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 수업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프로젝트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조리 실습과 연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박혜란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earning and teaching course which can enhance teaching efficiency of the subjec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Specifically, the unit of 'Dietary Life'provided by the 7th Curriculum was chosen. Also,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advance to find out the students' needs which they recognized in the lesson of 'Dietary Life'. The number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515, who were the third graders(248 boys and 267 girls) of Middle Schools from Chun Cheon-si and Hong Cheon-gun in Gang Weon-do.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June 16, 2008 to June 27, when the unit of 'Dietary Life' was finish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stic utilization and the degree of interest and difficulty in learning each sub unit of 'Dietary Life', the sub unit 'Kinds and Roles of Nutrients' which showed the highest difficulty, had the lowest utilization in the real life. On the other hand, the sub unit of 'Making out Menu and Providing for Meals' which showed the highest interest, had the highest utilization. Second, the students preferred 'Project Learning' among diverse teaching models the most in learning the unit of 'Dietary Life'. Accordingly, the learning and teaching course applied Project Learning, proposed by Kim Sang Wook(2000) and Park Shin Young(2000) which were based on Kim Dae Hyeo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ird, in replying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cooking practice method students think the most efficient and interesting, 39.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making different dish by each group and setting the table for one meal', In contrast, only 5.0% of the respondents chose 'making the same dish by all groups' which is practiced prevalently in the school curriculum now.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item asking learners' estimation for Home Project Learning(Real Learning at Home), the answers to the question if students prefer Home Project Learning to insufficient cooking practice at school showed positive results: 22.5% of respondents chose 'positively would like to', 41.0% of respondents chose 'would like to'. Therefore, learning and teaching course for Home Project Learning in addition to learning and teaching course for Project Learning Model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here.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수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에 있으므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에 앞서 식생활 단원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수업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수업방법을 개선시키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강원 지역의 춘천시와 홍천군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515명(남자 248명, 여자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식생활 단원'이수시기를 고려하여 이수가 완료된 2008년 6월 16일부터 6월 27일까지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단원'에 대한 흥미도와 난이도에 따른 활용 실태는 난이도가 가장 높은 '영양소의 종류와 역할 단원'이 실생활에 활용하는 정도가 가장 낮고, 흥미도가 가장 높은 '식단 작성과 식사 준비'단원의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 단원 수업모형 선호도 조사 결과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수업형태는 프로젝트학습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자는 김대현의 프로젝트학습 과정을 참고한 김상욱(2000), 박신영(2000)의 연구에서 제안한 학습과정을 참고한 프로젝트학습 모형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학습 효과가 높고 흥미 있는 조리 실습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 조사 대상자의 39.2%가 '모둠별로 다른 음식을 만들어 한 끼 식사가 되도록 상차림을 준비한다'로 응답한 반면, 현재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하나의 주제로 모든 모둠이 똑같은 음식을 만든다'로 응답한 학생은 겨우 5.0%에 지나지 않았다. 넷째, 홈프로젝트학습(가정체험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결과 학교에서 충분히 실시하지 못하는 조리 실습을 홈프로젝트학습으로 실천해 보는 것에 대한 질문에 조사 대상자의 22.5%가 '적극적으로 해보고 싶다', 41.0%가 '해보고 싶은 편이다'로 나타나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프로젝트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함께 홈프로젝트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도 작성하여 제시하게 되었다.

      • 기본의 역사관에 대한 고찰

        박혜란 단국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계몽주의 시대와 기본(E.Gibbon, 1737-1794)에 대한 역사관은 서양사에 있어서 '근대'라는 시대구분상의 특징과 연결되어 지금까지 새로운 시각과 역사해석상의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되어져 왔다. 이 논문을 쓰게된 동기부여 혹은 문제 의식은 어떻게 한 시대가 계몽주의라는 분명하고도 통합적인 개념으로 불려질 수 있었을까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되어진 것이다. 이러한 작은 문제의식들속에서 17-18세기를 특징짓는 계몽주의적 요소와 시대정신 나아가서는 그것이 표방하는 "역사인식의 특징과 적용논리"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논문의 전체적인 흐름이자 지적구조라 할 수 있겠다. 아울러 18세기 역사가, 특히 기본의 고대사에 대한 인식과 역사서술상에 있어서의 접근방식을 『로마제국 쇠망사』라는 그의 역사서를 통해 기본을 이해하고 그의 역사관을 정리, 종합화해 보고자 한다. 18세기 역사서술상에서 나타난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적인 파악은 16세기말에서 17세기초의 지리적 발견과 자연과학의 발달, 자연법 사상의 전개 등으로 역사서술상의 전환기를 준비할 수 없는 외적형태들이 마련되었다. 〈진보〉〈이성〉〈자연법 사상〉은 계몽주의 역사인식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중세의 연대기적, 수사학적 단계를 벗어나 인간과거사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숙고를 가능하게 하였다. 아울러 역사서술상에 있어서 "사실성"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합리성"은 기존의 신적인 섭리의 작용이나 개입을 철저히 배격하는데 사용되어졌고, 역사서술의 주 무대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사는 "세속화"에 대한 길잡이 역할뿐만 아니라, 자기 시대와의 동질화를 통해 인류의 장래, 새로운 정치 질서와 사회 질서의 모색을 위한 "모델"이 됨으로써 역사서술상에 있어서 단순한 미화 차원이 아닌 이상사회로 향하려는 세계 변화의 목적성을 함축하고 있다. 다음으로 『로마제국 쇠망사』를 쓴 기본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역사관을 분석해 본다면, 역사가로써 보다는 부유한 사회계층으로의 신분 상승을 강요한 그의 아비지와의 마찰은 기본의 "카톨릭에로의 개종" 으로 더욱 심각하게 표면화 되면서, 로잔으로의 강압적인 추방은 오히려 기본을 역사가로서 성숙시키게 되는 계기를 형성하였다. 여기서의 Daniel Pavillard를 통한 프랑스 문학과 라틴어, 그리스어의 습득을 통해 고대사를 연구할 수 있는 "지적 토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여기서 기본의 평탄치 못한 어린 시절의 연대기는 그의 작품의 성격을 차지하는 요소로 나타냈는데, Gossnan은 그의 성장과정에서 대두되는 아비지와의 불편한 관계 (억압적 상황)가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나타난 일련의 영웅들의 성격과 동일시됨으로써 기본자신이 갖지 못한 현실적 상황과 성격의 "탈출구"로써 서술되어 갔다는 이론을 전개해 나간다.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기본이 보인 쇠퇴와 멸망의 원인은 "야만족의 침입과 기독교의 전파"라는 입장에서 서술되어 졌는데, 이러한 그의 주제 이면에는 "자유, 도덕, 명예"의 상실이 로마를 멸망으로 이끌었음을 암시하였고, 기독교가 다른 종교보다 더 비합리적이기 때문에 적대감을 품은 것이 아니라, 타 종교보다 더 완고하고 비사회적이라는 점에서 그의 적대감은 표출되어 당대의 무조건적인 종교 비판의 형태를 탈피해 나가 그의 고유한 시각을 형성해 나갔다. 전체적으로 『로마제국 쇠망사』1권에서 기본의 풍자적 형태와 우회적 표현법, 솔직성이 "쇠퇴원인" 이라는 통일성에 의해 농축되어 나타났지만 2~6권에서는 다양한 사실들을 단일한 목소리안으로 통일시킬 수 없다는 사실의 직면으로 기본의 변화된 서술 경향을 파악해 볼 수 있다. 기본은 종교적인 역사와 세속적인 역사사이에 모든 장애물들을 대담하게 소탕하고 세속사로써 종교사의 모든 면들을 포함시켜 나가는 일관성을 그의 작품에서 펼쳐 나갔고, 단순한 박학 차원을 탈피해 이야기체의 서술로서 해석의 가능성을 무한히 개방시켜 놓은 역사가로써 평가해야 한다고 본다. In this study, historical view about the Age of Illuminism and E.Gibbon, (1737~1794) linked to the Mordens peculiarity, have been searched with a new angle and methord in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The motive of this study is that how one generation was called a "illuminism" Which is clear and synthetic. This Study's entire direction and structure are about the illuminism's factory which is the charicteristic of 17-18C,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speciality and theory in recognition of history". I tried to make the system about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history and approaching method in describing history through 「The rise and fall of Roman history」 which was written by E. Gibbon, a historian. The discovery of new continent, Improvement of natural science, Rise of the law of nature are resulted from the causality which provided the frame out a conversion. 〈progress〉, 〈reason〉, 〈philosophy of the law of nature〉 are the majority of the illumnism and make the entire human history be observed generally and help it to jump out form the chronological and rhetoric level of the middle ages. The importance of rationality as well as reality was used to rule out the effect of Divine providence. The ancient history of Greece and Roma have aimed at the change of the world tried to be a Vtopia, which is not nearly a beautification but a measure for the secularization. Simutaneously, it is the model of the new political and social order and the future of human being through homogeneity with his ages. The next point what I try to reveal is that the E. Gibbon's historical view. The conflict with his father who forced him to improve his social status not a historian, which made him convert to a Catholic. The exile to Lausanne also made him a nature historian and lead him to learn the knowledge which is based on studing of ancient history.

      • Richard Strauss의 『Vier letzte Lieder』분석 연구

        박혜란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Richard Strauss(1864-1949) had performed in the late romantic composer of German from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and through his all life he had a great influence to the development of artistic aria of German songs in 19th century by composing hundreds of works. his works include many orchestra works, opera and songs. In relation to the both side of the literature and the music, he reflected on classicism and romanticism as well. "Vier letzte Lieder" being treated in this thesis, is a song cycle for soprano and the great formation orchestra, Strauss was absorbed in the poem of Hermann Hesse(1877-1962) and Joseph von Eichendorff(1788-1857) and finally wrote the accompaniment of orchestra, that was expressed not only beautiful melody, but also a splendid and majestic color of harmony. An effort is made in this thesis to show what kind of musical language is being used by Strauss in "Vier letzte Lieder" by analyzing it. Prior to analysis Strauss' life, the musical background of post-romantic period, and the general trend of German texts a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formal as well as tonal structures are analysed. Dynamics and orchestration in relation with the text are also scrutinized. "Vier letzte Lieder", Strauss` last work, is known to be one of the polemic works of the post-romantic period which received both praise and criticism. The meaning of this analysis of the work lies in the findings of Strauss` musical languages he used in both the vocal and the orchestral working outs together.

      • 비고츠키의 근접발달 영역 이론을 적용한 아동 무용프로그램 개발방향 모색

        박혜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만 7세~9세인 초등학교 1학년~3학년까지의 혼합연령을 대상으로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 개발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의 인지발달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 근접발달영역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비계설정과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세부적 단계를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계설정을 적용한 무용 수업지도안은 청각적, 시각적, 신체적으로 나누어 창의적이고 다양한 발달능력을 단계별로 발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협동학습을 적용한 무용 수업지도안은 학생들을 소그룹 형태로 나누어 서로 소통하고 상호작용하여 표현활동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둘째, 무용프로그램의 수업구성체계로 차시별 수업목표는 1차시에서 6차시까지 구성하였으며 아동의 표현활동을 통해 창의력 향상과 인지발달 촉진, 협동심, 사회성을 구축시키는 수업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수업내용은 흥미위주의 놀이형식의 수업으로 다양한 무용 표현을 위해 상상하고 사고하여 자연스럽게 몸으로 표현 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학습자 간에 생각과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서로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근접발달영역을 적용한 아동 프로그램 제안은 도입, 전개, 정리 형식으로 나누어 도입에서는 학습주제와 목표를 이해하게 하고 문제제기를 통해 상상하고 사고하게 하였다. 전개에서는 비계설정과 협동학습으로 나누어 문제에 대해 탐구하고 그룹구성원과 무용작품을 만들어 소통하도록 구성하였다. 정리단계에서는 서로를 평가하고, 자신을 되돌아보는 자기성찰시간을 가지도록 하였다. 근접발달영역을 적용한 아동 무용프로그램의 기대되는 효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의 도움과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인지발달과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통해 아동의 정서와 인성발달에 도움 될 것이다. 셋째,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협동학습을 통해 사회성이 발달될 것이다.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을 적용한 무용프로그램은 아동이 혼자 힘으로 학습을 하는 것 보다 다른 이의 도움으로 문제 해결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동에게 적절한 피드백과 도움으로 또래의 친구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였을 때 자신의 잠재력을 끌어올려 새로운 발달수준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또래에 비해 성숙하고 유능한 친구 혹은 선배와 함께하는 혼합연령형태의 학습은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면서 서로 협력하는 방법을 알게 하여 사회성과 인성발달에 효과적인 학습으로 이끌어낼 수 있을 것 이다. 창의성에만 몰두하는 무용프로그램 개발 보다는 구성원간의 사회적 참여를 유발시키고 상호 작용이 돋보이는 학습형태가 앞으로의 교육방향에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발전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is to find a way to develop dance program for mixed age from 7 to 9, first to third graders, based o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ity progress of children is proposed by applying scaffold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 detailed stages are as follows; 1) The dance teaching plan that scaffolding is applied to is divided into auditory, visual and physical section to help foster creative and various development capability stage by stage. The plan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applied to suggests the learning activity to have students divided into small group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o elevate completion of expression activity. 2) In organization system of dance program, the instructional objective consists of 6 different stages from first to sixth to improve creativity, promote cognitive development and build cooperation and sociality. The contents of class consist of playing types for the sake of arousing interest to help leaners imagine and think of various dance expressions, express them naturally and physically and offer a help to each other by sharing thought and feeling together. 3) The children program based o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mpletion. Introduction stage helps learners understand subject and objective and promote their imagination and thought by bringing up issues. Development stage is divided into scaffold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nd during the stage they explore the issues, create dance work in small groups and communicate with group members. Completion stage is where they evaluate each other and have time of introspection. Children dance program based o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is expected to have effects as follows; 1) Help from others and interaction can help learners improve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2)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o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3) Intera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can develop their sociality. The dance program is designed to improve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more with help of others than learning alone. Having time to solve problems with peers through proper feedback and help, they can raise up their potential and grow up into a new level. Mixed-age learning with friends or the older more mature and capable can help them learn how to cooperate by filling what they lack, which makes the learning effective on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character. The learning type that induces members to participate and interact rather than only focuses on creativity would be a positive and effective way to future education.

      • 기형도의 시적 상상력 연구

        박혜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바슐라르의 네 원소 시학을 토대로 기형도의 시에 드러난 상상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상상력을 밝히기 위해 그의 발현태라고 할 수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되 그 이미지의 시적 교감과 관련하여 기형도가 우리에게 준 감동적인 울림을 물질의 연금술적 상상력 속에서 분석해 본 것이다. 또한 그의 시세계 근저에서 드러나는, 이미지가 직조된 공간을 작품 분석 과정에서 알아보았다.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데 있어 상상력의 중요성을 살피고 바슐라르의 이론을 적용해서 시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는 것이 의의가 있다는 것을 규명하기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상상력과 이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상상력에 대한 그간 논의를 통해 그것의 위상 변화와 바슐라르의 독자적인 상상력 이론을 따로 나누어 그 변별지점을 나타내고 바슐라르 상상력의 의의를 드러내었다. 그에게 있어 상상력의 본령은 이미지를 변형하는 능력으로 그것은 새로운 삶을 위한 비약과 연결되어 우리에게 감동, 울림을 주는 존재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문학 이미지와 바슐라르가 말한 이미지 성격을 살폈는데 그에게 이미지는 단순히 형상을 만드는 것이 아닌, 표면 아래 의식의 심층에까지 닿는 상상력으로 사물과 자신이 하나가 되는 과정에서 태동하는 것이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바슐라르가 제시한 바 있는 물질적 상상력의 개념을 토대로 기형도 시를 분석하고 그의 시에 드러난 연금술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바슐라르는 인간이 두려워하는 추락의 이면에는 언제나 되솟아 오르는 것에 대한 갈망과 그에 대한 노력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오름에 대한 역동적 상상력은 인간이 가진 근원적이고 적극적인 행위이기에 한 작가의 시적 상상력을 분석할 때는 그 요소들이 지닌 양가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을 말한 바 있다. 곧 작품에 드러난 부정성의 이미지조차 작가의 희망과 행복에의 염원이 드리워진 ‘행복의 시학’인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살펴본 기형도의 시적 상상력은 매우 흥미로웠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부정성의 울림은 주로 ‘물, 대지’의 상상에서 나타난 이미지들이었지만 이러한 이미지들을 통해서도 작가는 간간이 그 부정성을 넘어선 희망의 편린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물’의 상상력에서 변주된 이미지는 ‘비, 눈, 안개, 얼음’ 등을 통해 나타났는데 여기서는 전반적으로 부조리한 세계 인식과 그 속에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자아의 모습이 드러났다. ‘흙(대지)’의 상상력에서는 ‘거리, 어둠, 집’을 통해 시인의 상상력을 살펴보았는데 삶의 무정향성에서 오는 혼란은 시인으로 하여금 길 위를 방랑하게 하는 한편 추억으로 회귀하게 하였다. 한편 작가의 이러한 부정적 세계 인식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승하는 긍정의 혼이 발휘되어 그 부조리를 희망으로 승화해 보고자 한 것이 ‘공기’와 ‘불’의 상상을 통해서이다. 물과 흙의 상상이 지상적인 흐름에서 나타난 것이라면 공기와 불의 상상은 지상을 벗어난 수직적인 승화에서 그 부정성을 넘어서고자 한 양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공기’의 상상력은 ‘바람, 천체, 구름, 씨앗’ 이미지를 통해 그 역동적인 상상이 잘 드러났는데 이들은 시인으로 하여금 고통과 시련의 상처를 치유하게 하는 것들이었다. 그의 시에서 ‘불’을 통한 상상은 수직적 형상을 드러내는 ‘입상’과 희망의 그림자를 향한 불 밝히기 의식인 ‘점화’를 통해 잘 드러났는데 이러한 몽상을 통해 부정적 현실을 초월하는 희망으로의 승화를 잘 보여주었다. 이처럼 기형도의 시적 상상력이 만들어낸 시적 세계는 부정성의 울림과 긍정의 혼이 공존하는 곳이었다. 기형도는 그만의 독특한 미의식을 도시와 자연의 공간 속에서 잘 형상화해 냈는데 ‘지친 것들을 구원해 줄 수 있는 것은 자연’이라는 그의 말처럼이나 그는 신화적이고 동화적인 상상 속에서 변주되는 물질들을 보여준 것이었다. 그는 절망의 역설적 표현을 통해 희망을 노래하고자 했으며 부정적 현실 속에서 희망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한 시인이다. 그는 시 작품들을 통해 세상에 대한 연금술적 상상을 보여주었다. 곧 현실의 부정성으로 인해 절망에 휩싸인 것들을 역설적으로 희망의 존재와 연결시켜 보려는 상상을 해보인 것이다. 기형도는 우리에게 바슐라르가 강조한 바 있던 감동의 체험, 혼의 울림을 여실히 느끼게 한 시인이고 시적 교감, 달리 말해 창조적인 시적 이미지가 느끼게 하는 아름다움과 감동을 향유하게 한 시인이다. 그의 시적 상상력이 보여준 부정성을 넘어선 긍정의 혼의 울림은 언제까지나 우리에게 깊은 여운을 남길 것이다.

      • 아산만 북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

        박혜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산만 북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을 분석하기 위해 2016년 1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조하대 15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여 해수온도, 염분, 입도,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분포, 우점종, 저서오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해역의 표층수온은 평균 1.8 ∼ 26.6℃의 범위로, 저층수온은 평균 1.8 ∼ 25.6℃의 범위로 나타났고, 표층과 저층수온 모두 8월에 가장 높았으며, 2월에 가장 낮았고, 만의 북동쪽에서 높았다. 표층염분은 25.0 ∼ 32.2 psu의 범위로, 저층염분은 24.5 ∼ 32.2 psu의 범위로 나타났고, 표층과 저층염분 모두 2월에 가장 낮았으며, 4월에 평균 가장 높게 조사되어 서쪽에서 높았고, 남동쪽에서 낮았다. 퇴적물 분석결과 모래는 평균 60.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평균입도는 3.3 Ø로 조사되었으며, 서북쪽에서 조립질이었고, 만의 남동쪽으로 갈수록 세립질을 나타냈다. 대형저서동물 분석결과 종수는 총 415종이 출현하였으며, 개체수는 456 inds./㎡, 생체량은 41.23 gWWt./㎡이었다. 분류군별 종수는 환형동물이 48.7%, 절지동물이 25.8%, 연체동물이 15.2%, 극피동물이 6.7%, 기타동물이 3.6%를 차지하였다. 상위 2%이상 우점종은 총 10종이었으며, 환형동물이 8종, 극피동물과 기타동물이 각 1종씩 출현하였다. 최우점종은 버들갯지렁이류(Mediomastus californiensis)가 출현하였으며, 별난가시갯지렁이류(Aricidea spp.)가 차우점하였고, 은갯지렁이(Paralacydonia paradoxa), 홈울타리갯지렁이(Lygdamis giardi), 둥근거미불가사리(Amphiodia craterodmeta), 버들갯지렁이류(Heteromastus filiformis), 실타래갯지렁이류(Tharyx sp.), 유형동물류(Nemertea unid.),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scutata), 반다리미갑갯지렁이(Hemipodus yenourensis)순으로 나타났다. 종 풍부도 지수는 평균 3.3, 종 균등도 지수는 평균 0.8 그리고 종 다양도 지수는 평균 2.6으로 산출되었으며, 세 제지수 모두 시기적으로 7월과 지역적으로 만의 서쪽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도(Bray-Curtis 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아산만 북부해역은 크게 세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BIO-ENV 및 환경과 생물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형저서동물은 모래와 실트가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여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BPI 분석 결과, 평균 BPI 값은 57.55로 2등급의 약간오염(Slightly polluted)를 나타냈다. 6월에 53.00으로 오염이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고, 만의 동쪽에서 상대적으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AMBI 분석 결과, 평균 AMBI 값은 2.25로 2등급의 약간오염(Slightly polluted)으로 나타났다. 8월에 2.49로 오염이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고, 만의 남동쪽에서 상대적으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추론능력 향상 방안 : 유추와 수학적 귀납법

        박혜란 韓國外國語大學校 校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추론능력의 향상의 방안으로 유추와 수학적 귀납법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유추의 의미와 역할 및 적용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교과서에 제시된 여러가지 예가 유추의 방법으로 학습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각각의 예에서 학생들이 교사가 의도한 유추의 과정대로 학습을 하기 위해 유추의 지도에 필요한 교사의 질문을 유추의 적용과정 전개에 따라 연구해 보았다. 또 다른 추론능력의 향상 방안으로서 수학적 귀납법의 의미와 적용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수학적 귀납법 단원의 도입 소재로써 놀이인 바라문 탑이 활용 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 이 때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필요한 교사의 질문을 연구해 보았다. 또한 수학적 귀납법이 단순한 등식이나 부등식의 증명 뿐 아니라 집합영역, 기하영역, 이산수학영역에서 자연수와 관련된 정리에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연구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