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세 토지이용 구분에 따른 가뭄평가방법 연구

        박찬호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re are various natur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globally. One of the disasters that is particularly affected by precipitation is drought. In the past, numer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clarify and evaluate droughts in various ways. However, in order to reflect drought, the drought is affected not only by precipitation but also by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A detailed drought index needs to be calculated. In other words, if the existing general drought index shows a tendency to a large area,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rought of the sub-region in the aspect of national management and to take measures against the cause. In this regard, this study divided the study area according to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applied the drought evalu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in each sub - area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water use in narrow areas. The drought evaluation criteria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as applied to the mountainous area and the reservoir paddy by using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amount and the water saving rate respectively. And the drought evaluation criteria were set as irrigation rate in the the rainfed paddy field, soil reservoir rate in the field, and the water resource operation standard in the residential area. The results of applying the drought criteria based on each subreg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presentative drought index (SPI, MSWSI, SMI). Based on the year 2015, the results of SPI and the results of study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of MSWSI in the mountainous region. 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of applying a single drought criterion in administrative units, by applying a drought evaluation method to land use characteristics in each of the detailed areas classified according to land use, drought evaluation results of various aspects were simultaneously derived in one area. The collection of various information in the modern information age is very wide and easy unlike the past. Considering that the land use pattern is becoming more and more fragmented, it is expected that more reasonable and realistic decision making will be possible to manage future droughts by applying various information to a narrow region and presenting accurate drought judgment criteria.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해 다양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 중 특히 강수에 큰 영향을 받는 재해 중의 하나가 가뭄이다. 과거 수많은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가뭄을 정령화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을 진행해 왔지만 가뭄은 강수량의 영향 이외에도 식생 및 토양 등 그 지역의 특성에 의해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좁은 지역을 대상으로 상세한 가뭄지수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즉 기존 일반적인 가뭄지수는 넓은 지역에 대한 경향성을 보여주는데 의의가 있었다면, 국가적 관리의 측면에서는 세부 지역에 대한 가뭄을 분석하여 그 원인에 대한 대책을 세울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좁은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및 용수이용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지역을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상세히 구분하고 각 세부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가뭄평가기준을 적용하였다. 산지지역과 저수지 논은 각각 누적강수량, 저수율을 사용한 행정안전부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였고, 천수답은 담수율, 밭은 토양저류율, 주거지역은 상수원 운영기준을 사용하여 가뭄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각 세부 지역별 제시한 가뭄판단기준을 적용한 결과를 대표적인 가뭄지수(SPI, MSWSI, SMI)의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2015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산지지역의 경우 MSWSI보다 SPI 및 연구결과가 가뭄현황을 잘 반영하였으며, 농업지역의 경우 SMI보다 연구결과가 가뭄현황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구역 단위로 단일 가뭄판단기준을 적용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토지이용에 따라 상세히 구분된 각각의 영역별로 토지이용 특성에 맞는 가뭄평가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측면의 가뭄평가결과를 동시에 도출하였다. 현대 정보화 시대에 있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과거와 달리 그 범위가 매우 넓고 쉬워졌다. 특히 갈수록 토지이용 형태가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좁은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적용하여 정확한 가뭄판단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가뭄을 관리하기 위한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이용한 스타디움 지붕 트러스 구조물 최적화

        박찬호 선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축가들이 파라메트릭 디자인 도구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비정형 경기장 프로젝트들이 나오고 있는 반면에 구조 엔지니어들은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동대문 디자인파크 같은 비정형 건물프로젝트들의 구조설계는 기존의 해석도구를 이용해서는 해석하기가 매우 어렵고 효율이 떨어져서 제한된 설계 기간 동안 다양한 대안을 검토해 보거나 최적화된 구조를 찾아내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스타디움 지붕 트러스 구조물은 대량의 부재가 규칙성을 가지고 공간상에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기존의 구조해석도구로는 접근이 어려운 반면, 관계성과 규칙성을 논리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최종 모델을 생성해내는 파라메트릭 모델링 방법에 매우 적합하다. Rhino/Grasshopper프로그램에 구조해석 도구인 StrAuto를 이용해 스타디움 지붕 트러스 사례를 모델링하고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기존의 방식으로는 시간과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몇 개의 비교밖에 할 수 없었던 대안별 비교를 StrAuto의 Optimization기술을 이용해 모델을 수차례로 바꿔가며 무수히 많은 대안을 비교 검토 한 후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대안들은 버리고 원하는 수준을 만족하며 물량이 적은 대안들을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반복해 최적화된 대안을 생성해 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라메트릭 구조해석의 적용성에 대해 두 가지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첫 번째는 계획설계 단계에서의 적용으로서 계획단계에서 구조엔지니어도 직접 참여하여 파라메트릭 디자인 도구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대안을 빠른 시간에 생성하고 비교 평가하여 구조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와 두 번째는 시스템이 결정되었을 때 대안을 더 세분화 시켜 단면을 최적화하고 트러스의 형상별 비교를 하여 구조 성능을 만족시키며 물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는 3가지이다. 첫째,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무수히 많은 시스템간의 비교검토를 통해 공사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다양한 시스템간의 비교검토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준다. 파라메트릭 알고리즘을 이용해 처음 모델링만 하면 그 후에는 무수히 많은 모델생성이 가능하다. 셋째, 이 모든 장점을 통해 실무에서의 활용으로 건설사측면에서는 해외 프로젝트 입찰 시 철골량 등 공사비 산정이 빠른 시간에 가능해 입찰에 도움이 되고. 구조사무소 측면에서는 최적화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 Cost manager사업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 Boundary layer analysis for variance swap

        박찬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have shown that a market asset model by fast mean reverting stochastic volatility leads to an asymptotic analysis for variance swaps in boundary layer near expiry. We also find explicitsolution for variance swaps in the form of an asymptotic expansion.

      • 컴퓨터 비젼을 이용한 파이프 검사시스템에 대한 연구

        박찬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불량이 생기는 주요 원인으로는 주변 치 공구가 노후화 되거나 물류 장치 등의 불안정으로 작업 대상물의 위치나 방향이 불규칙하게 변하여, 기계가 오 동작하게 되고, 최악의 경우는 전체 시스템을 불안정 상태로 만들어 제품의 불량을 야기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용 oil 파이프 및 브레이크 oil 파이프의 검사공정에 컴퓨터 비젼을 이용여 성형된 파이프의 양 끝단의 형상불량을 검출하는 알고리즘과 검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제안된 변형 Hough Transform 을 이용한 직선검출과 영상분석에 의한 원좌표의 검출로 파이 검사 시스템에 필요한 편심량과 치수를 구하였다. 파이프 양 끝단의 정면과 측면에서 받은 각각의 입력 영상을 Laplace 연산자를 이용하여 Edge 를 검출하는 전처리를 거친 영상에서 직선 검출과 원 검출을 수행하였다. 먼저 직선검출을 위해서 사용한 변형 Hough Transform은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메모리 사용의 최소화와 처리속도를 향상시켰으며, 원 검출에는 X, Y 축에서 각각 100 번의 좌표검색을 실시하여 안쪽의 작은 원과 바깥쪽의 큰 원의 센터 좌표와 반지름의 크기를 구하여 편심량과 불량여부를 판정하였다. In this paper, a computer-vision based pipe-inspection algorithm is developed. The algorithm uses the modified Hough transformation and a line-scanning approach to identify the edge line and radius of the pipe image, from which the eccentricity and dimension of the pipe-end is calculated. Line and circle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Laplace operator with input image which are acquired from the front and side cameras. In order to minimize the memory usage and the processing time, a clustering method with the modified Hough transformation for line detection. The dimension of inner and outer radius of pipe is calculated by proposed line-scanning method. The method scans several lines along the X and Y axes, calculating the eccentricity of inner and outer circle, by which pipes with wrong end-shape can be classified removed.

      • USN 네트워크에 A*(A star) Algorithm의 응용에 관한 연구

        박찬호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USN(Ubiquitos Sensor Network) is consist of sensor-node hardware, sensor network, usn middleware, apllication service. Sensor-node hardware includes sensor, minium program-resource that process the sensored data, wireless network that communications with another sensor nodes. Usn middleware is located between sensor-nodes with restricted resource and application service. Also that suppots flexible coordination to both. Sensor network uses AODV(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e algorithm. Complexible Search Algorithm to find suitable path is used when Usn middleware proceeds complexible operations and has low cost. It han no paper with A* algorithm that is used by AI in wireless-network but many paper with advanced AODV. A* algorithm is different with current route algorithm. It finds suitable path considering short hop, life of node, network status. Result of simulation shows decreased operation and changes the path to avoid area with faluted nodes. Also network life-cycle is longer than now. USN technology will be developed. A* Algorith applies to sensor network instead of AODV, then we obtain more efficiency. Also research of USN will be more developed. USN(ubiquitos sensor network)은 센서노드 하드웨어, 센서 네트워크, USN 미들웨어, 응용서비스로 구성된다. 센서노드 하드웨어는 센서와 센싱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프로세싱 리소스와 다른 센서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한다. USN 미들웨어는 제한적인 리소스를 가지고 있는 Sensor Node들과 응용시스템 중간에 위치하여 둘 간의 유연한 통합을 지원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Ad-Hoc 네트워크 라우팅 기법인 AODV(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USN 미들웨어에서 복잡한 algorithm 연산을 수행하고 비용이 적게 발생하거나 최적의 path를 찾아 센서노드에게 라우팅 정보를 전달할 경우 복잡한 search algorithm이 적용 가능하다. AODV의 성능 개선을 하는 논문은 많지만 무선 네트워크의 라우팅 알고리즘은 AI에서 사용하는 A* 알고리즘으로 적용하여 본 논문은 아직 없다. 기존의 라우팅 알고리즘과 다르게 A* Algorithm에서는 최단경로, 노드의 수명,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 시뮬레이션 결과 연산 횟수의 감소와 소실이 발생 가능한 지역을 피하여 경로가 변화하고 네트워크의 life cycle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 660 nm 광 조사가 치은섬유모세포 (HGF) 및 조골모세포(MC3T3-E1)에 미치는 영향

        박찬호 조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Photobiomodulation by light in the red to near infrared range (630–1000 nm)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arrays has been shown to accelerate wound healing, improve recovery from ischemic injury in the heart and attenuate degeneration in the injured optic nerve. In this study, we have fabricated the 660 nm red LED illumination controller and LED array module and evaluated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reosteoblast MC3T3-E1 cells and cell mig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HGF) cells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illumination time. To investigate the 660 nm LED effects on MC3T3-E1 and HGF cells, cells were exposed to LED irradiation at illumination time of 5, 10, 15, 20 min and light intensity of 8.5 mW/cm2.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respectively. In addition, cell migration of HGF cells was investigated by two-dimensional migration assay and three-dimensional transwell migration assay. According to the 660 nm LED irradiation experiment results are as follows. 1) Exposure to LED light intensity of 8.5 mW/cm2 and illumination time of 5 min significantly increased MC3T3-E1 cells proliferation and cell differentiation, suggesting that 660 nm LED stimulates cell in a time-dependent. 2) The number of migrated HGF cells showed the largest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under LED light intensity of 8.5 mW/cm2 and illumination time of 5 min. 3) The migration rate of HGF cells showed the fastest in experimental group for culturing time of 12 hr after LED light intensity of 8.5 mW/cm2 and illumination time of 5 min. These data that suggest 660 nm red light exposure may be helpful in postoperative wound repair of HGF cells and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 탄화수소 생산 저류층 암석물리모델에 대한 시간-경과 탄성파 반응 연구

        박찬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Rock physics model (RPM) in recent time-lapse seismic survey has been widely used. RPM can be called optimal seismic attribute analysis method about the change in fluid saturation and movement. The most representative Gassmann’s equation among RPMs is commonly used until now. It is method for calculating the bulk modulus of the fluid saturated porous media and has the physically clear and simple advantage. Also, It can easily understood change in elastic wave velocity by dealing with a change in bulk modulus. In this paper, we introduce induction process of the Gassmann’s equation and the features as well a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basic parameters that make up the Gassmann’s equ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was carried out cross-hole seismic tomography survey modeling, surface seismic survey modeling and cross-hole EM tomography survey modeling about simple reservoirs (oil production reservoir, carbon-dioxide geological storage reservoir) and actual production reservoirs (oil production reservoir, gas production reservoir). Key words: Gassmanns’s equation, Rock physics model, bulk modulus, elastic wave velocity 최근 탄화수소 생산 저류층에서 시간-경과 탄성파 탐사자료 해석에 많이 적용되는 암석물리모델(rock physics model; RPM)은 저류층 내 유체 포화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유체 거동이 탄성파 속성에 미치는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최적의 분석 방법이다. 암석물리모델 중 가장 대표적인 Gassmann 방정식은 현재까지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모델로써 탄성파 속도를 구성하는 매개변수인 유체 포화 매질의 부피 탄성률을 계산하며, 물리적 의미가 간단·명료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 치환 시에 유체의 부피 탄성률이 가장 많이 변한다는 전제조건 하에 부피 탄성률의 변화를 다룸으로써 탄성파 속도 변화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Gassmann 방정식을 이용하여 정확한 분석을 하기 위해, Gassmann 방정식의 유도 과정 및 Gassmann 방정식을 구성하는 기초 매개변수의 계산법과 특징들을 파악하고 Gassmann 방정식에 기초한 암석물리모델 구성법에 대한 모델 구성 흐름도와 실제 RPM 구성 예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학위 논문에서는 단순 저류층(오일 생산 저류층,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저류층)과 실제 생산 저류층(오일 생산 저류층, 가스 생산 저류층)에 대해 시추공간 탄성파 토모그래피 탐사와 지표 탄성파 탐사 그리고 EM 토모그래피 탐사 모델링을 진행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반응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주제어: Gassmann 방정식, 암석물리모델, 부피 탄성률, 탄성파 속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