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층 토론 중심의 논술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들의 흥미증진에 관한 연구

        박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Due to the change of what the society demands from the universities, the essay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has recently been intensified. While in the past, people who had fragmentary knowledge had control of the society, people who can select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flood of information, organize it, and create it into new information will be considered men of 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modern society. Not only are such talented men not expected to be brought up in traditional SAT-centered education, but education in school cannot deal with a multi-sided change of modern society if it plays the role of teaching the existing knowledge of subject. Therefore, the essay writing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ssay test should not be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rumental ability for university entrance or just developing ability for scholastic aptitude for university. It should be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basic abilities of the students which establish the core of competitiveness when they enter society. It means that students who don't take the essay test for university entrance are in need of the essay education. Actually, many students regard essay writing as a difficult thing.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increase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find ways to substantially strengthen public education by realizing the significance of essay writing education and activating essay-i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ariety of essay discussion materials as well as in depth discussion-centered essay programs which match the students' ability and utilize them in real situations. As a result, it will attain the ultimate goal of cultivating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learning ability. Essay writing is a process of problem solving. We come across many difficult situations and we should solve them to improve our lives. Essay writing is necessary as long as we have problems in our lives. Since our lives are made up of a series of problems, we keenly feel the necessity of it. Furthermore, human beings who are looking for a better life intellectually should find a new problem and solve it throughout essay writing. Essay writing is not a simple skill used to pass an exam but a process of growing our thinking ability, which is indispensable for an enhanced life. That is, essay writing is important and essential in our routine. There are two ways of reading and discussion to gain wisdom of life. One is Plaisir and the other is Jouissance. We need to change the reading and discussion paradigms from the existing Plaisir into Jouissance. The existing Plaisir discussion was for completing tasks and only the people who prepare it: From now on, Jouissance discussion, which can break down the intellectual inferiority, is needed. In comparison with Jouissance reading, which gives pleasure beyond the prior fragmentary reading, in-depth discussion is also regarded as giving pleasure and deepening the stage of discussion beyond the promoter-centered discussion. To make sure whether the essay education in school is necessary or not, the following survey on real students was conducted. First of all, for the question on the necessity of essay writing, 45.3%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it helps them with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26.7% of them answered that it is required for studying in school.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about 72%) are interested in essay writing to get help for university entrance or grades in school.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associated with essay?" is university entrance: Most students think essay writing is equivalent to the university entrance. In a diagnostic question on their level of current logical thinking ability, 78.7% of the students think they are in want of it. It is a clear data which indicates insufficient essay writing education in school. When it comes to the effective lesson model for developing logical thinking, 77.3% of the students preferred student-centered discussion lessons and 22.7% of the students preferred printed material-centered lectures. Above-mentioned figures manifest that essay writing lessons will be effective if they utilize materials that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are student-centered. In a survey on the text-based essay lesson, 58.7%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lesson. It means that something should be done to improve this. As for the method of the research, materials should correspond with the highschool third graders'(the subjects') level. The Following are several standards for selecting TV or other video materials relevant to the discussion. First, does the material meet the students' level and increase their interest? Second, is the material helpful to make the lesson better when it is used in the lesson? Third, does the material violate any copyright la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fter research using a questionnaire about interest in essay writing lessons and utilizing it in a lesson and increasing in logical reasoning, there has been a meaningful advancement in increasing logical thinking through discussion. Most of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 "Do you think discussion helps you increase your logical thinking?" were "yes". There has been a big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in-depth discussion. We can realize the change from the students' response that a number of students are interested in social issues and from their attitude that they intend to find the cause of a problem, to share ideas with others when a problem occurs, and to prove their opinion. In other words, students' participation based on in-depth discussion lessons, such as filling out mind-maps, scraping newspaper articles, discussions, and using cartoons and movies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logical thinking ability. This research intends to improve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lessons by developing in-depth discussion-centered programs based on the hypothesis, "If in-depth discussion with a theme, which induces students' interest, is done, it will positively influence on lesson improvement. If this is done, the following results will occur: First, we can draw students' interest in essay writing out of text-oriented essay writing. Second, we can let our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with scrapping, mind-mapping, finding essay themes in the library or in cartoons and movies etc. Third, it helps students enhance their logical thinking abil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on the research of "Improving log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depth discussion oriented essay programs". (A) There are plenty of materials which induce students' interest. However, what is interesting doesn't mean excellent materials. Therefore, developing excellent materials is needed. (B) What is important in the essay test for university entrance is not only logical thinking but also writing itself. Both the discussion-centered material and writing practice are necessary. (C) A more definite debate is needed instead of the term, in-depth discussion which is vague concept. 최근 대학의 논술 교육이 강화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회가 대학에 요구하는 바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단편적인 지식을 많이 지니고 있는 사람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주도적인 인물이 되기도 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 조직하여 새로운 정보로 재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 국가 경쟁력을 갖춘 인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재 육성은 전통적인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학교교육도 기존의 교과 지식만을 가르치는 역할에 머물러 있어서는 현대 사회의 다각적인 변화에 대응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논술 고사를 대비하는 논술 교육은 단순히 대학에 들어가기 위한 도구적 능력을 기르거나, 혹은 대학 수학을 위한 능력을 기르는 차원을 벗어나서 앞으로 지금의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경쟁력의 핵심을 이루는 기초능력을 배양하는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대입 수험 과정에서는 논술 시험을 치지 않는 학생도 실제로는 논술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많은 학생들은 논술을 어려워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논술 교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학교 현장에서 논술지도를 활성화함으로써 학생들의 논리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한편 공교육의 내실을 기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논술 토론 자료를 발굴하고 개발하여, 심층 토론 중심의 논술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가 논리적인 사고력과 창의적인 학습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논술은 문제를 해결하는 글쓰기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문제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그리고 원만한 삶을 위해서는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논술은 문제를 해결하는 글쓰기이므로 우리 삶에 문제가 있는 한 필요한 것이고, 우리의 삶이란 언제나 문제의 연속이므로 그 필요성은 절실하다. 더구나 인간은 지적으로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존재이므로 그러한 향상을 위해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여 그 해결을 위한 글쓰기를 해야 한다. 논술은 시험이라는 관문을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아니라 지적으로 향상되는 삶을 추구하는 데 필수적인 사고력을 기르는 과정이다. 따라서 논술은 일상 생활 속에서 꼭 필요하고 중요한 글쓰기이다. 삶의 지혜를 얻기 위한 독서의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쁠래시(Plaisir)적인 독서방법이고 또 하나는 쥐쌍스(Jouissance)적인 독서방법이다. 기존의 독서 방법이 대체로 쁠래시적인 이었다면 이제는 쥐쌍스적인 독서방법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토론 역시 마찬가지다. 기존의 토론은 준비한 사람만의 것, 과제를 위한 쁠래시적 토론이었다면 이제는 쥐쌍스적 토론, 지적으로 열등한 위치를 깨부시는 토론이 필요하다. 이처럼 쥐쌍스적 읽기에서 비롯된 독서 방법을 토론의 방법에도 적용시켜서 심층 토론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왜냐하면 쥐쌍스적 읽기가 이전의 단편적인 읽기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주는 읽기라고 했을 때, 심층 토론 역시 토론의 층위를 심화시켜 발제자 중심의 토론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주는 토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논술교육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를 실행하였다. 먼저 논술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대학 입시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대답한 학생이 45.3%, 학교 공부에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대답한 학생이 26.7%로 대부분(72%)의 학생이 대입이나 내신에 도움을 받고자 논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논술하면 연상되는 것에 대한 답변에서 70.7%가 대학입시라고 대답하여 대부분의 학생이 논술과 대학입시를 동시선상에 놓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논리적 사고력에 대한 진단 문항에서는 78.7%에 이르는 학생들이 ‘현재 논술 실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논술 교육이 미비함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데 효과적인 수업형태에 대한 응답률은 학생 중심의 토론수업에 77.3%가 좋다고 응답했고, 프린트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 22.7%로 답해 토론 등의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인 수업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로 볼 때 논술 수업에 학생들의 흥미를 높여주는 자료를 활용하고 학생들 중심의 수업을 하면 좋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텍스트 중심 논술 수업에 대한 이해도 조사에서는 이해가 잘 안된가는 대답이 58.7%로 나와 텍스트 중심의 논술 수업을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연구의 방법면에서는 연구 대상자인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자료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토론과 관련된 TV 및 기타 영상물 자료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으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자료인가? 둘째, 수업에 직접 투입되어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인가? 셋째, 저작권 문제에 저촉되지 않는 자료인가? 위와 같은 연구주제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술 수업의 흥미도에 관한 설문과 학습활용도조사,논리력신장에 관한설문조사에서 연구후에 모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토론을 통한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에도 의미가 있는 변화가 왔다. 토론수업이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의 질문에도 매우 그렇다라는 답이 주류를 이루었다 . 심층 토론을 통한 논리력 향상에도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 사회적 쟁점 사항에 대한 관심도에서 상당수의 학생이 혹은 거의 관심을 가진다고 답하여 변화가 있음을 알려주었다. 문제의 원인을 찾으려는 자세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사람과 의견을 교환하기도 하고 주장을 입증하는 토론전개의 방식에도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 이는 딱딱한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만화나 영화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한 수업방식과 마인드맵 작성하기, 신문 자료 스크랩하기, 토론하기 등 학생들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심층 토론 수업 방식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알려준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심층 토론을 수행하면 학생들의 논리력 향상으로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통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과 심층 토론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로 수업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토론 수업을 심층토로을 수행하면, 첫째, 딱딱한 텍스트 중심의 논술에서 벗어나 논술에 흥미를 줄 수 있고, 둘째, 스크랩하기, 마인드맵작성하기, 토론하기, 도서관에서 논술주제 찾기, 영화나 만화에서 논술 주제 찾기 등 생동감 있는 수업으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하였으며, 셋째,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도움을 주었다. 이를 기반으로 “심층토론 중심의 논술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을 통한 논리적 사고력 배양 ”에 대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가.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는 자료는 많다. 그러나 흥미가 있는 것이 질적으로 우수한 자료를 입증하지 않는다. 따라서 질적으로도 우수한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나. 대입 논술에서 중요한 것은 논리적 사고력뿐만이 아니라 글쓰기 또한 중요하다. 심층 토론 중심의 자료뿐만이 아니라 글쓰기 훈련도 함께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다. 심층 토론이라는 개념이 모호하여 보다 명확한 논의가 필요하다.

      • 비선형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열간 압연의 비간섭 제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on-interactive Control for Hot Rolling Mill using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박현석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n advanced method to reduce fluctuations of strip tension and looper position in a steel rolling mill. We design a non-interactive controller to decouple the looper system into two subsystems. However, these subsystems have uncertainties, disturbances and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se uncertainties, disturbances and interactions as each nominal subsystem’s disturbance. To reduce these disturbances, we use a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In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the proposed method reduces response time and fluctuations in strip tension. This mean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t strip finishing mill in the steel making process.

      • (The) Feasibility and Strategy of Urgent Superficial Temporal Artery to Middle Cerebral Artery Bypass in Acute Ischemic Stroke

        박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 Selected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might have benefit from urgent superficial temporal artery-middle cerebral artery (STA-MCA) bypass, but the indication and feasibility of urgent STA-MCA bypass are unknown. This study reports the surgical indication, bypass strategy, safety and efficacy of urgent STA-MCA bypass in patients requiring urgent reperfusion who were ineligible for other reperfusion therapies. Methods : From January 2013 to May 2015, 21 urgent STA-MCA bypass surgeries were performed in 20 patients. All patients presented worsening symptoms despite maximal medical treatment and had a relevant mismatch between 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 and perfusion weighted imaging (Tmax >6s). The efficacy and safety of urgent STA-MCA bypas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clinical outcom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hemodynamic changes. Results : Single-barrel bypass was performed in 14 cases, and double-barrel bypass was performed in seven cases. Sixteen (76.2%) cases achieved a good functional outcome (mRS 0, 4 cases; mRS 1, 6 cases; mRS 2, 6 cases). Most cases received surgical treatment within 3 days after onset of stroke, and the time between symptom aggravation and anastomosis was usually less than 9 hours. One patient had a re-bypass surgery six months after the initial bypass surgery because he had a recurrent cerebral infarction due to bypass graft occlusion. One patient had a failed bypass surgery and his status eventually progressed to a complete hemiplegia. There was only one surgical complication that was a small reperfusion hemorrhage in a relatively large ischemic area. The media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sore was 10 (IQR, 8-14) before surgery and i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ypass (at 2 weeks postoperative, 6 [IQR, 3-8], p<0.001; at 3 months postoperative, 2 [IQR, 0-3], p<0.001). The median DWI lesion volume at 7 days after surgery (14.3 ml, IQR 8.4-30.0 ml)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operative volume (13.8 ml; IQR 7.3-25.4 ml; p=0.883). The Tmax >6s lesion volume significantly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bypass (preoperatively, 120.9 ml [IQR, 84.7-242.8 ml]; 7 days postoperatively, 24.5ml [IQR, 5.0-72.8 ml]; p<0.001).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STA-MCA bypass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tool in acute ischemic stroke with low complication rates. STA-MCA bypass should be considered an alternative therapeutic option in cases where late endovascular recanalization confer a high procedural or hemorrhagic risk. Advanced MRI techniques are helpful for selecting patients and for building a bypass strategy that targets specific territories.

      • 빅 데이터 환경에서의 통합보안관리시스템 개선에 대한 연구

        박현석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난 2012년 이후 떠오른 개념인 ‘빅 데이터’의 등장으로 정보보안 환경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소개하고,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보안위협으로부터 어떤 통합보안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빅 데이터 분야에 대해서는 최근 활용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특히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s) 공격과 같은 보안 위협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빅 데이터 기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 보완해야 할 두 가지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끝으로 개선사항을 적용한 통합보안관리시스템과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기대 효과를 도출하였다. This thesis intends to introduce changes of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big data', a concept shown after 2012, and suggest which integrated securit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rom security threatening based on the technology of big data analysis. For the field of big data, studies on the applications are actively in progress and especially, it intends to suggest improvements of two aspects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in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so as to protect system from security threatening such as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s) attack. Finally, system's effective effects suggested by this thesis were drawn by comparison of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applied by improvements and existing system.

      • 골프장 캐디의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 연구

        박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on rules of golf course caddies, emotional labor, job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is not only meaningful to provide useful data for caddy as a professional job, but also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naging golf cours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rom April 1, 2016 to January 31, 2017 to 600 caddy working in golf course located in Gyeonggi, Chungnam, Kyungnam Province and Incheon City, and finally the data from 519 caddies were obtained. using SPSS Window Version 23.0 for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tool, and Cronbach's alpha was used to measure reli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MOS 24.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or multicollinearity, one-way ANOVA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expression rules of golf course caddy has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Second, the emotional expression rules of golf course caddy has positive effects on job exhaustion. Third, the emotional expression rules of golf course caddy didn't affect turnover intention. Fourth, emotional labor of golf course caddy has positive effects on job exhaustion. Fifth, emotional labor of golf course caddy didn't affect turnover intention. Sixth, job exhaustion of golf course caddy has posi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골프장 캐디의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골프장 캐디가 하나의 직업군으로 성장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골프장 운영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근거를 확보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4월 1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총 276일간 골프장에서 근무하는 캐디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목적 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의 추출방법은 경기, 인천, 충남, 경남 10개 골프장에서 600부를 표집(sampling)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이상치 자료를 파악하는 자료 점검(data screening)을 걸쳐 81부를 제외한 519부의 자료를 본 조사의 최종 유효 표본으로 하였으며, 조사된 통계분석 방법은 SPSS Window Version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조사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진행하였으며,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실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AMOS 24.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을 위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일원배치 분산(One-way ANOVA)분석,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골프장 캐디의 감정표현규칙은 감정노동 및 직무소진에 각각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골프장 캐디에게 요구되는 감정표현규칙이 증가하면 감정노동의 하위 요인인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역시 증가하여 감정노동의 가중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직무소진 역시 감정표현규칙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될 경우 골프장 캐디의 정서적 탈진감, 비인격화, 개인성취감 감소가 발생하게 되어 직무소진이 증대하는 것이다. 따라서 골프장 운영자는 골프장 캐디에게 요구되는 감정표현규칙의 적정선 유지 등을 통하여 골프장 캐디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을 감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둘째, 골프장 캐디의 감정표현규칙이 직접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골프장 캐디의 감정표현규칙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이 완전매개역할을 하기 때문에 골프장 캐디에게 요구되는 감정표현규칙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감정노동의 증대라는 중간 과정을 거쳐 결국 이직의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골프장 캐디의 감정노동은 직무소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직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골프장 캐디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등 감정노동이 늘어나게 될 경우 직무소진이 증가하게 되지만, 감정노동 그 자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골프장 캐디는 고객에게 직접 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이니 만큼 직무소진을 경험하게 되면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골프장 운영자는 골프장 캐디의 감정노동에 대한 관리를 지속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골프장 캐디의 직무소진을 경감시킬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또한, 골프장 캐디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이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감정노동의 관리를 통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를 모두 안정적으로 경감시키는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골프장 캐디의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장 캐디의 직무소진 그 자체도 골프장 서비스 전달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직무소진으로 인해 이직의도가 증가될 경우 골프장 캐디 인력운용에 있어 악영향을 가져오기 때문에 골프장 캐디의 직무소진 관리는 적극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핵심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감정표현규칙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골프장 캐디는 대표적인 감정노동자로 골프장 캐디 스스로도 어느 정도의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은 감수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 및 이직의도 사이에는 직무소진이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골프장 캐디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에 관한 관리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빅데이터와 융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예방의학에 관한 연구

        박현석 尙志大學校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학기술 발달, 소득 증가 및 이로 인한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사회가 고령화 되면서 수명은 늘어나고 그와 더불어 질병에 노출되고 질병 치료를 위한 진료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와 융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신체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질병의 예방 및 초기 치료을 위한 시나리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나리오는 웹기반의 시나리오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시나리오 2건, 총 3가지의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 산소환원반응을 위한 비귀금속 촉매로써 몰리브덴과 황이 도핑된 포르피리닉 탄소 나노 구조

        박현석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4년 처음으로 유망한 비백금 촉매에 대해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인간의 피에서 산소를 흡착하는 부분인 헤모글로빈의 heme이 그 예이다. heme의 포르피리닉(Fe, N, C로 구성된 거대분자)한 구조가 산소가 흡착되는 활성점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한 뒤 포르피린을 전구체로 열처리를 통해 합성한 물질이 높은 성능의 촉매라고 발표했다. 현재까지 발표된 비백금 촉매 중 포르피리닉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그 성능이 백금촉매에 미치지 못하여 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비백금 촉매의 활성증가를 위해 포르피린 구조의 탄소계 물질에 비정형 MoS2를 첨가하여 산소환원반응 성능이 향상된 촉매를 합성하였다. 소량의 비정형 MoS2를 첨가하면 Mo와 S가 분해되어 Mo는 MoC를 형성하고, S는 S가 도핑된 포르피리닉 탄소계 촉매를 형성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합성한 촉매는 MoC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위에 자라난 탄소로 인해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기존에 포르피리닉 탄소계 촉매가 나타낸 946 m2/g의 비표면적보다 약 200 m2/g이 증가한 1107 m2/g 의 높은 비표면적을 나타냈다. 또한 S가 도핑되어 전기화학적 활성면적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 기존의 포르피리닉 탄소계 촉매가 나타내던 184 F/g의 전기화학적 활성면적에서 비정형 MoS2가 첨가된 포르피리닉 탄소계 촉매는 약 40 F/g 정도 증가한 225 F/g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비정형 MoS2가 첨가된 포르피리닉 탄소계 촉매는 포르피리닉 탄소계 촉매보다는 14 mV의 향상된 반파전위 결과와 48 mA/g의 비활성 향상을 나타냈다. 이는 전기화학적인 산소환원반응 촉매로서 상용화된 백금 촉매보다 반파전위가 34 mV 높은 값이며 0.9 V에서의 비활성도 90 mA/cm2 증가된 값이다. 합성한 촉매로 단위전지를 제작해 평가를 진행해본 결과 314 mW/cm2의 높은 최대전력밀도를 나타냈다.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are regarded as a major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ir higher energy conversion efficiencies than those of fossil fuels and zero-emission of pollution during the operation. However, although the Pt catalyst exhibited superior activity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due to the scarcity of Pt and its lack of durability caused by poisoning effect,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reduce the utilization of Pt by alloying with second transition metal elements and developing novel non-precious metal (NPM) structures as an alternative for cathode catalysts. In this thesis, to develop doped carbon nanostructures as NPM cathode catalysts, the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using SBA-15 and 5,10,15,20 - tetrakis (4 - methoxyphenyl) - porphyrin - Fe(III) chloride with different ratios of amorphous MoS2 precursor. From various analyses,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pyrolysis at 900 oC under an N2 atmosphere, the amorphous MoS2 precursor was decomposed into Mo and S,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graphene sheet-like carbon with MoC and doping of sulfur in the carbon. Especially, in the case of Mo/S/PC-10, most of the 10 wt% MoS2 precursor was decomposed, thus forming S-doped carbon which was grown on MoC phase without crystalline MoS2 phase. Furthermore, Mo/S/PC-10 exhibited enhanced ORR performance(specific activity of 1.23 mAcm-2 at 0.9 V and half-wave potential of 0.864 V), compared to a commercial Pt catalyst, due to heteroatom-doped carbon nanostructure with a fairly high specific surface area. In the polarization curve of the unit cell measured at 80 oC under an ambient pressure, Mo/S/PC-10 as a cathode catalyst exhibited a maximal power density of 314 mWcm-2 and current density of 280 mAcm-2 at 0.6 V

      • 高層아파트에 있어서 共有領域의 特性에 關한 硏究

        박현석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都市의 集合住居團地에서 匿名性이 높아짐으로 인해 적정 社會的 紐帶關係가 어렵게 된 問題點을 克服하기 위한 시도로서 集團의 社會的 場所인 共有領域의 特性을 고층아파트를 대상으로 파악하여 住居團地 計劃을 위한 基礎資料로 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理論的 硏究를 통해 共有領域의 特性을 파악하고 敍述觀察을 실시한 다음 이를 變數化하여 說問調査하였다. 분석방법은 각 변수를 因子分析하여 集團分類된 因子와의 差異를 檢討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抽出 할 수 있다. 居住者特性중 所有形式이 自家인 경우와 居住期間이 긴 變數가 Factor Score 값이 높게 나타났다. 滯留活動은 自家:0.0838, 賃貸:-0.2218, 近隣交流는 自家:0.0283, 賃貸:-0.0368, 所屬·愛着感의 경우 自家:0.3047, 賃貸:-0.7207로 自家인 경우가 賃貸인 경우보다 높은 共有領域의 特性을 나타냈다. 이를 分析해보면 共有領域의 特性에서 所有의 特性과 對象物이나 特定場所를 오랜기간 사용함으로서 領域特性을 나타낸다는 理論的 模型을 說明할 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物理的 特性의 경우는 아파트의 높이, 넓이 등의 變數로 把握해 본 결과 1層과 10層 이상에서 많은 個性化 活動이 이루어 졌다. 1층의 경우는 住戶 앞의 庭園과의 관계 때문에 그리고 맨 上層의 경우는 通過하는 步行이 없음으로 인해 더 安心하고 個性化 活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把握된다. 行動의 擴散(개성화, 체류활동)과 共有領域特性과의 集團別 差異를 나타내는 分析結果에 의하면 住戶밖, 계단참, 住棟 入口, 庭園 등에 花盆을 表出한 居住者 集團이 그렇지 않은 集團보다 더 높은 交流의 範圍를 나타내고 있고 花草를 植木한 經驗이 있는 居住者集團이 훨씬 높은 滯留活動을 하고 있으며 높은 所屬感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把握되었다. 頻度分析結果에 의하면 花盆表出의 경우는 25.1%가 經驗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庭園花草植木의 經驗, 花草가꾸기의 경우 21.3%, 58.5%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個性化의 特性 즉, Gardening, Yard Work, Upkeep Task등을 통하여 共有領域의 特性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分析된다. 團地內에서 행하는 活動의 內容으로는 氣分轉換·散步, 아이들 保護·監視, 가벼운 運動, 이웃과 對話가 41.02%, 29.04%, 27.25%, 26.95%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滯留活動의 내용은 共有領域의 特性과 깊은 相關性을 보이고 있다. 滯留活動의 경우 滯留活動이 많은 居住者 集團(하루에 여러번 住棟앞 廣場에 나감)이 交流因子의 點數가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居住者들이 所屬해 있는 團地內에서 行動을 展開하는 個性化活動과 자신의 住戶, 住棟을 中心으로 習慣的으로 利用하게 되는 滯留活動을 통하여 거주자들은 이웃간 交流의 機會가 增加되고 결국 近隣間의 交流를 增大시킨다는 2장의 理論的 背景을 立證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近隣交流를 나타내는 分析結果에 의하면 이웃이라고 생각하는 範圍는 같은층(30.8%), 동네라고 생각하는 範圍는 團地內(26.3), 協力對象範圍의 경우는 같은 棟(48.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近隣의 內容으로 協力活動과 이웃교제를 들 수 있는데 協力活動의 內容은 共同施設 設置·改善 29.0%, 共同購入·장보기 24.0%, 어린이 관계의 모임 14.4%, 敎養·趣味活動(12.9%), 대청소(10.8%)로 나타났다. 이웃교제동기는 가까이 있으므로 64.2%, 어린이를 통해 46.3%, 종교가 같아서 27.0%, 놀이터·벤취등에서 자주 만나므로 26.5%, 시장을 통해서 24.8%, 班常會를 동해 11.5%, 婦女會·親陸會·동네계등의 모임을 통해 10.5%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要因과의 相關性을 밝히기 위한 集團別 差異分析結果에 의하면 交流의 範圍가 클수록 滯留活動, 所屬感 등의 特性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장에서 살펴본 理論的 背景을 說明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領域的 行態로 인한 近隣交流, 協力活動과 같은 적극적인 社會的 活動으로 더 높은 共有意識의 特性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分析結果들을 檢討해보면 가까이 산다는 物理的인 近接性에 의한 接觸機會의 增加, 子女들간의 交際, 宗敎등의 活動, 住棟周邊 놀이터, 벤취 등의 滯留活動, 班常會·婦女會 등의 參與 등이 近隣交流를 높여주는 중요한 變數로 분석된다. 本 硏究에 의해 住居團地의 共用空間內에서 建築環境과 集合生活과의 對應을 分析하는 基礎가 可能하리라 여겨지지만 이를 실제 近隣空間計劃에 體系的으로 適用하기 위해서는 여러 類型의 物理的 特性을 서로 比較 分析하여 이를 실제 團地計劃에 반영하는 總體的 硏究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study about apartment housing has been studied the sphere which was focused on the inside of house, block and facility plan. But the approach which was unifying these persepectives, the study about gathering life which had an effect on each other in the apartment housing, was negligent. For most multi-family house,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able to reflect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inhabitants. So inhabitants in group lost his identity and had a difficulty in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 with neighborhood because of increasing anonym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nd clarify characteristics of common territory which shows up in socio-physical environment. That is on the purpose of grasping the process of forming common territory through inhabitant's habitual use, contact with neighborhood. To help answer this question, the significances of common territory on high-rise housing were studied. This study finds the factors which have important effects on inhabitant's territorial behavior as a member of his neighborhood, and makes the correlations of these factors clear. 334 wives in 5 housing estates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daily lives on neighborhood by the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s method. The results of analysis was as follows. ● Inhabitants characteristics and common territory In the case of affecting the form of common territory, own residents have more the values of factor score than rent's. In the case of sojourn activity, the factor scores are 0.0838 of own residents, -0.2218 of rent's. For neighborhood interaction, the factor scores are 0.0283, -0.2218, respectively. For consciousness, are 0.3047, -0.7207,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esidence duration, residents above 3 years have higher values of factor score than those of residents below 2 years. ●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mmon territory As a result of analysis by means of the height of apartment, high scores revealed in first floor and above 10's. In the range of interaction, residents above 4 floors had higher values of factor score than those of residents of 1∼3 floors. It was analysized that residents above 4 floors had more chance of interaction than those of residents of 1∼3 floors. ● Activity Development and neighborhood interaction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development and neighborhood interaction, In the case of activity development, the inhabitants which expressed flowerpot at house entrance, stair landing, apartment entrance, and garden had more factor scores of interaction than other one. This also shows the same result in inhabitants of planting. In the case of sojourn activity variables, inhabitants who have a lot of sojourn activity show high score of interaction factor. In the case of personalization factor, the housewife-garden-sojourn activities are more descriptive than the housewife foreground-sojourn activities. That is, the higher rate that housewife's sojourn activities do in the garden, the higher personalization rate shows. In the case of sojourn activity, the higher inhabitants have the feeling of attachment and belongness, the higher range of interaction and personalization score of factor. ● Neighborhood interaction and common conciousness As a result of analysis which showed the differences of each group between the common conciousness variables of belongness and neighborhood interaction, the inhabitants of making a high interaction revealed higher extent of attachment, belongness than other one.

      • Plasma기술을 이용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Cs, Co) 안정화처리 연구

        박현석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lobal demand for electricity is continually increasing. Nuclear energy plays an important part in fulfilling this demand. This energy is due to a variety of reason, like for example for a relatively low amounts of radioactive waste and essentially no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Radioactive waste is constantly generated thought out the plant operation as well as the decommissioning work of nuclear power plants. The generated waste is hazardous and therefore it has to be treated with care and responsibility. The much larger parts of nuclear wastes is non-heat producing waste which is usually categorized in intermediate level waste like as spent ion exchange resin and low level waste like as textile rags, plastic foil, gloves, etc. The plasma technology for these wastes treatment is introduced as a method for volum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The combustible parts will incinerate and combust, and the non-combustibles will melt. The advantages over plasma treatment are both increased factors of reduction of waste volume and obtaining the melted slag compound as a product, which has high chemical durability against aggressive influences of an environment. The limiting factor in development of plasma technology for treating radioactive waste is the high degree of escaping volatile radionuclides, primarily 137Cs. This experiment was directed to studying of the technology of plasma. conditioning radioactive waste provided to obtain a slag compound with maximal degree of 137Cs. The treatment of imitated radioactive waste in this plasma experiment technology has in several stages. These are : - pyrolysis process of the organic part of the R.W with subsequence purification of the pyrolysis gas and its homogeneous combustion in the chamber. - gasification process of the cokes residue. - melting process of the ash and incombustible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chemically and mechanically resistant slag with a high radionuclide conten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roduct gas ratio for CO-gas and H2-ga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yrolysis temperature. 2. According to thermodynamic analysis H2-gas and CO-gas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O/C ratio at temperature of 1,000℃. 3. In pyrolysis experiment, the weight reduction ratio of combustible wast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or temperature. The reduction ratio showed 69.52% for RDF 69.52% for rubber glove, 83.43% for cotton glove and 71.48% for spent ion exchange resin at temperature of 600℃. 4. In gasification experiment the reduction ratio of combustible wastes showed 87.81% for RDF 83.43%% for rubber glove, 95.24% for cotton glove and 91.81% for spent ion exchange resin at gasification temperature of 1000℃. 5. In melting experiment, Cs-residual ratio in slag was reached to 78% at temperature of 1600℃ and R.T = 2hr. 6. In melting experiment, Co conversion ratio to metal layer was over 90%. 7. In plasma melting experiment, Cs residual ratio in slag was obtained to 51% and Co conversion ratio to metal layer was analyzed to 90%. 8. According to oxide analysis of melted optimal slag basicity for melting was in range from 0.21 to 0.25 9. In the plasma melting process of low radioactive waste, the volatilization of Cs was a particular problem. The loss of Cs from melted slag can be minimized by appropriate design of the plasma melting system and the design of slag chemistry. Key words : radioactive wastes, plasma, pyrolysis, gasification, mel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