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랜차이즈 가맹사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외식업체 가맹점주 인식을 중심으로

        배필효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of franchise business.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food service franchisees. As the independent variances I deduced four factors such as franchisee's quality (entrepreneurship),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franchise's service, and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by reviewing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about it. And as the dependent variances I selected franchise's management performance so as to confirm the effect of those whole factors like franchisee's quality (entrepreneurship),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franchise's service, and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and their sub-factors on this management performanc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 for developing franchise industry by analysing them. Through empirical analysis, I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concept and for hypothesis testing I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nagement level by dividing food service franchisee's management level, whole food service franchisees, fast food business, and liquor business, I could see that all of the franchisee's quality (entrepreneurship),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franchise's service, and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as well as management performance had positive level by showing more than average. When examining the type of food service, fast food business showed higher success facto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ive variables among four success factors such as franchisee's quality (entrepreneurship),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franchise's service, and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I could see that only franchisor' management support had positive effect with significa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among the whole objects, fast food, and liquor business. That is to say, by this result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degree of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had more significant effect on franchisee's performance rather than factor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various support provided by franchis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others such as franchisee's quality (entrepreneurship),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and franchise's servi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I could see that 'creative coping ability' had more significance other than 'vision orientation' that is related to the ability to promote work with goal, vision, and activity and 'profit-making ability' that is related to preference of profitable investment, business goal, and digitization in the franchisee's quality (entrepreneurship). And in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creative relationship ability'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 than 'planned management ability' for the case of the whole and fast food busines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franchisee's service factor on management performance, I could see that the whole business, fast food service business, and liquor business had positive significance. When seeing the effect of each sub-factor of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on management performance, whole food service franchisees and liquor business had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indirect support' and 'direct support' but when dividing those factors, only 'indirect support' had significance in fast food business. Fourth, I examined the effect of the whole sub-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so as to deduce the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more in detail. As a result of that, I could see that 'creative relationship ability' among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in the whole franchisees and fast food business and also 'indirect support' among franchisor's support were very important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ranchisee's, 'direct support' among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was important factor for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main success factor and the performance of relationship per factor in franchise business are different in the realm of factors and detailed business. The significant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hat a franchisor's management support strategy,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which has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needs to be flexible to those realms of factors and business type.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의 성공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외식업 프랜차이즈 가맹점주 인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인으로서는 가맹점주 자질요인(기업가정신), 가맹점주의 경영관리능력, 가맹점의 서비스, 가맹점 본부의 경영지원 등 4개 요인을 선행연구 및 이론적 검토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서는 가맹점의 경영성과를 설정하여, 전체 요인인 가맹점주 자질(기업가정신), 경영관리 능력, 가맹점의 서비스, 가맹본부의 경영지원 중 어떠한 요인이 경영성과에 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가와 각 영역의 그 하위요인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하위요인 전체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프랜차이즈 가맹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연구의 목적이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각 개념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외식업 가맹점주의 경영수준 및 외식업 가맹점주 전체 그리고 패스트푸드와 주점업으로 구분하여 경영수준을 파악해 본 결과, 가맹점주 자질(기업가정신), 경영관리 능력, 가맹점의 서비스, 가맹 본부 지원, 경영성과 모두 보통 이상의 긍정적 수준을 보였으며, 외식업 유형별로는 패스트푸드업종이 가맹점의 성공요인 및 경영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성공요인 중 어떠한 변인이 경영성과에 더 의미 있는 변수인가를 파악한 결과, 가맹점주의 자질(기업가정신), 경영관리 능력, 가맹점의서비스, 가맹본부의 경영지원 등 4개 요인 중에서는 전체 대상 및 패스트푸드, 주점업 모두 가맹본부 경영지원”만이 경영성과에 더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다른 요인에 비해서 가맹본부의 경영지원 정도에 따라 가맹점의 경영성과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가맹점주 개인요인인 가맹점주 자질(기업가정신)과 관리능력, 그리고 가맹점의 서비스보다 가맹본부에서의 다양한 지원이 전체 가맹점, 패스트푸드점, 그리고 주점업의 경영성과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각 하위 요인별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본 결과, 가맹점주의 자질(기업가정신)에서는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일을 진행하는 능력과 관련된 “비전지향성”과 수익 높은 투자방법 선호와 영업목표와 수치화의 “수익화능력”보다 “창의적 대처능력”이 높을수록 경영성과 향상에 더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맹점의 경영관리능력에 있어서 전체와 패스트푸드점의 경우“계획적 관리능력”보다 “창의적 관계능력”이 더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의 서비스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에서는 전체 및 패스트푸드, 주점업 모두가 의미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어 가맹점의 서비스 수준이 높을수록 경영성과 향상에 의미 있게 기여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맹본부 경영지원의 하위요인별 경영성과에서는 외식업 가맹점주 전체 및 주점업은“간접지원”과“직접지원”모두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나, 구분할 경우에는 패스트푸드점은 “간접지원”만이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번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하위요인 전체가 가맹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전체 가맹점주와 패스트푸드점 대상에서 가맹점주의 경영관리 능력중“창의적 관계능력”과 가맹본부의 지원 중 “간접지원”이 경영성과에 매우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주점업의 경우에는 가맹본부의 경영지원 중“직접지원”이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의 주요 성공요인 및 요인별 상관관계 결과에 있어서 요인별, 세부 업종별로도 중요도가 다를 수 있다. 즉, 다시말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인 가맹본부의 경영지원 전략 등 도 그에 맞게끔 좀 씩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주요 시사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