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과 M.9대목의 길이가 후지와 홍로 품종의 생장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백봉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Kinds of rootstocks and their length are two important determinants in controlling tree size of apples (Malus domestica Borkh.). To determine the optimum length of M.9 for Fuji and Hongro apples, the trees were planted in 1999 to expose 0, 10, 20, and 40 cm of the rootstock. Tree growth and fruit production were then evaluated for six years. Also studied were the differences in mineral elements, non-structural carbohydrates, and the flow of xylem sap to relate the differences in tree growth to these parameters. 1. Tree growth The longer the rootstock, the less the increase in TCSA and trunk circumference of Fuji by the sixth year after planting. The 20- and 40-cm M.9 resulted in a 72 and 49% of TCSA compared with the 0-cm M.9. The trees grew to 3.5 m in height and 2 m in width after four, three, and five years when the exposed length of M.9 was 0, 10, and 20-cm long, respectively. When M.9 was 40-cm long, the trees peaked at 2.3 m after three years of planting and the width started declining thereafter. The longer the length of M.9, the less the shoot growth and leaf areas of 6-year-old Fuji trees. The swelling of the rootstock was obvious, and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did the rootstock swell less at the lower side. Total dry weight (DW) of a 6-year-old Fuji tree was low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Aerial parts weighed 9.7, 7.1, 6.0, and 3.2 kg, and the top-to-root ratio was 2.8, 3.3, 3.3, and 3.8, when M.9 was exposed 0, 10, 20, and 40 cm, respectively. In general, DW was distributed most in the trunk, followed by the laterals, old roots, root stump, shoots, and new roots, in this order.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a higher proportion of DW was partitioned to the trunk and a lower proportion to the laterals. The proportions of DW in the trunk, the laterals, and the shoots were lower at the upper area of the crown, however, their proportion at the lower area increased with a longer M.9. In Hongro trees, trunk circumference and TCSA increased less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The TCSA of 6-year-old trees with 10-, 20-, and 40-cm M.9 was 82, 57, and 34% of that with 0-cm M.9. Rootstock circumference was greater in Hongro than in Fuji trees when M.9 was 10-cm long; it was reversed when M.9 was 40-cm long. Trees on 0- and 10-cm rootstock grew to 3.5 m in four years and those on 20 cm in six years. Those trees on 40-cm M.9s, however, peaked at 2.3 m by two years after planting and grew no more. The length of M.9 affected tree width as it did tree height. Shoot and leaf growth decreased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total leaf area of a 6-year-old tree on a 40-cm M.9 was 5.9 m2, and leaf area index was lower than one.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from 0 to 10, 20, and 40 cm, DW in the aerial parts of a 6-year-old Hongro tree reduced from 9.9. to 6.0, 4.5, and 2.6 kg and that in the root from 4.0 to 2.5, 1.8, and 1.1 kg, respectively. DW was partitioned most to the trunk, followed by the laterals, old roots, root stump, shoots, and new roots, in this order. The proportion of DW partitioned to old roots in Hongro was higher than that in Fuji, especially with a longer M.9. As M.9 length increased, a higher proportion of DW was in the trunk, shoots, and especially the laterals below the 150-cm section of the trunk. 2. Tree Composition and the Flow of Xylem Sap In Fuji, leaf nitrogen (N), potassium (K), and magnesium (Mg) decreased from their highest concentrations in May. Phosphorus (P) concentration tended to increase throughout the season. Only P and K concentrations tended to be low with a longer M.9. Leaf concentrations in July were 1.8-2.1% for N, 0.2-0.4% for P, 0.7-1.1% for K, 0.9-1.1 for calcium (Ca), and 0.3% for Mg. A 6-year-old Fuji tree contained 4-7% soluble sugars and 4-16% starch. More starch was partitioned to the root with no significant length effect of M.9. N, P, K, and Mg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shoots, old roots, and new roots, and with no length effect of M.9; they were relatively low in the laterals, the trunk and the root stump. Per-tree contents of N and K were high in the laterals and the trunk, and those of P and Mg in old roots. In general, the length of M.9 did not affect the concentrations, so that lower DWs due to a longer M.9 resulted in lower contents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and mineral elements. Seasonal changes in mineral elements of Hongro leaves indicated that N, K and Mg gradually decreased, whereas P increased, after May. Ca tended to decrease after July. N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Hongro than in Fuji leaves. The length of M.9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concentrations of leaf N, Ca and Mg, but those of P and K were lower with a longer M.9. In a 6-year-old Hongro tree, soluble sugars in aerial parts were at 5% and those in the root at 8% regardless of the length of M.9. Sugar contents in a tree were most in the trunk, followed by the laterals and old roots, and root stump, in this order. Starch in aerial parts of 6-year-old trees was at about 5%, whereas that in the roots at 7-17%. Most starch was in old roots, followed by the trunk, the laterals, and root stump. Shoots and new roots contained the least amount of soluble sugars and starch, due more to low DW than to their concentrations. Old roots and aerial woods of a Hongro tree tended to contain more inorganic elements in a 6-year-old tree; the contents in these organs tended to become lower as M.9 length increased. Sap flow in a 6-year-old Hongro tree, most active in August, amounted to 138, 78, and 56 liters per tree when M.9 was 10-, 20-, and 40-cm long. The distance of sap flow an hour was 12.7, 9.6, and 8.7 cm. 3.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Fuji started fruiting by the third year after planting, producing 6-8 kg of fruits per tree; the length of M.9 did not affect the time for the first fruiting nor the per-tree yield. The cumulative yield for four years was ca 71 kg with 0-, 10-, and 20-cm, and 58 kg with 40-cm M.9. However,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the cumulative yield efficiency of a 6-year-old tree was 1.8, 2.0, 2.5, and 3.1 kg․cm-2 TCSA, respectively. Fruit quality differed a little depending on the year, but with little difference by the length of M.9 in any particular year. Hongro started fruiting in the second year after planting, producing about 3 kg of fruits per tree. Fruit yield continuously increased by the fifth year, but it declined in the sixth year. The cumulative yield for five years was 52, 60, 52, and 41 kg with 0-, 10-, 20- and 40-cm M.9. However, as the length of M.9 increased, the cumulative yield efficiency increased, a 6-year-old tree of which being 1.5, 2.1, 2.6, and 3.4 kg․cm-2 TCSA, respectively. The length of M.9 did not appear to affect fruit quality in any year.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백봉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on the social capital in adolescents.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are mentioned as the effect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olicy. This paper also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The Survey for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2011 to October 15, 2011 targeted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Kyonggi-do. 1,198 cases were collected and 1,160 evaluation forms were made use of it. The study utilized SPSS 12.0 for analysis, and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s descriptive analysis, analysis of item-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aised. First, is ther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elf-esteem, social development, school resilience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ocial capital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Third,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need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Fourth, do affect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self-esteem in school. general self-esteem on social capital level? Fifth, do affect a law-abiding spirit, on social capital level? Sixth, does affect school resilience on social capital level? Seventh, which independent factor is the most influential on social capital? The study utilized SPSS 12.0 for analysis, and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s descriptive analysis, analysis of item-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ame as belows: Fir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needs of education welfare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In brief, the advantaged students had more needs on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after-school-culture program. Second, self-esteem and school resilience of the disadvantag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advantaged students. Third, level of trust was higher in the disadvantaged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 the advantag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norms was higher in the advantaged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 the disadvantag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networks was higher in the advantaged students. Fourth,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and general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to trust. To norms, social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school had positive influence but self-esteem in family had negative influence.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and general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to networks but self-esteem in school had negative relation with networks. Fifth,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development, volunteer tendency, diligence, autonomy had positive influence to trust. and law-abiding, diligence, autonomy, leadership had positive influence to norms. To networks volunteer tendency and diligence had positive influence. Sixth, school resilience had influence on social capital. In the subordinate factors school attitude had positive influence on trust, school law-abiding and school interest had positive influence on Norms, school attitude had positive influence and school interest had negative influence on networ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improvement and for the future study. First, when the program is planed, needs of juvenile should be regarde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after education welfare program depending o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olicy learning and culture programs increased but another fields of programs, for exampl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had no changes. Second, the level of trust was higher in the disadvantaged student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o trust were volunteer tendency, diligence and autonomy. To improve trust of juvenil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at students organize voluntary organization themselves in school. Third, the influential factors on norms were law-abiding, school-rules observance, leadership, diligence, self-esteem in school, volunteer tendency, autonomy and schol-life interest. it means that internalized rules standards affect norms observance in group. Therefore, more programs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norms, should be planned. Fourth, to networks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school, diligence, attitude in school, volunteer tendency had influence. Considering social capital comes from relationships, networks is very important. And it is possible that an individual's overall personality is the main factor in relationship. So, it is necessary to empower juvenile and to give them confidence in themselves.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개개인의 삶은 훨씬 풍요로워졌으나 빈부격차와 개인화 그리고 경제위기 이후의 가족해체 등으로 인해 삶의 질은 그다지 높아지지 않았다. 더구나 경제위기라는 사회적 불안이 가정의 해체와 위기를 심화시키면서 가정 안에서 보호받고 발달해야 할 청소년들은 다양한 위험요인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학업에 대한 과열경쟁과 사교육비 지출의 불평등은 빈곤층 청소년의 학교부적응과 학력저하를 초래하는 심각한 교육적 불평등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 교육적 불평등은 단순히 현재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청소년들이 누려야 할 기회와 보장을 저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때문에 이러한 교육차별을 시정하고 청소년들이 미래에 사회구성원으로서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교육복지지원 사업을 펼쳐 그러한 격차를 줄이는 한편 삶의 질을 높이고 청소년들을 훌륭한 인적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을 펼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제 3의 자본으로 대두되는 사회적 자본은 인간관계 상에서 협력을 촉진시키는 일체의 사회적 자산을 일컫는 것으로 사회생활 상 각 부문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도의 압축적인 경제성장에 비해 매우 낮은 사회적 자본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지속적이고 건전한 사회의 성장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확충과 축적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복지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성으로 거론되는 자존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얼마나 영향력을 갖는지 그 관계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집중대상 청소년과 일반대상 청소년의 자존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집중대상 청소년과 일반대상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집중대상 청소년과 일반대상 청소년의 교육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사회성의 5가지 하위영역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여섯째, 학교적응유연성의 3가지 하위영역은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 일곱째, 독립변인들 중 사회적 자본-신뢰, 규범, 네트워크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용어가 가진 의미를 확인하는 한편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는 경기도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와 4개 중학교의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 사업 집중대상과 일반대상 학생 1198명을 대상으로 배포, 수거되었으며 이 중 결측치를 제외한 116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프로그램의 각 영역에 대해 집중대상과 일반대상 학생들의 욕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복지프로그램의 학습영역에 대한 욕구는 집중대상 청소년의 욕구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체험에 대한 욕구는 교과외방과후 활동에 대한 욕구는 집중대상 학생들이 더 높았으나 기타 영역에 대한 욕구는 일반대상 청소년들의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건강에 대한 욕구 역시 일반대상 청소년들의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정서에 대한 욕구는 가족상담, 사회성향상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제외하고는 집중대상 청소년의 욕구가 더 높았다. 이렇듯 교육복지프로그램의 각 영역에 대해 두 집단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중대상 학생들의 욕구는 학습영역에 대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총체적 자존감과 학교적응유연성을 집중대상에 비해 일반대상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총체적 자존감은 교육복지집중대상 청소년이 일반대상 청소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존감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은 일반대상 청소년이 집중대상 청소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적 자존감의 경우 일반대상 청소년이 집중대상 청소년에 비해 낮았다. 사회성의 하위영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준법성의 경우 초등집중대상이 초등일반집중대상에 비해 높았으며 중학생은 집단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봉사성의 경우 초등집중대상에 비해 초등일반대상이 높았으나 중학생은 집단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근면성과 지배성은 초중등 모두 일반대상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집중대상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적응유연성에서 총체적 학교적응유연성은 일반대상 청소년이 더 높았고 하위영역 중 학업성적태도의 경우 초등집중대상에 비해 초등일반대상이 높았으나 중학생은 일반대상에 비해 집중대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규범준수의 측면에서는 차이가 매우 미미했으나 일반대상 청소년이 약간 높았고 학교생활흥미에 있어서는 초중등 모두 집중대상 청소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 중 신뢰영역은 초등학생은 일반대상이, 중학생은 집중대상이 더 높았고 규범은 초등집중대상과 중등일반대상이 높았으며 네트워크는 초중등 모두 일반대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존감의 하위영역이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은 사회적 자본 중 신뢰에 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이 높을수록 신뢰도 높아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사회적 자본 중 규범에 대해서는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정적 자존감은 부(-)적 관계를 사회적 자존감과 학교적 자존감은 정(+)적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는 가정적 자존감이 높아지면 규범은 낮아지며 사회적 자존감과 학교적 자존감이 높아질수록 규범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에 대한 자존감의 영향은 모두 학교적 자존감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적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사회적 자존감, 가정적 자존감, 일반적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가 높아지며 학교적 자존감이 높아지면 네트워크도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사회성의 하위영역이 사회적 자본 중 신뢰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은 모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이 높아질수록 신뢰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적 자본 중 규범에 대한 사회성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준법성, 근면성, 자율성, 지배성은 규범에 대해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봉사성과 근면성이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유연성이 사회적 자본 중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학교수업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범에 대해서는 학교규범준수와 학교생활흥미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학교수업태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생활흥미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흥미가 높을수록 네트워크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가설 6에 대해서도 하위가설 중 일부는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는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러 독립변인들 중 사회적 자본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사회성 중 봉사성, 학교수업태도, 근면성 등이 중요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외에도 사회적 자존감이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적 자존감과 학교규범준수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규범에 대해서는 준법성, 학교규범준수, 근면성, 지배성 등이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생활흥미, 학교수업태도는 부(-)적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결론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교육복지프로그램 및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이 교육복지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방향을 청소년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구가 경기도 지역에 제한되어 실시되었기 때문에 일반화시킬 수는 없으나 프로그램의 증가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었으나 학교 차원의 변화인식은 낮았다. 따라서 학습과 문화 프로그램 외에 정서적 지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체적인 사회적 자본은 집중대상 청소년보다 일반대상 청소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으나 네트워크에서는 초등생과 중등생 모두 일반대상이 높았다. 신뢰 또한 일반대상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봉사성, 근면성, 자율성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자율적인 봉사활동을 조직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규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준법성, 학교규범 준수, 지배성, 근면성, 학교적 자존감, 봉사성, 자율성, 학교생활흥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에서 내면화된 사회규범과 그것을 지키려고 하는 의식이 집단의 규범준수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학교에서 학생자율조직을 조직화하고 그 조직의 규범을 지키도록 함으로써 규범을 준수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생활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함으로써 학교에 대한 흥미를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자존감, 학교적 자존감, 근면성, 학교수업태도, 봉사성이 있었다. 네트워크는 협력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연결고리이며 사회적 자본이 관계 속에서 생겨나는 자본이라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관계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개인적인 특성 또한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