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수업에서 교수-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 문화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방명보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amatic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hoping to awaken the classroom cultural consciousness of teachers and teaching administrators in local universities, so as to promote the classroom reform and rebuild the classroom culture of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he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are the real situation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1) What is the field experience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s of Chinese university? (2) What is the significance behind the dramatic interaction experi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s of Chinese university? Question 2. How can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be further improved in the future? (1) What are the internal strengths and weaknesses, external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2) What is the strategic direction of improving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visited H Normal University, a local university in China, and observed the interactive classroom of three professors on the spot.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used four methods to collect the required data: literature collation, classroom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material collection.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was mainly guaranteed by triangular mutual certification. Import the data into Nvivo software to encode the data, and write three case storie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o as to describe the scene deeply. Secondly, through situational analysis, this dissertation summarizes the on-site experience of theater layout, foreground performance and background design in the dramatic interactive classroom.Thirdly, through the analysis of hermeneutics, this dissertation deeply explains the ideas, values and norms of teacher-student dramatic interaction hidden behind the experience, and excav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symbol of classroom interaction. Finally, on the basis of in-depth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SWOT strategic structure of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classrooms, comprehensively displays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the dramatic interaction classroom culture, and giv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y classrooms are summarized.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styles of dramatic teacher-student interaction, namely, Professor Y's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classroom interaction, Professor L's cooperative-constructive classroom interaction and Professor F's dialogue-debate classroom interaction.The case analysis of three different interactive performances in class shows the following results. The basic assumption of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classroom interaction is that human body has cognitive function, and the process of knowledge acquisition shows strong physic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onsciousness playing a role. Under the guidance of teachers, students learn through experience, immerse their bodies and minds in the objects, and realize the inward migration of knowledge.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interaction pursues deep learning, and the classroom culture it creates is an immersion classroom culture. In the immersion class, teachers should set an example, while students should practice. The basic assumption of cooperative-constructive classroom interaction is that learners have the ability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Knowledge is neither a memory of transcendental rationality nor a description of the outside world, but a learner's self-construc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s in a specific context. Cooperative-constructive classroom interaction contains the value orientation of knowledge co-constructing, emotion blending and learning while teaching, and the classroom culture it creates is a symbiotic classroom culture. In the symbiotic classroom, teachers and students must abide by the norms of sincere cooperation. The basic assumption of dialogue-debate classroom interaction is to generate wonderful ideas in dialogue and move towards human liberation in debate. Dialogue is an ideological adventur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seek the truth. The professor encourages students to have the courage to openly use their own rationality to pursue the truth. Dialogue and debate itself contains the rational spirit of dispelling superstition. Through dialogue and debate,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ll get rid of the control of intellectual hegemony and jointly move towards the liberation of thought and humanity. The classroom culture created by this dialogue-debate interaction is the emancipatory classroom culture. In the emancipatory classroom,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follow the rules of equal dialogue. Through the analysis of a single case, it is found that the three professors' stage layouts are round table type, rice field type and module type respectively, and teachers and students use symbolic equipment such as language, expression, movement and posture at the front desk. They played diversified roles such as director, screenwriter, protagonist, supporting role, walk-on and audience in the performance. In order to make the classroom interactive performance more exciting, the three professors not only fully mobilized the dramatic elements such as suspense, adventure and conflict in the drama performance, but also integrated the concepts of embodied cognition, drama-class cooperation and dialogue teaching into the classroom through this dramatic interaction, so that the classroom has beautiful values such as immersion, symbiosis and liberation. The three professors respectively constructed the immersed classroom culture by “guiding--restructured bodily organs” interaction, the symbiotic classroom culture by cooperative-constructive interaction and the emancipatory classroom culture by dialogue-debate interaction. Three different styles of classroom interactive performances each create their own on-site experiences, and behind these experiences, there must be corresponding teaching ideas, value pursuit and established classroom behavior norms. Although they have individual differences in experience creation, values and role norms, through cross-cas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y share the same beliefs and assumptions in dramatization and symbolization, and have cultural commonalities.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akes place in the university classroom, and interaction is one of the cultural performances. The charm of interactive performance in college classroom depends on the wonderful plot and the sincerity of the actors. Different from the drama performances, the drama in college classrooms don't rely on plots to win, but on the charm of thoughts. The wonderful classroom dramatic interaction also requires the actors to perform sincerely,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are both actors and audience. Successful interactive performance depends on the sincerity of both parties. A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most of the three professors and their students put their emotions into the performance situation, thus accumulating useful experience for the creation of classroom cultur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college classroom is a kind of cultural interaction mediated by symbols. In college classroom, both teachers and students take the a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meaning of symbols, and the meaning of symbols comes from the social interdepend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s explain, manipulate and revise the meaning of symbols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constantly create new experiences and generate new ideas. According to Question 2, this paper gives a strategic analysis of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college classrooms. The internal advantages of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ese college classrooms are mainly reflected in three aspects: active performance atmosphere, in-depth learning and dialogue spirit. This advantage is particularly prominent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curriculum reform of basic education, which is forcing forcing the revolution of college classroom, so it has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stage center of college classroom. However, dramatic interaction has internal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y in script creation and lack of performance skills, which may lead to the return of traditional teaching mode. In addition, the narrow classroom public space also makes university professors face the risk of being maliciously informed by students. Therefore, professors and colleagues can consider forming a cooperative drama class to expand the advantages of dramatic interaction with the strength of the team. Explore the effective forms of dramatic interaction, realize the sharing of resources and wisdom, and improve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ollege classrooms from the inside. The teaching management departments should establish a classroom flexibility mechanism and professor safety guarantee mechanism, which can be guaranteed and supported from the outside. The drama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China's university classroom has got rid of the chronic diseases of shallow learning, isolation and conservatism and human oppression in monologue-indoctrination classrooms with the values of immersion thinking, cooperative symbiosis and human libera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can provide a practical reference framework for profess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who are willing to try interactive teaching reform, and also provide decision-making consultation for Chinese local universities to implement interactive teaching reform. Its deeper significance is that it will awaken the consciousness of professors and teaching administrat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o carry out classroom culture construction. Key words: Chinese University Classes, Theatrical Interaction, Symbolic Interaction, Cultural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지방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간 연극적 상호작용의 문화적 특징을 서술하여 지방 대학 교수와 교육 관리자의 수업 문화적 자의식을 깨우침으로써 중국 지방 대학수업 개혁과 대학수업 문화 재구축을 추진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1-1.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현장 경험이 어떠한가? 1-2.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의미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은 앞으로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가? 2-1.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상호작용의 내부적 강점, 내부적 약점, 외부적 기회, 그리고 외부적 위협이 무엇인가? 2-2.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상호작용이 어떻게 개선될 것인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중국 지방대학 ‘H 사범대학교’ 교수 세 명의 상호작용 수업을 관찰하고 사례 작성 방식으로 수업 현장의 경험을 기술하였습니다. 우선 연구자는 선행문헌 정리, 수업 관찰, 심층적 면담, 실물 수집 등 네 가지 방법으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자료의 진실성은 주로 삼각법 방식을 통해 확보되었습니다. Nvivo 소프트웨어에 데이터를 도입해 코딩하고,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에 관한 세 개의 사례를 작성하고 현장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상황분석을 통해 연극적 상호작용 수업에서의 극장 배치, 앞무대 연극과 뒷무대 설계 등 경험을 정리하였며 해석학 분석을 통해 이러한 경험에 함축되는 교수-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 이념, 가치, 규범을 깊이 밝힘으로써 상호작용 수업의 문화적, 상징적 특징을 도출하였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근거로 대학수업 교수-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에 대한 SWOT 전략 분석을 통해 내재적 강점, 약점, 외부적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개선 방안도 제시하였습니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문화 특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의 연극적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Y교수의 ‘유도적-이전(移轉)적 수업 상호작용’, L교수의 ‘협력적-구성적 수업 상호작용’과 F교수의 ‘대화적-논변적 수업 상호작용’이다. 구체적 수업 상호작용 연극에 대해 개별적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도적-이전적 수업 상호작용’의 기본적 가설은 인간의 신체에 인지 기능이 있고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의식의 작용이 아니라 강력한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는 과정인 것이다. 학생은 교수의 지도 하에 체험적 학습을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을 연구의 대상에 몰입하고 지식의 내부적 이전을 실현하였다. ‘유도적-이전적 수업 상호작용’의 경우, 심층 학습을 추구하고 이에 창출된 수업문화는 바로 몰입형 수업문화이다. 이 과정에서 교수는 직접적으로 시범하고 학생은 몸소 실천해야 한다. ‘협력적-구성적 수업 상호작용’의 가설은 학습자가 지신의 지식을 구축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지식이란 선행 이론을 회고하거나 외부적 세계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특정 맥락에 타인과 협력을 통해 구축한 것이다. ‘협력적-구성적 수업 상호작용’에는 지식의 공동 구축, 감정의 융합, 교육 및 학습의 상생적 가치 성향이 내포되고 이에 따른 수업문화는 바로 상생적 수업문화이다. 이 과정에서 교수와 학생은 정성, 협력이라는 규범을 공동으로 준수해야 한다. ‘대화적-변론적 수업 상호작용’의 가설은 대화에서 의미가 있는 관념을 도출하고 변론을 통해 인성의 해방을 추구하는 것이다. 대화는 교수와 학생이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실천하는 사상적 모험인 만큼, 교수는 학생이 용기를 내서 이성을 공개적으로 표현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것을 권장해야 한다. 대화와 변론 자체는 미신을 타파하는 이성적 정신을 함의한다. 대화와 변론으로 교수, 학생은 지식 패권의 지배에서 벗어나 사상과 인성의 해방을 향해 함께 나아간다. ‘대화적-변론적 수업 상호작용’이 창출하는 수업문화는 해방적 수업문화이다. 비판적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은 평등적 대화 원칙을 함께 준수해야 한다. 세 교수의 무대 배치는 각각 원탁형, 묘종형, 모듈형으로, 교수와 학생은 앞무대에서 언어, 표정, 동작, 제스처 및 기타 상징적 장비를 사용하였다. 그들의 공연에서 그들은 감독, 시나리오 작가, 주인공, 조연, 관객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세 명의 교수는 수업의 상호작용 공연을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들기 위해 서스펜스, 모험, 갈등 등의 극적 요소를 극적 공연에 충분히 활용하였다. 또 이러한 극적 상호작용을 통해 체화된 인지, 연극단 협력, 대화형 교수방식을 수업에 통합시켜 수업이 몰입, 공생, 해방과 같은 아름다운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실감형 사유, 협력, 상생, 또는 본성의 해방 등 가치적 이념으로 독백-주입식 교육의 고유적 문제점에서 벗어나도록 하였다. 세 가지 서로 다른 상호작용 수업은 각각 자신의 현장 경험을 창출한다. 이러한 경험은 그와 대응하는 교육 이념, 가치 추구 및 일반화된 수업 행위 규범을 내포할 수 밖에 없다. 그들은 경험 창출, 가치적 이념 및 역할 규범 등 측면에 있어 개성화된 차이가 있지만 교차 사례 분석을 통해 연극화 및 상징화 두 가지 측면에 있어 같은 신념과 가설을 공유하고 문화적 공통점을 가진다.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장소는 대학 수업이다. 그 상호작용은 이 장소에서 펼쳐지는 문화적 연극이다. 대학수업 상호작용적 연극의 매력은 흥미진진한 줄거리와 정성스러운 배우의 연극에 달려 있다. 그러나 실제 연극과 달리 대학수업의 시나리오는 줄거리를 통해 성공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사상의 매력과 직결된다. 대학수업 연극은 역시 배우가 정성을 들인 퍼포먼스가 필요하다.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역할은 배우와 관객 사이에 순환된다. 따라서 상호작용의 성공 여부는 연극 양방향의 진지함에 결정된다. 연구 참여자인 교수와 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연극의 상황에 투입하고 매우 참고할 만한 경력을 창출하였다. 대학수업 중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상징을 매개체로 한다. 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은 상징적 의미에 따라 교수와 학습 행동을 한다. 상징적 의미는 사제간의 사회적 상호의존성에서 비롯되며, 사제 쌍방이 상호 작용을 통해 상징적 의미를 해석·조작·수정함으로써 새로운 경험과 사상이 끊임없이 생겨난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극적 상호작용의 전략 분석을 하였다. 중국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연극적 상호작용의 내부적 강점은 주로 활발한 연극 분위기, 심층적 학습과 대화의 정신 세 가지 측면에서 드러났다. ‘기초교육 신과정개혁(基础教育新课程改革)’ 정책에 따른 중국 대학 수업방식 개혁이 퍼지고 있는 시대적 배경에서 이러한 강점의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대학수업 무대의 중심적 위치에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연극적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시나리오 창작의 어려움과 연극 능력 부족 등 내부적 약점도 존재하고 이는 전통적 교수방식으로 되돌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강의실 공간이 좁은 것도 대학교수들을 학생들에게 악의적으로 고발당할 위험에 처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수들은 협력적 연극단을 구성하여 팀워크로 연극적 상호작용의 장점을 강화해야 한다. 연극적 상호작용의 효과적인 방식을 모색하여 자원과 지혜를 공유하고 내적으로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 연극적 상호작용을 개선해야 한다. 교육 관리 부서는 유연한 수업 체제와 교수안전보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외적으로 보장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가 검토한 중국 대학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간 연극적 상호작용은 몰입형 생각, 협력 상생 및 인간의 본성 해방 등 가치적 이념으로 독백-주입식 수업의 피상적 학습, 고립 보수 및 인간의 본성 압박 등 오래된 문제점에서 벗어났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적 교육 개혁을 시도하고자 하는 중국 지방대학 교수들에게 실제로 적용할 만한 참조 구조를 제시하고 개혁을 추진하는 중국 지방대학에 대책과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구나 중국 지방대학 교수들과 교육 관리자들에게 수업문화를 자각적으로 구축하는 인식을 불러일으키는 데 심층적 의미가 있다고 본다. 키워드: 중국 대학수업, 연극적 상호작용, 상징적 상호작용, 문화 특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