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배지연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부모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비교하고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Y지역 소재 초등 영재 학급 학생 149명과 일반 학급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에 관한 126개 항목의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WIN 25.0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 영재의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일반 학생의 부모 의사소통에 비해 개방형 의사소통이 높고 문제형 의사소통이 낮았으며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은 초등 영재가 일반 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부모 의사소통 유형과 정서지능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정서지능 및 그 하위 영역과 정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의 문제형 의사소통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 중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과 부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부모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한 결과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및 그 하위 영역과 정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의 문제형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중 신체외모자아, 친구관련자아, 학업적 자아, 가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교사관련자아와 부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가정에서 부모와 자유롭게, 허용적 분위기에서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키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 고순도 알지네이트 스펀지를 이용한 조직공학적 섬유륜 세포의 재생

        배지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지네이트는 천연고분자로써 생체 재료 응용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체내에 이식할 경우, 면역 거부 반응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modifed Korbutt’s 방법을 이용해서 알지네이트 정제를 하고, 고순도 알지네이트를 제조하였다. 고순도 알지네이트를 이용하여 알지네이트 필름을 제조한 후 RAW 264.7 macrophage cells을 이용하여 본연의 알지네이트 필름과 고순도 알지네이트 필름에 세포를 파종하였다. 알지네이트 필름에 의한 염증 발현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필름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염증세포의 침윤과 대식세포 발생 정도를 확인하기위해 H&E와 ED-1 염색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정제과정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됨으로써 고순도 알지네이트 필름에서 염증반응이 완화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고순도 알지네이트가 유용한 생체재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고순도 알지네이트와 본연의 알지네이트 스펀지에 NIH/3T3 세포를 파종하여서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한 MTT와 세포 부착율을 분석하기 위한 SEM을 통해서 관찰하였다. 그 분석 결과, MTT와 SEM을 통해서 고순도 알지네이트 스펀지가 세포의 성장에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였다. 그래서 추간판 디스크 재생을 위한 섬유륜 세포를 응용해서 고순도 알지네이트와 본연의 알지네이트 스펀지에 파종하였다. MTT 분석을 통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고 섬유륜세포에서 발생하는 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알지네이트 스펀지에 파종된 섬유륜 세포의 in vivo 환경에서의 세포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누드마우스 피하에 이식한 뒤 4 주 후 적출하여 조직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in vitro, in vivo 모두에서 본연의 알지네이트에서 보다 고순도 알지네이트에서 섬유륜세포의 친화도나 표현형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순도 알지네이트가 추간판 디스크재생에 있어서 유용한 생체재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노인교육 욕구조사

        배지연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현황, 만족도를 파악하고, 노인들이 선호하는 교육내용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 4곳을 선정하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이용현황과 만족도, 노인교육내용에 대한 욕구조사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교육 프로그램 이용노인의 88.5%가 노인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였으며,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노인들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배우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노인이 37.8%,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가 16.5%로 나타났다. 현재 실시중인 노인대학은 28.9%의 참여율을 보였고, 참여도는 91.3%, 만족도는 75.0%로 나타났다. 취미교육 프로그램은 '가요·노래방'이 71.1%로 가장 많았으며, '바둑·장기'가 25.3%, '서예'가 24.7%로 나타났으며, 현재 실시중인 노인교육의 대부분은 취미활동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노인들이 선호하는 교육기관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이 63.2%로 가장 높았고, '노인학교'가 17.8%, '아무 곳이든 상관없다'는 의견도 21.5%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들이 가장 많이 배우고 싶은 교육내용은 '기초의학상식'에 관한 내용이 전체항목 가운데 84.0%로 가장 높았다. 두 번째로 관심 있어 하는 내용은 '노인운동'이 77.2%로 응답했고, '노인의 식생활과 영양'이 71.2%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이나 노인복지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노후대책에 관한 법률', '노인운동', '지역사회 자원봉사교육', '사회변화에 대한 적응교육','배우자 사망 및 적응교육'에서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하여 필요성을 더욱 나타냈으며, '종교 및 삶의 보람'에 관한 내용에서 여성노인이 더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여섯째, 교육수준에 따라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 '노인보건의료 및 복지시설교육', '노인운동', '지역사회 자원봉사', '정치, 경제, 사회에 대한 지식', '세계의 역사와 문화'에 관해 관심이 컸다. '환경 및 공해에 관한 교육'은 학력이 중·고등학교 졸업인 경우 그 필요성을 더 많이 나타내었다. 일곱째,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 '노인보건의료 및 복지시설 교육', '노후에 관한 법률교육', '배우자 사망 및 적응교육', '노후의 재정관리', '식생활과 영양', '가사에 필요한 기술'에서 그 필요성이 높았다. 여덟째, 생활수준이 어려운 경우, 특별히 '노후대책에 관한 법률교육', '대화의 방법', '청소년의 이해와 선도', '환경 및 공해에 관한 교육', '사회변화에 대한 적응교육', '우리 나라 역사와 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다. 아홉째,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 교육내용의 선호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건강한 노인은 '노후의 재정관리', '노인의 식생활과 영양'에 관심을 보였고, 건강하지 못한 노인의 경우는 '인간관계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processes for the enhancement of welfa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sires and circumstances of the old people, including gender, educational status, marital status, and other socioeconomic dimensions. In concrete term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which educational programs are actually implemented for the elderly, to what extent old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se programs, in what degree old people joined these programs, and which programs the aged prefer. The overall results are also analysed in terms of sex,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living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88.5%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elderly, though i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ariable 'sex'. Second, the main motive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s were to learn new knowledge(37.8%) and to make friends(16.5%). Among the continuing-education colleges for the elderly in operation, 28.9% colleg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gree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re 28.9% and 75.0%, respectively. Third, as regards with the locus for education for the aged,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community center(63.0%) and continuing-education colleges for the elderly(17.8%). Fourth, the subjects which the elderly wanted to learn more about were basic medical knowledge, physical excercise, and diet habits and nutrition. Fifth, younger respon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heath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the aged. On the other hand, compared with old women, old men were more interested in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social legislation, physical exercise, community volunteering, adaptation to social transition, and adaptation to bereavement, Sixth, the respondents with a post-secondary level of education preferred the courses for the elderly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 and welfare centers, physical excercise, community volunteering, general knowledge o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history and culture of the world. Seventh, compared with the well-off respondents, those with a lower standard of living desired more the courses on social legislation for providing against old age, communication skills, understanding and guidance of the youth, environment and pollution, adaptation to social change, 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Eighth, compared with the respondents who lost their spouse, those with their spouse alive wanted more the courses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 and welfare centers, social legislation for providing against old age, spouse death and adaptation to it, financial management for old age, diet habits and nutrition, and household-related skills.

      • 한영 기계번역의 격 실현 연구

        배지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는 컴퓨터와 통신망의 발달로 정보량이 늘면서 다국어로 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신속한 번역이 요구되어 번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므로 인간을 대체할 기계번역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기계 번역처리에서는 원천어(Source Language)와 목표어(Target Language)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인해 양 언어에서 의미가 다른 어휘가 있으며, 구조적 형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한쪽 언어에만 나타나는 현상이 번역의 오류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영어의 격 구조형태의 차이를 고려하여 한국어에서 형태적으로 구별되는 격 체계와 엄격한 구조적 조건에 의해 격이 점검되는 영어의 격 체계를 나누어 살펴본다. 한국어의 다양한 격이 나타난 문장을 유형별로 살펴본 후, 야후 바벨 피쉬(Babel Fish), 세종대 학술정보원에서 제공되는 번역기(PAT-Transer v2.1), 구 글 번역기(Google Translator)의 실행예시에서 보이는 오역 사례를 논의한다. 나아가 기계번역에서 보이는 오류를 통해 번역기의 원천 어 내부분석 처리과정에 있어서 오류를 줄이기 위한 형태적, 통사적 규칙을 제안하여 완전한 오역을 피하고 목표어에 적합한 형태로 번역을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기계번역의 오류를 줄이는데 공헌하고자 한다.

      • 중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구안

        배지연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중학생의 신체적 특징, 정서적 특징, 분노 및 분노조절의 개 념,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성에 관하여 검토 및 분석을 하 였다. 또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구분석을 위하여 중학생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선행연 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요구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 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이론적 효과검증과 적용가능성, 목표와의 일 치성, 논리적 연결성의 항목으로 전문가로부터 타당성 평가를 받고 최 종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1회기 ‘프로그램 소개 및 자기소개’, 2회기 ‘동물들을 통해 바라본, 감정으로 인 한 행동의 표현 이해하기’, 3회기 ‘자신의 분노 상태 인지하기’, 4회기 ‘분 - v - 노 다스리기 1 : 화나는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꾸기’, 5회기 ‘분노 다 스리기 2 : 분노 이해하기 및 분노조절 이해하기’, 6회기 ‘분노 다스리기 3 : 분노 이해하기 및 신체 이완법’, 7회기 ‘분노표현 방식 바꾸기 1 : 신호등 기법’, 8회기 ‘분노표현 방식 바꾸기 2 : 나 전달법 사용하기’, 9회기 ‘분노 감정 순화하기’, 10회기 ‘프로그램 마무리 및 변화소감 나누기’ 의 총 10회 기로 구성되었다. 앞으로 진행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문헌연구와 선행연 구의 제한으로 광범위한 연구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에 관해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통하여 충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요구조 사 및 요구분석을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로 인해 실제 중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하위 요소를 추출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요구조사 및 요구분석의 방 법으로 다양한 방법을 실시하여 요구도의 정확성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전문가 검토에 의한 프로그램의 타당화는 실시하였으나 프로 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예비실시 및 질적 사례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프 로그램을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실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 과와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ability of anger control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at purpose, the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cepts of anger and anger control,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s as parts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anger control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needs of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anger control. The components identified with the analysis of needs were used to devise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for the anger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devised in the study was evaluated for validity by experts in the items of theoretical effect testing, applicability, agreement with the goal, and - vii - logical connectivity before final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As a result, the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for the anger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total ten sessions including Session 1 ‘Program Introduction and Self-Introduction’, Session 2 ‘Understanding of Expressions of Actions caused by Emotions through Animals’, Session 3 ‘Recognizing One's State of Anger’, Session 4 ‘Managing Anger 1: Turning Angry Thoughts into Positive Ones’, Session 5 ‘Managing Anger 2: Understanding Anger and Anger Control’, Session 6 ‘Managing Anger 3: Understanding Anger and Body Relaxation’, Session 7 ‘Changing the Ways to Express Anger 1: The Traffic Light Technique’, Session 8 ‘Changing the Ways to Express Anger 2: Utilization of I-Message’, Session 9 ‘Purifying Angry Emotions’, and Session 10 ‘Wrapping Up the Program and Sharing Opinions about Changes’. The study also mad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First, there is a need for enough review through diverse surveys and researches on the concerned studies since there are limitations with extensive researches due to the limited literature study and previous studies. Secondly, there are limitations with identifying the supplements of anger control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reality based on needs survey and analysis due to the literature study and previous studies, which means that there should be a process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needs by employing various methods of needs survey and analysis. Finally, the present study validated the program through an expert review but did not conduct preliminary implementation and qualitative case study to test its effects, which means there are limitations with - viii - the generalization of the program. It is thus needed to implement the program in reality and test its effects and validity.

      • 롤로 메이의 실존적 성격 심리에 대한 연구

        배지연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existence as indicated in the literatures written by May and present integrated perspectives on the rationale for assuming personality maturation, aimed for self-actualization, by providing a method to contend with the ontological anxiety, limits, and the fate of existence. By cla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existence and analyzing the reciprocal principles of personality maturation and self-realization, the study intends to underscore the spiritual and theological dispositions within May's theories of Personalit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personality' which could be useful for counsel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philosophical, cultural,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al background of existentialist movement, which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existential personality psychology, and describes briefly the historical incidences that led to the firm establishment of existential psychology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further provides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ay's existential perspectives by describing the expansion of European existential movement to the United States and analyzing its influence on the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and its eventual settlement within in the American existential psychology. Brief analysis on the philosophies of Kierkegaard, Freud, and Nietzsche,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ay's existential views, communicates the source of profound insight and broad perspectives that May possessed in his view on existence. This study on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from May's literatures demonstrates the perspectives on the existential integration of human beings about recovering one's essential being including intellectual, mental, and spiritual efforts/attempts strived by humans. And this study discusses the existential perspectives on self-discovery and sense of being about 'who am I' and reveals the great significance of an awareness of and an enhancement of consciousness, which gets out of the frame of emphasizing of the exploration of unconsciousness as emphasized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Especially, May's perspectives on personality suggests the important principles for a recovery and maturity of personality intending to the integration of polarity including from negativity and dark sides to positivity and creativity. Furth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ppropriated solution about distortion of personality by the recognition of human's existential condition and by the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predicament of human beings within the overall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al-culture. In order to do some possible application for Christian counselling, this study tries to facilitate an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May and Tillich by enhancing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existential personality in the literatures written by May. The purpose of this kind of a dialectic attempt is to reveal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recovery and of maturity of human nature and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the sanctifying process of human nature to be transformed as new being grasped by the Spirit of God in Jesus Christ.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being recovery and maturity of personality is, like polishing a coarse stone into a refined jewel, to make a mature form of personality, which could promote a vailable and meaningful life accompanied by freedom and responsibility. 본 논문은 May의 문헌연구에 나타난 성격과 실존의 관계를 조명하고, 실존의 불안과 한계 그리고 운명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자기 성숙에 도달할 수 있는 성격 성숙의 이론적 원리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격과 실존의 상관적 관계를 분명히 하고 성격 성숙과 자기실현의 상호성의 원리를 고찰하여 May의 성격이론에 드러난 영적, 신학적 특성을 부각시켜 상담에 필요한 인간의 실존적 성격이해에 대한 토대를 형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것을 위해 본 논문은 먼저 May의 실존적 성격 심리의 출발이 된 실존주의 운동의 철학적ㆍ문화적ㆍ심리학적ㆍ정신분석학적 배경을 고찰하여 실존주의 심리학이 미국에 정착되기까지의 어떤 사건이 일어나고 어떤 사상가의 활동이 있었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유럽에서 시작된 실존주의 운동이 어떻게 미국에 확산되어 미국의 문화와 사회에 영향을 끼치며 미국의 실존주의 심리학에 정착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고찰하여 May의 실존적 관점에 대한 배경적 이해를 제시하였다. May의 실존주의 관점 형성에 영향을 준 Kierkegaard, Freud 그리고 Nietzsche 사상에 대한 간략한 고찰은 실존에 대한 May의 깊은 통찰과 폭 넓은 관점의 출처를 알게 해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은 May가 찬사뿐만 아니라 비판을 받을 수 있는 사상가들과 적극적인 대화를 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본질적이고 통합적인 이해에 대한 그의 의도성을 반영하고자 함이다. May의 성격 이해에 대한 문헌 연구는 인간 자신의 본래성 회복이 어떻게 지적ㆍ정신적ㆍ영적인 노력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실존적 행위를 의미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나는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정체성과 존재감에 대해 실존적으로 자각하며 의식의 자각과 고양에 대한 중요성을 조명하였다. 특히, May의 성격 이해가 성격의 긍정적 요소뿐만 아니라 부정적 요소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하고, 성격 분열과 병리에 대한 이원론적 입장을 지양하여 통합적인 인간 이해를 시도하여 성격의 회복과 성숙을 위한 실존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May의 실존적 관점으로부터 동시대의 사회문화 현상과 관련된 인간의 곤경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어 성격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답을 제시하였다. 인간 실존의 한계와 운명 그리고 다양한 불안 증상은 그 뒤에 감춰진 의미를 발견하여 삶의 창조적 가능성을 인지하고 실현시킬 수 있는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독교 상담의 적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작업으로 May와 Tillich의 변증법적 대화는 May의 성격이해에 나타난 신학적 특성을 부각시켜서 인간성 회복과 성숙을 도모하고 성격의 구조와 특성을 확장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변증법적 대화는 인간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과 친밀한 연합을 이루어 갈 때 새로운 존재로서 변화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온전한 성숙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볼 때 성격에 대한 May의 관점은 모난 돌을 가치 있는 보석으로 연마해 가듯이 분산된 삶의 에너지를 응집시켜 자유와 책임을 수반하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성숙하고 창조적인 성격 형성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사료된다. 그러나 성격의 창조적 변화는 자유로운 상상을 필요로 하지만, 그에 부합하는 책임과 결단의 중요성을 명백히 하고 있는데, 이것은 May의 성격 심리에 나타난 역설적인 일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 임상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의 영향요인

        배지연 아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환자안전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상급종합병원 1개소, 종합병원 1개소의 일반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 139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5일부터 3월 29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환자안전역량은 Lee (2012)가 개발한 환자안전역량 측정 도구를 장해나(2013)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 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도구를, 비판적 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를 의사소통은 허경호(2003)가 개발한 포괄적인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를 배주영(2009)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139부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 분석방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regression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6세이며,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이 있는 경우는 99.3%, 환자안전관련 활동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는 66.2%, 환자안전교육 이수를 받은 경우는 94.2%, 최근 1년간 환자안전교육 횟수는 1∼2회가 70.5%이었다. 본인의 과실유무와 무관한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이 있는 경우는 66.9%이었으며, 본인의 과실유무와 무관한 최근 1년간 환자안전사고 보고 횟수는 1∼2회가 44.6%이었다. 2.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평점 3.52±0.32점이고, 의사소통능력은 평균평점 3.59±0.40점이었으며, 환자안전역량은 평균평점 3.83±0.40점이었다. 3. 환자안전역량은 연령, 최종학력, 총 임상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환자안전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r=.544, p<.001), 의사소통능력(r=.41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의 1단계에서는 연령, 최종학력,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를 투입하였고, 그 결과 최종학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4.1%이었다. 2단계에서는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을 포함하여 회귀모형에 투입하였고, 그 결과 객관성, 지적공정성, 건전한 회의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총 설명력은 42.2%였고, 설명력 변화량은 28.1%이었다. 3단계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의사소통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총 설명력은 44.9%이었고, 설명력 변화량은 2.7%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최종학력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판적 사고성향은 환자안전역량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온라인 신선식품 배송의 친환경다회용백 일러스트 유무가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과시성과 자아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지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온라인 신선식품의 배송은 기존 택배나 배달 시스템에서 확장된 새로운 유통 트렌드의 등장과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가 확산 되면서 ‘새벽배송’ 이라는 이름으로 그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제품의 과대포장으로 인한 환경문제와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확대에 따라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키지의 개발과 소비자들에 대한 연구와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새벽배송 역시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다회용백을 이용하는 형태로 패키지가 바뀌었고 기업별로 디자인 및 기능에 차별화를 두면서 소비자의 지속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다회용백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사용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의 연구가 필요하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신선식품 배송에 이용되고 있는 친환경다회용백의 사례를 수집하고 유형화를 통해 국내 새벽배송에서 이용되는 친환경 다회용백의 패키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는 새벽배송을 이용할 때 소비자가 가방을 소유하여 재사용을 하는 형태와 생산자에게 반납하여 재사용을 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단색의 부분 일러스트레이션과 다색의 전체 일러스트레이션이 사용되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친환경다회용백의 유형화 분석 결과에 따라 4가지 친환경다회용백 패키지 실험물(①생산자 반납+일러스트레이션 없음 ②생산자 반납+일러스트레이션 있음 ③소비자 보관+일러스트레이션 없음 ④소비자 보관+일러스트레이션 있음)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에 따라 일러스트레이션의 유/무를 통해 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분석을 이끌어내기 위해 총 4가지 실험물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고 브랜드태도와 지속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추가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제품의 사회적,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인상을 심어주려는 동기인 과시성과, 패키지 디자인을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자아일치성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 번째, 새벽배송의 친환경다회용백은 소유형태 유형과 패키지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산자반납+일러스트있음)과 (소비자보관+일러스트있음)의 친환경다회용백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새벽배송의 친환경다회용백은 소유형태 유형과 패키지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른 소비자의 지속사용의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산자반납+일러스트있음)과 (소비자보관+일러스트있음)의 순으로 친환경다회용백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생산자/반납 형태의 새벽배송의 친환경다회용백 패키지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서 과시성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비자/보관 형태의 새벽배송 친환경다회용백 디자인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서 과시성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산자/반납 형태의 새벽배송의 친환경다회용백 디자인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서 자아일치성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비자/보관 형태의 새벽배송 친환경다회용백 디자인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서 자아일치성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비자들은 반납을 통해 문 앞에 자신이 이용하는 브랜드의 가방이 노출되기 때문에 자신을 타인에게 보여주고 평가에 대해 의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소비자들은 자신의 자아이미지와 유사한 제품이나 브랜드를 선택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즉, 소비자는 외부에 자신이 드러낼수록 과시성과 자아일치성 같은 심리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