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 4세 유아 구성놀이의 가능성과 한계 : '세다'의 의미를 중심으로

        백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ve play emerged by four-year-old childre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being strong' in free-choice activity time. To do this, the researcher made participant observation of free-choice activity time on each Monday and Thursday in the Jaemi class for four-year-olds from April 16 to December 14, 2012. The class had a tendency to play in separate groups for boys and girls. Boys tended to make constructive play positively and actively. For this reason, the boys' group was selected to make intensive observation.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from April 23 to November 15, 2012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meaning of 'being strong' was newly changed in the process of finding out physical knowing in constructive play among four-year-old boys in the Jaemi class. Boys, who had much interest in 'being stronger' to beat a rival, differentiated the meanings of 'being strong' while having specific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ve play. With their own hypothesis that 'colors have strength' in the process of constructive play, the boys in this study repeated an experiment by making "strong things" with multiple colors and striking them to find out strong one.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strength they consider is misconception on the scientific basis. However, the attempt to make and verify an naive theor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ve play is similar to scientists' scientific activity. Constructive play induces young children to do scientific work.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mixing colors will give greater force' boys made an experiment by mixing diverse colors to make "strong things" and strike them repeatedly. However, their attempt failed to obtain consistent victory.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abandoned their naive theory that 'colors have force.' While doing constructive play, boys try to perform a repeated test, discover contradiction of misconception, and give it up for themselves. However, if a teacher restricted blocks to one or two colors, boys could have abandoned misconception more easily. Boys tried to change the shape as a new alternative plan to make "strong things" stronger. A boy made an earwig-shaped thing, whose flatness was recognized as useful by their peers because the flat shape is good to keep it solid by allowing it to be pressed with a palm. Boys came to see the phenomenon that bigger one made smaller one pushed back from bumping while both of them didn't smash. With the experience of this phenomenon, they tried to build brick-blocks from inside solidly to make "strong things" and push them hard to destroy with "strong things" made of Coco-blocks. From this experience, boys who have tried to find out strong elements in objects themselves may discover the property of force applied from outside. However, boys fails to make more reasoning of why the force of pushing destroys an object and simply repeats the act of destroying. While experiencing constructive play, boys do thinking in search of an alternative; however, they revealed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do reasoning or thinking for themselves without a teacher's intervention. Trying to push increasingly bigger "strong things" to knock down brick-blocks at the end of car tracks or throw down brick-block dominos, boys came to believe that 'bigger one is stronger.' They push an object on slope car tracks and come to realize that pushing harder can fail to be favorable. With this experience, boys made upward and downward slopes and started a mini-car to experiment 'moderate,' 'slight,' and 'great' forces. And by starting a mini-car and a big Thomas train on the car track that began from the slope and reached tetrahedral space a certain distance ahead, they came to realize the actual weight of "fat one." They realized that actually 'heavier one is stronger' rather than the idea that 'bigger one is stronger' and used Lego blocks with the ship shape to make a levelling test to see which one is heavier. Through the constructive play, boys discovered weight, which is an invisible physical property, from the concept of size, which is a visible perceptive property. Constructive play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m to understand physics. Expecting that a bigger top would spin better, they did actually spin it but discovered that it didn't spin well, and thus, constructed the meaning that 'spinning better referred to being strong.' With a bigger top failing to spin well, boys paid attention to the inside of the top and took interest in a solid figure. They select figure-blocks, and make solid figures with cubes, triangular pyramids, and combinations of the two and put their vertex on the floor to spin them; consequently, they find them all spin well. From this experience, boys get an idea that 'pointed one is strong.' Meanwhile, boys come to realize that being pointed below the center of an object makes it spin well by seeing Coco-blocks spin well when they are made narrower gradually to make their top and bottom symmetrical. They don't make verbal expression but intuitively understand that an object with its center of gravity raised spins well. Through the constructive paly of making tops with magnetic blocks, figure blocks, and Lego blocks and spinning them, boys discovered the principle of making a top spin well. To see the part protruding out of "strong things" smashed each time they are bumped, boys define the protruding part as a 'weak point.' They expect that bumping the weak point in a competition will lead to defeat. They also expect that removal of the 'weak point' will make it strong. While boys have paid attention to positive aspects alone to obtain positive results, they came to believe that removal of negative aspects would lead to positive results. Through the constructive play, young children realized how to get positive results by changing their way of thinking. While doing constructive play, young children also enjoys making constructions personally for competition. In case of competition, they realize that different "strong things" make the competition unfair. To measure strength of pushing each other under the condition of winning equally, they make "twin strong things" with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In case of making a competition to "spin a top longer," they use a starting signal to start spinning tops simultaneously. In case of car race, they also make double car tracks with the same construction to start mini-cars simultaneously. While doing constructive play, young children come to realize the concept of being fair and use strategies of twin strong things, making a start simultaneously, and making a competition with the same construction to implement the concept. Constructive play became a thinking tool to allow young children to find out fairness. Boys got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property of a magnet,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blocks, while making competitions to bump tops in the air and to "spin them longer." They believed that 'using the forces of a magnet, such as attractive and repulsive force, would make it strong.' By trying to stick a top under the spinning magnetic top, stick a top under the "bomb" made of magnetic blocks, and spin a magnetic rod upon the spinning top, they gradually got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property of a magnet. Through the constructive play, young children came to discover the properties of materials. Four-year-old children tried to construct knowledge for themselves through thinking and reasoning in the process of constructive play in free-choice activity time.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constructing knowledge among young children alone. In this case, teachers can use such methods a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misconception, control of play materials, record of the process of constructive play, and representation of results from acts to make an intervention and prevent constructive play from changing into simple play.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구성놀이 과정에서 ‘세다’의 의미가 분화되며 드러나는 만 4세 유아 구성놀이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2012년 4월 16일부터 12월 14일까지 주 2회 S유치원 만 4세 재미반의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남아집단의 구성놀이를 참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4월 23일부터 11월 15일까지 수집된 자료들이 전사·분석되었다. 전사된 자료들은 시간의 흐름대로 놀이 상황, 선택된 놀잇감, 유아의 경험 순으로 분류되었다. 남아 집단은 상대를 이기기 위해 ‘∼보다 세다’라는 의미에 관심이 많아서, 구성놀이를 하면서 ‘세다’의 의미를 분화시키며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있었다. ‘세다’의 의미별로 유아들의 과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면 만 4세 유아 구성놀이의 가능성과 한계가 드러난다. ‘세다’의 의미 분화를 중심으로 드러난 만 4세 유아 구성놀이의 가능성과 한계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만 4세 재미반 남아들은 태권도 품띠의 색깔, 신호등의 빨간색 등 일상생활에서 색이 상징하는 의미를 그대로 교실상황에 끌어들여 색깔에는 힘이 있다는 오개념을 구성놀이 과정에서 코코블록을 가지고 표상하였다. 남아들은 검정색이 제일 세다는 초기가설을 세우고 검정색 코코블록들로 센 것을 만들어서 부딪치는 실험을 시도했다. 이 경험을 기준으로 더 센 것을 만들기 위해 색깔을 섞는 새로운 가설을 표상하여 부딪쳐 보았다. 그러나 반복적인 실험에서 색깔은 힘과 관련이 없음을 판단하고 색깔에는 힘이 있다는 오개념을 포기하였다. 재미반의 남아들은 힘을 세게 하는 대안적 가설로 생김새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애니메이션에서 본 발이 많은 캐릭터의 특징을 형상화하여 집게벌레처럼 센 것을 만들어서 부딪쳐보는 실험을 하였다. 그러나 튀어나온 부분이 부딪치기를 할 때마다 잘 부서짐을 알게 되었다. 다음으로 크기의 확장을 시도하였다. 크고 집게벌레처럼 생긴 센 것에서 남아들은 잘 부서지는 튀어나온 부분을 확대해서 보게 되었고, 크게 만들어도 튀어나온 부분은 잘 부서짐을 알게 되었다. 이로 인해 남아들은 튀어나온 부분을 약점이라고 칭하며, 약점을 없애고 센 것의 모양을 구에 가깝게 만들어서 저항을 줄여 나갔다. 남아들은 코코블록 센 것끼리 부딪쳐서 둘 다 부서지지 않는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이 때 두 센 것은 크기의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남아들은 크면 센지를 실험해 보고자 벽돌블록으로 센 것을 만든 후 큰 코코블록 센 것과 부딪쳐 본다. 이 경험에서 남아들은 코코블록 센 것을 세게 밀어주는 힘이 벽돌블록 센 것을 무너뜨린다는 행위에 따른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이로 인해 남아들은 외부에서 미는 힘의 실체를 깨달았다. 남아들은 크면 세다는 생각을 자석블록으로 센 팽이를 만들 때도 적용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돌려보면 큰 팽이는 잘 돌아가지 않았다. 이 경험으로 남아들은 잘 돌아가는 것이 세다는 의미를 구성하였다. 남아들은 잘 돌아가는 것들은 모두 바닥에 닿는 부분이 뾰족하다는 지각적 속성을 발견하고 뾰족하면 세다는 원리를 설명하였다. 실제로 뾰족하면 세다는 생각은 오개념이지만 구성놀이 경험에서 공통점을 찾아내어 원리를 만들어 가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만 4세 남아들은 자석에는 힘이 있다는 오개념을 사용하여 자석블록 팽이를 더 잘 돌아가게 하려고 여러 가지 시도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남아들은 여러 가지 자석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남아들은 경주로에서 센 것, 자동자류 등을 출발시켜 목표점에 세워둔 벽돌블록을 무너뜨리는 구성놀이를 하였다. 경기에서 남아들은 부피가 큰 센 것을 출발시킬수록 힘이 세다는 것을 지각하였다. 남아들에게 크다는 표현은 부피가 크다는 의미였다. 남아들은 크면 셀 것이라는 생각을 실험하기 위해 벽돌블록으로 도미노를 만든 후 부피가 큰 순서대로 자동차류와 센 것을 밀어 보았다. 이 실험에서 그들의 생각이 실제 그대로 들어맞음으로 인해 재미반 남아들은 부피가 크면 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아들은 큰 것이 더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앞이 높아지는 경사로에서 큰 토마스 기차를 출발시켰으나 오히려 더 멀리가지 못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 순간 경기를 한 남아가 “뚱뚱보”는 잘 날아가지 않는다며 감각적 경험에서 알게 된 무거움이라는 물리적 개념을 스스로 설명하였다. 친구의 말을 들은 놀이 참여자들은 동의하였다. 만 4세 유아들은 색깔, 모양, 크기, 뾰족함 등 지각적 속성에 주목하여 원인을 추론하는 한계를 보였지만 구성놀이 경험에서 점차 지각적 관계 이해, 감각적 깨달음 등을 통해 물리적 실체를 직관적으로 이해한 후 스스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남아들은 센 것의 색깔을 비교할 때 모양과 구조는 동일하게 만들었다. 센 것을 가지고 서로 부딪치는 실험을 할 때에도 똑같이 이기는 조건에서 경기를 시작하기 위해 센 것의 모양과 구조를 동일하게 만들었다. 팽이 시합을 할 때도 동시에 돌리는 전략으로 누가 오래 도는가를 비교하였다. 즉, 만 4세 남아들은 비교하기나 시합하기를 할 때 똑같은 조건을 만들기 위해 변인을 통제하는 과학적 과정을 시도하였다. 유아들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구성놀이를 통해 초기가설 설정, 표상, 경험, 실패, 대안적 가설 설정, 반복 경험, 비일관성의 목격, 모순의 발견, 오개념의 포기, 대안적 가설 설정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과학적 사고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만 4세 유아들은 사고의 변화와 지식의 재구성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스스로 찾아 나갔다. 따라서 구성놀이는 유아들에게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육적 도구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아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 사고하는 데는 한계가 드러났다. 유아들은 한계상황에 부딪히면 사고하기를 하지 못하고 단순히 놀이로 빠져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은 놀잇감의 지원과 통제, 대화로 사고 과정 지원, 관찰과 기록 등을 통해 유아들의 구성놀이가 지속되도록 지원해 줄 수도 있다.

      • 학습관리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중학생의 주의력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백은영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보이는 중학생들에게 학습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기도 소재 B중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ADHD 고위험군을 선별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각각 2명과 1명이 탈락하여, 최종 분석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ADHD 성향 중학생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학습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4주에 걸쳐서 주 2회씩 실시되었고, 매 회기 소요 시간은 60분이었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연구대상의 선정을 위해 사용한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와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한 코너스 웰스 청소년 자기보고 검사(단축형), 정밀주의력검사,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도구, 학업성적이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증을 하였다. 이어서 학습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관리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ADHD 성향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둘째, 학습관리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시각 주의력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청각 주의력 중 주의력의 일관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관리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인지조절을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시켰다. 넷째, 학습관리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학업성적 향상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학습관리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중학생들의 ADHD 성향 감소와 청각 주의력 중 주의력의 일관성 향상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 중 인지조절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DHD의 높은 유병율과 ADHD 청소년들의 많은 학업문제 호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이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험적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실 속에서 ADHD 성향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습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 자유학년제 활동을 위한 대전지역 무형문화재 '들말두레소리' 지도방안 연구

        백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유학년제는 지역별 특색을 살린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 방식을 추구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교과 및 진로와 관련한 자유학년 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경험하고 체험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소질과 적성을 찾을 수 있다. 자유학년제의 취지이기도 한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생 중심의 활동이 강조됨에 따라 자유학년제의 네 가지 활동인 예술·체육 활동, 진로탐색 활동, 주제선택 활동, 동아리 활동에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자유학년제 음악 관련 활동의 대부분은 예술·체육 수업과 예술·체육 활동의 경계가 모호하여 기존 교육과정의 연장선에서 차시만 장기적으로 늘려 구성되기 쉽다. 자유학년제 활동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이 편향적이며 기존의 교과교육에서 자주 해오던 활동 중 학생들의 흥미 위주나 교사의 지도능력 범위 안에서만 다루어지거나 실기 중심의 반복 학습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국악의 경우 프로그램 부재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와 연계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이 자유학년제의 활동으로 구성된다면 지역의 특색이 반영된 다채로운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지역과 연계한 음악 문화 교육을 위해 적합한 교육 소재는 무형문화재이다. 특히 지역의 무형문화재에는 그 지역만이 지닌 고유의 문화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적 활용 가치가 크며 음악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범교과적인 자유학년제 활동을 구성하는데 효과적이며 관련 분야의 폭넓은 진로 탐색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의 무형문화재, 그 예시로 대전지역의 무형문화재인 ‘들말두레소리’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자유학년제 활동에 적용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지역의 음악 문화, 지역의 무형문화재, 대전지역 무형문화재와 관련한 연구물을 교육적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자유학년제에 활용된 국악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여 한계점을 찾은 후 이를 통해 자유학년제에서 국악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자유학년제 활동에서 음악 관련 프로그램의 학습내용으로 대전지역의 무형문화재 중 지역의 특색이 잘 드러나는 ‘들말두레소리’를 중심으로 교육적 가치를 ‘자연환경과 인간 삶’, ‘두레와 공동체 문화’, ‘들말두레소리와 미래의 삶’으로서 고찰하였다. ‘들말두레소리’는 가무악 일체의 총체적 음악 문화이기 때문에 우선 음악 교과적인 관점에서 가무악에 해당하는 민요(소리), 놀이, 농악(두레풍장)으로서의 들말두레소리에 따른 지도 내용을 세 단계로 연구하였으며, 맥락적인 관점에서는 ‘들말과 더불어 사는 삶’, ‘두레와 함께하는 지역문화 공동체’를 학습주제로 ‘들말두레소리’를 더 깊이 있게 내면화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특히 타 교과와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가운데 과거, 현재, 미래의 관점에서 학습 경험을 단계적으로 내면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핵심역량을 함양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들말두레소리’를 중심으로 자유학년제의 네 가지 활동에 적용하기 위한 체험·참여형 국악 중심 프로그램 지도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체계적인 진로 탐색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유학년제 활동 별 학습주제에 따른 학습목표와 교수·학습활동, 음악 교과의 영역에 따른 기능과 성취기준, 핵심역량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특히 중학교 1학년의 타 교과와 연계 가능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진로와 관련하여 자유학년제 활동 중 주제선택 활동에서는 홀랜드의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6개의 어울림 공동체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학습활동별로 적성유형별 직업군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유학년제 활동별 평가 기록 예시를 기재함으로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생활기록부를 작성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 시대에 요구되는 음악교육 및 자유학년제 활동에서 국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국 4대 민간설화를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문화 교육의 다양화 방안

        백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고등학교의 중국어 학습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중국 4대 민간설화를 바탕으로 문화교육의 다양화와 그에 맞는 수업설계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문화능력 제고를 통한 중국어 교육의 효율을 높이 기 위해 문화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교육은 중국인들의 사상과 감정 을 이해함으로써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라는 단순한 중국어 지식만 으로 해결할 수 없는 다른 차원의 중국어 의사소통 교육과 상황에 맞는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중국어 문화교육의 다양화를 위한 효율적이고 유용 한 연구 자료로 중국 4대 민간설화를 채택하였다. 중국의 4대 민간설화 는 문학적, 학술적 연구가치가 높은 중국의 대표적 설화로 본 연구에서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중국인의 가치관과 사유방식 및 세계관을 통해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4대 민간설화는 무엇보다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문학작품으로 우리에게도 비교적 친숙한 내용 이며 분량이 많지 않을 뿐 아니라, 현재 고등학생들의 언어능력에 맞게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4대 민간설화 안에 녹아 있는 가치와 교훈을 통해 중국어 학습 이외의 교육적 효과도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고등학교『중국어Ⅰ』교과서 9종에 수록되어 있 는 문화교육의 내용과 종류를 분석한 결과, 내용이 매우 제한적이고 특정 분야에 편중되어 있어 4대 민간설화의 채택을 다양화 방안으로 제시 하였다. 또한 4대 민간설화를 활용한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해 각 설화 의 배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문화수업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반으로 견우와 직녀를 대표적 으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구한 역사를 가진 중국의 4대 민간설화를 기반으로 문화교육의 다양화 연구와 그에 맞는 수업설계로 중국어를 학습하는 고등학생들이 중국어 자체에 대한 습득뿐만 아니라 그 언어에 녹아 있는 중국문화를 충분히 이해하고 경험하여 중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这篇文章是为了提高高中汉语学习效果,以中国四大民间传说为背景,旨在推广文化教育的多样性而设计的课程。在现行的教育体制中,为了提升汉语教育的效率与文化教育。所谓的文化教育是指通过学习了解中国人的思想与情感,不仅仅培养学生的‘听力、口语、阅读、写作’这几类基本汉语水平,也为全方面提升学生的沟通能力与汉语交际能力的方式。 79 本研究为提升‘高中汉语文化教育’的多样性,选取了有效又有用的中国四大民间传说为研究材料。中国四大民间传说是具有代表性的且有很高的文学性和学术研究价值的传说故事。这个材料中融合了中国人的世界观、价值观和思维方式,有助于学生对中国文化的全方位理解。与此同时,四大民间传说作为读者耳熟能详的民间故事,可以增加学生对汉语的学习兴趣。此外,传说故事通俗易懂的特点非常适合作为高中生的课程材料,具有按照高中生的语言能力设计课程的优点,并且传说中隐含的哲理可以达到除了汉语教学之外的教学效果,可谓一举多得。通过对九种现行的高中《汉语1》教材中的文化教育内容进行综合分析,对这些书本内容的优缺点进行了对比,四大民间传说收录具有重要意义, 寻找了采用四大民间传说的必要性。而且为了应用四大民间说话的有效的文化教育,提出了为了了解各个说话的背景以及内容的方案,同时选定了文化课的方向。基于这样的研究代表性的设计而给出了牛郎织女在实际课上应用的提纲。 本研究的意义在于,在采用具有广大群众基础的中国四大民间传说的基础上。通过对文化教育的多样性的研究以及科学的课程设计,让学习汉语的高中生在学习汉语知识的同时能充分理解和体验到融于传说中的中国文化并最终提升他们的汉语水平。

      • 박물관.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 연구 :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백은영 대구가톨릭 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는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양성 등의 관심이 커지고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육에 따라 학교나 개인적으로 박물관·미술관을 찾는 경우가 늘어남으로 그 교육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먼저 박물관·미술관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내외의 박물관과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사례를 조사하고 대구·경북 지역 박물관·미술관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여러 문제점들을 조사하여 대구·경북지역의 박물관·미술관 교육이 개선해야 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박물관·미술관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박물관·미술관을 통한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미술교육을 통해 정서적인 기능과, 실제 경험을 통한 지식적 논리적 인지력을 발달시킨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론으로 국외와 국내의 우수 박물관. 미술관의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한 결과 국외는 각 관마다 특색이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박물관·미술관의 교육 프로그램 정책기반이 잘 다져져 있었고, 장애인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 인턴쉽과 같은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구체화 되어 잘 짜여 져 있었다. 그리고 큰 재목. 틀을 통하여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이어지고 있었다. 국내의 경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에서 보여 지는 학습자 중심의 체험학습과 효과적인 교육자원, 프로그램의 제공, 다양한 내용의 프로그램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구·경북지역의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은 국립, 공립, 사립, 대학별로 조사한 결과 대구지역 국공립 1관, 사립 6관, 대학 3관 중 7관은 일반적인 전시관람 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지역은 공립 국립 2관, 공립 19관, 사립17관 대학11관으로 총 49관중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 곳은 22관이였으며,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진행이 국내외와 비교 했을 때는 미비하지만 방학을 이용한 지역학생과의 호흡, 특정행사를 통한 가족프로그램이 활성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황조사로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가 미흡하고, 관리가 허술하여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구체적인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없이 전시 관람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학교연계를 통한 박물관. 미술관 교육이 미흡하여 프로그램 또한 계발이 없었다. 넷째, 박물관과 미술관의 교육을 위한 자료나 정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강의, 세미나, 연수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 제시가 미비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구·경북의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 한 결과 학교 교육을 통한 개선방안과,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두 가지로 나누어 개선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우선 학교연계를 통하여 정기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교 내에서도 전문교육담당자의 공식적인 직책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감상교육이 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박물관·미술관 내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실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인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학생들을 위한 활동지와 전시관람 도록 등의 출판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박물관 내 프로그램 기획자나 교사에 대한 연구, 양성화 작업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Recently our country museum. The interest of the program which is various educates from the fine arts tube in goal and education becomes larger, the school puts out from personally the museum. The case which seeks the art museum according to extending, the museum. Candle of art museum. In. Educational program present condition of studying under adversity year investigation, to investigate the various problem points which with this character occur from the junction, Daegu. Gyeongsangbuk-do museum of area. Leads the instance of the art museum and a little respects the comparison which is more concrete the excellent museum of domestic. Students in center one museum.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 present condition the place which executes the programs in the resultant Daegu area soup public 1 tubes which investigates as soup public institution, private and the university by, the private 6 tubes and the university 3 tubes in 4 tubes the total 10 spectators 6 tubes appeared only time of war viewing which is general with the fact that does. The Gyeongsangbuk-do area the place where the total 49 spectators programs are executed in the public national 2 tubes, the public 19 tubes and the private 17 tube university 11 tubes are 21 tubes, the problem point which appears in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with afterwords is same. First, the research of educational program of each agency will be insufficient, the management to be shabby will not become activation of program and being the possibility which will know was. Second, is applying a on-line system the management does not become the museum. The art museum to be many was becoming problem. support will be being and the possibility which will know was. Four, Daegu. Museum of Gyeongsangbuk-do. And museum. The art museum puts out the object which is more concrete the necessity the program which is various in the center and must be developed must be executed to be, owns jointly information which is professional the museum for puts out from must endeavor even activity for program developments and the students and publishing of exhibition viewing atlas etc. Also the museum puts out the program planning person means also the research and coming out into the open work will do to become accomplished steadily about teacher.

      • 項莊舞 硏究

        백은영 東國大學校 文化藝術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generally consists of three forms of dance. Those are fork dance, ritual dance and the dance performed at Royal Court. Especially the dance performed at Royal Court is called Jungjae(呈才). Jungjae is originally from Chinese that means "I offer my talent to king." The beginning of Jungjae, 1300 years old dance is way back to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believed the beginning of centralized Royal Authority. It is roughly divided into two kinds. DangAk-Jungjae(唐樂呈才) originated from China and HyangAk-Jungjae(鄕樂呈才) created in Korea. There are currently 56 kinds of Jungjae has been known origin from HyangAk-Jungjae and DangAk-Jungjae. However among those 56, seven kinds of Jungjae are discontinued. Its contents are forgotten, and only the titles of those 7 Jungjae are known. The "HyangJangMu(項莊舞)" is uniquely has the form of MuGuok(舞劇, dance drama) among 49 Jungjae. It is the JopGuok(雜劇) from Sun-chun area of Pyong-an-book-do province. In 1873 Go-jong Ge-yu-yeon, it firstly appeared in Royal Courts. Its main theme and contents are about "Hong-Moon-Yeon-Hee, 鴻門宴戱." It is originally indicating the party held at Hong-Moon(鴻門), eastern part of Im-Dong(임동) in china. The story of "Hong-Moon-Yeon-Hee" happend in the end of Chin(秦) dynasty(B.C 206). When Pae-Gong(沛公) came to Hong-Moon, Hang-Woo(項羽) was trying to assassinate Pae-Gong by making one of a subordinate to dance with sword(劍舞). However Pae-Gong's loyal a subordinate Bun-Chae(번쾌) figured out his plot and save him from assassin. The "Hong-Moon-Yeon-Hee" is written in the chinese historical novel. Sa-Ma-Chun's(司馬遷) 「SA-GI, 史記」. The unique features of "HangjangMu" that differentiate with other Jungjae are its drama like elements, such as the time and place of the incident happens, each character has their own lines in the play, its drama like story, and its clear organization of story flow,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Besides "HangjangMu" has a form of dance drama not just a drama by using "GumMu(劍舞, Sword Dance)" and "Gun-Mu(巾舞, Dance with tabre)" as major expression medium. Although, there are not many books that mentions about "HangjangMu", its detailed description on dance steps are written in [Kyo-Bang-Ga-Yo] and [Jung-Jae-Mu-Do-Hall-Gi] published in the Cho-Sun dynasty period. After 1920, it was not performed else where until 1993 due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Korean Civil war. In December 23. 1993 "HangJangMu" was reviv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 Traditional Performing Arts(國立國樂院)" first time in 70 year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be a research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revive "HangjangMu" as "HangJangMuGeok" and to develop and perform "HangjangMu" as a stage performing art. well combining the elements of drama and dance. This paper mainly covers the historical origin, contents, dance forms, and dance drawing through the revived HangjangMu performed in December 1993.

      •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진로관 연구

        백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areer,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mothers’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like? 2. What attitude do mothers have toward career? 3. What attitude do mothers have toward career and sex roles? 4. What attitude do mothers have toward work values? 5. What attitude do mother have toward the dignity of occupation? Procedure and Method: The samples consisting of one elementary school,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were randomly selected from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26 mothers in total with elementary school 4thgrade and middle and high school 2nd grade students. The teachers of classes and only selected at respective school level, were asked for distributing and collecting of questionnaire, with some explanation on the intent of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As research tools, there are 10 question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o examine mothers’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d 30 questions about parents’ career awareness excerpted from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Kwak Byung-Sun and other 2 researchers to investigate mothers’ attitude toward career.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mothers’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firstly, to the question if they are aware of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55.2%, or 180 of 326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it. Secondly, to the question about the attitude toward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51.6%, or 93 of 180 who were aware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swer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It was shown that the 74.2% of 93 participants attended special lecture once or twice; 34 participants or 36.6% once and 35 participants or 37.6% twice. It indicated that most of mothers want to take parents’ career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in it. Thirdly,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 on the help of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most number of respondents chose in the first place the answer ‘it helped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It showed that mothers’ interest is focused 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nderstanding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Fourthly, to the question on expectation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57.2% of respondents select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24.4% selected ‘understanding of world of work’. It indicated that mothers have much interest in personal and vocational information. Fifthly, to the question why you don’t want to take parents’ career education, 44.4% or 16 respondents expressed that because they don’t have time. In the mothers’ attitude toward career, the respondents showed ‘achieved’ orientation,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Secondly, mothers’ attitude toward career and sex roles showed open-minded orientation,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Thirdly, mothers’ attitude toward value of work was result-oriented.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educational level. Fourthly, mothers' attitude toward dignity of vocation was form-orien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number of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Significance of Study: The many existing studies on parents’ attitudes toward career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get basic research data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imed at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ar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to contribute to parents’ healthy attitude toward career. As mothers have greater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career currently in Korea, it is also significant that research was conducted for mothers only whose children a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whereas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Another significant thing is that this study could indirectly examine the effect of existing career education, by setting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whereas existing studies have not covered such factors. In conclusion, at this time of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mothers’ role for solving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would be the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arents’ career education which will help to form mothers’ healthy attitude toward career. 어머니는 자녀의 진로선택 및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진로 관은 자녀의 진로 관에 결정적인 변인이다. 이러한 이유로 어머니의 진로 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어머니 진로 관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 어머니의 진로 관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자녀의 바른 진로결정을 위해 학부모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도 어머니의 진로 관에 문제가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진로 관 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직업선택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3. 직업과 성 역할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4. 직업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5. 직업존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1개교씩 단순 무선 표 집 하여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어머니 326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교 급에서 단순 무선 표 집 된 각 반 담임교사에게 본 연구의 의도를 설명하고, 설문지의 배부와 회수를 부탁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t검정, 비 모 수 통계 값(Kruskal Waiils 검정결과)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조사도구는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과 어머니의 진로 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작성하고 진로교육 전문가에게 내용타당 도를 검증 받은 10문항이다. 어머니의 진로 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은 곽병선 외 2인(1982)이 개발한 설문 중 학부모의 진로의식을 묻는 설문 30문항이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부분에서는 첫째,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지 여부는 총 326명 중 '알고 있다'고 답한 어머니는 180명으로 55.2% 이다. 둘째,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태도에서는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 어머니 180명 중 학부모 진로교육에 참석한 적이 있는 어머니는 93명으로 51.6% 이다. 참석 횟수는 특강 1회(34명, 36.6%)에서 2회(35명, 37.6%)에 참여한 어머니가 총 93명 중 74.2%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어머니가 특강을 1회에서 2회 정도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석 여부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학부모 진로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학부모 진로교육을 통해 받은 도움을 다중응답을 통해 알아본 결과 1위를 차지한 것이 '자녀의 특성 이해' 였다. 어머니들의 관심이 '자녀의 특성 이해'라는 개인 정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학부모 진로교육을 통한 기대에서 역시 '자녀의 특성 이해'(57.2%)와 '직업세계의 이해'(24.4%)가 대부분(81.6%)을 차지해 어머니들의 관심이 개인 정보와 직업 정보에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부모 진로교육에 부정적인 이유는 '시간이 되지 않는다'(16명, 44.4%)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진로 관 부분에서는 첫째, 직업선택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자기결정적 경향'을 나타내었고, 하위변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직업과 성 역할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개방적 경향'을 나타내었고, 하위변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직업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결과지향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 어머니의 학력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직업존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형식지향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 학부모 진로교육 참석 횟수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학부모의 진로 관을 조사․연구한 논문들은 학생 대상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 하에 기초 조사 자료로 학부모의 진로 관을 조사․연구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한국 교육의 문제해결 중심에 있는 어머니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는 현 시점에서 어머니의 건전한 진로 관 정립을 위한 학부모 진로교육의 방향과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은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한국의 현실로 볼 때 어머니가 자녀의 진로에 상당한 영향력을 지녔기 때문에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기존 연구는 진로교육 경험의 유무나 참석 횟수 등을 다루지 않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경험 유무와 참석 횟수를 변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진로교육의 효과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솔비톨의 첨가가 강정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백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강정의 제조에 있어서 집청액과 강정의 반대기에 솔비톨을 첨가한 강정을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강정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강정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각각 1.5%와 3%의 솔비톨을 집청액과 반대기에 첨가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에 의해 제조된 강정을 1일, 16일, 31일 동안 저장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청액에 솔비톨을 첨가하였을 때 집청액의 수분함량, 당도, 부착량 및 색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솔비톨을 첨가함에 따라 강정의 이화학적 특성중 수분함량과 관능적 특성의 단맛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과 솔비톨 첨가군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중 수분함량과 관능적 특성 중 촉촉한 정도는 감소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중 과산화물가 및 경도와 관능적 특성 중 가열된 기름향미, 경도, 바삭거리는 정도, 씹힘성 및 이에 붙는 정도는 증가하였다. 저장에 의한 변화는 대조군, 솔비톨 1.5% 첨가군, 솔비톨 3% 첨가군의 순서로 크게 나타나 솔비톨의 첨가가 강정의 저장 중 변화를 지연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1일 저장한 강정은 촉촉한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대조군의 16일, 31일 저장한 강정과 솔비톨 첨가군의 31일 저장한 강정은 가열된 기름 향미, 경도, 바삭거리는 정도, 씹힘성 및 이에 붙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대기에 솔비톨을 첨가하였을 때 반대기의 수분함량과 강정 바탕의 팽화율은 솔비톨 첨가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솔비톨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이화학적 특성 중 수분함량과 관능적 특성 중 팽화된 정도 및 세포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강정의 저장기간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중 과산화물가 및 경도와 관능적 특성 중 파쇄성, 씹힘성 및 이에 붙는 정도가 높아졌으며, 관능적 특성의 응집성, 촉촉한 정도 및 입안에서 녹는 정도는 낮아졌다. 솔비톨 첨가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저장 중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주성분분석을 살펴보면 대조군 1일 저장한 강정은 단맛과 조청향미가 높게 나타났고, 솔비톨 1.5%의 1일 저장한 강정과 3%의 1일, 16일, 31일 저장한 강정은 촉촉한 정도, 응집성, 팽화된 정도, 세포크기, 입안에서 녹는 정도가 높았으며, 대조군의 16일, 31일 저장한 강정은 파쇄성, 가열된 기름향미, 씹힘성, 이에 붙는 정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강정의 저장 중 특성의 변화가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솔비톨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게 나타났다. 특히 솔비톨의 첨가가 강정의 텍스쳐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강정의 제조 단계에 솔비톨을 첨가할 경우 강정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품질 저하현상을 지연시켜 강정의 저장성을 높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reservativeness of Gangjung (Traditional Korean snack; light and fluffy sweet made from glutinous rice and coating syrup) during storage by adding sorbito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Gangjung. For this, sorbitol was added in two different manufacturing steps (coating syrup or Ganjung dough) of Gangjung with different levels of sorbitol (0, 1.5, 3%) and the produced Gangjungs were stored with different periods (1, 16, 31 day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syrup and Gangjung dough were examined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Gangjung were evaluated. When sorbitol was added to the coating syr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syrup itself, however the produced Gangjung had high moisture conten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sweetness (sensory characteristic). As the storing period increased, Gangjung with both no sorbitol added and sorbitol added showed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moistness (sensory characteristic) and increase in peroxide values, hardnes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heated oil flavor, hardness, degree of crispness, chewiness and stickiness to teeth (sensory characteristics).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result of sensory analysis data showed that the Gangjung stored for 1 day had the highest moistness; Gangjung stored for 16-day and 31-day with no sorbitol added and Gangjung stored for 31-day with sorbitol added showed high intensities in heated oil flavor, hardness, degree of crispness, chewiness and stickiness to teeth. When sorbitol was added to the Gangjung dough, the moisture content of Gangjung bandegi and the expansion ratio of Gangjung bas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added level of sorbit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Gangjung with sorbitol added had higher moisture conten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egree of expansion and cell size (sensory characteristics). As storing Gangjung longer, peroxide values, hardnes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racturability, chewiness and stickiness to teeth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creased and cohesiveness, moistness and degree of melting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lowered. From the PCA result of sensory analysis data, Gangjung which was preserved for 1 day and Gangjungs stored for 16 days and 31 days respectively with addition of 3% sorbitol showed high in moistness, cohesiveness, degree of expansion, cell size and degree of melting; 16-day and 31-day storing period Gangjung in control group showed high in fracturability, heated oil flavor, chewiness and stickiness to teeth. Both in sorbitol added group and control group, transformations by storage were presented high in the order of control group, 1.5% sorbitol added group and 3% sorbitol added group turned out to delay the changes during storage. Therefore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happened during storage process and such changes in preserving Gangjung were delayed by putting sorbitol in it. Especially the quality improvement in Gangjung texture was effected greatly by putting sorbitol. The addition of sorbitol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Gangjung could delay the quality deterioration arising from storage and enhance the preservativeness of Gangj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