, 12 class management book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for investigation and study, and frequency was processed statistically in terms of percentage after studying the method of class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matters of concern, etc. through a structured interview of 20 persons (including class teachers, principal, assistant principal, and professional staff).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rocedures or processes for the establishment of class management plans, as suggested by many scholars, showed that the compositional elements and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plans did not conform to each other. Also, there was a lack of compositional elements in terms of the content of plans, and they did not conform to the actual order of established plans.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set a process of class management planning that involves four steps: the basic investigation - establishment of goals and policy - action plans - evaluation plans. This may be accomplished by synthesizing the previous processes and procedures of class management plans, and reflecting the actual status of preparation as based on the model of school management plans which is the upper system. 2. T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ctual outcome of analysis is as follows, as related to each step of the basic investigation - establishment of goals and policy - action plans - evaluation plans of the process of class management planning: First, in the procedure of basic investigation,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were well reflected but the goals of school year were not well. The actual status of classes reflected faithfully the investigation of the home environment,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of reflection for requests from the district society and parents of students was low. In terms of the basic investigation, the goals and policy of school education and school years, which are the upper sources of classes, should be understood and reflected accurately. Also, as to the actual status of classes, an investigation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should be performed, and requests from the district society and parents of students should be investigated in various ways (such as questionnaire, interview, etc.) and reflected in the plans. Second, in respect to the establishment of goals and policy,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of establishment for the goals of class education was low, although the view, goals, policy, etc. of class management were set faithfully.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intent of students was also low when establishing the policy. Therefore, before setting the goals of class management, the goals of class education should be set and a method to reflect the intent of students to a maximum should be examined when setting policy. Third, the plans for class activities were established in relative good faith according to each area.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of establishment was low in relation to plans from children's meetings and parental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overall class organization plan. Plans for curricular management and life guidance were established faithfully, and plans for specific class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were greatly reflected in other activity schedules. When establishing the plans for class activities, feedback from children's meeting organizations, activity division organizations and parent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concretely, and the tables of class hours, number of classes, yearly progress, weekly learning activity plan, extra-curricula activities operation plan and discretionary activity operation plan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ar management plan. In respect to the life guidance pla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cess of determining regulations, procedures, promises, etc. by consulting with students whenever the goals and policy are set and yearly life guidance plans are established. Class specific activity plans, class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s, class affair administration plans, etc. are included in other activity plans. And when establishing plans in each area, they should be decided with an eye to preserving the attributes of self-control and creativity of classes.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of establishment for evaluation plans was low among the entire process of class management plans, among which the input evaluation plan was shown to be neglected. In the evaluation planning step,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plans that include all the input, procedural, and output evaluation plans. 3. Based on the above, the direction of establishment for class management plan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plans may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and readily by using the process of class management planning.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plans by reflecting the special properties and creativity of classes in each process of planning, while avoiding standardized and formal plans although they may be based on such a general system. Second, for a successful class management, the opinions of parents and students should be collected and reflected to the maximum, and such individuals should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lanning. When establishing class management plans, the areas and methods of reflection in regard to the intent of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encouraged.

      • '가족의 의미 찾기'를 위한 문학교육 모형연구

        백현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상상력을 주제로 '가족의 의미 찾기'를 위한 문학 교육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에게 가족이란 가장 큰 인생의 요체이며,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가족에 대한 탐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사람이 산다는 것은 가족 안에서 산다는 것이다. 가족은 인간 삶의 근원적인 구조이다. 하지만 지금 가족의 문화적 현실은 <근원>과 <구조>라는 강인한 개념들을 감당하지 못한다. 근원이 흔들리고, 아픔에 관한 자각 증세가 있다. 우리는 지금 가족을 앓고 있다. 가족을 앓고 있다는 것은, 가족이라는 범주 혹은 주제가 일종의 질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족의 가치에 대한 어떠한 결론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올바른 가족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가족에 대한 올바른 탐구와 깊이 있는 성찰이 우리의 삶을 더 건강하고 가치있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에 논자는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학에 나타난 가족의 상상력을 통하여 가족의 의미를 재조명해 보고, 나아가서 삶의 철학을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하나의 문학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리고 문학에 나타난 가족의 제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문학 교육적 효과를 기대해 본다. 여기서는 대상 소설의 범위를 '가족'이라는 제재를 사용한 작품으로 제한하였다. 제재란 중심된 이야깃거리 혹은 소재로서,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재료이자 바탕이다. 그것은 주제를 형성하기 위해 작품 구조의 핵심적 부분이 되었다는 점에서 일반 소재와 구별된다. 또 작품 전체 구조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어떤 관념, 사실, 분위기, 이미지 등이 아니라 그런 것들을 생성하는 데 쓰이는 재료이자 바탕이라는 점에서 주제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작가는 가족이라는 제재를 가지고 '자본주의 사회는 인간까지 상품으로 만들기 쉽다'는 주제를 표현할 수도 있고, '가족은 안식처이자 굴레이다'라는 주제를 제시할 수도 있다. 제재와 주제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이렇게 둘을 구별하면 작품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사람의 욕망과 삶의 모습 자체는 언제 어디서나 비슷한 데가 있다. 그러므로 작품들에 공통된 제재는 크게 나누면 그 수가 많지 않다. 그래서 누구나 재미있게 읽고 감동을 맛볼 수 있는 작품을 찾고자 힘썼다. '가족'을 제재로 한 소설들 중에서, 대상이 되는 소설 선정은 크게 사회적 상황 속의 가족을 다룬 작품과 역사적 상황 속의 가족을 다룬 작품으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사회적 상황 속의 가족을 다룬 작품으로는, 최인호의 「처세술 개론」과 이태준의 「돌다리」을, 역사적 상황 속의 가족을 다룬 작품으로는, 최서해의 「탈출기」과 이범선의 「오발탄」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소설들이 다양한 가족의 모습들을 다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대표적인 큰 줄기를 살펴봄으로써 전체의 가족의 모습을 유추해 보고자 했다. 그리고 교육 대상은 가족관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청소년기의 학생들로 정하였다. 우리의 삶 가장 가까이 맞닿아 있는 가족에 대해 탐구하고 올바르게 인식해야 함을 심어주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가족의 다양한 모습을 소설로 읽으면서, 가족이라는 것은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와 역사에 의해 연관되는 복잡한 역학관계 속에서 의미가 부여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또한 교육 과정에서 가족의 여러 모습을 통해 가족의 본질, 특성, 의미 등을 찾아내며, 그것에 대해 자연스럽게 논의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차츰 자신의 삶의 철학과 가족에 대한 철학이 세워지면서 삶과 밀접하게 존재하는 가족을 직시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여러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제 문제를 가지고 다양한 각도에서 가족의 본질과 의미에 대하여 고찰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 삶의 철학에 밑거름이 될 수 있고, 가족관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가족의 상상력을 통한 문학 교육 모형을 총 6차시로 만들었다. 사전교육 1차시와 4개의 소설로 각각 1차시씩 4차시를, 그리고 최종 통합 교육으로의 1차시로 나누어 전체를 연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차시마다 질문지를 이용하여 기본 내용의 파악을 하도록 하였으며, 토론 과제, 독서 후 활동, 추후 관련 활동을 제시하여 교육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가족의 상상력의 문학 교육적 효과는 아동기에서부터 올바른 부모의 역할, 자식의 역할, 형제간의 역할과 관계를 스스로 터득하고 배워, 자신의 정체성 확립과 가치관 정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사회와 '나'(가족)의 관계, 역사와 '나'(가족)의 관계를 통해 이 세상이 유기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suggesting a model of the literature teaching for finding out the meaning of family, based on imagination about family in novels. Family is the most cardinal point and concern in human beings' lives, so the study related to family has been the most required. Family i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human's life. However, the cultural reality of the family cannot manage two tough concepts that are <origin> and <structure>. The origin is being shaken and there is an awareness of pains. We are suffering from family. To suffer from family means that it is impossible to come to any conclusion about the value of family since the extent or subject of family works as a kind of disease. We need to establish the right view about family because the proper study and deep insight can make our lives more healthful and valuable. This paper will suggest a model of the literature teaching through which learner would be capable of inspecting the meaning of family through the imagination about family in the literature that they can easily come in contact with and taking the opportunity to reestablish the philosophy of the life. Also, it expects some effects of the literature teaching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matter of family in the literature. The extent of targeted novels is limited to the works in which family is used as their subject. A subject means a core subject matter and plays a role as a material or background to support the main topic. It differs from a general subject matter in that it is the core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to form a main topic.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main topic in that it is not a concept, fact, atmosphere or image produced from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but a material or background to produce them. For example, the author can express the main topic 'a capitalistic society is apt to make people commercial products' or 'family is a shelter and yoke' with the subject 'family'. There are cases that do not differentiate the subject and the main topic, but the work can be more specifically analyzed and compared when the two concepts are distinguished.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desire of human beings and the life itself, so the number of the common subject matters of the works are not many in case they are divided into according to the kind. Therefore, I chose the works that anyone can read enjoyably and be touched. Out of novels dealing with the subject 'family', the targeted novels fall into two categories: the one dealing with family in a certain social context and the other in historical situations. To begin with, 「An introduction to the worldly wisdom」(Choi In Ho) and 「A rock bridge」(Lee Tae Joon) were chosen as the works dealing with families in the social context. Secondly, 「A story about an escape」(Choi Seo Hae) and 「A shot fired accidentally」(Lee Bum Sun) were chosen as the works dealing with families in historical situations. These novels do not show a variety of types of families. However, I tried to analogize the whole types of families by inspecting the representatives out of them. Furthermore, teenagers have been the target learners, for they haven't created their own viewpoint of family ye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learners are able to find out and be uprightly aware of family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fe. They can realize that family can have meanings among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society and history as well as personal matters while reading novels dealing with various family lives. Also, they are able to find out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family through a variety of types of families and discuss them automatically. While doing so, they can establish their own philosophy about their own lives and family and face up to family that exists with the close relationship to the life. We can think about the nature and meaning of family based on the very problems of families in novels from all viewpoints. It can be the source of our philosophy and help us establish our viewpoints about family. The teaching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is composed of six periods. The whole lesson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one period of a preliminary teaching, one period for each novel and one period of a final integrative teaching. Also, the whole lessons are related to each other. furthermore, each period includes questionnaires that enable learners to understand the basic contents and suggests discussion topics, post-reading activities, and follow-up activities to increase the effect of teaching. The effect of the literature teaching with imagination derived from family is that learners are capable of realizing and learning the role and relationship of parents, children and brothers or sisters by themselves from the childhood and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and viewpoints and also realizing that the world keeps its organic structure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me'(family) and the history and 'me'(family) and the importance of the life living in harmony with each other.

      • 디지털 환경에서 전문도서관 서비스의 품질평가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백현주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인 LibQUAL+ 측정모형과 선행연구 결과를 가지고 디지털도서관 측정모형을 구성한 뒤, 디지털 환경에서의 전문도서관 특성을 고려한 정보서비스 요소를 추가하여 새로운 모형을 설계하고,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문도서관 중 정부출연기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의 변수들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의 변수들이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셋째,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의 이용자 만족도의 차별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각 분야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전문도서관협의회(KSLA)에 소속된 24개의 정부출연기관 소속 이용자 289명이며,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서비스 품질’, ‘공간 품질’, ‘정보 품질’이 종속변수인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가설 7개를 가지고 검정한 결과 모든 가설들이 채택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첫째, 품질평가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품질’면에서 ‘정보 제공’보다는 사서의 능력과 자질이 만족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공간 품질’에서 도서관 홈페이지 공간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정보 품질’면에서는 ‘정보자원의 범위’ 보다 정보의 정확성과 유용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품질평가에서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품질’에서는 두 집단 모두 ‘정보 제공’이 가장 영향력이 낮은 서비스 품질로 나타났다. ‘공간 품질’면에서 두 집단간에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별 고유 특성과 분야의 차이에 따른 이용형태의 차이인 것으로 보인다. ‘정보 품질’에서는 두 집단 모두 ‘정보자원의 범위’ 평가에서 가장 낮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 만족도’에서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문사회분야에서 과학기술분야보다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맞는 전문도서관 사서의 인식 변화와 이용자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며, 정보중심이 아닌 서비스중심이 이용자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의 능력과 자질이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도서관 사서의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전문화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에 대한 지원서비스가 중요한 변수로 나타남에 따라 사서의 헌신성, 자발성, 태도, 배려에 대한 소양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고품질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기관 홈페이지 접근을 용이하게 해야 하며, 다양한 컨텐츠와 자료검색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인문사회분야에서의 이용자 만족도가 낮으므로 도서관 홈페이지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의 교양도서를 비롯한 단행본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높아 업무용 전문분야 자료 뿐 아니라 교양과 인격수양을 위하여 다양한 장르의 교양도서를 구비하여야 한다. 여섯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은 전문분야 자료에 대한 이용자 교육과 정보활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일곱째, 서가 공간 마련 및 도서관 공간구성의 재배치 등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45개 정부출연기관 중 설문에 응해준 이용자가 24개 기관 소속 이용자라는 점에서 대표성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정부출연기관에 대한 접근의 제한성과 폐쇄성 등으로 인해 모든 정부출연기관 소속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지 못한 점에서 일반화된 연구결과라고 보기 어렵다. 둘째, 전문도서관에 적합한 서비스 품질 평가도구의 개발과 평가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 디지털 환경변화에 적합하고 객관화된 평가지표에 의해 연구가 수행된다면 더욱 타당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전문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현실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 밖에 정부출연 전문도서관 뿐 아니라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전문도서관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도있게 진행되어 전문도서관 서비스 평가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사고경험과 조직건강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백현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원은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복잡성으로 인해 환자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큰 조직으로,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의료의 질 저하 및 보건의료기관의 재정적인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환자안전 및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사고경험과 조직건강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으며, 병원의 전반적인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병원에 재직 중이며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 133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서술적 통계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사고를 경험한 대상자는 62명(46.6%)이었으며, 조직건강은 5점 만점에 3.31±.66점이었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4.09±.63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료기관 종류(상급종합병원)과 조직건강의 하위영역인 공동체지향, 환경적합성으로 나타났으며 38.5%의 설명력을 가졌다(F=21.65, P<.001).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업무 동기를 유발시키며, 서로의 신뢰 속에서 공동체를 지향하는 건강한 조직을 만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Hospitals are very complex organizations that are likely to cause patient safety incidents due to the complexities of various types of people performing their tasks simultaneously. Patient safety incidents result in poor medical quality and financial loss of health care institutions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o prev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is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organizational health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9 to September 2019 on 133 hospital nur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spital nurses who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62 peoples(46.6%) of all.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behaviors level was 3.31±.66 out of 5 points. And Hospital nurses’ patient safety care level was 4.09±.63 out of 5 poi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1.65,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8.5%.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his model were ‘Community oriented’ and ‘Environment fit’, which are subarea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Type of hospital(Tertiary general hospital)’.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hospital nurses, a plan should be sought to develop nurses' ability, motivate them to work, and create a healthy organization that is community-oriented in mutual trust.

      • 원통형 廢사일로(Silo)의 프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활용에 관한 연구 : 마산항 廢사일로를 Marine city museum으로 계획

        백현주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유휴화된 근대산업시설은 그 역사적 가치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새로운 건물의 건축을 위해 철거하는 것이 당연시 되던 때가 있었다. 이에는 어떠한 고려와 고민도 없었고 마치 헌옷을 갈아입듯 아무렇지 않게 허물어버린 자리에는 시간의 흔적이라곤 엿볼 수 없는 새로운 건축물이 들어섰다. 공간이 기억하는 시간의 기록들은 그렇게 사라져갔다. 하지만 인간의 역사(歷史)란, 말 그대로 살아온 흔적을 기록으로 남기는 행위이고 그 시대의 사람들이 살아온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어 유형물로서의 건축물은 그 무엇보다도 좋은 문화유산임에 틀림없다. 더욱이 문화유산의 개념은 이를 편협하게 보아 고대의 그것만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시간 또한 역사의 연속선상 한 시점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의 각 시점에서 다양한 양상에 관한 기록을 남긴다는 관점에서도 점차 그 흔적을 찾기 어려운 근대산업시설에 대한 보전의 가치와 의미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근대산업시설에 대하여도 고전적의미의 문화재와 같이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유산’ 개념이 도입되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시설을 ‘유산’이라는 틀에 가두어 관조(觀照)하기보다는 합리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특성에 따라 실질적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즉, 건축물의 본래 목적으로서 기능적인 요소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현재의 도시 주변상황에 맞추어 활용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해당 건축물의 프로그램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니즈(Needs)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전제하고, 프로그램의 전환 및 재구성을 통해 건축물에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학문적 연구로서 현실의 문제를 고민하고자 최근 그 활용방안에 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던 마산항을 그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마산항의 상징과도 같은 사일로를 활용의 대상으로 삼되, 그 활용 방안에 있어 마산항은 물론이거니와 도시와의 조화를 꾀하였다. 과거 도시의 상징물이었으나 폐허로 방치되어온 사일로가 그 형태적 가치를 충분히 살린 채, 항구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살려 Marine City Museum을 기본으로 종합 멀티플렉스 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문화 재생산의 도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제기 및 그 개선의 방향으로 제시한 전제들을 바탕으로, 건축 당시의 한정적이고 고정적인 프로그램에 얽매이지 않고 공간 프로그램을 재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재생,활용을 모색하고 이처럼 한 건축물의 프로그램 재구성이 도시 전체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ast, there was a time when demolishing unused past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had been taken for granted without considering their historical values enough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There was no consideration or worry, and new structures from which no signs of the time were found entered in the place demolished like changing dirty clothes. The records of hours the space remembered have disappeared. And yet human history literally is an act of recording lived traces, and structures as tangible properties is surely the best cultural heritages to examine the phases of the lives of people at the time. Moreover, the concept of a cultural heritage is not limited to that of ancient times narrowly. This is because the time we are living also would be a point of time on the continuum of history. Thus, also in the perspective of leaving records of various aspects in each point in history, there are values and meanings of conservation of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of which the traces are gradually getting more difficult. Therefore,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studies as the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has been introduced to the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as well as cultural heritages in a classical meaning for the purpose of conserv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iscuss a plan for the substantial uses of the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who pursue rationality and practicality instead of contemplating them in the frame of ‘heritages.’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not to exclude functional elements a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tructure and to maximize the effects of applic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s around cities. It assumed that the programs of the relevant structures may be changed with the needs of the people living the time and worked on the study with the ultimate goal of realizing infinite potential in the structure through the convers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program. Also, in order to investigate real problems as an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Masan Port as a target, for which the application plans active discussions were carried out recently, and the silo like the symbol of it was selected as the target of an application, for which the harmonization with the Masan Port but also Masan city was devised. It planned the abandoned and ruined silo which had been the symbol of the city in the past to maintain its morphological value sufficiently and function as a tool of cultural reproduction born again as an integrated multi-flex space based on a marine city museum by making use of the site characteristics of its location in the port. This study tried to seek for the reno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tructure by reconstituting the space program not constrained by the limited and fixed program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above problems raised and the assumptions presented as a direction of improvement attempt to propose a way in which the program reconstitution of the structure can draw out positive changes of the entir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