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배미영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its problem to analyze our English education. This would lead us to find out the solution of efficient early English education. I also discussed about the necessity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in order to do that I researched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In the first chapter, I explain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ts purpose, method and the limit of this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opinions from supporting and opposite view to analyze the theory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the current on going situ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fourth chapter, I mapped out the subject of this study, its procedure, its period and its constitution factors. In the fifth chapter, I analyzed the results and in the final chapter, I made some suggestions the improvement plan for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is study, I did tests which include speaking and listening, and alongside of survey analysis proceeded from 4th grade students, I could analyze the problem of current English education given to elementary school and I trie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a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어교육을 분석하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효과적인 영어 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의 조기영어교육 현실을 알아보고 시행되고 있는 영어교육의 고찰을 통해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위하여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방법,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설명하고, 제2장에서는 조기영어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찬성론과 신중론의 입장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의 조기영어교육실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제4장에서는 연구대상, 연구절차 및 기간, 연구 구성 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제6장에서 조기영어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결과분석과 듣기, 말하기 영역의 테스트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조기 영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청소년기 음악교육에서 대중음악의 활용에 대한 연구 :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배미영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needs of the adolescents for developing consumer education program. Teenagers are likely to be sensitively affected and crucially influenced by popular music. Popular Music has made a great progress in keeping with its demand from the teenagers as much as required for Sensational music. However Most popular music tends to lean on commercial and trendy factors, good explanations have to come along with teaching method for the better application to education. Curriculums have to clearly indicate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eaching in accordance with Korea National Education Law, whereas textbooks are important references that can lead students to prosperous knowledge and to musical activity in terms of educational process. I focus on definition/ characteristics/ sorts of popular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and popular music, pros and cons for schooling popular music education, the number of popular music that are gathered in the high school text books based on the 8th Curriculum Amendment. Student wants to learn popular music in class, to increase the number of popular music in music textbook. Finally, a teaching-learning plan is presented to bring more interest of student in music class, to develop various and wide musicality, and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배미영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명의료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동아대학교병원의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15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2일부터 2020년 10월 23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명의료 태도는 Blackhall 등[29]이 개발한 연명의료 태도에 대한 도구를 김숙남[30]이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은 변은경 등[2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명의료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44±0.50점이었다. 2.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5±0.45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의 차이는 연령(F=35.46, p=.005), 결혼상태(t=2.42, p=.017), 직위(t=2.07, p=.040), 임상경력(F=3.05, p=.032), 중환자실 경력(F=3.03,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의 차이는 근무부서(F=5.48, p=.005), 연명의료중단 경험(t=2.17,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연명의료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30, p=.786).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인식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 이후 연명의료 태도와 역할인식을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반복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전문적인 역할이 필요한 근거를 뒷받침 함으로써 생애 말 환자들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 중환자실, 간호사, 연명의료, 태도, 역할인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s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role perception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Methods : This study used descriptive correlation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115 nurses in the ICU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2 to 23, 2020.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alize questionnaires regarding attitudes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role perception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 1.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s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2.44±0.50 out of 5 points. 2. The mean score of role-perception toward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3.95±0.45 out of 5 points. 3.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the ICU, attitud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ce in age(F=35.46, p=.005), marital status(t=2.42, p=.017), position(t=2.07, p=.040), clinical career(F=3.05, p=.032), ICU career(F=3.03, p=.032). 4.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the ICU, role perception toward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ce in working department(F=5.48 p=.005), experienc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t=2.17, p=.032).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role perception toward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30, p=.786). Conclusion : The study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CU nurse’s attitudes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ir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ICU nurses’ attitude to withdrawing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ir role perception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ct on life-sustaining medical care determination. The result is also inadequate to generalize, for the study was conducted to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ntinuing the study from various groups can develop the professional role of registered nurses for providing high-quality nursing care to end-of-life patients. Key words : intensive care units, nurses, medical futility, attitude, perception

      •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사랑의 의미 연구

        배미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 자연의 생물학적 사랑, (2) 인간의 문화적 사랑, (3) 하나님의 우주적 사랑이라는 측면에서 프랑스의 저명한 신학자·고생물학자 피에르 떼이야르 드 샤르댕(1881-1955)의 학제간 매혹적인 사랑 에너지 모델을 조사한다. 제1장은 문제의 영역과 관련하여 다음 장에 대한 동기, 방법 및 배경을 정의한다. 제2장은 자연의 생물학적 사랑과 그 신학적 의의를 조사한다. 이 장은 자연의 생물학적 사랑을 1) 만물의 상호 다양성, 2) 인간 에너지의 총체, 3) 인류 진화의 역사적 산물로 보여준다. 제3장은 자연의 생물학적 사랑을 넘어 인간의 문화적 사랑을 고찰한다. 이 장은 인간의 문화적 사랑으로 1) 유기적 유대를 통한 역동적 사랑, 2) 영적 헌신을 통한 수용적 사랑, 3) 자기희생을 통한 실천적 사랑을 내포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1)생물학적, (2)문화적 사랑을 포함하되 그 이상의 우주적 하나님의 사랑을 논한다. 이 장은 1) 우주적 그리스도의 정의, 2) 우주적 그리스도의 구원, 3) 우주적 그리스도의 새로운 창조로서 하나님의 우주적 사랑을 내포하고 있다. 제5장은 연구의 결과를 마무리 짓고 추가 연구를 제공한다. 그 결과 1) 사랑의 힘은 우주의 오메가(최종목표)로서 하나님의 사랑과 결합하여 상승하고, 2) 사랑의 힘은 그것의 출발점일 뿐만 아니라 최종 목적지까지 규정하며, 3) 사랑의 힘은 하나님의 위로 목적론적이고 진화적인 과정을 끌어 올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떼이야르 드 샤르댕은 자연, 인간, 하나님에 대한 존중으로 사랑에 대한 자신의 기독교적 이해를 사랑의 힘에 통합시킬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interdisciplinary fascinating model of love energy by Pierre Teilhard de Chardin(1881-1955), the distinguished French theologian and paleontologist, in terms of (1) Nature’s biological love, (2) Human’s cultural love, and (3) God’s universal love. Chapter I defines the motivations, methods and backgrounds for the following chapters with respect to the domain of the problems. Chapter II investigates the biological love of nature and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The chapter shows the nature’s biological love as 1) the mutual diversity of all things, 2) the total laws of human energy, and 3) the historical product of human evolution. Chapter III considers the cultural love of human beings beyond the nature’s biological love. This chapter entails the human cultural love as 1) the dynamic love through an organic connections, 2) the receptive love through a spiritual devotion, and 3) the practical love through a self-sacrifice. Chapter IV discusses the universal love of God including but beyond (1)the biological and (2) the cultural love. The chapter implies the God’s universal love as 1) the justice of the universal Christ, 2) the salvation of the universal Christ, and 3) the new creation of the universal Christ. Chapter V finalizes the consequence of the study and offers a further study. The results show that 1) the love force ascends into union with God’s love as Omega(the final objective) of the universe, 2) the love force defines it's point of departure as well as final destination, 3) the love force attracts a teleological and evolutionary process upwards God. Thus, Teilhard de Chardin could integrate his own Christian understanding of love into the love force with respects to nature, human, God.

      • 초등학생 독서치료 최근 연구동향 분석 : 2011〜2020년 출판된 논문을 중심으로

        배미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recently published papers on biblio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 research trends analysis on biblio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f biblio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ttempting to pioneer in bibliotherapy program development. 114 papers written between 2011 and 2020 with the main focus on Biblio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research was analyzed by year of publication, area of study, type of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cont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ocusing on the findings. First, As for the research trend by research type,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counseling psychology in the academic field, but research was also conducted steadil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literature, and early childhood dynamics. A majority of studies on biblio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measures in the fields, and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ective program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subjects was the highest in the study of 5th grad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about 6 to 10(52 cases) the most, 26 or more(37 cases) was the next most. Third, as the research trend by research topic, the research topic was divided into cognitive learning aspect, affective aspect, and sociocultural aspect. Among them, the study on the expected effect in the affective aspect of bibliotherapy was conducted the most. Among the affective aspect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shelf related research was set as the expected effect. Fourth, as the research trend according the approach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an approach by reading sanctions and an approach according to the theory based. By reading sanctions, there were the most general studies using a mixture of various materials, approaches based on group counseling programs or based on various theories could also be examined.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uture studies on biblio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taining to group counseling and in-depth research into analysis of an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for the definite dynamics, It also proposes that current studies should be reflected current situation that including on variety media like audio, visual books besides paper books. I hope that bibliotherapy is used as an effective counseling method to assi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listic personality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and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times.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출판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관련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은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독서치료의 활용 및 개발을 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된 논문들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들 중 ‘초등 독서치료’를 주제어로 추출한 114편이었다. 이들은 출판된 연도별, 학문영역별, 연구 대상자별, 연구주제별, 접근방법별로 분류되어 그 분포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영역별 연구동향으로 학문영역은 상담·심리학에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나, 문헌정보학, 교육학, 문학, 유아동학 등에서도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문영역에서 발달/예방적 연구유형, 연구방법으 로는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자별 연구동향으로 연구대상의 특성은 초등학생 단일 학년중 5학년, 참여인원수는 6-10명(52건)이 가장 많았으며, 26명 이상(37건)이 다음으로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으로 연구주제를 인지·학습적 측면, 정의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에서 독서치료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정의적 측면 중에서도 자아관련 연구를 기대효과로 설정한 경우가 많았다. 넷째, 접근방법에 따른 연구동향은 독서제재별 접근과 이론 기반에 따른 접근방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독서제재별로는 다양한 제재를 혼합해서 사용한 일반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거나 다양한 이론기반에 따른 접근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연구는 집단상담적인 접근 방법으로 치료자와 내담자의 구체적인 역동에 대한 관찰과 해석을 중점적으로 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책이라는 대상이 종이를 대신하여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다양한 매체의 텍스트로 발전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반영하는 독서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를 제안할 수 있다.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전인적인 인성발달 및 문제해결을 조력하는 효율적인 상담방법으로 사용되며, 급변하는 시대상황에 맞추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미혼모 발생 요인 분석 : 미혼모집단과 비교집단을 중심으로

        배미영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정치, 문화, 사회, 경제 등 여러 측면에서 더욱 다원화되고 있고 복합성을 지니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의 변화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증폭시키고 있으며 이 가운데 미혼모를 둘러싼 사회문제는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 그 이유는 미혼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히 미혼모 개인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혼외자의 증가, 그들의 부적응으로 인해 사회에 미치는 불건전한 영향, 성도덕의 하락과 더불어 건전한 사회집단에서 구비되어야 할 조건에 상반되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조사표를 활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혼모는 일반적 특성, 가족배경, 자아정체감, 친구관계, 성태도, 성지식, 임신경험, 미혼부와의 관계, 학교·직장과의 관계, 복지서비스 대책등의 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비교집단은 미혼모집단과의 비교에 초점을 두었고, 일반적 특성, 가족배경, 자아정체감, 친구관계, 성태도, 성지식등의 영역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미혼모의 연령이 더 낮아졌고, 미혼모가족의 소득, 부모의 교육정도, 부모의 직업지위 등은 대체로 낮다. 미혼모의 성태도 및 성행동은 개방적인 편이나 크게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며 그들 대부분은 아기의 입양을 원하였고 미혼모가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심리적 문제로 나타났다. 미혼모와 혼외자에 대한 처우는 개별사회의 종교, 도덕, 관습 등에 기초한 일반적인 태도와 그 사회의 복지제도유형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에 대한 우리 나라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서비스는 입양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대부분의 미혼모가 아기를 양육하는 것을 포기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외 미미한 정도의 분만보조와 산전산후보호 서비스 등이 전부로써 전체적으로 미혼모 자립을 위한 서비스나 경제적 지원 등의 실질적인 서비스는 부족하며, 기존의 서비스들도 각 영역별로 분산되어 단편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외국에서는 아기를 데리고 등교하는 등 어린 미혼모들이 직접 아기를 양육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미혼모에 대한 법제, 복지제도, 서비스, 사회 계몽적인 면 등 모든 면에서 적절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An Analysis on Factors the Growth of unmarried Mother Now, the world is getting multipolrization in the fields of politics, culture, society, and economy. Moreover, it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So, it is highly required to have multiple means to solve various kinds of problems which are emerging from it. And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of the society, the juvenile problems, family problems, and the unmarried mother problems are becoming very important socal issues. The unmarried mother has been a taboo topic in Korean society. Only in recent years has the unmarried mother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issue for social policy. Ever since 1990s, the number of unmarried mothers has risen sharply by almost 50% a year, and their manifold impact on society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As time goes by, the unmarried mother problems are increasing in every society throughout the world. This present trend is the problems of not only the woman herself but it is the problems of the whole society because it has bad influence, low moral value on sex, and the opposing component in building a healthy society.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not only do unmarried mothers suffer from guilt feelings and severe emotional crisis, but also their illegitimate children bring about other social burden like orphans, juvenile delinquents and broken homes. Yet there is little in previous studies that gives full attention to the unmarried mother's issue. Moreover, both government and private agencies have neglected to deal with the unmarried mother's problems, limiting social services strictly to the adoption counseling. Even now there is no legal base to support the rights of the unmarried mother and her child.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wo groups of people. One is the above mentioned unmarried mothers group, and the other is its comparative group. To make this study mire accurate, we interviewed both groups with carefully designed survey paper. In one group, we examin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self-identification, friendship, sexual behavior, knowledge of sex, experience of being pregnant, their situation at school, and social position - especially at their work place. And in the other group, we also examin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self-identification, friendship, sexual behavior, knowledge on sex, and in addition, the interview for this group was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group of unmarried mothers.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less stable her self-identity,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2. The less available the contraceptive aids,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3. The more permissive the sex attitude of the unmarried mother,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4. The more permissive the sex attitude of the peer group,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5. The more negative the bringing-up attitude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6. The more restrictive the sex attitude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7. The lower the income level of the family, the higher the incidence will be. These seven hypotheses were analyzed by T-Test and Cross-Tabulation, and five of them were verified ; Hypothesis 4 and Hypothesis 7 were not verified. This point of view I can assume three basic premises. First, social policy for unmarried mothers should be focused on approaches to prevention. Second, an enlargement of the existing welfare system is far more realistic than the establishment of new laws or systems. Finally, it is desirable to abolish the inequality in welfare benefits which discriminate against the unmarried mother in favor of the married mo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verage age of unmarried women, family income, educational level of their parents, and social status of their parents are in the lower stage. The unmarried mothers' sexual behaviors and attitudes are somewhat open, but not conspicuous. Most of them wanted their children to be adopted. their psychological stress is the most common problem that they have. the way of treatment for the un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depends on the general attitude toward them and the type of social welfare system, which are based on religion, morality, and social custom. The main service to take care of them is an adoption program. The negative prejudice which is prevailing over society makes most unmarried mothers give up their children. Another services are a poor childbirth assistance, and an after-parturition clinic. as a whole, we are short of practical services to help the unmarried mothers become independent, and to provide economic support. Even the existing services are not linked together but simply divided into inefficient ways. Recently, in other countries, the number of young unmarried mothers who are taking care off their own children are increasing. They even go to school with their children. It is required to have such proper ways as legal protection, welfare system, various kinds of caring services, and social education to support these unmarried mothers.

      •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배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소재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39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교사용 설문지로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 예비 조사, 내용 타당도 검증 등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가 제작한 것이었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 전통음악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그 이유는 유아기부터 우리나라 정서와 문화를 느끼게 하기 위해서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주된 목적을 민족적 문화 정체감 형성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대부분의 하위내용들을 어느 정도 실시하였으나, 전통악기 탐색 및 다루기의 하위내용인 전통악기 합주하기와 전통춤 탐색 및 표현하기의 하위내용인 전통 기본 춤사위를 이용하여 창의적 동작 만들기는 거의 실시하지 않았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태는 전통악기 소리 듣고 구별하기, 기본 장단 연주하기, 전통악기 합주하기, 우리 노래 부르기, 전통 기본 춤사위를 이용하여 창의적 동작 만들기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연간계획 수립은 38% 정도의 교사들이 실시하였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생활주제와 통합하여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생활주제에서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많이 실시하였으며, 집단구성은 대집단이 많았고, 시연 후 그대로 따라하기의 교수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 자신이 직접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담당하였고,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 지도 자료 및 각종 장학자료를 많이 참고하였으며, 활용하는 교수매체로 실물자료가 가장 많았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실시 방법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유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결과를 교수-학습 방법 개선자료로 많이 활용하였다. 반면, 많은 교사들은 유아 전통음악 교육활동과 교사 자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에 대한 실태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사의 소양 부족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교재․교구의 부족과 유아 전통음악 교육활동 및 참고자료 부족 순이었다. 많은 교사들이 전통음악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었으며, 연수 방법으로는 실기 중심의 기능 익히기가 많았으며, 연수 내용으로는 전통악기 다루기가 많은 반면, 전통춤 익히기나 다양한 전통음악 감상하기, 전통음악의 기초지식에 대한 연수 경험은 적었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실태는 전통음악의 연수 경험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

        배미영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development of sociality to get resources, agreeing to the existing findings that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hild's development of sociality is parents' rearing attitude. For that,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the overview of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s development of sociality? Second, how is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other and characteristics of child in single-parent family? Third, how is the child's development of soci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other and characteristics of child in single-parent family? Lastly, which correlation is there between the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s development of socialit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138 children aged 3, 4 and 5 who regularly use a nursery 5 hours a day, more than 5 days a week and their parents were established as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of all, parent's rearing attitude scales were sent to parents of children who use a nursery and recollected, and then the teachers graded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data treatment and analysis. First,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is difference of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family mother(age and schooling). The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mother's schooling, affectionate-hostile rearing attitude and rational-irrational rearing attitude showed high-level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accomplishing-unaccomplishing rear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econd,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is difference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family mother(age and schooling). There was a significance in expression according to the age and a very high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daptability. There was a very high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intimacy according to the schooling and high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tivit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Mother's affectionate-hostile and autonomous-restrictive rearing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intimacy and activity, while accomplishing-unaccomplish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intimacy and express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ground to be able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the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Following is the implications in terms of social welfare. First, in practical implication, single-parent family mothers are recommended for affectionate, accomplishing and autonomous rearing attitude to promot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Parent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r single-parent family mothers, education of the role,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of mother in order to let them understand generally of their children from infancy to adolescence. In the course of nurture, social relation realm should continue to be researched and developed so that childcare centers might actively accept and practice it. Second, in policy-related implication, the social common notion of single-parent family should be changed. For example, majority of people had regarded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s problematic, but this study showed that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received generally high score in comparison of type. Therefore it is urgent task to escape from the negative sight against single-parent family. The government should conduct a social recognition program to let the people think that single-parent family mother is not different from themselves. It is also necessary for a local institute to conduct various programs so that single-parent family children can adapt themselves to the society with self-confidency. In conclusion, th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is study took the children aged 3~5 who use a nursery in Daegu and their parents as the object of the research.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is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parent family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s development of sociality.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2 variable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rather than questionnaire survey and researches complementing this point are expected to be continued.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부모의 양육태도라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동조하면서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한부모가정의 가족 배경적 특성,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특성별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떠한가? 셋째, 한부모가정의 가족 배경적 특성,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특성별로 아동의 사회성발달은 어떠한가? 넷째,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일주일에 5일 이상, 하루 5시간 이상 어린이집을 정기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만 3세, 4세, 5세 아동 138명과 아동의 부모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에게 부모양육태도 검사지를 보낸 후 회수하여 검사지에 한 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과 생활하는 교사들에게 아동의 사회성발달은 채점하도록 하였다. 자료 처리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정 어머니 특성(연령, 학력)에 따라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먼저 연령에 따른 양육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양육태도는 애정-적대적양육태도와 합리-비합리적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성취-비성취적양육태도에서는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부모가정 가족특성(자녀수, 월수입, 가족해체유형, 가족해체기간, 현재가족유형)에 따라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먼저 자녀수, 월평균수입, 가족해체유형, 가족해체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현재가족형태에 따른 양육태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특성(성별, 나이, 출생순위)에 따른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나이에서 유의함을 나타냈고, 출생순위에 따른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특성(연령, 학력)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발달의 집단간 차이는 연령에 따라서는 표현성, 적응성에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학력에 따라서는 친밀성, 활동성에서 의미 있는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한부모가정 가족특성(자녀수, 월평균수입, 가족해체유형, 가족해체기간, 현재가족형태)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발달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면 자녀수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친밀성, 적극성, 표현성, 활동성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월평균수입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적극성에서 유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해체유형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적응성, 적극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해체기간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적응성, 활동성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냈다. 현재가족형태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적응성에서 유의미 있는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아동특성(성별, 나이, 출생순위)에 따른 한 부모가정 아동의 사회성발달의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아동에 성별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친밀성, 표현성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냈다. 나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친밀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표현성, 적극성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발달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애정-적대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친밀성, 활동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자율-통제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친밀성, 활동성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인다. 성취-비성취적 양육태도는 친밀성, 표현성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한부모가정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태도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회복지적 함의를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측면에서 함의를 본다면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한부모 가정 어머니의 애정적이며 성취적이며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권장함으로써 이를 위하여 한부모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유아기에서 청년기까지의 자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어머니로서의 역할, 양육태도, 의사소통 등에 대한 교육을 활발히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보육과정에서도 사회관계영역이 계속적으로 연구,개발되어져 이를 아동보육시설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 함의를 본다면 한부모가정에 대한 사회적 통념이 변화되어야 한다. 예컨대, 대다수의 사람들이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형비교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부모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탈피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해결과제라고 본다.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한부모가정의 부모에게 남들과 다르지 않다는 시선을 가질 수 있는 사회인식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또한 아동에게는 지역사회 어느 기관에서 한부모가정의 아동들도 자신감을 가지고 사회에 적응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따르는 제한점은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에 소재한 어리이집을 이용하는 만3~5세 아동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연구방법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질문지에 의한 조사연구로서 한 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질문지에 의한 조사연구가 아니라 참여 관찰과 면담을 통한 두 변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점을 보완한 연구가 앞으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