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부신뢰와 부동산가격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백소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민이 가지는 정부에 대한 신뢰는 정책의 수용과 지지에 영향을 주는데 그 중 특정 정책인 부동산 정책시행에 따른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정부신뢰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정부신뢰, 부동산정책과 신뢰, 부동산 가격요인, 부동산 정책의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독립변수로 정부신뢰를, 통제변수로는 사회·경제적 요인(물가, 지역내총생산)과 국제경제적 요인(환율)을, 조절변수로 정책변수(각 정부별 부동산 정책)인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고자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ㆍ경제적 요인과 국제경제적 요인, 지역, 정부신뢰를 통제한 상태에서는 부동산 정책은 부동산 가격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효과가 있는 반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에 대한 신뢰는 정책의 지지와 수용, 협력을 이끌어내며, 이러한 정책이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시차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각 정부별 정부신뢰의 차이가 실제로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차이는 존재하지만 특정 정부가 모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할 수 없었다. 넷째, 사회ㆍ경제적 요인(지역내총생산, 환율)과 정책적 요인(각 정부별 부동산 정책), 정부신뢰를 통제하고 본 지역별 부동산 가격변화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크게 달랐다. 다섯째, 여러 요인들을 통제하고 시차별, 정부별, 지역별 정부신뢰와 부동산 가격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일관되게 부(-)의 영향관계가 있었다. 종합하면, 그동안의 부동산 정책 중 가격활성화 정책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며, 정부신뢰에 따른 정책의 효과는 시차를 두고 나타나며, 정부신뢰 및 부동산 정책에 따른 부동산 가격변화는 지역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신뢰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실증적으로 정부 신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것은 적었다. 하지만 정부신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과 정책수용자인 국민들이 정책에 순응·지지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는 정책이 가진 정책의 효과보다 정부신뢰로 인한 해당 정책에 대한 지지와 수용이 달라져 정책의 효과·성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부동산 정책 중 가격활성화 정책은 부동산시장에 효과가 있었다. 다만 가격활성화 정책에 대한 정책수용 측면에서 살펴보면 정부신뢰와 부동산 가격 간에는 부(-)의 관계가 존재한다. 셋째, 지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분석결과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인데, 주거복지 측면에서 부동산 정책에 대해 제고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public's trust in the government on real estate prices under certain policies: real estate policy implementation.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government trust and real estate policy was established, and then the prior study on the effects of government trust, real estate policy and trust, real estate price factors, and real estate policy was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which is Government trust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cial, econom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factors as a control variable, government policy(real estate policise for each administration) as a moderator variable. And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al estate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al estate price index under the control of socioeconomic factors, international economic factors, region and government trust. The real estate policies of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re effective, but the real estate policies of Moon Jaein government are not effective. Second, trust in the government leads to the support, acceptance and cooperation of policies, and time differences should be placed in the way that these policies lead to the success of the policies. Third, after empirical analysis of whether the differences in government trust in each government actually affect property prices, it was not possible to say that a particular government had influenced all real estate prices, although differences existed. Fourth, social and economic factors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exchange rate) and policy factors (real estate policies for each government) and government confidence were controlled, and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al estate price changes for each region. Fifth, when controlling various factors a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confidence and real estate prices by time lag, each government and region, there was consistently a negative influence. In sum, the price revitalization policy of the past real estate policy has had some effect, the effect of policy on government trust appears at a time lag, and changes in real estate pric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rust and real estate policy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trust, few have examined how government trust affects empirically.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government trust and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are policy adopters need time to conform and support the policy.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and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are shown to be larger because the support and acceptance of the policy is more different than the effect of the policy. Second, the price revitalization policy among real estate policies was effective in the real estate market. Though terms of policy acceptance of price activation policy,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trust and real estate price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region, the housing rent price is more sensitive than the housing sale price, which shows that the real estate policy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housing welfare.

      • 자기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백소정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how Self-differentiation affects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It focuses on the point of view of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hich are belong to the side of inner feelings in Self-differentiation.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ssertion and Adaption to college life ? Second, does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i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Adaption to college life? To investigate this, we conducted a survey with 400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both gwang-ju and jeon-ju city. After all, 322 survey(Male 106, Female 21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analysis. By using this collected data, we excuted a statistics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SAS 9.3 (proc means, proc calis, proc univariate) program to each study ques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Self-efficacy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Self-asser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is, Self-assertion via Self-efficacy has a indirec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is, Emotional regulation has not only a direc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but also Emotional regulation via Self-efficacy has a indirec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refore, it seems that attempting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Self-efficacy is effective to the student who is having difficulty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due to low level of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conclusion, if we carry out a counseling and an educational program to the student who has difficulty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will be increased and then it will be helpful f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 up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분화의 심리내적 측면에 속하는 자기주장, 정서조절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둘째,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와 전주시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22부(남 106명, 여 216명)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AS 9.3 (proc means, proc calis, proc univariat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주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자기주장은 자기효능감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정서조절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결론적으로 자기주장, 정서조절 수준이 낮아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에게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상담과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시도하지 않은 자기분화의 심리내적 측면만을 분리하여 대학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반성적 사고 교육 연구

        백소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반성적 사고의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반성적 사고는 복잡하고 다양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과정으로 도덕적인 인간, 도덕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 과학적 탐구 방법이다. 도덕교육에서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교육 방법은 이미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어 왔다. 듀이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가치분석과 가치명료화 그리고 립맨의 탐구 공동체는 도덕적 탐구 방법의 예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듀이가 제안한 반성적 사고의 본질적 취지인 성장이라는 목표를 약화시키고 인지적 추론을 중심으로 시행됨에 따라 감정과 상상력의 역할을 간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도덕적 상상력은 타인에게 공감하고 인간의 복지와 번영에 도움이 되기 위한 결과를 상상하는 능력으로 성장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다원화가 심화되고 인지와 정서가 통합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졌으므로 감정과 상상력의 역할을 강조하는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반성적 사고의 중요성이 조명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세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현대사회에서 반성적 사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도덕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반성적 사고의 한계를 규명한다. 둘째, 도덕적 이해의 상상적 특성을 논의하고 도덕적 상상력은 인지와 정서가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힌다. 셋째,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반성적 사고 과정을 재구성하고 이에 따른 도덕교육에서 반성적 사고 교육의 원리와 실행 방안을 제안한다. 인간이 도덕적 문제를 이해할 때는 원형, 이미지도식, 은유적 투사, 서사적 통합의 상상적 기제가 사용된다. 복합적이고 다양한 도덕적 문제 상황은 개인의 경험에 의한 유추를 통하여 문제의 원형이 인식된다. 그리고 문제의 원형이 감정을 불러 일으켜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인지와 정서가 통합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요소는 도덕적 지각, 정서, 상상적 합리성, 자기배려, 반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서로 상보적으로 영향을 주며 작용한다. 그리고 반성적 사고에서 도덕적 상상력의 기능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공감은 문제 해결의 기본 원리로서 기능한다. 둘째, 도덕적 상상력은 개인 경험의 확장을 통해서 문제 상황을 넓은 관점에서 바라보고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도덕적 상상력은 반성적 사고의 추론 과정에서 제시된 아이디어를 통해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어떤 결과가 나올지 서사적 맥락 속에서 상상하고,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반성적 사고를 인지적 추론과 상상적 추론의 상보적 과정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반성적 사고 교육의 원리는 세 가지이다. 첫째, 학습 경험의 지속성과 상호작용의 원리이다. 둘째, 의도적인 상상으로 도덕문제를 탐구한다. 셋째, 학습자의 맥락을 반영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학작품 ‘자전거 도둑을 활용하여 반성적 사고의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반성적 사고는 도덕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반성적 사고는 당면한 문제 해결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반성적 사고 교육의 역할을 앎의 영역을 넘어서서 실천의 영역에까지 확장시켰다. 둘째, 도덕적 상상력의 기본원리인 공감이 반성적 사고의 전 과정에 기능함을 규명하여 도덕문제 해결에 있어서 공감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 화용언어능력 직접 및 간접 평가를 통한 학령기 언어장애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화용언어 특성 비교

        백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적, 의사소통적 맥락에서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화용언어능력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Martin & MacDonald, 2003). 화용언어능력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은 상황에 따라 언어나 비언어적인 요소들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사회성 기술 습득이나 습득한 기술 활용의 어려움이 나타난다. 이는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므로, 화용언어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교수 및 중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Volden & Phillips(2010)와 Hoffmann et al. (2013)은 아동들의 화용언어능력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중재를 위해서는 간접평가방식과 직접평가방식이 상호보완적으로 실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전반적인 화용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도구가 없다. 이에 따라 화용언어능력을 평가하는 간접평가방식의 과제와 직접평가방식의 과제를 통해 국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조사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 개발에 보탬이 될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화용언어능력에 결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언어장애아동들의 화용언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게 두 집단의 구별되는 특징에 따른 화용언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와 언어수준을 지닌 고기능자폐아동과 화용문제를 지닌 언어장애아동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화용결함 양상을 비교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일반아동, 고기능자폐아동,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간접평가방식의 과제와 직접평가방식의 과제를 통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것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 세 집단이 직접평가과제를 통한 화용언어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세 집단이 간접평가과제를 통한 화용언어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3) 세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은 평가 방식(간접평가과제, 직접평가과제) 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초등학교 1학년~5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아동 8명, 고기능자폐아동 8명,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7명, 총 23명이었다. 세 집단 간 평가방식(직접평가과제, 간접평가과제)에 따른 총점을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검정인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고, 동일한 통계검정을 이용하여 직접평가과제의 하위영역(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상황 문맥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담화 및 이야기 규칙,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 참조, 반어 및 비유)과 간접평가과제의 하위영역(담화관리, 의사소통 의도, 상황에 따른 변이, 비언어적 의사소통)별 점수의 집단 간 차이를 각각 분석하였다.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 집단별 평가방식에 따른 결과 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해 Spearman의 등위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평가과제에서의 세 집단 간 화용언어능력을 비교한 결과, 직접평가과제의 ‘담화 및 이야기 규칙’,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 ‘참조’, ‘반어 및 비유’ 하위영역의 정반응률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결과, 직접평가과제의 ‘담화 및 이야기 규칙’,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 ‘참조’, ‘반어 및 비유’ 하위영역의 정반응률에서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담화 및 이야기 규칙’ 하위영역의 정반응률에서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고,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 ‘참조’ ‘반어 및 비유’ 하위영역의 정반응률에서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이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간접평가과제에서의 세 집단 간 화용언어능력을 비교한 결과, 간접평가과제의 모든 영역(전체,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변이,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결과, 간접평가과제의 전체 척도평균과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변이’,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하위영역의 척도평균에서 고기능자폐아동 집단과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고기능자폐아동 집단과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집단 간에는 간접평가과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세 집단별 과제의 평가 방식(직접평가과제, 간접평가과제)에 따른 화용언어능력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 집단은 간접평가과제와 직접평가과제에서 평가된 화용언어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반면,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은 간접평가과제의 ‘담화관리’와 직접평가과제의 ‘담화 및 이야기 규칙’ 하위영역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은 간접평가과제의 전체 척도평균과 직접평가과제의 ‘참조’ 하위영역 간, 간접평가과제의 ‘의사소통 의도’와 직접평가과제의 ‘참조’ 하위영역 간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평가하는 국내 표준화된 평가도구가 없는 실정에서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평가하는 간접평가과제와 직접평가과제를 모두 실시함으로써 일반아동들과 화용언어능력에 두드러진 결함을 지닌 아동들의 화용언어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직접평가과제를 통해 세 집단(일반아동, 고기능자폐아동,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중 일부 영역에서 일부 집단들 간의 차이만을 밝혔고, 간접평가과제를 통해 일반아동 집단과 장애아동 집단 간의 차이를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평가에만 포함된 의사소통 의도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문항들이 화용평가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직접 평가하기에는 어려운 기초적 의사소통 행동은 양육자의 보고를 통한 간접 평가를 통해서라도 보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언어장애아동의 화용언어능력 결함여부를 선별하지 않았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화용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언어장애아동들을 따로 선별하여 화용언어능력의 특징을 살펴봤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고기능자폐아동 집단과 화용문제가 있는 언어장애아동 집단 간 화용언어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한 것은 임상에서 이러한 임상군의 평가 및 중재를 계획할 때 아동들의 구체적인 화용언어능력의 특징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school-aged children who have pragmatic deficits with language disorder(LD) and high functioning autism(HFA), using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First,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TD, LD, HFA) in the total scores and the scores of each sub-category of direct assessment was examined. The indirect assessment among the three groups(TD, LD, HFA) were also explored to uncovered differences. Finally, correlations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with direct assessment and indirect assessment for three groups were calculated. This study had 23 participants, school-aged children from 1st grade to 5th grade consisting of 8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7 children with pragmatic deficit with language disorder and 8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by age. They completed a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hildren with HFA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hildren on the direct assessment’s score of discourse & story regularity, indirect expression in comprehension and management, referential communication, ironical & figurative expression. The children with LD also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than TD children on the discourse & story regularity of direct assessment. In addition, the LD group outperformed than HFA group on the indirect expression in comprehension and management, referential communication and ironical & figurative expression of direct assessment. 2)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all the categories of the indirect assessment(total, discourse management, situational variations, communicative intentions, nonlinguistic communication). However, only the T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with LD and HFA. In other wor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ores on the indirect assessment between the LD and HFA groups. 3) Third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agmatic abilities of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for each group were as follows. In the HFA group, discourse management of indirect assessment was found to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discourse & story regularity of the direct assessment. In the LD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 of indirect assessment and referential communication of direct assessment.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intentions of indirect assessment and ‘referential communication’ of direct assess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betwee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orders in indirect assessment and it just showed differences between some groups in some of the direct assess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estions regarding communicative intentions and nonlinguistic communication included in indirect assessment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pragmatic assessment.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basic communicative behaviors which are difficult to evaluate with direct assessment should desirably be supplemented with indirect assessment, such as the parents' report. Furth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D group and the HFA group i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ecific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when we make a plan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these clinical populations in a clinical setting.

      • 위험수용성향에 따른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소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저금리와 고령사회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투자의 성과는 불확실성이 커서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투자상품 가입 시 각 증권사는 '표준투자권유준칙'을 투자자 성향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권유해야 한다. 그러나 증권회사의 잘못된 투자성향 판정으로 인해 금융소비자가 감당하기 어려운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는 투자상품에 가입하면 투자 손실로 이어지기 쉽다. 대다수 선행연구에서 투자상품 가입과 관련한 의사결정과 관련한 내용을 다룬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 및 가계 투자자 입장에서 중요한 투자의 성과 즉, 펀드 손실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융소비자로서의 개인 및 가계 펀드투자자의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투자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우선 위험수용성향 수준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개인 및 가계 투자자들이 펀드를 환매한 이유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위험수용성향과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따른 환매 이유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이 조사한 2018년 펀드투자자조사의 원자료이며, 전국의 25세-64세 성인 남녀 중 가계 금융거래 직접 결정자 또는 의사결정 참여자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독립표본 t-test,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험수용성향 유형별 금융소비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남성),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서울), 직업유무(+), 직접투자상품보유(+), 간접투자상품보유(+), 현재펀드 투자여부(+), 투자자교육 경험(+), 재정상황(+), 월소득(+), 금융자산(+), 총자산, 주관적 금융이해력(+), 객관적 금융이해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위험수용성향(-), 현재펀드투자여부(-), 금융자산(-), 주관적 금융이해력(-), 객관적 금융이해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수용성향에 따른 환매 이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익률’, ‘현금 필요’, ‘부정적인 정보’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따른 환매 이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변 판매 권유’ 항목이 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위험수용성향 집단별로 펀드투자 손실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위험회피형과 위험추구형의 경우, 펀드투자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재펀드투자여부(-)이었다. 위험중립형의 경우, 영향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에 위험수용성향을 포함하여, 전체 대상자의 펀드투자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을 때, 펀드투자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현재펀드투자여부(-), 주관적 금융이해력(-)이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에 근거해 볼 때, 금융소비자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투자손실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봄으로써 투자손실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투자가 불가피해진 현실을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 전체 금융소비자의 투자성향이 지나치게 위험회피적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펀드 환매 이유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환매에 따른 투자전략의 부재가 펀드투자자의 손실로 이어지는 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투자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Consumers are more interested in investment because of low interest rates and the aging socie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sults of investments is uncertain and investor’s investment value might rise or fall. Each securities company should recommend suitable products according to the investor's risk tolerance when signing up for investment products. However, it is likely to cause investment losses if consumers subscribe to the investment products which are exposed to risks that they cannot afford due to securities firms' misguided investment-oriented decisions. While most previous studies had dealt with decision-making related to purchasing of investment products and services, this study dealt with result of investment, especially investment loss for individual and household investor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the raw data of the 2018 Fund Investor Survey, which was investigated by Korea Financial Investors Protection Foundation.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binary regression, using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consumers by types of risk tolerance indicate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male), age(∩), education level(+), living area(Seoul), occupation status(+), direct investment product holding(+), indirect investment product holding(+), whether have current fund investment(+), investor education experience(+), financial status(+), monthly salary(+), financial assets(+), total assets,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consumer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lose fund investment show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tolerance(-), current fund investment(-), financial assets(-),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Third, the difference analysis of repurchase reason according to risk tolerance shows tha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rate of return', 'cash required', 'negative information'.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about repurchase reason according to whether the fund investment is lost or not, shows statistical difference in ‘recommendation of repurchase' item. Fourth, when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und investment, variables affecting the fund investment loss are the current fund investment (-) and the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 In summary,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ial consumers, it is meaningful to find variables to reduce investment loss. It is needed to reinforce the contents of repurchase strategies in investor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risk tolerance it’s notable that the people's risk tolerance is biased towards avoiding risk excessively considering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investment is inevitable.

      • 40m급 콘크리트 펌프카의 구조해석 및 안전성 평가

        백소정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Concrete pump car is a construction equipment that continuously supplies the concrete by using hydraulic pressure. When manually casting concret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final quality of the concret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ure between the pre-poured and subsequent concretes. Concrete pump car is most efficient machine to supply the concrete in the shortest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margin of safety of a mobile concrete pump during operation. In this paper,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concrete pump car was verified by static/dynamic analysis at various position angles, and the analytic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o verify the static analysis, the strains using strain gages were measured experimentally and compared with strains by FEM. In addition, the maximum displacement during the pumping was measured and it was used for fatigue analysis to evaluate the dynamic structural safety.

      • Women’s Cooperative Motivation towards Ovulating Women Under Male Threat Context

        백소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omen’s intrasexual cooperation as a function women’s partner competitiveness and other woman’s fertility. It was expected that when the interacting target is depicted as being threatened by a male, women with highly competitive partner would show more cooperative motivation toward fertile target than non-fertile target. Contrary to the hypothesis, it was found that women with less competitive partner showed lower level interaction intention to fertile woman than non-fertile woman. Additional supplementary study was implemented to observe women’s psychological perception towards the fertility cue of male-threaten target and found that women perceive more risk in fertile target than non-fertile target.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primitive but novel evidence that women’s cooperative motivation towards other same-sex target operate in functionally flexible ways on soci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