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 가구 식생활유형이 비건식품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채련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 식생활유형에 따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1인 가구를 위한 비건식품 발전방향 제시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20세에서 만 40세 사이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297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식생활유형을 ‘편의추구형’, ‘건강추구형’, ‘경제추구형’, ‘미식추구형’의 4개 유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계획하고, 가설의 구성내용은 비건식품을 선택하는 요인인 ‘건강측면’, ‘윤리/환경측면’, ‘마케팅측면’의 속성들을 설정하여 식생활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증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흐 알파의 신뢰도 계수 측정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각각의 유형별 요인분석을 진행하여 요인의 내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비건식품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70.4%으로 나타났다. 비건식품을 구매하는 동기는 비건식품에 대한 호기심(37.8%)이 가장 높은 결과를 차지하였다. 비건식품은 모바일 앱(34.8%), 대형마트/슈퍼(32.3%)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입하는 비건식품의 종류에는 비건 냉동식품(21.5%), 비건 신선식품(20.1%), 비건 베이커리(16.9%)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인 가구 식생활유형은 비건식품의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에서 ‘편의추구형’은 ‘마케팅측면’에, ‘건강추구형’은 ‘건강측면’과 ‘윤리/환경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제추구형’은 ‘윤리/환경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과 만족도의 관계의 유의성을 알아본 결과 ‘건강측면’, ‘윤리/환경측면’ 그리고 ‘마케팅측면’이 비건식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1인 가구 식생활유형이 비건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추구형’과 ‘경제추구형’이 비건식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1인 가구 식생활유형 중 ‘건강추구형’과 ‘경제추구형’의 고객층을 위해 비건식품의 본연의 기능인 건강기능측면에 대한 연구개발과 윤리/환경적 측면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고 윤리적 소비가치를 추구하는 고객층의 소비패턴에 맞춰 비건식품의 영역을 점차 넓혀 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를 위한 비건식품의 메뉴개발과 비건 식품업계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1인 가구의 식생활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etary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choice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f vegan food, and thereby,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egan foo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vide basic marketing data. Data were collected from 297 single-person household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In the present study, the dietary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 'convenience pursuit type', 'health pursuit type', 'economy pursuit type', and 'gourmet pursuit typ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the hypothesis, satisfaction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s by establishing the attributes of 'health aspects', 'ethics/environmental aspects', and 'marketing aspects', which are factors for selecting vegan food correlations, were compared and correlations were verif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liability coefficient measurement method of Cronbach's alpha was used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internal validity of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for each type. In the result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70.4%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vegan food purchasing experience. For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vegan food, curiosity about vegan food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37.8%).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purchase the vegan food mainly from mobile applications (34.8%) and large marts/supermarkets (32.3%). The types of purchased vegan food included vegan frozen food (21.5%), vegan fresh food (20.1%), and vegan bakery (16.9%). The results of testing the present hypo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etary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oice attributes of vegan food.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pursuit typ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rketing aspects’, while ‘health pursuit type’ on ‘health aspect’ and ‘ethics/environmental aspect’ and 'economic pursuit type' on 'ethics/environmental aspect'. Second, in the examina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attributes of vegan food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health aspects’, ‘ethics/environmental aspects’, and ‘marketing asp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egan food satisfaction.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 dietary lifestyles on satisfaction with vegan food, it was found that 'health pursuit type' and 'economic pursuit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egan food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conclusively suggested that for the customer group of 'health pursuit type' and 'economic pursuit type' among the dietary lifestyles of single households, more atten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health functional aspects as a natural function of vegan food and its ethical/environmental aspects ar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the realm of vegan food in line with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ustomers who pursue ethical consumption valu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widely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egan food menu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are constantly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vegan food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