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르기아스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수사술 비판

        박현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고르기아스>에 나타나는 소크라테스의 수사술 비판의 양상, 그리고 더 나아가 비판의 이유와 근거를 밝히는 것이다. 플라톤의 <고르기아스>는 수사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치열한 대립의 장이다. 이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는 수사술을 냉혹하게 비판한다. 실제로 수사학의 역사에서 플라톤이 <고르기아스>에서 가한 것만큼 가혹한 비판은 없었다. 대화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와 그의 대화자들의 대립은 크게 두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하나는 수사술의 정의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테스들의 대립이고, 다른 하나는 삶의 방식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소크라테스와 정치가들의 대립니다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테스들의 대립은 수사술과 유용성의 문제, 수사술과 윤리의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서 양극단에 서있었기 때문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소크라테스와 정치가들의 대립은 그 자신들이 처해있던 시대적 상황과 그 시대의 정치를 바라보는 관점이 차이, 그리고 삶의 방식의 차이로부터 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대화편에 드러나는 소크라테스의 수사술 비판은 두 가지 역사적 정황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즉 소피스테스들의 영향력으로 인하여 당시의 아테네 사회가 전통적 가치를 잃고 회의주의와 도덕적 혼돈 상태에 직면한 상황, 그리고 도덕적으로 타락한 아테네 사회가 펠로폰네소스 전쟁까지 치닫게 되는 역사적 상황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ate not only the aspect of Socrates's comment on rhetoric in the Gorgias but also the reasons and basis of the comment. Plato's Gorgias is the space of severe controversy about rhetoric. In this dialogue, Socrates criticizes rhetoric cruelly. Actually, in the rhetoric history, not one of the criticisms was cruel than Socrates's criticism written on the plato's the Gorgias. So, in this dialogue, some researchers judge that the Socrates's criticism on rhetoric and politicians is wrong because it is baseless. The controversy between Socrates and his dialogists in the "Dialogue" shows us two big kind of characteristics. One is the controversy between Socrates and sophist over the definition of rhetoric and the other is Socrates and politicians' controversy over the method of life. The controversy between Socrates and sophist was formed because they had diametrical standpoints on the matter of rhetoric and usefulness and the matter of rhetoric and morals. The controversy between Socrates and politicians was also came from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they were placed in, their standpoints on politics of those days and way of life. Therefore Socrates's comment on rhetoric in this Dialogue is closely connected with two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s the historical circumstance caused by Sophist's influence that Athens at that time lost its traditional value so it faced with the chaotic state of moral and skepticism and that a morally corrupt Athenian society ended in Peloponnesian war. Although Socrates's comment on rhetoric in Gorgias stood on the reality of Athens, because it deal with the matter of persuasion through the conversation,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ality of today. These days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is somewhat ensured and so many words come and go but they don't include truth and reality. Taking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Socrates's comment in the Gorgias is still meaningful today.

      • Gyo¨rgy Ligeti의 作曲技法硏究 : 「String Quartet No.2」을 중심으로

        朴賢兒 대구가톨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GYO¨RGY LIGETI'S COMPOSITIONAL TECHNIQUE -Focussed on 'String Quartet NO. 2'- Park, Hyun-A Department of Composition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upervised by Professor Kim, Hoe-Yeong) (Abstract) The World War II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modern music. The World War I and II made the musical activity of the composers decline. However, after the war, composers began to develop their own technique of composition and a new style. Such efforts resulted in various tendency, including diverse tries for 'new sound'. Gyo¨rgy Ligeti(1923- )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ungarian composers who had an effect on the field of avant-garde music with his own grammar, getting out of the serialism. Many composers tried and sought new sound on various level. Such try led to various kind of music like random composition music of chance operation, electronic music and computer music. This proves how much important place the tone color and sound were in modern music. Sought for tone color has so far been the objectives of attention by lots of composers. In this study, Ligeti's 'String Quartet No. 2' is investigated, that is written, using his unique techniques, microtone and polyrhythm, in the late period of the composer, the turning point of advance. First, Ligeti's life and world of work is examined. Second, Ligeti's grammar and style is investigated through the works of his 2nd and 3rd period. Third, concerning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String Quartet No. 2, summary of the work, the general structure, form by movement, mixed rhythm and crossed interval pattern of cannon are analyzed, and concerning tonal structure and range, selected tonal element, the interval in serialism, tempo and dynamics are analyzed. The study on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in 'String Quarter No. 2' composed in 1968 shows that Ligeti tried variously for generating new sound, and especially used a mass of tone by clustered sound, lots of groups of clustered tones and systematized cannon technique. The tone cluster, written by polyrhythm and microtone, makes this tune more characteristical. The diverse division of one note from three to sixteen forms complicated polyrhythm. In conclusion, Ligeti's compositional technique by using tone cluster seemed to present a possibility that a new sound could be accomplished in a structure in the view of new sound search. Such possibility, through the advent of electronic music or computer music, realized by Ligeti as his own sound, generating the greatest change and expressing the basic intervals with various techniques. His individual and experimental technique of composition had much effect on the 20th century composers and will also be evaluated positively by the successive composers.

      •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치료주기에 따른 대장암 환자들의 신체활동량, 삶의 질, 피로도 및 운동 인식

        박현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quality of life, and fatigue according to chemotherapy cycle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 total of 14 colorect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were recruited for our study. Each patient was given a structured interview in Shinchon Severance hospital between October, 2014 and April, 2015. This study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longitudinal and descriptive approaches, an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ere used: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tigue.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via waist Actigraph for 2 weeks during the second cycle of chemotherapy. To understand the patients perception of exercise, qualitative data was acqui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chemotherapy cycl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constipation among chemotherpy cycle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igue among chemotherapy cycles. Fourth, the level of moderate-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step counts according to the waist Actigrap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week of chemotherapy and the week after chemotherapy in the second cycle of chemotherapy.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 patients' perception of exercise showed nine categories that were then organized into three main themes: First, 'Constant Struggle.' The patients recognized that repetitive cycles of chemotherapy caused various side effects including fatigue, which resulted in restriction in movement. Second, 'Barriers in Exercise Participation.' The patients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exercise due to 1) physical, emotional difficulties 2) negative experiences 3) lack of information. Third, 'Exercise Experience.' Patients experienced physical,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through participation in exercise. 운동은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운동은 항암치료를 받는 암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항암치료주기별 환자의 컨디션과 부작용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외적으로 항암 주기 및 주에 따라 달라지는 대장암 환자의 컨디션을 추적 관찰한 실태조사 연구와 이를 근거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동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치료주기에 따른 대장암 환자들의 특성을 반영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 환자들의 신체활동량, 삶의 질, 피로도 및 운동 인식에 대해 실태조사를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신촌 S병원에서 대장암 2-3기를 진단받고 수술 후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치료 기간 3개월 동안 신체활동량, 삶의 질, 피로도 및 운동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및 가속도계 측정의 양적 연구와 심층 면담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measures ANOVA),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실시함으로써 주요 논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걸쳐 분석한 양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신체활동은 치료주기(cycle)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719, p=.228). 둘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삶의 질은 치료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782). 셋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피로도는 치료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104) 넷째, 대장암 환자의 두 번째 항암 치료 기간 동안 주(week)별 신체활동은 항암제를 투여한 주에는 20.65±4.42 분, 항암제를 투여하고 일주일 후에는 35.83±8.09 분의 중고강도 활동량을 보였으며(p=.034), 걷기 활동은 항암제를 투여한 주에 3447.86±674.59 보, 항암제를 투여하고 일주일 후에는 5138.48±1015.21 보의 활동량을 보였다(p=0.048). 본 연구를 통한 질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운동 인식조사에서는 심층 면담을 통하여 9개의 주제어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투병 스토리, 운동 참여 제약, 운동 참여 경험으로 범주어가 명명되었다. 첫째, 대장암 환자들은 항암치료를 통하여 다양한 부작용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신체적인 피로를 느끼고 움직임에 제한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장암 환자들은 항암치료를 통하여 신체적, 정서적 어려움과 부정적 경험을 겪게 되고 운동 정보에 대한 부재로 인하여 운동 참여에 제한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장암 환자들은 다양한 운동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통하여 신체적, 기능적 변화를 경험하고, 심리적 안녕의 상태를 갖게 되면서 운동이 치료에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보 아동 중심 놀이치료자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 new training tool, a learning community, was implement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beginner child-centered play therapist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experienced in the existing training process. The learning community is a concept used to enhance professionalis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fellow teachers in the field of pedagogy. The learning community is a concept used to promote professionalis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fellow teachers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is conducted by sharing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acquired by individuals with colleagues. An important feature is not to conduct education, but to promote professionalism through autonomous learning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participants cooperative to cope with difficulties in the field. Because child-centered play therapy is characterized by approaching clinical cases based on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the client, beginner play therapists who aim for this need a place for reflection and discussion for therapeutic judg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learning community was constructed for beginner play therapists with 1 to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iming at child-centered play therapy. In this study, the learning community was defined as a cooperative group with a common goal of 'Stability and growth as a play therapist'. Participants interacted reciprocally to share clinical experiences and grievances and to reflect and improve their own practices.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f four beginner play therapists to develop a new training model, the play therapist learning community. First, we explored what difficulties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clinical field through interviews, and formed a learning community using the method of action research, and then collected data through researchers' observations, interviews, and artifac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laser and Strauss(1967)'s continuous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rough in-case analysis and case-to-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Creswell(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subjects in 4 cases were drawn to reflect the experiences that participants had grown through reflec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and in the case-to-case analysis, 4 subjects, 10 categories, and 26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Common themes of case-to-case analysis were ‘Growing through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ndling me as a healer', 'Intensify insufficient expertise', and 'Keep walking the path of play therapist'. First, the participants were relieved to know that their immaturity w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early stages through exchanges with peer group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y experienced growth as they looked at themselves objectively. Second, the participants gained the opportunity to focus on themselves, not the clinical case,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improved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Third, the learning community was a space-time where participants could intensify in and experiment with the expertise they felt was lacking. Participants began to grow away from the reaction of copying textbooks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ir play therapy practice while reviewing the theoretical basis. Fourth, participants gained the power to continue play therapy training as motivation was restored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was a short time to solve all the worries and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but suggested the direction of training to the participants in the early stages of becoming a play therapist. The learning community conducted in this study was a support system that helped participants to continue training and growth as a play therapist.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ey could improve their therapeutic judgment and reflection ability by looking back on experiences and practices in the clinical field. It was a safe learning space. In particular, experiences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vided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fill the gap between what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learning community suggests a possibility as a new training tool that can fill the gap of the existing training method.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he learning community as a new training tool that fills the gap of the existing training method by utilizing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and seniors who have high access to beginner child-centered play therapists. 본 연구에서는 초보 아동 중심 놀이치료자들이 기존의 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훈련 도구인 학습공동체를 실시하고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학습공동체는 교육학 분야에서 동료 교사들 간 협력을 통해 전문성을 증진하고자 활용하는 개념으로, 개인이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동료들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중요한 특징은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이 현장에서의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협력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전문성 향상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아동 중심 놀이치료는 내담자에 대한 공감과 이해에 기반하여 임상 사례에 접근한다는 특징이 있어, 이를 지향하는 초보 놀이치료자들은 치료적 판단을 위한 성찰과 논의의 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 중심 놀이치료를 지향하는 임상 경력 1~3년 차의 초보 놀이치료자들을 대상으로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고, 학습공동체를‘놀이치료자로서의 안정과 성장’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진 초보 아동 중심 놀이치료자 협력 집단으로 정의하였다. 학습공동체에서 참여자들은 임상 경험과 고충을 공유하면서, 각자 자신의 실천을 성찰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호혜적으로 상호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훈련모델인 놀이치료자 학습공동체를 개발하기 위해 초보 놀이치료자 4인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면담을 통해 참여자들이 임상 현장에서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는지 탐색하고, 실행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으며 연구자의 참여 관찰, 면담, 인공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Glaser와 Strauss(1967)의 지속적 반복 비교 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고, Creswell(2015)의 제언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이 학습공동체를 통해 체험과 성찰을 통해 성장한 경험을 반영하는 4개의 사례 내 주제가 도출되었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4개의 주제와 10개의 범주, 26개의 하위범주가 확인되었다. 사례 간 분석의 공통 주제는 ‘동료와의 교류를 통해 성장함’, ‘치료자인 나를 다루어감’, ‘부족한 전문성을 채워감’, ‘놀이치료자의 길을 계속 걸어감’이었다. 첫째, 참여자들은 학습공동체에서 동료 집단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미숙함이 초보 시기의 일반적인 특성임을 알고 안심하였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면서 성장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학습공동체에서 임상 사례가 아닌 치료자인 자기 자신에게 집중할 기회를 얻었고, 자기인식과 성찰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이 부족함을 느끼던 전문성을 채우고 실험해볼 수 있는 시공간이었다. 참여자들은 이론적 기반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놀이치료 실제를 되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교과서를 따라 하는 반응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넷째, 참여자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의욕이 회복되면서 놀이치료 수련을 지속할 힘을 얻었다.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은 참여자들의 모든 고민과 어려움을 해소하기에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놀이치료자가 되어가는 초기 단계에 있는 참여자들에게 수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이 놀이치료자로서의 수련과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지체계였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임상 현장에서의 경험과 실천을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치료적 판단과 성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한 학습공간이었다. 특히 학습공동체에서의 경험은 참여자들이 배운 것과 실천하는 것 간의 간극을 발견하고 채워갈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학습공동체는 기존 수련방식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새로운 훈련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초보 아동 중심 놀이치료자들에게 접근성이 높은 동료 및 선배와의 교류를 활용하여 기존 수련방식의 공백을 메우는 새로운 훈련 도구로서 학습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하이브리드 캐릭터의 관점에서 케이팝(K-Pop) 아이돌 아이덴티티 전략 연구 : 3세대 케이팝 아이돌 사례 중심으로

        박현아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identity of idols in mainstream K-pop, which have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pop culture. Idols lead the genre of K-pop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K-pop as a unique music genre with visuals, not solely audio. For idols, the visual concept is particularly emphasized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s and appeal to the public, and design consideration is needed because it acts as an element that gives the idols a fictional side and immerses them in the public beyond simple visibility. Due to this demand, the designer is not just a post-production staff member who implements the plan, but also an all-around player who has great influence by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from pre-production stage to design. This thesis suggests a direction to properly understand idol identity and to create intended results in a more efficient wa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dentity were categorized around the 3rd generation (after early-to mid-2010) idol groups of up to the top 15 (a total of 30 teams)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to their official YouTube channels. Based on the role of designers which have been expanding in the K-pop field, strategic elements for effective activities were presented. This thesis starts from the point that idols are human, unlike services, products, and companies, and aim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and activity strategies with variable human characteristics in mind. An idol can be defined as a hybrid character that has two properties at the same time: a ‘fictional character’ created by the meticulous design of an entertainment agency and a ‘real character’ inherent to an actual artist. The characteristics of idol identity are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identity of a consistent personality’, which is a verbal and non-verbal element to be as consistent as possible, and the ‘identity of variable personality’, which is an action and visual element that can change over time. In addition, two strategic aspects to strengthen idol identity are proposed: ‘strengthening group storytelling’, which can give fantasy and immersion to the public, and ‘strengthe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develop and emphasize individual strengths of each team member. An idol has a dual complex character as an identity that has a uniquely branded fictional character and a real human being living a real life. In particular, designers should not forget the fact that idols are able to express their intentions and emotions as human being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which gives a sense of empathy and immersion. This study aims to help to strategically design ido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dols and the needs and flow of the times, and to lead the trends of the global popular music industry. Furthermore, as also done by corporate product brands, idols will be recognized as a valuable design field so that follow-up research studies will continue. 본 논문은 한국 대중문화에 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케이팝의 주류인 아이돌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고찰이다. 아이돌은 케이팝의 장르를 주도하며, 케이팝을 더 이상 듣는 것으로만 그치게 하지 않고 시각성을 겸비한 독특한 음악 장르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아이돌에게 있어서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는 아티스트(Artist)의 특성을 살리고 대중에게 어필하기 위하여 특히 강조되고 있으며, 단순한 시각성을 넘어 그들로 하여금 대중에게 큰 환상과 몰입감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디자인적 고려가 필요하다. 이런 요구에 힘입어 디자이너는 단지 기획을 구현해내는 후반 제작 담당자의 역할이 아니라, 올 어라운드 플레이어(All-around player)로서 기획·촬영 등 사전 제작 단계부터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전 제작 과정에 참여하며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아이돌 아이덴티티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의도하는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공식 유튜브 계정의 구독자 수 기준으로 선정한 보이·걸 그룹 각 상위 15위까지(총 30팀)의 3세대(2010년 초·중반 이후)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그들의 아이덴티티 특성을 범주화하였고, 케이팝 분야에서 확장되어 온 디자이너의 역할을 기반으로 효과적 활동을 위한 전략적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아이돌이 서비스·제품·기업 등과 달리 인간이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가변성을 지닌 인간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그들의 아이덴티티와 활동 전략을 탐구하고자 한다. 아이돌은 연예 기획사의 치밀한 설계에 의해 탄생한 ‘가상 캐릭터(Fiction Character)’와 실존하는 아티스트 본연의 ‘실제 캐릭터(Real Character)’라는 두 가지 속성을 동시에 지닌 하이브리드 캐릭터(Hybrid Character)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이돌 아이덴티티의 특성에 대해서는 되도록 일관성을 유지해야 할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인 ‘일관적 성격의 아이덴티티’와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행위·시각 요소라는 ‘가변적 성격의 아이덴티티’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또한 아이돌 아이덴티티를 강화할 전략적 측면으로는 대중에게 환상과 몰입감을 줄 수 있는 ‘그룹의 스토리텔링 강화’와 멤버 각 개인의 강점을 개발·강조하는 ‘개인적 특성 강화’의 두 가지를 제안한다. 아이돌은 브랜드화된 가상의 캐릭터임과 동시에 현실의 삶을 살아가는 실제의 인간이라는 이중·복합적 성격을 아이덴티티로 가진다. 특히 인간으로서 자기 의사와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 대중에게 공감과 몰입감을 준다는 것을 디자이너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이 아이돌의 특성과 시대의 요구 및 흐름에 맞춰 아이돌을 전략적으로 설계하며, 세계 대중음악 산업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나아가 각 기업의 제품 브랜드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아이돌 역시 가치 있는 디자인 분야로 인식되어 후속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해 본다.

      • 퀴어시네마 속에 나타난 동성애자들의 주체구성에 관한 연구 :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를 중심으로

        박현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재생산된 수많은 담론들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인 성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권력의 형태로 거대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현대의 성은 남성, 여성의 이분법적인 성으로만 구분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지하다시피 현재 우리 사회의 성은 남성, 여성뿐만 아니라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 젠더 등 다양한 성적 소수자들이 존재하고 있다. 성담론 속에서 지금까지 동성애는 비정상 혹은 지배담론에서 일탈된 행위로 여겨왔다. 하지만 현대로 오면서 점차 동성애를 ‘소수자의 문화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동성애자들은 기존 사유에 따른 주체형성이 아닌 분열되고 파편화된 대항적 주체로서 자아(ego)를 형성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수많은 커뮤니티를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동성애자들의 주체문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들이 어떻게 주체형성을 하고 있는지, 이성애자들의 주체형성 메커니즘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등에 관해 알튀세르, 라캉, 들뢰즈, 가타리, 푸코의 논의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알튀세르(Louis Althusser)는 이데올로기가 개인을 주체로 ‘호명’함으로써 개인의 사회적 주체가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구조에 존속되어 있는 이데올로기의 호명은 사회구조의 호명과 같다. 즉 개인의 주체는 사회의 지배구조에 의해 수동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같은 알튀세르의 호명개념에 따르면 동성애자들의 주체는 사회적으로 호명되지 않기 때문에 ‘無 주체’가 된다. 구조에 의해 호명되면 인간은 주체가 있는 것이고 호명되지 않으면 주체가 없다는 이분법적인 알튀세르의 논의는 후기구조주의 학자들에 의해 도전 받는다.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이데올로기 즉 구조의 단순한 담지자로서의 주체개념을 거부하고, 역으로 이데올로기, 사회구조가 주체에 의해 도전 받을 수 있다는 주체의 자율성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해 ‘고정된 주체’ 개념은 근대 사유주체에서 ‘파편화된 주체’로 대체되고 있으며, 필자 또한 구조에 의해 수동적으로 규정되는 주체형성에서 벗어나 주체는 분열되고 있으며 파편화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펴고자 하였다. 따라서 동성애자들의 주체형성과정을 밝히기 위해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를 연구대상으로 담론분석을 하였다. 현재 영화는 다른 매체에 비해 동성애 섹슈얼리티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으며, 동성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반영물인 영화담론 분석은 지배사유 속에서 동성애자들의 주체형성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된다.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에 나타난 동성애자들의 주체형성 과정은 라캉이 제시한 주체성론의 틀에서 벗어나고 있다. 즉 라캉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접어들면서 인간의 사회적 주체가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상징계의 언어적 질서로 편입되고, ‘아버지의 법’ 즉 ‘외디푸스’ 단계를 거쳐야 비로소 적합한 인간주체로 형성된다는 라캉의 주장은 동성애자들의 주체 형성 과정과는 상이하다. 왜냐하면 영화 속에 나타난 동성애자들은 근본적으로 ‘외디푸스’단계를 거치지 않고 ‘反 외디푸스’화 하고 있으며, 반드시 언어적 과정을 통해서 주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들뢰즈/가타리의 ‘정신분열증적 주체’ 개념처럼 동성애자들은 인간관계에 따라 다른 주체를 형성하고 있다. 즉 사회담론에 의한 고정된 주체가 아닌 고정되지 않은 분열된 주체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육체를 통한 주체형성을 설명한 푸코의 논의처럼 동성애자들은 언어보다는 육체, 비언어를 주체형성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사용하고 있다. 어쨌든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에 나타난 동성애자들의 주체형성과정은 사회구조의 단순한 담지자로서 수동적 주체형성도 아니며 반드시 외디푸스 단계를 거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동성애자들은 이성애 문법에서 절대적인 남근을 선망하지 않는다. 이러한 동성애자들의 주체 형성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데리다의 주장처럼 고정되고 일관된 주체개념이 해체되고 있으며, 동성애 주체는 분열되고 파편화된 주체로서의 형태를 띄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동성애자들의 주체는 사회구조의 전복 가능성을 내재한 ‘대항적 주체’로서 성적소수자들에 의해 사회가 변화될 수 있으며, 절대적 지배사유가 전복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영화 속에서 동성애주체는 사회적 주체로서 지배담론에 호명되고 있지는 않지만 기존사유에 끊임없이 도전하며 역담론을 구성해나가고 있다. ‘하위문화’로서의 동성애 담론은 이성애중심의 성질서에 반하는 것이지만, 영화와 같은 매체를 통해 소수 그들만의 문화영역을 확보해나가고 있기 때문에 변태적인 성행위로 터부시하기보다는 대항적 주체모델로 인식하고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oday, there co-exist many discourses which reproduce dominant ideology. Especially, discourses of sexuality, a basic desire of human being, have become grand narrative of power without being noticed as such. Contemporary notion of sex is beyond tradtional dichotomy of man and woman. Various sexual minorities such as homosexuals, bisexuals, trans-gender and some others are emerging these days. The newly emergent sexual minorities challenge our concept of human sexuality. So far, homosexuality is recognized as abnormal or aberrant behavior. As time goes by, however, homosexuality has gradually been recognized as 'the cultural area of the minority.' Besides, homosexuals show fragmented, dislocated and opposing subjectivity against conventional coherent ego. This thesis has looked into the works of Althusser, Lacan, Deleuze, Guattari, and Foucault concerning the homosexual subjectivity issue. These theorists lend critical thinking about how homosexuals form their own sexual identity and how different their identity formation is from that of hetero-sexual people. Louis Althusser asserts that individuals' social subjectivity is formed through ideology's 'interpellation'. The interpellation to ideology which is already residing in social structure is the interpellation of structure itself. That is, the individual's subject position is passively formed by the ruling structure of society. According to Althusser's concept of interpellation, the subjectivity of homosexuals has very slim chance since the dominant social structure has no room for homosexual ideology and discourse. Althusser's structuralist notion of interpellation has been challenged by post-structuralists. Post-structuralists deny the subject concept as the simple conveyor of the structure; in opposition, they stress the autonomy of subject so that the social structure and ideology can be challenged by the subject. Repeatedly, the concept of cohehrent and fixed subject is substituted with that of the fragmented subject. This thesis also tries to show that the subject is fluid and fragmented and it is far from being passively formed by the structure. I have taken the movie Memento Mori to show homosexual subjectivity formation. Movies have expressed homosexual sexuality more freely compared with other media. They play an important role to represent homosexuality. Thus, analyzing movies helps us to look into the subjectivity formation of homosexuals within dominant social discourse. Homosexual subjectivity formation process in the movie Memento Mori is different from Lacan's subjectivity theory. Lacan expresses that human beings become social subjects when they enter the realm of the Symbolic from the Imaginary. Lacan asserts that a human being is formed as a proper human subject after entering into linguistic order of the Symbolic and experiencing The Father's Law, i.e. the Oedipus stage. However, homosexual subjectivity formation in the movie is different from Lacan's assertion. Homosexuals in the movies do not go into the Oedipus stage. They, rather, become anti-Oedipus. They do not necessarily form the subjectivity through the linguistic process. Homosexuals form other type of subjectivity which is closer to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schizophrenic subjectivity. It appears as broken and not fixed subject which subverts the idea of the fixed subject according to the social discourse. Besides, homosexuals use the body more than language itself as the main mechanism of communication as Foucault argues that the subjectivity is formed through body. Homosexual subjectivity formation process shown in the movie Memento Mori is not passive as structuralists argue and it does not necessarily go through the Oedipus stage. That is, homosexuals do not envy omnipotent phallus of heterosexuals. What we know through homosexual subjectivity formation process is that the concept of fixed and consistent subject is deconstructed as Derrida argues and the homosexual subjectivity is the location of the fragmented subject. The homosexual subjectivity shows that the dominant structure of the society could be challenged and subverted by the unstable sexual minority as they play the role of the 'oppositional subject'. Homosexual subjectivity is not interpellated by the ruling dicourse in the movie; however, it organizes the counter discourse which challenges to the existing dominant thought. Homosexual discourse as 'subculture' is opposed to the dominant heterosexual discourse. Homosexual discourse needs to be looked at as an legitimate oppositional discourse rather than looked down upon as perversion.

      • Y-Ba-Cu-O 고온초전도체의 기계적 특성 분석

        박현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라믹 고온초전도체는 층상구조로 인해 낮은 물성을 나타내고, 물성측정에 사용되는 시편의 품질에 따라 측정 결과가 서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이 있는 특성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장기간 활용되는 동안 외부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 등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재료의 기계적인 물성은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YBa₂Cu₃O_(7-x) 고온초전도체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평가하는 연구와 이에 따른 파괴거동을 고찰하였으며, 상온에서 Tc로의 냉각에 따른 열화거동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소결온도를 950o~970o로, 소결시간을 10hrs~20hrs로 변화시키고 Y₂O₃·MnO₂·NaNO₃를 소량 첨가하여 이들 조건 변화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액체질소에 담그는 방법으로 반복 열응력을 가하여 기계적 특성의 변화와 초전도체의 파괴거동을 미세구조적인 관찰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밀도가 대략 85%~95% 사이로 대체로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수 있었다. 그리고 Y₂O₃ 첨가의 경우 강도와 경도 값이 각각 43~57MPa과 2.8~3.7GPa로 YBCO 소결체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고, NaNO₃ 첨가의 경우 38~69MPa과 2.3~2.8GPa로 오히려 물성이 저하되었으며, MnO₂ 첨가의 경우는 강도가 48~69MPa과 4.4~5.1GPa로 초전도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장 물성이 향상되었다. (MnO₂ ≫ Y₂O₃ ≒ YBCO ≪ NaNO₃) 얻어진 곡강도(≒40MPa~70MPa)와 경도(≒2.3GPa~5GPa)의 값은 다른 문헌에서 볼 수 있는 비교할 때 전형적인 초전도체의 기계적 특성 범위에 속하는 값이었다. 그리고 Y₂O₃첨가의 경우에는 YBCO소결체와 비슷한 물성과 미세구조를 보였고, 소결 온도를 950℃에서 970℃으로 높인 결과 실험 전의 예상대로 211상과 액상이 생성되었다. 또한 NaNO₃ 첨가했을 때는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물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미세구조 확인결과 큰 입자와 큰 기공이 생긴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Na가 입성장을 유발하였거나 하소 시 NO₂가스가 남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같이 초전도체는 첨가물과 첨가량에 따라 민감한 상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단면의 미세구조 분석을 통하여 초전도체 세라믹스는 상변태(tetragonal→orthorombic) 시 부피 감소에 기인한 입내 파괴가 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또 반복열응력에 의한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열이력이 반복됨에 따라 곡강도와 경도가 최고 약 35%정도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열충격에 의한 표면 손상이 물성의 저하를 낳는 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초전도체를 응용할 경우 기계적인 물성은 전기적·자기적 물성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Ceramic High-Tc superconductor shows low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layer structure, and data reported frequently show large difference by the quality of samples used. Therefore more accurate and reliable assess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is needed.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minimum mechanical properties of superconductor are required to endure against external mechanical lode that may be given during long-time use.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d studi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failure behavior of YBa₂Cu₃O_(7-x) High-Tc superconductor. The degradation behavior of superconductor due to thermal cycle from room temperature to liquid nitrogen was studied, also.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950℃~970℃ and 10hrs~20hrs,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ve, small amount of Y₂O₃·MnO₂·NaNO₃ were doped to YBCO composition. Relative density obtained were 85%~95% T.D. Three point bending strength and Vickers microhardness of Y₂O₃doped superconductor were 43MPa~57MPa and 2.8GPa~2.7GPa, respectively. In case of NaNO₃ dopant, those were 38MPa~69MPa and 2.3GPa~2.8GPa, respectively. Mechanical properties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dopant increased in this case. Improved strength and microhardness of 48MPa~69MPa and 4.4GPa~5.1GPa, respectively, were obtained in case of MnO₂ dopant. The data of mechanical properties obtained in this case, were reasonable level compared with reported results. (MnO₂≫ Y₂O₃≒ YBCO ≪ NaNO₃) 211 phase and liquid phase were observed by X-ray and microstructure investigation in case of Y₂O3 dopant. Large grains and pores were found in case of NaNO₃dopant. It seemed that large grains were caused by Na addition and large pores were attributed to NO₂ gas from NaNO₃. As described, the type and amount of dopant cause drastic change in microstructure in YBCO system. The fracture mode of YBCO system was mainly transgranular fracture, in all case, and this is attributed to the volume decrease during phase transformation (tetragonal → orthorhombic). Both strength and microhardness decreased by thermal cycle. Surface damage caused by thermal shock was observed and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ause for reduc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 공무원 사이버교육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 사천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박현아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examined three independent variables ( learner variables, environment variables, design variables ) to appraise public servant's cyber 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With reference to operational definition about variables, for learner variables, learning motiv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bility are defined and for environment factors , computer accessibility and support level of organization are defined and for design variables, interaction , screen configuration and validity of content composition are defined. Fo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class of position, length of service, job series and place of employment are defined and survey that defines learning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consists of 50 items with 5 variables . With regard to empirical survey to verify theological model and hypothesis, I have conducted a survey for those public servants who work in Sacheon city hall and eub·myeon·dong office and have received cyber education, questionnaire used for analysis is 300 copies. Main result of research is like th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of awareness in accordance with frequency analysis, those who are surveyed generally show positive awareness of cyber education . The negative items among 39 subordinate variables are closely related to full preparation before class, self planning and management for learning schedule, active use of bulletin board and share of information between learners which reflects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who both work and study to prepare class in advance and to spend a lot of time on share of information or further study .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yber 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feature,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ender, age , educational background, class of position, length of service, place of employment , there is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job series. Third, dependent variable ; cyber 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independent variable ; learning motive, learning attitude, learning ability, computer accessibility, support of organization, interaction, screen configuration , validity of content composition show positive (+) correlations.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 in oder to find influence factor of cyber 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the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yber 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which is dependent variable are learning motive, learning attitude, learning ability, support level of organization and validity of content composition and among them, the factor that has highest influence is validity of content composition and the second is learning attitude and support level of organization and the third is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bility. As shown in the result of analysis above, in conclusion, as learners should control themselves in cyber education, arrangement of system that can encourage learners motivated and to have positive attitudes and favorable atmosphere among learners , suitability of educational contents are necessary for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