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머리채 평가

        박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Whereas hair researchers focus on the morphologic and biologic features of a scalp hair, normal people as well as patients with hair disease are more concerned about global changes of whole scalp hair mass than individual hair. However, regardless of the numerous studies of scalp hair, the research based on whole scalp hair mass as one subject is scanty. Also, since there are variations in individual hair between races, it is probable that there would be different feature of scalp hair mass among them. Objective: We performed this study to assess the average parameters and growth of scalp hair mass of normal Koreans and to compare the features of scalp hair mass between Koreans and Caucasians. Methods: 42 healthy Korean volunteers (22 men, 20 women) with a clinically normal scalp were included. The range of age was 23-31 years(mean 26.0±2.2). Total number of scalp hair and scalp surface area, average scalp hair density and diameter, proportions of terminal/intermediate/vellus hair and anagen/catagen and telogen hair, volume of scalp hair body, scalp hair growth were evaluated. Results: Total number of scalp hair were 112,074±18,718(Men 116,740±16,709, Women 106,942±19,863). The average hair density of temporal and occipital area were 153.0±22.0/㎠ and 166.5±28.0㎠.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scalp and face were 694±66.1㎠ and 418±38.7㎠. The proportions of terminal/intermediate/vellus hair were 86.5/8.8/4.7(%) and the proportions of anagen/catagen and telogen were 89.4/10.6(%). When the length of scalp hair was 4cm (diameter 80㎛), the volume of the scalp hair mass was 22.2cm3. Duration of new emerging hair observed on the surface of scalp after epilation was about 68.5±4.9days and average initial growth rate were 0.172㎜/day on 60-90days, 0.248㎜/day on 90-120days, 0.329㎜/day on 120-180days after epilation. Conclusion: The average number of total scalp hair of normal Koreans is about 110,000. Regarding that scalp hair density in Korean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aucasians, the total scalp hair number of Caucasians would be definitely more than that numbers(about 150,000~200,000). Also, the early growth rate of the scalp hair was much slower than what we had known. The growth rate of scalp hair reached approximately 0.35mm/day when the length of newly grown hair was 13mm.

      • '문법' 영역의 교육어 사용 양상 분석 : 교과서와 교사의 수업 중 화법을 중심으로

        박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국어 교육에 대한 논의에서는 학습자 중심, 그리고 교수 학습 상황에서 다양한 소통 맥락에 의한 지식의 변환이 일어나는 사실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실제 교과서에서 ‘문법’ 영역을 다룬 단원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학생들이 알아야 할 지식을 단순한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맥락이 제거된 채 교과서에 실려 있는 지식을 가지고 교사가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느냐에 따라, 학습자가 해당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시키는 과정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의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 바로 ‘교육어’라는 개념이다. 교육어는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교육어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면 교육어가 지니는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실제 교과서 차원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어가 제시되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본 이후에 수업 중 교사의 발화를 연관 지어 분석하는 것이 교육어 사용 양상 분석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이 될 것이라 보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어 사용에 관한 교육적 함의에 관해 다루면서 교육어의 개념과 기능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교육어를 분류한 틀에 따라 국어과 ‘문법’ 영역을 다루고 있는 중학교 교과서 단원과, 이 교과서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 중 발화를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차원에서는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을 안내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교육어 제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지금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교육어를 교과서에 적절하게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수업 중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교육어의 제시에 수정이나 보충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고, 교과서 차원에서 제시된 교육어보다 더 나은 교육어를 제시하여 학생의 지식 습득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끈 경우도 있었다. Ⅳ장에서는 교육어 사용 양상을 수치로 나타내어 표로 제시하고, 교과서 변인 · 수업 변인 · 교사 변인에 따라 교육어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교과서 변인에 따라 비교한 결과, 대상이 된 교과서 모두 교육어 사용 빈도가 낮았으며, 교육어의 기능도 편중된 양상을 보였다. 수업 변인에 따라서는 같은 교사의 수업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수업의 대상(학급)과 수업 차시에 따라 상당한 교육어 사용의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수업’이라는 것이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교사 변인에 따른 교육어 사용 양상에 있어서는 교사마다 자주 사용하는 교육어의 기능이 달랐으며, 교육어 사용 빈도 역시 차이를 보였다. 교육어 분석틀에서 제시한 9가지 기능 가운데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기능도 있었는데, 앞으로 이에 대한 심화된 논의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는 현재의 교과서에 제시된 교육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 상황에서 교사가 교육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연계하여 분석해봄으로써 교과서와 교사의 수업 상황을 유의미하게 연결시켜 분석한 의의가 있다. 교육어의 사용은 교사의 전문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교사는 교과서 차원의 교육어를 제대로 분석하고 이를 수업 상황에서 알맞게 교육어로 제시해야 함을 보여준다. 교육어의 역할이 제대로 발휘된다면, 학습자는 지식의 습득에 관여했던 과정 자체를 체득함으로써 교과서 내의 문법 지식을 수월하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어떤 상황에서도 다양한 문법 지식을 자신의 의도에 맞게 적용․활용할 수 있는 국어 능력 신장은 물론, 이러한 활용을 통해 진정한 문법 지식에 대한 통찰과 가치의 내면화 또한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따라서 앞으로 교과서 차원의 교육어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보완은 물론, 실제 수업 상황에서 교사의 전문성에 의해 더 나은 교육어가 도출되는 경우를 국어과의 전 영역에서 수집하고, 이것이 교과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A recent argument over Korean education began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re is a knowledge conversion caused by various contexts of commun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leaner-centered and teaching-learning education. However, looking into chapters covering 'grammar' in textbooks, it is still true that they are commonly presenting the knowledge students have to acquire in a simple form. According to what kind of languages teachers use to do a teaching-learning by means of knowledges provided by a textbook regardless of their context, there come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that students internalize such knowledges. What ca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ducational process is the very notion, 'educational language.' Since an educational language can be of help to the 'process' of their knowledge acquisition and activity performance, its direct effect on improvement in educational efficiency c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 Looking at debates over educational languages so far, people are conscious of their importance only to have hardly discussed them yet. Thus, this paper covered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presented in real textbooks in the first place, and then analyzed by associating them with teachers' speech during a lessen, because it was thought to be a way to make a closer and more accurate analysis of the form of using educational languages. Chapter Ⅱ will arrange the concept and function of educational languages by cove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ir usage which enables this debate. Then, in this context, Chapter Ⅲ will make an analysis of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being used on the basis of the chapters of middle school textbooks covering 'grammar'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such languages were categorized and the data on teachers' speech in class utilizing these textbooks.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nfirmed a possibility of providing educational languages through a device that can show the process of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in textbooks, and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perly present educational languages with a more variety of functions in textbooks. In addition, an analysis of teachers' speech in class found that educational languages used by teachers sometimes need to be corrected and complemented, and that better educational languages than those in textbooks at other times made the process of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efficient. Chapter Ⅳ will show tables of figures that represent how educational languages are used, and compared those aspects in accordance with variables like a textbook, a lesson, and a teacher. In case of a textbook variable, all the textbooks the study targeted showed a low frequency in using educational languages and their function was also biased. According to a lesson variable, each class and les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educational languages even when targeting classes of the same teacher. This is because 'a lesson' depends on a real situation. Lastly, in terms of a teacher variable, all of teachers showed different functions of educational languages they often use and different frequency of using them as well. There was functions, which were never used, among nine functions presented in the frame of educational languages, which were found to need a more profound discussion in the future. As mentioned above, we analyzed the educational languages presented in today's textbooks and then associated them with how teachers are using them in class so that it can be regarded as a meaningful analysis of textbooks and how teachers give a lesson in class by associating them. The use of educational languages, which has a close connection with a teacher's professionalism, shows that a teacher should appropriately analyze those in textbooks, and then present proper educational langua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class. A proper role of educational languages would make students easily acquire knowledge about grammar in a textbook by learning the process itself ever related to knowledge acquisition. Furthermore, it will also let them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 to apply or utilize a variety of grammar knowledges in conformity with their purpose in any situation, which is expected to enable them to internalize the insight and value of a real grammar knowledge. Therefore, we need to make a comprehensive review on and supplementation to educational languages in textbooks, and to collect the cases that a teacher's professionalism create better educational languages during an actual lesson in every language class, and then to make a further discussion to reflect this point in textbooks in the future.

      • 일탈의 형상화를 통한 패턴 디자인 연구 : 여성용 가죽 가방을 중심으로

        박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빠른 산업의 발달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 중심적인 개념에서 개인중심적인 개념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띠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과 함께 여성의 사회적 위치도 점점 중요해지고, 그 역할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개인중심적인 성향으로 인해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 또한 강해졌으며 이런 다양한 표현의 변화는 의, 식, 주생활 전반을 통해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의생활부분은 가장 사회와 밀접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 왔다. 그러나 다양한 의생활 중에서 장신구인 가방류에 있어 직업, 연령 등에 상관없이 무차별적이고 한정적인 패턴들로 그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자는 사회활동을 하는 여성용 가방류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심리를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예술은 많은 현실적 요인의 복합적 주조물이다. 이것은 예술의 표현이 사회적 현실과 경험에 대한 감정적인 해석의 분석으로 표현되는 것임을 의미하며 많은 작가들이 그러한 표현을 연구해 왔다. 현대 사회는 산업의 발달과정을 통해 갈등의 구조가 복잡해졌으며, 이러한 갈등해소의 도구로서 문화적 표현이 대변되기도 하며 그 방법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복합적이고 빠른 사회의 변화로 갈등도 커졌으며, 이 갈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심리적인 요인, 그리고 그밖에 많은 상황으로부터 탈피하고 싶은 충동이 강해졌으며, 이러한 갈등의 구조 속에서 벗어나 자아를 찾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첫 번째로 현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그 상황들을 살펴보고, 패턴의 모티브중 이야기 전개의 모티브를 이용하여 비교적 내면이 잘 표현되고 있는 앵포르멜미술을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가방의 종류와 기능을 이해하고, 패턴이 다양하지 못한 피혁류 가방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 작품연구에 있어서 섬유와 피혁 염색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관찰하고, 제품이용에 용이하며 본 연구에 적합한 표현기법인 프린트를 이용한 실험을 토대로 하였다. 네 번째로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대인의 갈등의 심리를 표현하는 모티브를 컴퓨터를 이용한 이미지로 활용하여 프린트를 통해 표현하였다. 다섯 번째로 이 이미지 패턴을 1차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작업으로 디자인의 가능성을 살펴 피혁류 소재에 프린트하고 현대 여성의 가방으로 접목하여 살펴보고 실물작업을 제작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그동안 표현의 대상이 외형적인 디자인에만 의존했던 여성용 피혁류 가방에 다양한 패턴디자인이 적용되므로 활동적인 여성의 장식적 기능을 부여하였다. Our modern society is changing the point from social to personal through the quick process of industrial development. As this changing the positions of women are getting higher and their desire about self-expression more various. These are found in our life as fashion, food, housing, and especially the part of fashion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express themselves. But we find limited patterns without regard to relationship, occupations, ages in the middle of fashion. So I were being interested in female bags and try to design that can be expressed career women's insides. Art is a complex creation from real elements. This means art is expressed from the sensitive analyzing social realities and experiences. Lots of artists have studied those kinds of expression. The cultural discord and the expression is increasing with social progress. Our contemporaries are longing to get out of the causes of harmful environment and mental. And it brought effects various in cultural tastes. It goes that even our unconscious expressions hold meaningful forms. I'm going to study and research in Patterns focused on expression out of inside discord that we are able to find on abstract art. And I'm going to do in a material of the Leather which had not handle much, too. Before my analyses I need staring at the theme of discord structures in modern society. The history of the Leather as a material is starting with human being. It has been changing from raw hides to artificial leathers that chemically produced. But it has been introduced only for industrial studying, not much about its specificities, properties and special characters compared with the fiber and textile goods. I researched the differences in chemical characters and manufacturing process from the fiber and textile goods for informing many researchers it. In this thesis I try to solve the specificities and understanding the terms about the Leathers for becoming a fresh research. I also study on this material's characters and dyeing. Using merits and advantages of leathers I make the dyed ties' patterns which means another images of deviation by computer and it is able to apply to manufactured goods. And that can not only solve our desires of deviation but also show us possibilities applications other manufactured goods using leathers.

      •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행학습 실태 조사 연구

        박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의 학습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 초등수학 영재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창의적 수학 인재를 기르는데 기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의 선행 학습 실태는 어떠한가? 나.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은 소속학급에서의 수학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가? 다.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은 수학 학습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대구광역시의 D 영재교육원의 수학반에 소속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2명이다. 연구도구는 김성미(2011)의 ‘수학 선행 학습에 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에 사용된 수학 선행 학습의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재구성한 학부모 설문지와 학생 설문지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대답한 문장을 분석하여 분류한 후, 빈도분석, 다응답 분석을 실시하여 정리하였고,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학년 간 관련성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은 선행 학습을 하고 있고, 고등학교의 내용을 배우는 학생도 있다. 선행 학습을 한 학생들은 모두 선행 학습이 자신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대부분이 선행 학습을 자기가 희망해서 하고 있었다. 둘째, 그들은 소속학급 학습보다 선행 학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만약 수업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절반 정도의 학생은 소속학급 학습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셋째,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은 자신만의 문제를 찾기보다는 외부에서 주어진 문제에 대해 사고하였다. 선행 학습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거나 문제 해결에 이용하는 긍정적인 사례도 있었지만, 선행 학습이 부정적인 영향을 준 사례도 많았다. 그 예로는 개념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 없이 맹목적으로 외우는 경우, 문제 해결 방법을 찾기보다는 선행 학습한 지식에만 의존하는 경우, 의식 수준이 따라가지 못했는데 지식만 암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이 개념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도록,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여 몰입하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영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 Thiol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의 암세포 내 흡입 과정에서 혈청 단백질의 영향

        박진 숭실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acellular uptake of serum coated gold nanoparticles (AuNPs) in a single mammalian cell was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cell culture media and aromatic thiol-functionalized gold surfaces using micro-spectroscopic tools. The AuNPs modified by the aromatic thiol of para-aminobenzenethiol(ABT), para-hydroxy benzenethiol (HBT), and para-carboxylic benzenethiol (CBT, paramercaptobenzoic acid) bearing NH2, OH, and COOH surface functional groups are presumed to adsorb the serum proteins as indicated from the compiled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data. The QCM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constituents, fetal bovine serum (FBS) should be the major adsorbate species on AuNPs incubated in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RPMI) medium. The functionalized AuNPs were found to be internalized as an aggregation state in mammalian cells as evidenc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mages. We monitored such cellular uptake behaviors of aromatic thiol modified AuNPs using dark-field microscopy (DFM)-guided confocal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techniques in order to identify the three-dimensional localization inside the single cell. We found that the uptake amounts of ABT, HBT, and CBT were similar by counting up to 70 particles inside the cells incubated in the solution mixture of the aromatic thiol and 1,4-phenylenediisocyanide (PDIC) as a reference. This result indicates for the short aromatic thiol compounds, the AuNPs should enter the cell after the serum-coating regardless of the surface functional groups. Considering that the aromatic thiols have little effect on the serum coating, the DFM/SERS method is an effective tool for monitoring the localization of AuNPs inside a single cell. 본 연구는 single mammalian 암세포에서 AuNPs(Au nanoparticles)이 혈청으로 코팅되어 세포내로 흡수되는 세포 배양 media와 방향족 thiol로 AuNPs의 표면을 변형시켜 micro-spectroscopic 도구를 사용하여 이들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AuNPs를 para-aminobenzenethiol(ABT), para-hydroxy benzenethiol (HBT), 그리고 para-carboxylic benzenethiol (CBT, paramercaptobenzoic acid)의 방향족 thiol로 변형시키고 표면이 NH2,, OH, COOH로 되면 혈청단백질이 흡착이 된다는걸 QCM 결과로 알 수 있다. QCM 결과는 RPMI안의 구성성분 중에 FBS(Fetal Bovine Serum)가 AuNPs의 주요흡착 물질이라고 나타낸다. mammalian 세포 내에서는 AuNPs가 뭉쳐있다는 것을 TEM 사진으로 알 수 있다. DFM/SERS 기술을 통해 single mammalian 세포에서 방향족 thiol로 변형한 AuNPs이 세포 내로 uptake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DIC를 사용해서 ABT, HBT, CBT가 세포내로 uptake 되는 수가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짧은 방향족 thiol 화합물에 대해 AuNPs이 관계없이 혈청 코팅 후 세포내로 함입이 된다. 길이가 짧은 방향족 thiol은 혈청 코팅에 작은 영향을 미치며, DFM/SERS 방법은 single 세포 내부 AuNPs의 localization을 모니터 하는데 효과적인 도구이다.

      • 지적장애 중학생의 능동적 학습 태도를 위한 웹툰 프로젝트 사례 연구

        박진 단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웹툰을 이용한 국어과 프로젝트 수업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특징, 웹툰의 특징, 프로젝트 수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성취의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 학생의 특 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 기 위하여 국어과 수업을 웹툰 제작 프로젝트 수업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쓰기, 생각표현이 가능하나 학습에 대한 의욕이 없고, 여가시간에 핸드폰을 주로 사 용하는 중학교 1학년 지적장애 남학생 1명이 참여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의 성취수준을 추출하여 적용하였으며, 추출한 성취수준을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현하여 들어가기, 활동하기, 마무리하기 단계로 진행하였다. 전체 6차시의 과정 중 1차시는 웹툰을 보고 재미있 는 표현찾기 2차시는 경험을 이야기하고 이야기의 제목을 정하기 3차시는 경험한 일 을 차례대로 전하기 4차시는 중심 낱말을 사용하여 중심내용 정리하기 5차시는 말하 려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말하기 6차시는 웹툰 완성하기로 이루어졌다. 각 차시는 교사와 학생의 1:1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며 45분동안 실시되었다. 학생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한 웹툰은 소셜앱에 업로드 하였으며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의 학습만족도 자기평가와 교사의 관찰평가로 이루어졌다. 학습만족 도 검사는 프로젝트 수업이 실시되기 전과 후에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대조하였고 교사의 관찰평가는 매 시간 학생의 주요 발화를 기록하고 누적된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지적장애 중학생의 능동적 학습 태도를 위한 웹툰 프로젝트 사례 연구 결과 본 연 구의 수업은 학생의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이 중학생의 학교폭력 성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진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정부에서 학교폭력의 해결책으로 활성화된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에서 나아가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학교폭력 성향과 태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스포츠강사의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지도행동유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스포츠강사 교육에 필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학교폭력 성향, 학교폭력 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이 학교폭력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이 학교폭력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성별, 학년, 운동선호도로 구분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12개 중학교,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부적격한 20부를 제외한 480부가 자료 처리되었다. 자료처리는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이 학교폭력 성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통계처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학교폭력 성향, 학교폭력 태도의 차이 결과 학생 성별에 따라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하위요인 중 사회적 지지형과 학교폭력 성향의 하위요인 중 충동성과 학교폭력 태도의 하위요인 중 동조적 태도에서 여학생의 평균값이 남학생의 평균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따라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하위요인 중 권위적 행동형은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 성향의 하위요인 중 공격성은 1학년이 3학년보다 높고, 대인관계는 2학년이 1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선호도에 따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하위요인 중 민주적 행동형은 상 집단이 중, 하 집단보다 높고, 권위적 행동형은 상 집단이 중, 하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 성향의 하위요인 중 공격성은 상 집단이 중, 하 집단보다 낮고, 충동성은 상 집단이 중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 태도의 하위요인 중 방어적 태도는 상 집단이 하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이 학교폭력 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중 민주적 행동형은 분노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형은 공격성과 분노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권위적 행동형은 공격성과 분노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폭력 성향의 충동성, 대인관계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이 학교폭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강사의 지도행동유형 중 민주적 행동형은 방관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형은 방관적 태도에 부(-)적, 방어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권위적 행동형은 방관적 태도에 정(+)적, 방어적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폭력 태도의 동조적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중학생의 학교폭력 성향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도행동유형은 사회적 지지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폭력 성향의 감소와 바람직한 학교폭력 태도를 위해 스포츠강사는 사회적 지지형을 지향하고, 권위적 행동형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체험 매장의 공간구성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이동통신 브랜드 중심으로

        박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동통신 매장의 공간구성요소와 공간의 체험요소를 분석하고, 내부고객과 외부고객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체험 매장의 공간조성전략방향을 제시하고자 서울 소재 SK텔레콤 T프리미엄스토어 6개 매장을 기준으로 현장조사에 의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각 매장 공간구성요소의 위치, 면적, 형태와 수량을 측정하였고, 공간체험 요소는 면적과 거리, 색상, 소재 분석을 통해 감각, 인지, 행동, 관계체험요소를 분석하였다. 체험요소 분석은 고객체험 분석이 아닌 매장 레이아웃(Layout)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장의 공간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제품요소의 단말기와 액세서리 중심으로 벽면형 집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매장의 좌측과 우측을 중심으로 놓여 있었다. 또한 면적의 활용 비중은 환경 요소와 제품요소가 유사하였다. 고객이 직접 체험해 보아야 하는 이동통신 상품의 특성상 제품요소가 매장의 다수의 집기를 사용하고 있고, 면적 또한 제품요소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고객에게 브랜드의 경험을 집중적으로 제공 하고 있다. 둘째, SK텔레콤의 아이덴티티(Identity)색상인 빨강색은 외부에서 선 체험 후 매장에 진입하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브랜드를 인지하고 내부에선 상품에 집중할 수 있는 체험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고객이 브랜드의 전략 상품을 가장먼저 인지할 수 있도록 제품요소의 음성인식이 주 출입구 가장 가까이 있었고, 상담 시간과 대기시간이 긴 이동통신 매장의 특성을 반영하듯 상담 쇼핑 면적이 가장 넓었다. 상담요소에선 부드러운 나무 소재가 사용되었고, 상품을 체험하는 제품요소에서는 금속 소재에 검정색과 흰색을 사용하여 상품 체험 집중도를 높였다. 또한 공간구성요소 특성 따라 색상과 소재를 다르게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고객의 만족이 중요한 만큼 서비스 제공 주체인 내부고객의 만족도 또한 중요 하지만 복리후생 측면에서 내부고객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은 크게 부족했다. 또한 남녀가 함께 근무함에도 휴게 공간은 남녀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휴게공간을 창고와 함께 사용하거나 그 또한 면적이 작아 휴식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매장이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매장의 공간구성요소와 공간 체험요소는 내부고객과 외부고객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체험 매장의 공간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고객이 새로운 기술의 상품과 브랜드를 충분히 체험하고 이를 통해 차별적 가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atial modules and experiential components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o suggest the ways in which th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can improve the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rates through the strategic interior design of the stores catered to their experiential marketing campaigns. The researcher conducted a field survey on the six (6) selected SK Telecom T-Premium Stores locat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and measured each stores by the location, area, shape and quantities. The field survey also examined the experiential components of the stores by considering the perspective that primarily focuses on the store layout, instead of the customer experience. The research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ores most commonly use the wall-mount shelves to display devices and accessories, and place them in both left and right side of the stores. Their use of store area considers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lements of products in a similar manner. As the characteristics of telecommunication products involve the direct customer experience, elements of telecommunication products rely on the use of shelves. Moreover, their use of area also demonstrates the company intends to provide direct ‘brand’ experience to customers. Second, the SK Telecom’s color identity (Red) fosters the experiential environment; in which the customers develop experience initially through the brand recognition before they enter the store, allowing the customers to focus solely on the products when they enter. Furthermore, the telecommunication stores placed the speech recognition of their strategic products closer to the entrance of the stores for customers to recognize those first, and have larger space allocated to the consultation-based shopping units in consideration of the stores’ characteristics that involve the long consultation and waiting time. Consultation units used soft wood materials, whereas the experiential units used metallic materials with black and white colours to enhance the concentration on the customers’ product experience. Overall, the stores used different colors and materials based on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stores. Third, although th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as service providers—is vital to the company as much as the external customer’s satisfaction, the company offers lacks benefits to the internal customers in a way that the stores have lack of space allocated for the relaxation. Moreover, both men and women use resting space together without distinction, often using the resting space as warehouse, leaving lesser room for the resting space. Most of the studied stores require expansion of the resting areas to improve th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rates. Hence, the telecommunication store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tial factors are vital to improve both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rates, particularly through the strategic interior design of the stores. Such improvement provide differential values to customers, and allow the customers to adequately experience the new technologies and branding of the telecommunication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