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현지의 작품 연구 : 1.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ae)』(2021), 2.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2019), 3.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他)』(2020), 4. 첼로, B b 클라리넷, 피아노를 위한 『장미(La Rose)』(2

        박현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43

        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on four works were premiered on November 30, 2021 at the Kim Young-ui Hall of Ewha Womans University Music College as a recital program for completing a master's degree. The works include: ae for Violin and Otamatone (2021),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2019), Ta for 2 Pianos (2020), and La Rose for Clarinet in Bb, Cello and Piano (202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each work,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usical material used in each work and the music development method through form and structure analysis. ae for Violin and Otamatone is a piece depicting the meeting, change, and coexistence of me in the real world and another me, “ae” who exists in the virtual world, and is describes through the real me through violin and the virtual world me(ae) through otamatone. This piece is generally performed by otamatone imitating and partially transforming the melody of violin, and changes appear in the melody imitation process for the three-step expression of [Existence Perception-Response-Coexistence] in each part. 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and effectors(plug-in) are used to change the tone of the melody that is repeated and imitated throughout the piece, and music is developed around the tone and acoustic effects that appear through this.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was composed based on the premise that a person falls into the process of indulging in an object(work, thing, phenomenon, etc.) by other will, not by will,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mposer’s considering about indulgence and addiction. In this piece, addiction is recognized as a creature, and the process of the person being deeply addicted by the addiction, gradually forgetting himself, and eventually being destroyed is expressed musically. This piece consists of four parts, and the piano represents the person, and 2 percussionists represent the addiction through unpitched percussion instruments. In Addition, music is developed through musical elements such as the same pitch repetition motif, rhythm structure, articulation, meter, and tempo by the composer. In addition, effective storytelling is achieved through musical theatre elements such as instruction on stage lighting and performer’s behavior. Ta for 2 Pianos was composed based on the composer’s personal experience. The focus of the piece was on musical description of the two inner egos a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s that respond in contrast to what they continue to face in life. The composer defined the self in the piece through trichotomy based on a Christian perspective. In order to describe the two egos floating in thought without shape and to express the expanding emo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two egos, the pitch structure of 2nds and 4ths degrees, the harmonic structure derived therefrom, and five figures that appear over three parts of A-B-C were used. In addition, the music is developed around the sound generated by using the piano like a percussion instrument and the use of long pedaling and long fermata. Furthermore, various musical elements such as pitch, rhythm, pitch interval, and articulation were arranged in contrast throughout the music so that the contrasts between the two egos could be clearly felt. La Rose for Clarinet in Bb, Cello and Piano was composed with ideas from a verse from the fairy tale <Le Petit Prince> by French writer Saint-Exupéry, and ex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usically. This piece just consists of one part in which music is developed within a large motif that penetrates the entire piece. And all parts influencing and changing each other in an independent and equal position, and move horizontally.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closely connected to these changes, three techniques(stretto, musical element setting, melody sculpture) were used from the existing five concepts(fugue, leit-motif, total serialism music, O. Messiaen’s piece and concrete music). In particular, the musical element was substituted with a ‘small piece’, and the melody of all parts was constructed by setting it as the minimum unit constituting the melody. As the music developed, a method of modifying the piece or adding a newly created piece to the melody was used. This transformation of small piece appears the most through the technique among musical elements, which soon leads to tone change. In this thesis is a study on various musical elements and music development methods used differently for each work to express the theme and composition intention of each work mus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ur works.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박현지가 석사 과정 재학 중에 작곡한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ae)』(2021),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2019),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他)』(2020), 그리고 Bb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장미(La Rose)』(2020)에 관한 연구이다. 네 작품 모두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리사이틀의 프로그램으로 2021년 11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김영의홀에서 초연되었다.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는 현실에 존재하는 나와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또 다른 나인 아이(ae)의 만남과 변화, 그리고 공존을 그려낸 곡으로 현실의 나는 바이올린, 가상세계의 아이는 오타마톤을 통해 묘사된다. 이 곡은 대체로 오타마톤이 바이올린의 선율을 모방 및 부분 변형함으로써 진행되며, 각 부분에 나타난 [존재 인식-반응-공존]의 세 단계 표현을 위해 모방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율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곡 전체에 걸쳐 반복·모방 되는 선율에 음색 변화를 주기 위해 여러 주법과 다양한 이펙터를 사용하여 달라지는 음색·음향적 효과를 중심으로 음악이 전개된다.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은 탐닉(耽溺)의 과정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사람(이하 주체자)이 어떤 대상(일, 사물, 현상 등)을 탐닉하는 것이 아닌, 타의에 의해 탐닉 되어간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작곡되었다. 작품 내에서 탐닉은 하나의 생명체로 인지되며, 탐닉에 의해 주체자가 탐닉에 빠져 점차 자신을 망각하다가 결국에는 파괴되어가는 과정이 음악적으로 표현되었다. 네 부분으로 구성된 이 작품에서 피아노는 주체자,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는 무율 타악기를 통해 탐닉을 대변하며 작곡자가 설정한 동음 반복 모티브, 리듬 구조, 아티큘레이션, 박자, 빠르기 등의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음악이 전개된다. 이와 함께 조명 및 연주자의 행동에 관한 음악극적 요소를 통해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는 작곡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곡된 것으로 삶 속에서 계속해서 마주하는 것에 대해 상반되게 반응하는 내면의 두 자아와 감정적 및 심리적 변화를 음악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작곡자는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하여 삼분설을 통해 작품에서의 자아를 정의하였다. 형체 없이 머릿속에서 생각으로 떠다니는 두 자아의 모습을 묘사하고, 두 자아의 감정 확대 및 심정적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2도, 4도의 음정 구조와 여기서 파생되는 화성 구조 그리고 A-B-C의 세 부분에 걸쳐 나타나는 다섯 개의 음형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피아노의 타악기적 활용과 긴 페달링과 긴 페르마타의 사용을 통해 음향을 중심으로 한 음악을 전개한다. 또한, 악곡 전체에서 음역, 리듬, 음정 간격, 아티큘레이션 등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대비적으로 배치하여 두 자아의 상반됨이 선명하게 느껴지도록 하였다. Bb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장미』는 프랑스 작가 생텍쥐페리의 동화 『어린 왕자(Le Petit Prince)』의 한 구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곡되었으며 인간이 가진 관계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곡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큰 모티브 안에서 음악이 전개되는 한 부분으로 구성되며, 모든 성부는 독립적이고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아 변화하며 수평적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변화와 긴밀하게 연결된 각 성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존의 다섯 가지 개념(푸가, 라이트 모티브, 총렬 음악, 메시앙의 곡, 구체 음악)으로부터 착안한 세 가지 기법(스트레토, 음악적 요소 설정, 선율 조각)을 사용하였다. 특히, 음악적 요소를 ‘조각’으로 치환하여 선율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삼아 이를 바탕으로 모든 성부의 선율을 구성하고, 음악이 전개됨에 따라 조각을 변형시키거나 다른 성부의 영향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조각을 선율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조각의 변형은 음악적 요소 중 주법을 통해 가장 많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곧 음색 변화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네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품별 주제와 작곡 의도를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품마다 각기 다르게 사용된 다양한 음악적 요소와 음악 전개 방식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박현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유아들에게 발생하는 사회문제 중 개인주의적 성향 증가, 탈공동체화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또래 유아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유아가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배려적 사고를 올바르게 형성하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비교집단 간 차이와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 형성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사용된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제시한 인성덕목 여섯 가지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가 포함되어 있는 동화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동화를 선정하였다. 인성동화를 선정한 후 미술, 게임, 동극, 요리, 뒷이야기 꾸미기 활동 중 동화의 내용과 주제에 부합하는 활동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20회차 협동활동을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협동활동을 수정·보완하고, 충청북도 C시의 현직 유아교사 5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3명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50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각기 다른 어린이집으로 임의 선정한 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프로그램인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이후 협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만을 실시 하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배려적 사고 하위요인인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규범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활동에 참여하기 전 유아들은 ‘무시하기’, ‘욕심내기’, ‘경쟁심 갖기’ 등의 모습으로 타인에 대한 경쟁심을 갖고 교구를 사용하는데 있어 욕심을 보였지만, 협동활동 프로그램 적용 이후 ‘다름을 인정하기’, ‘배려하기’, ‘함께하는 우리’ 등의 모습으로 타인을 이해하려는 모습과 타인의 긍정적인 면을 인정하며 배려하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들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공동체 경험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의 감정을 존중할 줄 아는 배려적 사고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에게 협동활동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배려적 사고와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양적인 연구방법과 질적인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기술함으로써 배려적 사고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만 4세 유아들의 모습을 심도있게 나타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동화의 활용방안과 협동활동의 적용에 도움을 제공하고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paper organized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for guiding children to cooperate as a part of effort to present the solutions against the increasing tendency of individualism and de-communization phenomenon among serious social issues occurring to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This paper aims to help the children to build the proper considerate thinking for others and understanding the self by applying those cooperative activity. For identifying the impact of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such considerate thinking. The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is the impact of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Second, What is the process to build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observed in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cooperative activity implemented in this paper selected the picture books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among the picture books having the contents about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and filial duty, six virtues of characters sugges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After determining the picture books, the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ontents and themes of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mong art, game, juvenile drama, cooking and creating sequel. Then, the cooperative activity for 20 classes was organized. The cooperative activit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eliminary research. 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resent in the city C in Chungcheongbuk-do and 3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lanned cooperative activity. Thus,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ly configured. The subjects were 50 children of full 4 years old in K and S day care centers in the city C. It was very difficult to do random sampling. Thus, two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nd the homogeneity between both groups was secu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activity after discus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program planned in this paper,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discussion u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cooperative activity program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main program,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categories of considerate thinking, value adding thinking, emotional thinking, behavioral thinking, normative thinking and empathic thinking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experience the cooperative activity. The children were greedy when using learning tools with competitive spirit against others including 'ignoring', 'being greedy' and 'being competitive'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program, but showed the attitude for trying to understand others and accepting and considering the positive aspects of others including 'accepting difference', 'considering' and 'We sharing each other'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activity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analysis on the program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had the positive impact o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nd on building the considerate thinking understanding the self and respecting others' emotion through community activit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nsiderate thinking and characters by providing the experience for cooperative activity to the children in full 4 years old.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described the attitudes of children in full 4 years old in more details which could be observed in the process to build the considerate thinking by apply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for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help the application of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and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activity.

      • 초등사회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서술내용 분석 : '인권감수성' 을 중심으로

        박현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이제 더 이상 단순한 과거의 역사적 사실 또는 한일관계의 외교적 문제가 아니다. 최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인류 전체의 보편적인 인권문제로 생각하여 국제인권법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우리는 이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과거에 머물러있는 역사적 사실 또는 외교적 수단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인권문제로 인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권문제로서의 시각은 일본군 ‘위안부’ 학습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초등사회교과서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자는 인권감수성의 관점에서 초등 사회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서술내용과 여성가족부에서 제작한 일본군 ‘위안부’ 바로알기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권감수성 함양을 위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교과서 서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서술의 분석을 위해 인권감수성의 3가지 구성요소(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를 바탕으로 초등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 분석에 대한 분석 준거 틀을 만들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교과서에 서술된 일본군 ‘위안부’ 관련 내용은 절대적으로 서술의 양이 적었고 이에 따라 인권감수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정도도 매우 낮았다. 둘째, 초등사회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서술의 내용이 모호하며 정확하지 않았다. 셋째, 일본군 ‘위안부 바로알기 교재에는 초등사회교과서와는 다르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인권과 평화의 관점에서 서술하려는 노력이 엿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교과서 및 교재 서술에 대한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서술 형식으로서 내러티브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서술 내용에 인권감수성의 3가지 구성요소(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를 반영할 수 있다. 셋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구성의 활동을 서술에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도덕교과와의 주제통합이나 사회과에서의 인권교육 내용 서술 부분에 인권침해의 사례 중 하나로 제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생존해있는 피해자들의 인권회복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의식과 인권이라는 가치에 대한 학습을 위해 교육적으로도 중요한 내용이다. 따라서, 이러한 역사인식과 교육적 필요성에 의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교과서 서술은 인권감수성의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이는 피해자와 가해자 그리고 인권이라는 보편적인 가치를 우리 사회가 모두 공유해야 할 시점에서 꼭 필요한 것이다.

      • 완경기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인지 행동적 자가 치료의 효과

        박현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책자를 이용한 인지 행동적 자가 치료를 개발하여, 인지 행동적 자가 치료가 완경기 여성의 증상 개선 및 태도 변화에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완경 증상의 네 가지 하위 영역(혈관 운동 증상, 심리·사회 증상, 신체 증상, 비뇨생식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경험하고 있고,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한 영역의 증상 심각도가 중증도 이상(영역 평균 점수, 3점 이상)이며, 동시에 경미한 우울 상태(16점 이상)인 직장인 여성 18명으로, 처치 집단(n = 8) 또는 통제집단 (n = 10)으로 무선 할당되었다. 처치 집단의 참가자들은 약 3주 동안 책자를 이용하여 인지 행동적 자가 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2주 동안 일상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처치 전·후로 완경증상, 완경태도, 지각된 자기 효능감, 정신적 웰빙, 일(공부)과 사회적 부적응,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통제집단에 비해 처치 집단은 인지 행동적 자가 치료 후에 완경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총 완경증상, 우울 수준, 지각된 자기 효능감, 일(공부)과 사회적 부적응,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추가적인 분석에서 처치 집단 내 운동을 하고 있는 여성이 운동을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완경증상, 일(공부)과 사회적 부적응 수준이 감소하였고, 지각된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지 행동적 자가 치료는 완경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자기관리를 잘 하는 여성에게 훨씬 더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gnitive-behavioral self-help therapy using booklets and to examine whether cognitive-behavioral self-help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menopausal symptoms and changing attitudes towards menopause in menopausal working wom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xperiencing at least one of the four subdomains of menopausal symptoms(vasomotor symptoms, psychosocial symptoms, somatic symptoms, and genitourinary symptoms) at a moderate or higher severity(subdomain mean score, 3 points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in a mild depressive state (a score of 16 or highe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treatment group (n = 8) or the control group (n = 10).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performed cognitive-behavioral self-help therapy using booklets for about 3 weeks, and the control group filled out daily papers for 2 weeks. Menopausal symptoms, depression, attitudes toward menopause, perceived self-efficacy, mental well-being, work (study) and social maladapta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cor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ttitudes towards menopause in the treatment group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application of cognitive-behavioral self-help therap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menopausal symptoms, depression, mental well-being, work (study) and social maladapta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cores. Results also showed that women who exercised self-management in the treatment group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reduced menopausal symptoms, reduced work(study) and social maladjustment, and a tendency to increase perceive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gnitive-behavioral self-help therapy is effective in positively changing attitudes towards menopause, and can affect women who are good at self-management in a much more helpful wa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국내 조직문화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0년간의 국내학술지 중심으로 (2001년~2020년)

        박현지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로벌화된 시장환경과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하고 복잡한 ‘뷰카시대’라는 엄청난 변화 속에서 많은 조직들은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구성원을 결집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조직문화 만들기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조직문화 연구는 사기업 뿐 아니라 공공부문, 학교 등 모든 조직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조직의 경영전략, 인적자원관리, 조직개발 등의 다양한 분야에 가이드를 제시 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연구 될 필요성이 있다. 2000년대부터 연구의 양적 확대가 이루어진 국내 조직문화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가장 주요한 대응책으로 여겨지는 인적자원관리와 조직개발에 있어서의 필요한 방안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학술논문을 바탕으로 조직문화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국내 조직문화 연구의 전반적 동향(연도별 양적분포 및 연구행태 등)은 어떠한가? 둘째, 연구의 접근방법 및 주제·내용별로 어떻게 유형화 되었는가? 셋째, 선행연구를 통해 찾을 수 있는 조직문화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분석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조직문화’ 키워드로 검색된 국내학술논문 중 사회과학주제로 분류된 KCI등재, 등재후보의 연구 250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20년간의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의 한계점을 유형화하여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 연구는 2000년 이전보다 양적 확대가 되었으며, 2006년부터 더욱 활발해 짐을 볼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의 학술지 중 인적자원관리 연구, 관광레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한국 교원교육 연구 등 인적자원관리 분야와 교육관련 분야의 관심이 높다. 연구대상은 민간기업, 중앙행정기관, 유아교육기관, 학교, 호텔, 제조기업, 지방자치단체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설문을 활용한 실증적 검토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접근방법과 주제·내용별 유형도 매우 극 편향성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문화 연구의 대부분이 단일방법에 의한 실증적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나치게 기존의 모형을 답습한 결과도출에 치우쳐 있다. 둘째, 조직문화와 리더십의 적합관계가 매우 높음은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알 수 있으나, 그에 비해 연구의 양적확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조직문화의 공유가치들은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이나 조직사회화를 통해 확산되거나 역사적으로 전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조직문화 연구에서는 아쉽게도 새로운 조직문화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는지, 긍정적 확산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의 제시는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새로운 사회 환경에 의해 조직문화 또한 역사적으로 변화해 간다. 따라서 시대적 분기점을 직시한 조지문화 가치변수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조직문화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느끼며 몇 가지 제언한다. 첫째, 조직문화의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주제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가 되면서 조직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강조하였고, 상시적인 혁신이 요구되는 현대 사회에서 필요한 조직문화로의 변화를 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문화의 연구 또한 합리적이고 기계적인 관점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문화를 이해하는 실험적이고 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직문화의 종단적 연구를 통한 연구수준의 제고를 기대한다. 조직문화와 관련한 현상들이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바람직한 조직문화 속에서 학습조직의 구축으로 기업 차원의 평생학습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평생학습사회가 만들려는 이상적인 모습이 기업 안에서도 이루어지길 바라며, ‘학습조직화’가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는 조직문화는 어떤 것인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 방안: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박현지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Koryoin Larchiveum as a complex cultural space combined with function of library, archive and museum based on Wolgok Koryo History and Culture Cente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n Larchiveum, the space and work functions of each institution, the expected effect for librarians, archivists, and curat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Statistics 28.0.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between the space and work needs of each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eds(information and data,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departments, and budgets and short-and long-term plans). In addition, the second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director of Wolgok Koryo History and Culture Center, representative for the Korean village, experts in Koryoin, etc.)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an analysis of the survey.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information and data,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departments, and budgets and short-and long-term plans were investigated. In the library, the more necessary it was in various ways, the higher the need for work 1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 and work 2 users and literacy education programs. In the archives, the more necessary it was in various ways, the higher the need for space 1 archives organization and preservation room, space 2 work place dedicated to archivists, space 3 archives exhibition, work 1 archives discovery and acquisition, and work 4 archives digitization. In the museum, the more necessary it was in various ways, the higher the need for space 2 storage, and space 3 work place dedicated to curators. Accordingly, the space and functional elements set mainly for Koryoin Larchiveum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eeds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Secondly, It is an analysis of keywords for each item on the interview. Keyword analysis was conducted by extracting related keywords for each item and then inferring new words by relating the frequently mentioned words to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constructing the Koryoin Larchiveum, the integrated work management and organization, the Koryoin Larchiveum construction model, and the expected effect were analyzed, and the Koryoin Larchiveum construction model was modified based on these interviews. The construction correction model of the Koryoin Larchiveum differs from the construction model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Koryoin Larchiveum was suggested to construct a new building that is not connected between the existing building and the new building on the basis of the requirements and practical aspects. Third, It is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of the Koryoin Larchiveum. A vision and goal of the Koryoin Larchiveum were set by applying methodology of corporate to Larchiveum. The vision is set up as a place for promotion and enjoyment of Koryoin’s culture, and the goal is to strengthen the library, archives, and museums to provide efficient services to users. Three things in order to realize the vision and goal is that reinforcement of user-centered topic services related to Koryoin using feedback, strengthening the cultural transmission by preserving the value of Koryoin’s cultural heritage, and collaboration through exchanges with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outside the Korean village were made up. Fourth, It i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Koryoin Larchiveum. The organization is divided into a executive department and a planning department, and the executive department has a archives department and an administrative department that conducts general affairs, accounting support, and advertising, etc., and the planning department has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rchives department is in charge of collecting, preserving, and managing relics(records, photos, printed materials, videos, books, etc.).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ystematically displays relics, plans promotions, and is in charge of education-related programs, seminars, and library services, furthermore, the operation of the Koryoin Larchiveum deals with budget, professional personnel, data collection and integration plan. To this end, a plan to secure a budget, develop and organizational map suitable for work, and collect and network were proposed. Finally, It is a service of Koryoin Larchiveum for visitors. It consisted of an onlin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obtain information they want without restrictions on space, an educational service that allows “Koryoin’s Day“ which is periodically held in the Korean village to conjunct with the Larchiveum service, and an advertising service that informs what Larchiveum is and what it does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Larchiveum and activate the Koryoin Larchiveum. Consequently, each plan was presented so that users could easily and conveniently use the Koryoin Larchiveum.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인 역사문화관을 중심으로 도서관·기록관 기능을 더한 고려인 라키비움(Larchiveum)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서, 기록연구사, 학예사 등을 대상으로 라키비움의 인식도, 각 기관의 업무 및 공간기능, 기대효과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8.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필요성(정보와 자료, 기관 간 협력, 전담부서, 예산 및 장단기 계획)의 개수에 따른 기관별 공간 및 업무 요구도 간 평균 차이를 알아보고자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2차 전문가(관장, 대표자, 고려인 전문가 등)를 대상으로 공간 구성 요소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조사와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 분석이다. 여기에서 정보와 자료, 기관 간 협력, 전담부서, 예산 및 장단기 계획에 대한 필요성과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도서관에서는 여러 방면에서 필요성을 많이 느낄수록 업무1 참고정보서비스와 업무2 이용자 및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았다. 기록관에서는 여러 방면에서 필요성을 많이 느낄수록 공간1 기록물 정리실 및 보존실, 공간2 기록물관리전문요원 전용 작업 공간, 공간3 기록물 전시실, 업무1 기록물 발굴 및 인수, 업무4 기록물 디지털화의 요구도가 높았다. 문화관에서는 여러 방면에서 필요성을 많이 느낄수록 공간2 수장 공간과 공간3 학예사의 작업 및 연구공간의 요구도가 높았다. 이에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인 라키비움에 필요한 기능 위주로 설정한 공간·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면담 내용에 대한 항목별 키워드 분석이다. 키워드 분석은 항목별로 연관성 있는 키워드를 추출한 후 많이 언급된 단어를 서로 관련지어 새로운 단어를 유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 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요소, 통합 업무 관리 주체 및 조직구성,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 모형, 기대효과의 답변을 분석하고 이러한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모형을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 수정 모형은 기존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설정한 구축 모형과는 차이가 있으며 요구사항과 실질적인 면을 기초로 건물의 연결 방법이 아닌 고려인 라키비움의 새 건물 구축을 제시하였다. 셋째, 고려인 라키비움의 업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라키비움에 기업경영의 마인드와 방법론을 응용하여 중심과제와 목표를 세웠다. 비전은 고려인 문화 향유와 증진의 장(場)으로, 목표는 이용자에게 원활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도서관·기록관·박물관의 실질적인 통합으로 세우고, 그에 따른 중심과제 세 가지는 피드백을 활용한 이용자 중심의 고려인 관련 주제서비스 강화, 고려인 문화유산 가치의 보전 및 확산을 통한 전승기반 강화, 고려인마을 밖의 기관 및 단체와의 교류를 통한 협력 확대로 설정하였다. 넷째, 고려인 라키비움 조직과 운영이다. 조직은 관리과와 기획과로 나누고 관리과는 기록관리부와 일반적인 행정업무를 보는 행정부를, 기획과는 문헌정보부를 둔다. 기록관리부는 유물(기록물, 사진, 인쇄물, 영상물, 도서 등)의 수집·보존·관리 등을 맡는다. 문헌정보부는 유물들을 체계적으로 전시하고 홍보를 기획하며, 교육 관련 프로그램 및 세미나와 도서 업무를 전반적으로 담당한다. 또한 고려인 라키비움의 운영에서는 예산확보, 전문인력, 자료 수집 및 통합 방안을 다룬다. 이를 위해 고려인을 위한 예산확보 방안, 업무에 맞는 조직도 개발, 자료의 수집과 통합 및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내세웠다. 다섯째, 고려인 라키비움의 서비스방안이다. 서비스는 세 가지로 구성된다.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공간에 제약 없이 쉽게 얻을 수 있는 온라인서비스, 고려인마을에서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고려인의 날’ 행사를 라키비움의 서비스와 연동시켜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교육 서비스, 홍보를 통해 라키비움이 무엇인지, 무슨 일을 하는지 알리고 고려인 라키비움의 인지도를 높여 이용을 활성화하는 홍보 서비스이다. 여기에서는 이용자가 쉽고 편하게 고려인 라키비움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감성지능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 :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 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금융직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금융기관종사자들은 461명의 표본을 SPSS 19.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감성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2)자기효능감은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즉,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조절변수가 없더라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써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지능리더십은 조직발전과 개인의 발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더 다양한 분야에서 감성지능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organizations. It focuses on verifying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organiza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financial organization verified sample of 461 people using SPSS 19.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doesn't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even though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doesn't have Moderating variable, “ self-efficacy”, it is verified that it is the variable which can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so we Should try to improve it. and I hope to run a research More diverse in the field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아동학대와 우울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유형과 주의편향의 이중매개효과

        박현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secure attachment and attentional biases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subclinical depression. In the current study, we tested (A) whether insecure attachment style mediates histories of childhood maltreatment and depression, and (B) whether attentional biases mediate child maltreatment and depression. Also, we tested (C) whether both insecure attachment and biased atten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adulthood depression. A sample of 148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for childhood maltreatment(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 CTQ), attachment style(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 : ECR-R), and depression(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 CES-D). Participants also performed a computerized spatial cueing task that included type of words (relevant to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valence of the words (negative, positive, and neutral). These words were presented for 250, 500, and 1500ms. Attenti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were calculated by using reaction time and mathematical formulas. Observ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ROCESS Macro. Results demonstrate the mediation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biased attention of positive words under a condition of 1500ms only. That is, histories of childhood maltreatment itself have no direct impact on depression, but have impact on attachment anxiety. This attachment anxiety causes attentional avoidance from positive words related to attachment under a condition of 1500ms. Lastly, this attentional avoidance from positive words elevates the symptoms of depression. Sinc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s anhedonia, this finding has an important therapeutic implication for depressed individuals. While healthy individuals are able to maintain their attention to positive stimuli, depressed individuals are not. Therefore, rebuilding secure attachment or training cognitive bias modification of attention would help depressed individuals to lower their depressed symptoms. 본 연구는 아동학대 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불안정 애착유형과 주의편향의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학대와 우울의 관계에서 학대의 경험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불안정한 애착유형과 주의편향이 각각 단일매개 혹은 순자척으로 이중매개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만 19세 ~ 만 39세의 성인 14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및 주의편향과제를 실시하였다. 아동학대, 애착유형, 우울은 자기보고식질문지로 측정하였으며 참가자들의 주의편향은 수정된 Posner의 공간단서과제(spatial cueing ta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의편향과제에서 단어유형(애착, 우울), 정서가(긍정, 부정, 중립), 그리고 세 가지의 자극제시 시간(250ms, 500ms, 1500ms)에 따른 참가자들의 반응속도를 측정했다. 주의편향 계산공식에 따라 주의개입(주의촉진)과 탈개입(주의철수)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실험 데이터는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했다. 이중매개분석 결과 아동학대와 우울 사이에서 불안애착과 주의편향 - 1500ms의 자극제시 시간에서 애착과 관련된 긍정자극에 대한 주의회피 – 의 완전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아동학대는 그 자체만으로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불안애착에 영향을 주어 애착과 관련된 긍정적 자극으로부터 주의를 회피하게 함으로써 결국 우울의 수준을 높이게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요한 치료적 함의를 지니고 있는데, 우울한 사람들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가 무쾌감증이기 때문이다. 건강한 사람들은 보통 행복하고 긍정적인 자극으로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 특징인데 반해, 우울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통해서 안정적인 애착을 재형성하거나 긍정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수정 훈련을 한다면 우울한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공해준다.

      • 대기오염과 허혈성심질환 연관성에서의 고혈압 환자의 스타틴 복용에 따른 효과 변경

        박현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대기오염 물질이 전신 염증(systemic inflammation) 상태를 유발시킴으로써 심혈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항염증 효과가 있는 약물이 대기오염 노출, 특히 단기노출에 의한 심혈관계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환자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스타틴의 사용이 대기오염 단기노출로 인한 허혈성 심질환 입원 위험을 감쇠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자료를 통해 서울지역의 허혈성심질환으로 입원한 대상자들의 의료 이용자료를 획득하여 시간-층화 환자-교차연구설계를 수행하였다. 서울지역의 입자의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PM10), 2.5㎛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그리고 오존(O3)의 일일 평균 농도는 에어코리아에서 획득하였다. 허혈성심질환 입원일부터 입원일 7일전까지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2018-2019년 사이 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첫 응급실 입원을 식별하였고, 이 중 입원 전 3년 동안 고혈압으로 의료이용을 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허혈성심질환 입원 1년 전 약제 처방이력을 기반으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단일제 복용군과 ARB 스타틴 복합제 복용군을 식별하여 일대일 비교를 수행하였다. 공휴일과 기상 변수를 보정하여 두 그룹 각각에서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허혈성심질환 입원 위험은 각 대기 오염 물질의 1 단위 증가당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 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으로 표현되다. 두 그룹의 OR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p for interaction 공식을 통해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총 11,623명이 포함되었다. 입원일부터 하루 전 평균 PM10 농도의 10 μg/m³ 증가는 ARB 단일제 복용군에서 허혈성심질환 입원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나(OR, 1.005; 95% CI, 0.994-1.017), ARB 스타틴 복합제 복용군(0.964; 0.930-0.998)에서 그 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for interaction=0.03). PM2.5의 10 μg/m³ 증가는 스타틴 복합제 복용군(OR, 0.946; 95% CI, 0.900-0.995)에서 허혈성심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었음(OR, 0.946; 95% CI, 0.900-0.995)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스타틴 병용 요법이 고혈압 환자의 허혈성심질환의 위험에 대한 대기오염 노출의 단기적 영향을 보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Air pollution, such as particulate matter, exposures adversely affect cardiovascular health via systemic inflamm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on whether medications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reduce the cardiovascular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particularly the short-term effe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use of statin (which ha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ttenuates the short-term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exposures on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HD) admiss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Methods & Materials: For this time-stratified case-crossover stud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rovided healthcare utilization data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IHD in Seoul, Korea. Daily averag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PM) with aerodynamic diameters of ≤10μm (PM10) and ≤2.5μm (PM2.5), Sulfur dioxide (SO2), Ozon (O3), Nitrogen dioxide (NO2), and Carbon monoxide (CO) in Seoul were obtained from Air Korea. The concentration from the day of ischemic heart disease admission to 7 days before the hospitalization day was used. We identified first admissions for IHD (via emergency department) in 2018-2019. Out of these, only patients with any visits for hypertension for three years prior to the admissions were considered. Based on prescription data one year prior to the IHD admissions, we identified individuals on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single-pill and those on combined ARB and statins (the statin combination group) to carry out a head-to-head comparison. A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each of these two groups, adjusting for national holidays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The risk of IHD admission was expressed as an odds ratio (OR) per 10 μg/m³ increase in each air pollutant and its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Significant of difference in the risks between the two drug groups was tested (presented as a p for interaction). Results: A total of 11,623 IHD patients with history of hypertension were included. A 10 μg/m³ increase in PM10 (one day prior to an IHD admission)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IHD admission in the ARB single-pill group (OR, 1.005; 95% CI, 0.994-1.017), but with a decreased risk in the statin combination group (0.964; 0.930-0.998) (p for interaction=0.03). A 10 μg/m³ increase in PM2.5 (one day prior to an IHD admission)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IHD admission in the statin combination group (OR, 0.946; 95% CI, 0.900-0.995), but with an increased risk in the ARB single-pill group (1.003; 0.988-1.019) (p for interaction=0.03).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statin combination therapy may be protective of the short-term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exposures on the risk of IHD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