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문제행동의 관계 연구

        반기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o suggest leadership training preventing youth problem behavior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in developing youth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by defining the effect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development on problem behaviors, I studied statistical associations between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and problems behaviors. To reach the goals, I selected 273 boys and girl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the Gyeonggi area, and performed th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hich I perform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generally, as the number of sub-categories increases, the number of problem behaviors decreased. Especially, between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and withdrawal (r=-.368, p<.001),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and withdrawal (r=-.341, p<.001) and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and withdrawal (r=-.309, p<.001) ha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so the withdrawal, among the problem behaviors in the sub-categories, received the biggest impact by the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hich I perform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and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internal problem behavi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dership life skills. Especially, among the sub-categories of leadership life skills,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and decision making skills, in that order, showed more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learning skills and internal problem behaviors did not show any nega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xternal problem behaviors and leadership life skills, among the sub-categories of leadership life skills,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and learning skills, in that order, showed more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decision making skills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did not show any negative correlation. And internal problem behaviors showed a lot more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dership life skills than external problem behaviors. Thir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I classified the sub-categories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into two groups, higher and lower groups, and tested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behavior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sub-categories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and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showed impact in creating youth problem behaviors, and, especially, withdrawals, delinquencies and problem behavior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In other words,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are closely related to youth problem behaviors, like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on, anxiety, delinquencies, aggressiveness and physical deterioration, and the groups with higher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displayed remarkably low number of problem behaviors, withdrawal or delinquencies. From the results above, I dre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 verifie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In other words, generally, the groups with higher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displayed remarkably lower number of problem behaviors, withdrawal, depression, anxiety, physical deterioration, aggressiveness and delinquencies than the ones with lower leadership life skills. Especially, among the sub-categories of youth problem behaviors, withdrawal displaye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among the leadership life skills,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and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showe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youth problem behaviors. Therefore, generally, adolescents, who are honest, friendly and respectful to others, have interaction skills with which they coexist with others and groups by keeping harmony and maintaining balance and group activity skills with which they claim their needs to other group members, while creating friendly environment by reflecting others' needs, showed a lower number of youth problem behaviors. Especially, the groups with a high level of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who can understand and evaluate themselves in others' positions and recognize themselves as unique and special individual distinguished from others, showed a lower number of youth problem behaviors. The conclusions that I drew from the overall analysis of this study are that the effective approach to prevent and treat a variety of youth problem behaviors is helping adolescents to develop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and internal capabilities, so they can control and regulate themselves. Therefore, through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development, we can help them to develop skills in understanding self, with which they can recognize their uniqueness and respect others in their position, skills in working with groups, with which they can learn mutu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cept, and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with which they can coexist with others by respecting others' values and maintaining harmony and balance in groups, so they become more mature and socially responsible. 본 연구는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리더십교육의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리더십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과 문제행동 간의 통계적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지역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남·여 학생들 27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생활기술과 문제행동과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영역이 증가할수록, 일반적으로 문제행동은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가장 높은 부적 상관계수를 갖는 것은, 자기이해기술과 위축(r=-.368, p<.001), 그룹활동기술과 위축(r=-.341, p<.001), 인간관계기술과 위축(r=-.309, p<.001)으로,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 위축이 리더십생활기술에 의해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화문제행동과 외현화문제행동이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리더십생활기술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리더십생활기술 하위영역중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인간관계기술, 의사결정기술 순으로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반면 학습능력기술과 내재화문제행동과는 부적상관 관계가 없었다. 외현화문제행동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리더십생활기술 하위영역중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인간관계기술, 학습능력기술 순으로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반면 의사결정기술과 외현화 문제행동과는 부적상관 관계가 없었다. 또한 내재화문제행동이 외현화문제행동 보다 청소년리더십 생활기술과 더욱 밀접한 부적 관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 수준에 따른 청소년문제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영역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사이의 문제행동의 특성을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 하위영역중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인간관계기술은 모든 청소년문제행동 발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위축과 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자면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위축, 우울/불안, 비행, 공격성, 신체이상 등 청소년 문제행동 발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리더십기술 수준이 높은 집단은 문제행동 위축과 비행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문제행동간에 부적관계가 형성되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즉, 리더십생활기술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문제행동 위축, 우울/불안, 신체화, 공격성, 비행이 일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의 문제행동 하위영역중 위축이 리더십생활기술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리더십생활기술은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인간관계기술이었다. 즉, 사람에게 진실하게 대하며 호의를 베풀고, 타인의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하여 궁극적으로 나 이외에 다른 사람과 조직에서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상생하게 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인간관계기술과 집단 성원 내에서 자신의 요구를 주장하고 다른 성원들의 요구 또한 고려하여 집단의 분위기를 친근하게 조성하는 능력인 그룹활동기술 능력이 뛰어난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청소년문제행동 발생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타인의 입장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자신을 여러 타인과 구별되는 유일하고 독특한 존재라고 인식하는 자기이해기술이 높은 집단은 모든 문제행동의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제행동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은 청소년들의 리더십생활기술 역량을 길러주고 내적능력을 함양시켜 주어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자신의 특징을 인식하고 타인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자기이해기술과 상호협력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그룹활동기술, 그리고 타인의 가치를 존중하고 조직에서의 조화와 균형을 통해 상생의 능력을 가지게 하는 인간관계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의 훈련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성숙하고 책임감 있는 청소년을 길러낼 수 있을 것이다.

      •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 :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반기완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 이론을 근거로 유기체인 청소년과 환경, 그리고 이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개념으로 다양한 환경체계 변인들이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역량과 생태체계변인의 차이를 규명해 보고,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들의 생태체계 변인들이 청소년활동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집단의 생태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활동역량 개발에 필요한 다차원적 개입방법을 찾아내고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 대상의 활동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정보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과제 수행을 위하여 경기도 안산지역의 일반청소년 317명과 문제행동청소년 275명을 대상으로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 역량과 생태체계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t-test)을 실시하였고,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생태체계 변인이 청소년 활동 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변수로는 독립변수에는 유기체변인(외모만족, 건강만족,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미시체계변인(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 외체계변인(지역사회청소년환경), 거시체계변인(개인주의, 집단주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부모의 학력, 가정의경제수준, 학교성적, 부모와의 대화시간)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에는 청소년활동역량을 사용하였다. 청소년활동역량 변수는 자아역량, 신체건강역량, 갈등조절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십역량, 시민성역량 등 8가지 하위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역량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일반청소년의 활동역량 평균은 3.51, 문제행동청소년은 3.35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역량은 문제행동청소년들의 활동역량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일반청소년들은 문제행동청소년 보다 자아역량, 갈등조절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리더십역량, 시민성역량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생태체계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기체 변인에서 내재화문제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1.48,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1.69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문제에서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1.39,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1.67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가 높은 것이다. 미시체계 변인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3.83,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3.53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이다. 외체계 변인인 지역사회 환경수준은 일반 청소년과 문제행동 청소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시체계 변인에서 개인주의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3.27,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3.38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은 것이다. 셋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생태체계 변인이 청소년활동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각 생태체계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을 일반청소년과 문제제행동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청소년의 경우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생태체계변인의 설명력은 유기체(24.7%), 미시체계(13.5%), 인구사회학적 변인(10%), 거시체계변인(4.2%), 외체계변인(0.1%)순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청소년의 경우에는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생태체계변인의 설명력은 유기체(24.2%), 인구사회학적 변인(14.2%), 미시체계(13.9%), 거시체계변인(3.1%), 외체계변인(0.2%)순으로 밝혀졌다. 즉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역량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생태체계 변인은 유기체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청소년활동역량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접근은 유기체인 청소년 개개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후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청소년들의 경우 내재화문제가 적을수록,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또래친구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할수록,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청소년활동역량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의 경우 외현화문제가 적을수록, 부모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할수록, 또래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을수록 청소년활동역량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즉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집단 모두에서 청소년활동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변인은 외모만족, 또래지지 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생태체계 변인들 중에서 내재화문제, 집단주의, 학교성적 변인은 일반청소년의 활동역량에 영향력이 있었고 외현화문제, 부모지지, 개인주의 변인은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역량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한 실천적 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외모만족이 활동역량 및 하위변수인 자아역량, 성취동기역량, 신체건강역량 발달에 높은 영향력이 있었다는 연구결과는 대다수의 청소년들에게 있어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는 청소년 발달과 관련하여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요 요인인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활동역량 교육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건강한 신체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또래들로부터의 높은 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역량 및 다양한 하위역량 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활동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전략으로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지도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 모두에게서 활동역량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행동청소년들의 경우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더욱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원인은 문제행동청소년들은 학교생활에 무관심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행동 청소년들의 역량발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사의 역할확대가 더욱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주의 변인은 활동역량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역량 개발을 위해 부모의 사회적지지 변인과 개인주의 변인을 적절하게 고려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활동역량이 매우 미흡하고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 증상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강조하는 높은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인하여 타인과의 갈등을 더욱 촉발시킬 수 있어 비행청소년이라는 사회적 낙인을 더욱 유발시키고 있었다. 특히 문제행동청소년은 부모, 학교, 교사의 낮은 지원체계로 인하여 위기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문제행동청소년들의 활동역량 강화를 위하여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도울 필요가 있으며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 감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이 바람직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entral concept of the interaction of various ecosystem factors that surrounds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based on the ecosystem theory. To be specific,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activity competency and the ecosystem factors of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of relative influence of the ecosystem factors of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problematic adolescents on youth activity competency. The research will be able to find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methods in order to develop youth activity competency, considering the ecosystem factors. It will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data about the development and the execution of activity competency for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To conduct the research, 317 normal adolescent`s and 275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have participated, in order to prove the difference of the youth activity competency and the ecosystem factors of two groups through independent sample of t-test. To seek the relative influence of youth activity competency due to ecosystem factors of the two group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research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organic factor (satisfaction of appearance, satisfaction of health, inherence problem and externalization problem), microsystem factor (parent-support, teacher-support and peer-support), exosystem factor (local and sociological environment of adolescents), macrosystem factor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population-sociological variable (gender, parents’ academic ability, level of domestic economy, school records, amount of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The dependent variable is youth activity competency. The variables for the youth activity competency consist of 8 lower-variables; ego-competence, physical health competence, conflict-control competence, achievement-motivation competenc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leadership competence and citizenship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y competency of the normal adolescents is the average of 3.51 while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 show in average of 3.35. The level of significance is .001,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other words, the level of activity competency is higher among the normal adolescents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Also, normal adolescents display higher competency in; ego-competence, physical health competence, conflict-control competence, achievement-motivation competenc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leadership competence and citizenship competence tha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the ecosystem factors of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ndicate that in organic factors,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have greater inherence and externalization problem. In microsystem fact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receive less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an normal adolescents. In exosystem factor, the local-sociological environment show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n macrosystem fact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tend to have higher sense of individualism than normal adolescents. Third, the analysis of relative influence on the ecosystem factor of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s as follows: The major influential factor for youth activity competency in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s the organic factor.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development of youth activity competency, taking each individual character into full consideration. Especially, it is crucial to guide adolescents not to distort the view on their appearances, when they are susceptible to do so. The result of the ecosystem factor which influences on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s as follows: For normal adolescents who have less inherent problems, higher sense of collectivism, greater peer-support, higher satisfaction toward their appearances and better student records tend to have higher youth activity competency.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who have less externalization problem, less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higher sense of individualism work as positive factors to increase youth activity competency. In other words, the common factors to achieve higher youth activity competency include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and peer-support. Also, the ecosystem factors of inherence problem, sense of collectivism and school-transcript factor have an impact on youth activity competency for normal adolescents while externalization problem, parental support, and individualism factor have an impact on youth activity competency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have practical measures through discuss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both normal and problematic adolescent’s’ assessment on their appearances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regarding the youth activity competency, due to the fact that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affect youth activity competency, along with the ego-competence, achievement-motivational competence, and physical-health competence. Hence, it is necessary to guide adolescents to have positive images for themselves as well as their bodies. Second, higher social support among peers plays a major role in developing low-rank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guidance strategy which promotes a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eers. Third, teacher’s social support has weak influence on both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Especially, the teachers’ support has lower impact o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This is due to their behavior of ignoring, and not participating in school life. Therefore, there should be an expansion of role for the teachers who enable adolescents to have stronger activity competency. Lastly, parental support and individualism factor are the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which call for considering each factor adequately.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show poorer youth activity competency compared to normal adolescents. Not only do they display higher inherence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but also they tend to have more conflicts with other individuals due to the stronger sense of individualism. This furthers the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associating them with potential juvenile delinquency. Especially, those adolescents lack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teachers which intensifies the crisis situation. Hence, it is necessary for adolescents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to promote teaching methods which maintains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