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현지의 작품 연구 : 1.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ae)』(2021), 2.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2019), 3.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他)』(2020), 4. 첼로, B b 클라리넷, 피아노를 위한 『장미(La Rose)』(2

        박현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43

        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on four works were premiered on November 30, 2021 at the Kim Young-ui Hall of Ewha Womans University Music College as a recital program for completing a master's degree. The works include: ae for Violin and Otamatone (2021),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2019), Ta for 2 Pianos (2020), and La Rose for Clarinet in Bb, Cello and Piano (202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each work,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usical material used in each work and the music development method through form and structure analysis. ae for Violin and Otamatone is a piece depicting the meeting, change, and coexistence of me in the real world and another me, “ae” who exists in the virtual world, and is describes through the real me through violin and the virtual world me(ae) through otamatone. This piece is generally performed by otamatone imitating and partially transforming the melody of violin, and changes appear in the melody imitation process for the three-step expression of [Existence Perception-Response-Coexistence] in each part. 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and effectors(plug-in) are used to change the tone of the melody that is repeated and imitated throughout the piece, and music is developed around the tone and acoustic effects that appear through this.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was composed based on the premise that a person falls into the process of indulging in an object(work, thing, phenomenon, etc.) by other will, not by will,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mposer’s considering about indulgence and addiction. In this piece, addiction is recognized as a creature, and the process of the person being deeply addicted by the addiction, gradually forgetting himself, and eventually being destroyed is expressed musically. This piece consists of four parts, and the piano represents the person, and 2 percussionists represent the addiction through unpitched percussion instruments. In Addition, music is developed through musical elements such as the same pitch repetition motif, rhythm structure, articulation, meter, and tempo by the composer. In addition, effective storytelling is achieved through musical theatre elements such as instruction on stage lighting and performer’s behavior. Ta for 2 Pianos was composed based on the composer’s personal experience. The focus of the piece was on musical description of the two inner egos a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s that respond in contrast to what they continue to face in life. The composer defined the self in the piece through trichotomy based on a Christian perspective. In order to describe the two egos floating in thought without shape and to express the expanding emo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two egos, the pitch structure of 2nds and 4ths degrees, the harmonic structure derived therefrom, and five figures that appear over three parts of A-B-C were used. In addition, the music is developed around the sound generated by using the piano like a percussion instrument and the use of long pedaling and long fermata. Furthermore, various musical elements such as pitch, rhythm, pitch interval, and articulation were arranged in contrast throughout the music so that the contrasts between the two egos could be clearly felt. La Rose for Clarinet in Bb, Cello and Piano was composed with ideas from a verse from the fairy tale <Le Petit Prince> by French writer Saint-Exupéry, and ex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usically. This piece just consists of one part in which music is developed within a large motif that penetrates the entire piece. And all parts influencing and changing each other in an independent and equal position, and move horizontally.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closely connected to these changes, three techniques(stretto, musical element setting, melody sculpture) were used from the existing five concepts(fugue, leit-motif, total serialism music, O. Messiaen’s piece and concrete music). In particular, the musical element was substituted with a ‘small piece’, and the melody of all parts was constructed by setting it as the minimum unit constituting the melody. As the music developed, a method of modifying the piece or adding a newly created piece to the melody was used. This transformation of small piece appears the most through the technique among musical elements, which soon leads to tone change. In this thesis is a study on various musical elements and music development methods used differently for each work to express the theme and composition intention of each work mus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ur works.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박현지가 석사 과정 재학 중에 작곡한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ae)』(2021),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2019),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他)』(2020), 그리고 Bb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장미(La Rose)』(2020)에 관한 연구이다. 네 작품 모두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리사이틀의 프로그램으로 2021년 11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김영의홀에서 초연되었다.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는 현실에 존재하는 나와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또 다른 나인 아이(ae)의 만남과 변화, 그리고 공존을 그려낸 곡으로 현실의 나는 바이올린, 가상세계의 아이는 오타마톤을 통해 묘사된다. 이 곡은 대체로 오타마톤이 바이올린의 선율을 모방 및 부분 변형함으로써 진행되며, 각 부분에 나타난 [존재 인식-반응-공존]의 세 단계 표현을 위해 모방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율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곡 전체에 걸쳐 반복·모방 되는 선율에 음색 변화를 주기 위해 여러 주법과 다양한 이펙터를 사용하여 달라지는 음색·음향적 효과를 중심으로 음악이 전개된다.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은 탐닉(耽溺)의 과정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사람(이하 주체자)이 어떤 대상(일, 사물, 현상 등)을 탐닉하는 것이 아닌, 타의에 의해 탐닉 되어간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작곡되었다. 작품 내에서 탐닉은 하나의 생명체로 인지되며, 탐닉에 의해 주체자가 탐닉에 빠져 점차 자신을 망각하다가 결국에는 파괴되어가는 과정이 음악적으로 표현되었다. 네 부분으로 구성된 이 작품에서 피아노는 주체자,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는 무율 타악기를 통해 탐닉을 대변하며 작곡자가 설정한 동음 반복 모티브, 리듬 구조, 아티큘레이션, 박자, 빠르기 등의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음악이 전개된다. 이와 함께 조명 및 연주자의 행동에 관한 음악극적 요소를 통해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는 작곡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곡된 것으로 삶 속에서 계속해서 마주하는 것에 대해 상반되게 반응하는 내면의 두 자아와 감정적 및 심리적 변화를 음악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작곡자는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하여 삼분설을 통해 작품에서의 자아를 정의하였다. 형체 없이 머릿속에서 생각으로 떠다니는 두 자아의 모습을 묘사하고, 두 자아의 감정 확대 및 심정적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2도, 4도의 음정 구조와 여기서 파생되는 화성 구조 그리고 A-B-C의 세 부분에 걸쳐 나타나는 다섯 개의 음형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피아노의 타악기적 활용과 긴 페달링과 긴 페르마타의 사용을 통해 음향을 중심으로 한 음악을 전개한다. 또한, 악곡 전체에서 음역, 리듬, 음정 간격, 아티큘레이션 등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대비적으로 배치하여 두 자아의 상반됨이 선명하게 느껴지도록 하였다. Bb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장미』는 프랑스 작가 생텍쥐페리의 동화 『어린 왕자(Le Petit Prince)』의 한 구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곡되었으며 인간이 가진 관계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곡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큰 모티브 안에서 음악이 전개되는 한 부분으로 구성되며, 모든 성부는 독립적이고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아 변화하며 수평적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변화와 긴밀하게 연결된 각 성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존의 다섯 가지 개념(푸가, 라이트 모티브, 총렬 음악, 메시앙의 곡, 구체 음악)으로부터 착안한 세 가지 기법(스트레토, 음악적 요소 설정, 선율 조각)을 사용하였다. 특히, 음악적 요소를 ‘조각’으로 치환하여 선율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삼아 이를 바탕으로 모든 성부의 선율을 구성하고, 음악이 전개됨에 따라 조각을 변형시키거나 다른 성부의 영향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조각을 선율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조각의 변형은 음악적 요소 중 주법을 통해 가장 많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곧 음색 변화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네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품별 주제와 작곡 의도를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품마다 각기 다르게 사용된 다양한 음악적 요소와 음악 전개 방식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 ZnO 입자 산란에 의한 InP 양자점 필름의 향상된 발광 효과에 대한 연구

        박현지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콜로이드 양자점(colloidal quantum dots, QDs)은 넓은 흡수파장영역과 좁은 방출파장영역으로 색순도가 좋으며 색조절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으로 디스플레이 분야에 색재현율을 높이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적용 방법으로 전계발광방식과 파장변환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백라이트 광원으로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빛을 사용하여 양자점 색변환층을 통해 다른 작은 에너지를 갖는 빛으로 변환해주는 파장변환방식은 현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색변환층의 효율 향상을 위해 산란입자를 첨가하는 연구가 현재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현재 산란입자의 농도와 크기에 대한 연구만이 진행되었다. 산란입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태양전지 분야에서 모양 제어에 대한 결과가 긍정적으로 보고된 것을 바탕으로 색 변환층에 첨가하는 산란입자의 모양 제어가 효율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판단했다. 양자점 물질 중 비독성 물질 중 대표적인 3-5족 물질 InP를 사용해 발광 효과 향상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형 산란입자와 혼합 산란입자를 농도별로 혼합해 양자점 색변환층을 제작하였다. 반적분구 측정 결과를 통해 필름을 제작한 뒤 청색 OLED 상부에 올려 측정했을 때보다 용액을 청색 OLED 봉지층 상부에 직접 코팅하는 방식이 색 변환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혼합 산란입자를 첨가한 색변환층의 적색 발광 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란입자의 모양 제어가 색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더 적은 농도의 양자점을 사용했을 때 같은 효율을 낼 수 있어 양자점의 응집현상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용액 공정이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가격 측면에서도 유리해 저비용으로 색재현율이 좋은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대중음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박현지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의 환경이나 공감능력에 따라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중음악 중 록, 아이돌 음악, 댄스음악, 힙합, 헤비메탈, 발라드, 뉴에이지를 선택하여 사회적, 정신적, 심리적 영향을 연구해보았다. 첫째, 사회적 영향에서 보았을 때 록과 아이돌 음악을 선정하였는데 록의 긍정적인 측면은 록의 가사가 청소년들의 억압적 현실에 대한 불만과 불안한 미래, 입시에 대한 부담감을 표현하고 있어 동질성을 느끼며 또한 록의 빠른 템포와 괴성, 빠르고 경쾌한 리듬은 청소년의 내적 에너지를 표출해주는 도구가 된다는 것이다. 록의 부정적인 측면은 청소년들이 록 음악을 듣고 흥분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면 폭력적인 성향이 생길 수 있고 록의 거친 가사를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면 가사에 담긴 내용들을 친숙하게 받아들여 폭력적이고 반항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이돌 음악의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아이돌 문화 속에 내재한 팬클럽활동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고 심리적 만족감과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부정적 측면으로는 아이돌 가수들의 팬클럽에 소속되어 권력집단으로 영향력을 과시하고 팬클럽 간의 무모한 경쟁과 적대적 관계를 일으키기도 하며 대형 기획사나 매니지먼트에서 아이돌을 상품화하면 이에 청소년들이 현혹되어 이용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정신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댄스음악과 힙합, 헤비메탈을 선택하였다. 댄스음악의 긍정적인 측면은 신체적 표현을 통해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풀 수 있게 해주어 친구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것이며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춤을 추는 가수들의 과한 노출과 의상이 청소년들의 성의식(性意識)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힙합의 긍정적인 측면은 가사가 가난, 소외, 범죄 등의 문제에 직면한 사람들의 현재를 반영하며 절망적인 사람들에게 도피처가 되어준다는 것이고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가사가 폭력과 반항적인 내용으로 청소년들에게 맹목적 일탈을 부추긴다는 데에 있다. 헤비메탈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보면 밴드의 강한 사운드와 헤드뱅잉 그리고 샤우팅은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확실하게 날려주며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거칠고 문란한 행동과 자살의 유혹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셋째, 심리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발라드와 뉴에이지를 선택하였다. 발라드 음악의 긍정적인 측면은 발라드의 가사가 청소년들의 사랑의 감정을 대변함과 동시에 공감과 설렘을 일으키며 그들의 마음을 치유해준다는 점이고 부정적 측면은 많은 발라드 음악들이 이별의 슬픔과 고뇌를 다루어 청소년들의 정서를 매우 우울한 쪽으로 유도한다는 것이다. 뉴에이지 음악의 긍정적 측면은 집중력강화와 피로회복 그리고 마음을 안정시키거나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된다는 것이며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어두운 분위기로 인해 자살을 발생시키거나 정신이상을 가져오기도 한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정신적, 심리적 영향으로 나누어 본 대중음악은 심리적변화가 많은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친밀감이 가져오는 동질성, 공감대 형성으로 청소년들의 마음을 치유해주고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풀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고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우울감이 심해지거나 폐쇄적이 되어 자살충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성이 부족하고 흥미 위주의 단순한 리듬과 가사를 가진 음악을 주변 대중매체를 통해 비판 없이 받아들이고 모방할 경우 청소년들이 음악에 대한 편견과 편식을 하게 될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f social, mental, and psychological effect was made after selecting rock, idol music, dance music, hiphop, heavy metal, ballad, and new age in popular music that might have a different effect according to teenagers' environment and empathy respectively. First, when a social effect was observed, rock and idol music was selected. And the positive aspect of rock is that, as lyrics of rock express teenagers' dissatisfaction at oppressive reality, uncertain future, the burden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y feel an affinity, and the fast tempo and shouting, and fast and cheerful rhythm of rock becomes a tool of expressing the teenagers' inner energy. The negative aspect of rock is that, if teenagers listen to rock music and maintain an excited condition, violent nature is formed, and if they repeatedly have access to the wild lyrics of rock, they intimately accept the content of lyrics, and then they may become violent and defiant. The positive aspect of idol music is that teenagers may feel a sense of belonging, and may get a psychological sense of satisfaction and security through fan club activities immanent in the idol culture. Its negative aspect is that teenagers belong to the fan clubs of idol singers, and show off influence as power group, and give rise to reckless competition and hostile relationship, and the teenagers are taken advantage of because they are tempted if big agencies or management companies commercialize the idols. Second, in order to examine a mental effect, dance music, hiphop and heavy metal was selected. The positive aspect of dance music is that, as stress can be positively relieved through physical expression, an opportunity to become intimate with friends is provided. And its negative aspect is that the dancing singers' excessive exposure and fashion may have an effect on creating the teenagers' sexual perception. The positive aspect of hiphop is that its lyrics reflect the present of people faced with problem such as poverty, alienation, and crime, and it becomes hopeless people's refuge. And its negative aspect is that it contains violent and defiant lyrics, and incites teenagers' reckless deviation. When heavy metal is checked in the positive aspect, the strong sound, head banging, and shouting of band surely blows away teenagers' stress. And in the negative aspect, it causes crude and obscene behavior and temptation of suicide. Third, in order to examine a psychological effect, ballad and new age was selected. The positive aspect of ballad music is that the lyrics of ballad speak for teenagers' feeling of love, and cause empathy and pit-a-pat, and heal their hearts. And its negative aspect is that, as many ballad songs deal with the agony and sorrow of parting, those lead teenagers' emotion to very melancholy one. The positive aspect of new-age music is that it is utilized as a treatment program for improving their concentration, recovering from fatigue, making their mind stable, and relieving tension. And its negative aspect is that suicide or mental disorder may be caused due to dark atmosphere.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popular music divided into social, mental, psychological effect had not only positive effect but also negative effect on teenagers who psychologically change a lot. When a positive effect was considered, teenagers' hearts were healed and their stress were positively relieved by building a connection and affinity that brings about a sense of closeness. And when a negative effect was considered, it was shown that, as depression became worse or the teenagers became unsociable, they got to feel like committing suicide. In case of receiving and imitating a song that lacks artistry and has simple entertainment-oriented rhythms and lyrics without critical thought through surrounding mass media, teenagers may have a bias toward or against a certain kind of music and listen to only what they like. Therefore, teachers should lead students in a better direction.

      • 강소기업 집단별 R&D 투자 요인과 기업성과 관계에 대한 고찰

        박현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 정부 및 민간기관에서는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 목적과는 달리 기업 규모를 사업 신청자격으로 규정하여 잠재력을 가진 중소기업이 지원대상에서 사전에 배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는 강소기업 지원 사업에 비하여 강소기업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연구분야는 강소기업의 공통적인 특성 도출에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상황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강소기업의 집단별 특성 차이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 설계를 하였다. 2014년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실시한 ‘글로벌 창의·혁신 우수기업 육성 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강소기업을 분류한 1차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강소기업 진화과정에 따라 강소기업을 효율적 강소기업, 비효율적 강소기업으로 분류하여 R&D 투자에 따른 강소기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강소기업 집단에 따라 R&D 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경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석 결과가 실제 기업의 사례와 부합하는지 검토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와 사례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강소기업 집단별 R&D 투자에 따른 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첫째, 강소기업 관련 연구의 폭을 확장하였으며 둘째, 강소기업 육성 사업의 대상 선별 기준은 규모가 아닌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켰고 셋째, 집단별 차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수정 진동자 미세 저울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생화학 물질의 정량분석에 관한 연구

        박현지 순천향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이오센서는 측정 대상물에서 대해 정보를 측정한 뒤 측정량을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켜 인식 가능한 값으로 나타내는 소자로 항원, 항체를 분석하거나 특정 DNA 또는 RNA 검출을 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는 소자이다. 실제 질병의 진단이나 자가 모니터링을 위해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중 질병에 직접 관련이 있는 중금속인 수은은 실생활에서 메틸 수은의 형태로 축적이 되는데, 대부분 수산물에서 많은 함량이 포함된 상태로 있다. 또한 중요 질환의 바이오 마커로 사용되는 micro RNA는 메신저 RNA와 결합해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가 감소, 또는 유전자 조절을 하는 역할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은 이온과 micro RNA 중 miR-21의 검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DNA 분석법을 이용해 QCM (quartz crystal microbalance) 센서를 통해 진행하였다. 수은 이온의 경우 Thymine-Hg2+-Thymine 결합을 연구 방법에 적용시켜 진행하였으며, miR-21의 경우 Pyrene intercalation을 이용해 miR-21의 검출을 진행하였다. 수은 이온과 miR-21 모두 Thymine-Hg2+-Thymine 결합과 Pyrene intercalation을 이용해 재현성과 선택성을 증가시켰으며, 금 나노 입자의 증폭 과정을 통해 민감도를 향상 시키는 연구로 진행하였다. 진행된 두 연구 모두 각각의 검출 물질과의 선택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재현성 역시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얻어진 데이터에 따라 coefficient of value (CV) (%)와 limit of detection (LOD)를 계산했을 때, 수은과 miR-21 모두 CV(%)는 15% 미만이었고, 수은 이온의 경우 LOD는 98.7pM, miR-21의 경우는 3.6pM, miR-21이 포함되어있다고 알려진 human brain total RAN는 18.2mg/ml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검출 한계는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했을 때도 그 정도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구를 통해 실제 질병에 관련이 있는 생화학 물질의 검출이 가능함을 입증했고, 이것을 토대로 실사용이 가능한 센서의 개발에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biosensor is a device that is used to analyze antigens and antibodies or to detect specific DNA or RNA. The development of biosensors for the diagnosis of actual diseases or for self-monitoring is underway. Mercury, a heavy metal that is directly related to disease, accumulates in the form of methyl mercury in real life, which is mostly contained in aquatic products. In addition, micro RNA, which is used as a biomarker for important diseases, is known to bind to messenger RNA to reduce abnormal increase in cells or to regulate genes. In this study, miR-21 was detected in mercury ions and microRN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sensor using DNA analysis. In the case of mercury ions, Thymine-Hg2+-Thymine binding was applied to the research method, and in the case of miR-21, miR-21 was detected using Pyrene intercalation. Both mercury ions and miR-21 increased reproducibility and selectivity using Thymine-Hg2+-Thymine binding and Pyrene intercalation. Both studies were able to confirm the selectivity with each detection material and the reproducibility was good. When the coefficient of value (CV) (%) and limit of detection (LOD)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ata obtained, the CV (%) for both mercury and miR-21 was less than 15%. For mercury ions, the LOD was 98.7 pM, In the case of miR-21, the human brain total RAN known to contain 3.6pM and miR-21 was calculated to be 18.2mg / ml. These detection limits were found to be similar wh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n conclusion, the study proved that the detection of biochemicals related to the actual disease was possible, and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develop a practical sensor.

      • 통합교통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수요예측

        박현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ICT, which emerged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development of a business concept for Mobility as a Service(MaaS) is required. MasS defines mobility as one service by the combination of transportation and payment system, and also aims to provide door-to-door services to users. MaaS able to solve the first-last mile problem has to grow up to provide complete door-to-door service to service users, and micro mobility like public bicycle and kickboar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for first-last mile movement. The demand for micro mobility is currently being tracked and managed in real time. However, in order to provide full door-to-door service to service users, the proactive response as well as real-time tracking of the demand for the micro mobility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emand for forecasting for the micro mobility is required for the proactive response. Compar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like bus, subway, micro mobility has no fixed course and no running time, which leads to large volatility in demand for a short time. Therefore, new forecasting model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from existing model of forecasting demand for micro mobility in MaaS. So, this study designed hybrid forecasting models that can forecast the demand for the micro mobility with great variability and irregularities and verified its accuracy. This study designed combining forecasting models based on Genetic Algorithm (GA) and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GRU), then selected public bikes of Seou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micro mobility, as an object of research, and then expected the number of rentals and returns of public bikes of Seoul at stops with high eigenvector centrality out of all stops. With applying combining forecasting models (GA-LSTM, GA-GRU), the result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rentals and returns shows that combining forecasting models' prediction of the number of rentals and returns was more accurate than that of the single forecasting models (RNN, LSTM, GRU). This study expect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predicted number of rentals and returns by combining forecasting model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MaaS application under the name of 'expected available number of rentals', and also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by the MaaS operator for efficient relocation of micro mobility. 4차 산업혁명과 함께 ICT 등 새로운 기술이 교통 분야에 적용되고 다양한 이동 수단이 등장함에 따라 통합교통서비스(Mobility as a Service, MaaS)가 활성화되고 있다. MaaS는 다양한 교통 수단 간의 결합, 결제 시스템 통합 등을 통해 분절되어 있던 이동을 하나의 서비스로 정의하고, 이용자에게 도어투도어(door-to-door)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aaS 서비스 이용자에게 완전한 도어투도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퍼스트-라스트 마일(first-last mil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동수단 서비스의 수준 고도화가 요구된다. 공공 자전거, 킥보드 등의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가 퍼스트-라스트 마일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대한 수요는 실시간으로 추적되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이용자에게 완전한 도어투도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수요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뿐만 아니라 수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근본적으로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수요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기존 대중교통과 비교 할 때, 고정된 이동 경로, 운행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이러한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특징은 짧은 시간 단위 안에서 큰 수요의 변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존의 대중교통 수요예측 방법과는 다른 예측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변동이 크며 규칙적이지 않은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결합 예측모형을 설계하고, 정확성을 검증했다.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과 딥러닝 알고리즘(LSTM, GRU) 기반의 결합 예측모형을 설계하고,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대표 사례인 서울시 따릉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전체 정류소 기준,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이 높은 정류소의 따릉이 대여량과 반납량을 예측했다. 결합예측 모형(GA-LSTM, GA-GRU)을 적용하여 주요 정류소별 대여량, 반납량 예측을 수행한 결과 단일 예측모형(RNN, LSTM, GRU)보다 결합 예측모형으로 예측할 경우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나타냈다. 결합 예측모형으로 예측한 대여 및 반납 예측량은 향후 MaaS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상 대여 가능량’ 등의 정보로 제공할 수 있으며 운영자 관점에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효율적으로 재배치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시각적 정보를 활용한 가상 객체 변환 알고리즘과 강화 학습 기반 실내 자율주행 모델 방법론 개발

        박현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COVID19 와 같은 사회적 재난 환경에서 타인과의 접촉 없이 서비스가 가능한 로봇과 이를 위한 자율 주행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인공지능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 비전과 고 사양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위한 실내외 자율 주행 로봇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자율 주행에 필요한 지도 생성 및 경로 생성을 위해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가의 카메라 센서와 혼용하여 지도 생성 및 경로 생성이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주행 모델이 개발되더라도 실제 환경에서 성능을 검증하거나 실험 중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가 힘든 점 등 여러 한계점이 존재하였으나 가상 환경을 활용하면 돌발 상황 대처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향상된 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AR/VR 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가상 환경 내 강화 학습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가상 환경을 구축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다양한 가상 환경 구축에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GPS 사용이 어려울 수 있고 제약이 더 많은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는 실내 자율주행 모델 개발과 성능 검증을 위하여 Unity 와 같은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가상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딥러닝 모델 기반 인식 시스템과 SLA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상 객체 변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구축된 가상 환경에서 심층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성능 및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강화 학습 이용한 관찰 정보 별 학습방법을 비교하고 학습 방법 간 트레이드 오프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현 방법은 Unity 와 LDSO 알고리즘, Mask R-CNN 을 활용하여 가상의 학습 환경을 구성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주행 모델을 구현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각적 정보를 활용한 가상객체 변환 알고리즘과 강화 학습 기반 실내자율주행 모델 방법론 적용 결과로는 시각적 정보만 활용한 모델의 경우 약 0.62, 시각적 정보와 거리 정보를 활용한 모델의 경우 0.52, 거리 정보만 활용한 모델의 경우 0.8 의 평균 보상을 도출하였다. 또한 평균 보상까지 소요된 에피소드가 시각적 정보만 활용한 모델의 경우 약 9만 개, 시각적 정보와 거리 정보를 활용한 모델의 경우 1억6만개, 거리 정보만 활용한 모델의 경우 약 2 억개로 관찰 정보 별 에이전트 성능을 비교할 수 있었다. Recently, in a social disaster environment such as COVID-19, people wanted robots that could be serviced without contact with others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s for them.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ield, the demand for indoor and outdoor autonomous robots using computer vision and high-specification systems has increase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In many cases, expensive sensors were used to generate maps and routes necessary for autonomous driving.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generate maps and paths by mixing them with low-cost camera sensors without using expensive sensors. Previously, even if a driving model was developed,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verifying performance in an actual environment or difficulty in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during experiments. If you use the virtual environment, you can see the effect of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and reducing costs. In addition, as interest in AR/VR increases by utilizing improved computing systems, research on reinforcement lear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using simulators continues to increase. However, building a virtual environment for Deep/reinforcement learning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and it is difficult to build various virtual environments. This paper sought to construct a virtual environment using simulators, such as Unity, to develop an indoor autonomous driving model and verify its performance, which may be difficult to use GP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irtual object conversion algorithm was developed using a deep learning model-based recognition system and an SLAM algorithm. Performance and results were confirmed by applying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s in the buil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this result, the learning methods for each observation information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were compared and trade-off between learning methods was presented. The implement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onstructed a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using Unity, LDSO algorithm, and Mask R-CNN, and could implement a driving model that interac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virtual object conversion algorithm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the reinforcement learning-based indoor autonomous driving model methodology, the average reward was about 0.62 for models using visual information only, 0.52 for models using visual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0.8 for models using distance information only. In addition, about 90,000 episodes were used for models using only visual information, 160,000 for models using only visual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about 200 million for models using only distance information.

      • 인권문제 인식을 위한 비율그래프 수업 사례 연구

        박현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의 사례 연구이다. 연구에 배경이 되는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는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정의’의 문제 중, ‘인권문제’로 그 범위를 좁혀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여 학생들의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기반한 수업(인권 문제 인식을 위한 수학교육)을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가? 둘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기반한 수업(인권 문제 인식을 위한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기반한 수업(인권문제 인식을 위한 수학교육)에서 수학적 인식의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교육과정 안의 문제들로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의 수학적 요소인 비율그래프와 사회적 요소인 인권을 결부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특히 한 단원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6학년 2학기 수학 4단원 ‘비율그래프’를 6학년 2학기 사회 1단원 ‘인권’을 소재로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수업 설계 이후 연구 참여자로 A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학급의 학생 29명(남 17명, 여 12명)을 대상으로 총 11차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수업 계획자료, 수업 중 활동자료, 전사자료, 사전 설문지와 사후 설문지 및 인터뷰 자료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 2와 연구 문제 3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과정 상의 수학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를 융합하여, 한 단원을 개발하였다. 특히 사회정의적 요소인 인권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한 분야의 수업 실천 사례가 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설문조사와 수업 중 상황 등을 살펴보았을 때, 인권과 본인과의 관계성이나 인권침해의 심각성 등에 대한 인식의 향상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의 수학적 인식의 변화 역시 일어났다. 수학에 대한 흥미도, 수학과 사회와의 연결성, 수학의 필요성 등에 대한 생각이 전반적으로 변한 것을 확인하였다.

      • 자기자비 지시적 음악감상이 철도기관사의 직무소진 감소와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현지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자비 지시적 음악감상이 철도기관사의 직무소진 감소와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S, B 도시의 승무사업소, 승무센터에서 근무하는 철도기관사 45명이며, 실험집단에 15명과 비교집단1에 15명, 비교집단2에 15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주간 주 5회, 1회당 6분 이내 총 10회의 자기자비 지시적 음악감상 중재를 시행하였고, 본 연구 중재의 효과성 측면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집단1에 자기자비 지시 중재를 시행하였으며, 비교집단2에는 관련 중재를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대상의 직무소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총 10회의 중재 전후에 직무소진 척도를, 기분상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0회의 각 중재 전후에 기분상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후, 집단 별 직무소진 사전-사후 점수 비교를 위한 대응표본 t 검증, 집단 간 직무소진 사후 점수 비교를 위한 공분산분석(ANCOVA), 집단 간 기분상태 사전-사후 점수 비교를 위한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각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 지시적 음악감상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직무소진과 그 하위요인 중 ‘비인간화’, ‘성취감 저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자기자비 지시적 음악감상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기분상태 하위요인 중 ‘부정적 기분상태’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긍정적 기분상태’ 점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자비 지시적 음악감상이 철도기관사의 직무소진 감소 및 기분상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directed music listening on reducing burnout and changing mood state of train drivers. Subject of the study were 45 train drivers working at the crew office, crew center in S, B cities in Korea. 45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 15 were experimental group, 15 were comparison group1, and 15 were comparison group2. A total of 10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ive times a week for two weeks and within 6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spect of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self-compassion directed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 comparison group1, and related interventions were not applied to comparison group2. To measure the burnout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uses the ‘burnout scal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whole experiment. Also, to measure the mood state, an 'mood state scale' was used between every single ac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23.0 statistics program with ANCOVA, paired t-test,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urnou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ducted self-compassion directed music liste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egative mood stat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ducted self-compassion directed music listening.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mood state score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compassion directed music liste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burnout and changing mood state of train dr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