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라헤르츠를 이용한 회화문화재의 구조진단과 안료분석 연구

        백나연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회화문화재는 채색층, 지지층, 배접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재료는 매우 다양하다. 이로 인하여 회화문화재는 구성에 따라 열화양상을 띠게 된다. 회화문화재 보존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기법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수집되어야 하므로 과학적인 분석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문화재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비파괴적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기존에는 회화문화재 진단을 위하여 육안관찰, 적외선촬영, X선 촬영 등을 활용하였으나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보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테라헤르츠 이미징 분석을 적용하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테라헤르츠 이미징 측정 결과 안료에 따른 반사도 차이가 감지되었으며 3D 이미징 분석을 통해 내부 층위 관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내부 층위 간 이격에 대하여 형태와 범위, 손상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이격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었다. 또한 주파수 분해를 통한 이미지 관찰을 통해 내부 층위의 균열 및 보강 부위를 감지하였다. 이와 같이 회화문화재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손상형태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실제 문화재 조사 시 복합적인 형태의 손상유형을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채색된 안료에 대한 테라헤르츠 스펙트럼 측정 결과, 3 THz 이하의 영역에서 연단, 진사, 석청, 밀타승, 쪽에 대한 안료별 흡광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무기안료 위에 유기안료를 사용하여 이중층위로 채색한 시료의 경우 하부층 무기안료의 흡광특성만이 검출되었다. 테라헤르츠 이미징 분석의 문화재 적용 결과, 유물의 특징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손상 형태가 나타날 수 있는 실제 문화재 조사에 대한 진단이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탱화와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손상 형태와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문화재 분야에서 적용되기 시작한 테라헤르츠 분석기술에 대하여 회화문화재의 비파괴 진단법으로써의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테라헤르츠 이미지를 활용한 내부관찰은 기존에 사용되던 X선 촬영과는 또 다른 영역으로서, 관찰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의사시편 제작을 통해 손상 유형에 따른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현재 테라헤르츠 분석기술은 평면과 3D 이미지 획득이 모두 가능하여 지점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매우 방대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및 활용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문화재 분야의 적용 초기 단계로서 지속적인 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테라헤르츠 3D 이미지를 통한 대상물의 구조적인 조사 방법과 더불어 추가적인 안료 및 재질 분석을 위한 테라헤르츠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술을 통한 회화 진단법 연구

        백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재료적 특성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열화 양상을 띠는 회화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진단하는 이유는 재료와 기법을 규명하고 손상 상황을 파악하여 보존처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또한 최근에는 회화의 과학적인 조사 결과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 확장되고 있어 회화의 채색 기법 및 미술사적 정보 규명과 더불어 감정 분야에서 진위 여부 판단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과학적 조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회화 진단에는 측광 조명을 활용한 고화질 사진을 기본으로 적외선과 자외선, X선 투과 이미지 등이 활용되어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평면적인 정보, 이른바 2D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에 채색층의 층위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시료를 확보하여 단면을 관찰하는 파괴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파장별로 침투 및 투과 특성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적용방법에 따라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가 확보될수록 유리하다. 테라헤르츠파는 기존 이미징 기술의 파장 특성으로 인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술품 진단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테라헤르츠 이미징 분석은 기존 이미징 방법으로는 획득할 수 없었던 단면에 대한 정보를 시료 채취나 전처리 없이 비파괴 방식으로 획득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별성을 가진 기술이다. 테라헤르츠 이미지는 비교적 직관적으로 특징이 관찰되기는 하나, 이미지나 펄스 신호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료적 특성과 분포 상태 등 다양한 상황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한다. 따라서 연구자에게 다양한 사례 경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화의 진단법 연구를 위해 구조 진단과 채색 특성 진단 파트로 구분하여, 시편 제작 및 분석을 통해 지지체 구조와 재료적 특성에 따른 테라헤르츠 이미지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실제 한국화 및 유화 작품에 대한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회화의 구조 진단을 위해, 한국화와 유화의 표장 형태를 반영한 시편으로 내부 구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결과, 나무틀에 고정된 한지 또는 아사천의 상태와 더불어 지지체가 당겨진 방향과 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도출하였으며 복잡한 배접 구조를 가진 병풍의 내부 배접지 수량과 접착 상태를 진단할 수 있었다. 시편을 통해 확인한 사항들을 활용하여 병풍이나 족자로 표장된 한국화의 배접 방식 및 구조와 유화의 배접 방식을 진단하였다. 채색 특성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채색 재료에 대한 기본 특성이 테라헤르츠 이미지에 반영되는 양상을 시편을 통해 확인하였다. 아교의 농도가 증가하면 반사도가 높아지고 안료의 입도가 거칠어질수록 반사 강도가 낮아진다. 주요 안료의 상대적 반사 강도를 비교하였으며, 금속 성분의 안료 사용된 경우 모든 신호를 차단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단면 이미지를 관찰하고 두꺼운 채색층을 올리는 기법이 사용된 경우 낮은 주파수의 이미지를 관찰하여 실제 작품의 채색 기법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다른 비파괴 분석법에서 감지하기 힘든 정보인 물감에 첨가된 교착제 및 첨가제의 차이가 테라헤르츠 이미지에 반영되는 것을 시편과 한국화 진단을 통해 확인하였다. 채색 패턴을 찾기 위해서는, 붓자국 감지에 대한 테라헤르츠 이미지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거친 패턴에서부터 섬세한 패턴까지의 유화를 대상으로 이미지 진단을 통해 채색 도구, 붓의 길이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침투력이 높은 테라헤르츠 이미지를 통해 밑그림을 진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밑그림이 감지될 수 있는 조건이 어떠한 것인지 시편을 통해 탐색하고 밑그림이 있는 유화의 진단 사례를 함께 대조하여 정보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시편과 회화 작품을 통한 회화 구조 및 채색 특성 진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캔 장치 적용법과 테라헤르츠 이미지를 활용한 회화 진단법, 이미지 해석 지침을 도출하였다. 장치 적용 시 분석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여 테라헤르츠 이미징 장치의 방식에 따른 특성을 인지한 후에 분석자가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회화 진단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유형을 데이터화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따라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 및 비접촉 분석 방식으로 기존의 이미지 진단법을 보완하는 장점을 가진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술을 다양한 상태의 회화 진단에 적용하고 그 특성을 정리하여 진단법을 제공하였다. 테라헤르츠 이미징 기술은 회화를 해체하지 않고도 구조적 결함을 진단하여 보존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보존처리 후 배접의 상태와 수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괘불이나 병풍의 보존처리 감리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미술사적 측면에서 기록상 알려진 것뿐만 아니라 아직 발견되지 않은 제작기법 등 특성에 대해서도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다. 뿐만아니라 미세한 상태를 반영하는 이미지 특성을 이용하여 회화의 특징적인 사항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테라헤르츠 이미지는 회화의 이력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써 회화 감정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Paintings manifest a wide range of deterioration patterns depending on their materials and structures. We diagnose paintings for deterioration using scientific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damage and establish a plan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addition, new areas are emerging that require scientific examination of paintings. Scientific examination has come to take on greater importance in relation to identifying painting techniques used in paintings and ascertaining historic information about them, as well as in the field of artwork authentication. Technologies used for painting diagnosis include high-resolution photographs taken with sidelights, as well as infrared, ultraviolet, and X-ray images. However, these methods produce two-dimens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n each painting layer, we have to choose a method designed to examine the cross-section of specimens taken from a paint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pose different limitations depending on wavelength and permeation/penetration characteristics. As such, in order to achieve better results, diverse examination methods need to be used to maximize the information drawn from a painting. In the same vei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used by the wavelength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imaging technologies, terahertz imaging technique began to be utilized in diagnosis of paintings. Terahertz imaging techniqu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maging method in that it allows analyst to obtain cross-sectional information without damaging the art work.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used in a painting, is required for the understanding of terahertz images and pulse signal patterns. Thus, it requires researchers to have experienced diverse cases. This study on painting diagnosis methods consists of two parts: structural diagnosis and coloring characteristic diagnosis. By taking and analyzing specimens, the researcher examined changes in terahertz images caused by different support layer structures and materialistic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ed the findings on actual Korean paintings and oil paintings.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scope of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terahertz imaging technique, and matters to consider when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The researcher also studied ways to utilize terahertz imaging technique when developing a plan for painting diagnosis. For a structural diagnosis of paintings, the researcher obtained information on the specimens’ internal structures based on the mounting style for Korean paintings and oil paintings. Information was obtained that allows for estimation of the status of hanji paper or linen fixed on wooden frames, and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stretching of the support layers. The information allowed for the diagnosis of the quantity of inner lining paper of folding screens with complex lining structures, as well as the bonding status of lining paper.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pecimens was used to diagnose the bonding methods and structures of Korean paintings mounted in folding screens or scrolls, and the lining methods of oil paintings. In order to diagnose painting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used the specimens to examine how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oloring materials are reflected in the terahertz images. Along with changes in reflectance intensity caused by the concentrations of animal glue and the particle size of pigments, the researcher compared the reflectance intensity of key pigments.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the images of specimens in which metallic pigments were used or thick painting layers were added, to obtain information to use in the diagnosis of coloring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diagnosis of the specimens and Korean paintings confirmed that the terahertz images include inform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inding media and additives, which had been difficult to detect in other non-destructive analysis techniques. As for coloring patterns,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applicability of terahertz images to brushstroke detection. An image diagnosis of oil paintings with various patterns ranging from rough patterns to delicate patterns showed that information regarding coloring tools and brush lengths and directions can be acquired. In addition, high-infiltration terahertz images were used to diagnose rough sketches. Specimens were used to identify the conditions that allow for the detection of rough sketches, and the patterns of information were compared by comparing them with analyses of other oil paintings with rough sketches. Last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painting structures and coloring characteristics using specimens and paintings, the researcher developed application methods for scanners, painting diagnosis techniques using terahertz images, and guidelines for interpreting the images.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by an analyst when using the device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erahertz imaging devices employing different methods, and presented information to help analyst choose the method suited to his/her situation. In addition, data were developed on the types of information obtainable from painting diagnosis. The data and information were designed to allow a analyst to use terahertz imaging technique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hat he/she needs. This study applied terahertz imaging technique to the diagnosis of various painting diagnoses, identified the technique’s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diagnosis methods. Terahertz imaging technology allows analysts to diagnose structural defects without touching or taking paintings apart, and establish conservation plans. It also allows for the confirmation of bonding status and amount of paper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which makes it applicable to the inspection of conservation treatment applied to Buddhist hanging scrolls or folding screens. The technique is also highly applicable to providing scientific bases for previously undiscovered information about paintings, as well as the information found in historic records. Furthermore, as the technique is capable of detecting micro-level conditions, terahertz images can be used to prove unique features of specific paintings. Therefore, the technique is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in painting authentication, as a method for obtaining scientific proof for a painting’s history.

      •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동의도 : MOA(Motivation-Opportunity-Ability) 모델을 중심으로

        백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intention to switch to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Biodegradable plastics are plastics that can be degraded into water, carbon dioxide, and methane by microorganisms in nature under certain conditions in landfills during product disposal, and are currently utilized in packaging, containers, tableware, shopping bags, and eco-bags. As global efforts to reduce plastics are being called for, there is an active policy debate on the transition to biodegradable plastics. In addition, biodegradable plastic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by companies that produce them as they expand the use of renewable raw materials and continue to develop them to improve their durability and flexibility. However, biodegradable plastics can only be decomposed under certain conditions with composting facilities, and there is a lack of infrastructure to decompose biodegradable plastics in Korea, where most garbage is currently incinerated. Most studies on biodegradable plastics have dealt with issu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products from a technical point of view, and have not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consumers are aware of these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production of these products. In order to continue the discussion of biodegradable plastic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ap between the environmental benefits that biodegradable plastics can actually provide and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anel data of 320 consumers based on the MOA model that considers consumer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Specifically, we examined consumers' awareness of biodegradable plastics and purchase experience, and then investigated how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iodegradable plastic awareness and purchase experience affect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factors, perceived greenwashing, consumer trust, and switching intention. We also analyzed how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factors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switch to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greenwashing and consumer trust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ir effects on switch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200 (62.5%) consumers were aware of biodegradable plastics beforehand, which is more than half of the consumers, and the most frequent sources of awareness were the Internet 72 (22.5%) and TV 72 (22.5%). The number of consumers who had purchased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was 129 (40.3%), and the number of consumers who had not purchased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was 191 (59.7%), indicating a relatively high level of purchase experience. Second, gender was analyzed as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that influenced the main variables, and biodegradable plastic awareness and purchase experience influenced the main variables. Specifically,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environmental concern, negative attitude,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perceived greenwashing, and switching intention than men, confirming previous research that men are less likely to adopt green products and behaviors than women. We test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key variables based on biodegradable plastic awareness and found that the awarenes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environmental concern, novelty seek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switching intention than the non-aware group.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need to be exposed to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what biodegradable plastics are and under what conditions they can degrade, through a variety of channels.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biodegradable plastics had significantly higher novelty seeking, green product availabilit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switching intentions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suggesting that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should improve the level of products that can obtain eco-certification and provide clear information that consumers can identify.Third, consumers'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switch to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Specifically, among the motivation factors, environmental concern had a posi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and negative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consumer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consumers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biodegradable plastics have lower conversion intentions, indicating that they are relatively aware of the limitations of biodegradable plastic materials. Among the opportunity factors,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environmental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for sustainable products to become truly green, not only technical infrastructure that reduces environmental impact is required, but also a change in awareness that consumer choice behavior can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cosystem, market economy, and government policy proposa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institutional support for eco-friendly certific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as it is suggested tha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switch to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when they understand the benefits of using biodegradable plastics and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eco-friendly statements and symbols on products. Fourth, we found that perceived greenwashing level moderated the pathways of environmental concern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to switching intention to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Moderation analyse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concern influenced the pathway to switching intention in the low greenwashing group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in the high greenwashing group. Consumers who perceive that biodegradable plastics may be greenwashing have a negative impact on switching, even when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is high, suggesting that consumer education and awareness efforts should be considered in tandem to make consumers aware of the greenwashing controversy surrounding biodegradable plastics. Finally, consumer trust was not found to moderate switching intention toward biodegradable plastics products as motivation-opportunity-ability factors were. At the time of this study, consumer trust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rather than being established. In the future, building consumer trust in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remains a key issue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rus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oblem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sustainable products considering consumers,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production related to ESG management and cost reduction, but also how much consumers are aware of environmental material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what factors affect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pportunity, ability, and attitude of individual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switch to purchasing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through the Motivation-Opportunity-Ability model and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greenwashing and consumer trust on switching intention. However, despite th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First, consumer trust in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is not yet established. Therefore, policy and practice efforts to build this trust should be increased, and the impact of consumer trust should be revisited in the future when biodegradable products are more widely commercialized and consumers are more involved. There is also a ne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intention-to-action gap, which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green consump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tentions alone may not lead consumers to actually carry out the behavior. Finally, there is skepticism that biodegradable plastics can be a complete substitute for conventional plastics. Nevertheless, with the ongoing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materials, biodegradable plastics can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s and suggest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that integrates technical and consumer perspectives related to environmental materials. 본 연구는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전 지구력 노력이 촉구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대안적 플라스틱의 하나로 부상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에 대한 연구로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동의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환경소재 중 하나로 제품 폐기 과정에서 매립 시 일정한 조건 하에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메탄으로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현재 포장재를 비롯한 용기 및 식기류, 쇼핑봉투, 에코백 등의 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실제 친환경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기술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이를 장려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친환경성은 담보될 수 없으며 실제로 상당히 많은 연구자들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을 친환경 제품이라는 포지셔닝을 바탕으로 공격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접근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소비자 관점에서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기술적 관점에서 제품생산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고 실질적으로 소비자가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한계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고 이것이 어떻게 행동적 차원으로 이어지는 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대안적 플라스틱 사용이나 탈플라스틱을 위한 생산적인 논의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중에서 가장 친환경적이고 선진적 기술 제품으로 인지되고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행동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동기-기회-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MOA모델을 적용하여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동의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320명의 소비자 응답자료를 온라인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인지여부 및 구매경험을 살펴본 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인지여부 및 구매경험에 따라 동기-기회-능력 요인, 인지된 그린워싱, 소비자신뢰, 전환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동기-기회-능력 요인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전환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인지된 그린워싱과 소비자 신뢰수준에 따라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무엇인지 사전에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는 200명(62.5%)으로 절반 이상의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인지하게 된 경로는 인터넷 72명(22.5%), TV 72명(22.5%)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129명(40.3%),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는 191명(59.7%)으로 비교적 높은 구매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분해성 플라스틱 인지여부 및 구매경험이 주요변수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환경에 대한 관심, 부정적 태도, 인지된 소비자 효과성, 인지된 그린워싱, 전환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친환경 제품과 행동을 수용할 가능성이 낮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인지여부에 따라 주요 변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인지 집단이 비인지 집단보다 환경에 대한 관심, 참신함 추구, 인지된 소비자 효과성, 환경지식, 전환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무엇이며 어떠한 조건에서 분해될 수 있는지 충분한 정보를 다양한 경로로 노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경험이 없는 소비자에 비해 참신함 추구, 친환경 제품 가용성, 환경지식, 전환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을 기획·생산하는 데 있어 친환경 인증을 획득할 수 있을 정도의 제품 수준을 향상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식별 가능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동기-기회-능력 요인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전환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기 요인 중 환경에 대한 관심은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부정적 태도는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소비자들은 전환의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의 한계를 비교적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회요인 중에서는 인지된 소비자 효과성이, 능력요인 중에서는 환경지식이 전환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이 실질적인 친환경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기술적 인프라가 요구될 뿐 아니라 소비자의 선택행동이 생태계와 더불어 시장경제, 정부의 정책제안에 있어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소비자가 생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의 이점을 이해하고 제품에 기재된 친환경 문구와 기호를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했을 때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시사된다는 점에서 정부차원의 친환경 인증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지된 그린워싱 수준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심, 인지된 소비자 효과성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전환의도에 이르는 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전환의도로 이르는 경로는 그린워싱 저 집단에서 영향이 있었으며 인지된 소비자 효과성은 그린워싱 고 집단에서 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그린워싱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는 소비자 효과성이 높을지라도 전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지닌 그린워싱 논란을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소비자 교육 및 인식에 대한 제고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 시사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신뢰는 동기-기회-능력 요인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전환의도에 이르는 경로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수행된 현 시점을 제고하였을 때 소비자 신뢰가 형성되어 있기보다 소비자 신뢰 형성의 초기단계에 위치해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남아있으며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ESG경영 및 원가절감과 관련된 제품생산의 관점 뿐 아니라, 소비자 개인의 차원에서 환경 소재를 얼마나 인지하고 있으며 소비자 개인이 보유한 동기, 기회, 능력, 태도에 따라 환경 소재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소비자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제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동기(Motivation)-기회(Opportunity)-능력(Ability)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 전환의도에 대한 인지된 그린워싱과 소비자 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인프라 및 정책적 지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오히려 저해하는 그린워싱의 사례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그린워싱 분별에 대한 소비자 효능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지속적으로 생분해성 소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으로 이해되며 향후 환경소재와 관련된 기술적 관점과 소비자관점이 통합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