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박주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외식경영전공 박주연 본 연구는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성과 측정을 위해 경영과학 기법인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도입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DEA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를 파악하여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운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위탁급식 점포 342개를 대상으로 2008년 10월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DEA 모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최종 312개(A세트) 점포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260개(B세트) 점포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DEA 효율성을 계산하기 위한 산출변수로는 매출, EBITDA, 고객만족도를 사용하였고, 투입변수로는 재료비, 인건비, 경비를 선정하였다. 점포의 운영변수들은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메뉴요인은 메뉴수, 식수오차율, 발주정확도, 로스율, 재고율을 포함하고, 인적요인은 환산인원수, 근무시간, 정직원 비율, 파출비율을 포함하였다. 계약요인은 코너수, 배식형태, 월식수(규모), 유형, 계약형태, 단가를 반영하였고, 생산시스템은 전처리야채 및 CK(central kitchen)상품 사용 정도를 반영하였다. DEA 효율성은 산출변수를 달리하여 2가지 모델로 분석하였으며 BCC와 CCR 투입지향 모형을 사용하였다. 1모델과 2모델 간에는 DEA 효율성에 차이가 없었으며 BCC와 CCR 모형 간에는 차이를 보였다. 전통적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1식당 소요시간은 7.1분, 환산인원당 식수는 62식, 근무시간당 식수는 9.8식을 나타냈다. 1식당 소요시간과 DEA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유사그룹으로 분류되는 정확도가 29.6%에 불과하여, 점포 관리자들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운영개선 노력이 모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DEA 효율성 점수와 운영변수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BCC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운영변수는 급식단가(r=0.337), 계약기간(r=0.248), 정직원 비율(r= -0.194), 월식수(r=0.150), 재고율(r=-0.203), 이벤트횟수(r=0.143), 전처리야채 사용률(r=0.131), 효율화식재 사용률(r=0.137), 잔반률(r=-0.130), 로스율(r=-0.128)로 나타났다. BCC 점수와 운영변수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BCC 점수를 log로 치환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급식단가, 월식수, 계약기간이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직원 비율, 잔반율, 메뉴수는 부의 영향력을 보였다(R2=0.197). 규모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형 점포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월식수와 파출비율, CK상품 사용률이었다(R2=0.291). 중소형 그룹에 대한 회귀식의 설명력은 39.9%였으며 유효한 변수는 정직원 비율이었다. 중대형 그룹에서는 정직원 비율, 급식단가, 계약기간이 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R2=0.352). 대형 점포의 효율성에는 급식단가, 월식수는 정의 영향을 미쳤고, 재고율, 잔식율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R2=0.499). BCC 점수와 수익률을 기준으로 고효율-고수익(HEHP), 저효율-고수익(LEHP), 고효율-저수익(HELP), 저효율-저수익(LELP)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HEHP 그룹은 114개(43.8%)로 고단가 관리비제 점포가 많았고, 한 끼만 운영하는 소규모 점포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HELP 점포는 15개(5.8%)로 저단가 소규모 공장 점포들이 많았고, LEHP 그룹은 35개(13.5%)로 중단가 및 중간 규모의 공장 점포들이 많았다. LELP 그룹의 점포는 96개(36.9%)로, 저단가 점포의 비중이 높았으며 식수는 골고루 분포하고 있었다. HELP 그룹은 매출은 크나 재료비율이 높아서 수익률이 낮았고, LEHP 그룹은 매출은 작아도 투입변수들의 사용률이 낮아서 수익률이 높았다. 급식단가는 HEHP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재료비단가는 비슷하였다. 계약기간에서도 HEHP 그룹이 가장 길어 점포 안정화에 따라 효율과 수익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생산시스템에서는 효율화식재 사용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메뉴요인에서는 식수, 재고율, 이벤트횟수, 잔반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BCC 점수와 만족도를 기준으로 고효율-고만족(HEHS), 고효율-저만족(HELS), 저효율-고만족(LEHS), 저효율-저만족(LELS)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영 특성을 살펴보았다. HPHS 그룹은 73개(28.1%)로 고단가 공장 점포가 많았고 관리비제 점포의 58%가 속해 있었다. HELS 점포는 56개(21.5%)로 점포 환경 특성에 대한 차이가 없어, 점포 환경보다는 운영 스킬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LEHS 그룹은 62개(23.8%)로 중ㆍ저단가 점포들이 많았고 오피스와 공장에 골고루 분포했다. LELS 그룹의 점포는 69개로 26.5%를 차지하며 저단가 점포의 비중이 높았고 운영코너가 많은 공장의 특성을 띠고 있었다. DEA 효율-만족 매트릭스의 그룹들은 손익관련 지표 중 매출, EBITDA, 이익률에서, 계약요인에서는 급식단가, 재료비단가, 계약기간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생산시스템에는 전처리야채와 효율화식재 사용률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메뉴요인에서는 메뉴수, 식수, 잔반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중요성은 기존 효율성 분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푸드서비스 점포의 효율성을 산출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산출변수로 사용된 매출, 수익, 고객만족도는 기업의 경영목표로,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방법론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다수의 점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푸드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푸드서비스 점포들은 계약에 따라 운영 환경이 다양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수가 많아서 측정 방법의 제약으로 효율성 측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DEA는 다수의 변수들을 동시에 반영하여 변수들의 간의 가중치를 수학적으로 계산해주며, 유사구조의 점포를 기준으로 비효율적인 정도를 측정하여 개선목표를 제안해 주는 특징이 있어 기존 효율성 측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실증 연구 결과로 도출된 전략적 제안점은 신규점 개발 및 운영의 각 가치사슬 단계에 의사결정을 내릴 경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단기 실행 전략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제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발단계에서는 규모보다 급식단가를 비중있게 다뤄야 하며, 고효율 점포가 되기 위해서는 단가 3,750원 이상, 재료비 1,900원 이상, 식수 8,400식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수익률과 만족도가 상충되는 경우 우선가치는 만족도가 된다. 셋째, 효율적인 점포 운영을 위해서는 시스템 표준화나 전처리, CK상품 등을 적극 활용하여 내부적인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하고, 고객 응대에 필요한 최소의 인력으로 운영하면서 접점에서의 고객관리 시간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계약기간이 길어질수록 종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규점 개발뿐 아니라 기존점에 대한 재계약 유지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정기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일반화의 문제점과, 정성적 변수의 반영 비중이 낮아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있다. 더불어, 운영 프로세스에 대한 지표도 선행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푸드서비스 기업의 고객만족도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 운영 프로세스의 지표화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검증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변수별로 비효율성 정도를 측정해주는 slack base 모형이나 효율성의 시계열 추이를 분석해주는 Malmquist 생산성지표 분석 등을 도입하여 비효율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거나, 타 푸드서비스 업종에 대한 확대 연구, 급식 점포들의 유형이나 규모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푸드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research was aime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multi stores in foodservice company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a new management science technique, to search relevant variables which had an affect on the DEA efficiency and to suggest operation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2 contract foodservice operations, which were operated in the similar form on October 2008.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DEA models, 312 samples were used and to search the variables which had an affect on the DEA efficiency, 260 samples were used respectively. Sales, EBITDA, CSI(customer satisfaction index)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and food cost, labor cost, management expense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to calculate the DEA efficiency. Operation process variables of the unit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menu factor included number of menu items, forecasting accuracy, order accuracy, the ratio of food waste and inventory turnover. The human factor included number of employees, working hours, the ratio of full time employees and the ratio of daily employees, which were related to labor productivity and skillful degree. The contract factor included number of meals, number of service counters, methods of serving, meal counts per month, types of business, types of contract and the meal price etc. which related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productive system reflected the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 and the use of CK(Central kitchen) products. The DEA efficiency was calculated with two methods, One was input-oriented model which used sale, EBITDA,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s output variables, the other used only sale and CSI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CR and BCC scor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traditional labor productivity indices, labor minutes per meal were 7.1 minutes, meals per employee were 62 meals and meals per labor minutes were 9.8 meal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between labor productivity index and the DEA efficiency score was only 29.6%. It implied that new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should be introduced to reflect the improvement effort of unit manager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BCC score and operation variables such as meal price(r=0.337), contract period(r=0.248),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r=-0.194), meal counts per month(r=0.150), inventory turnover(r=-0.203), frequency of event performances(r=0.143),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r=0.131), use of convenient products(r=0.137), the rate of leftover(r=-0.130) and the rate of food loss(r=-0.128).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CC score and the contract period,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 frequency of event performances and there were negative ones between BCC score and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inventory turnover, the rate of food loss.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eal price, contract period, meal counts per month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BCC log score, yet number of menu items,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inventory turnover had an negative one(R2=0.197). In small-sized unit, meal counts per month, the ratio of daily employees and the use of CK products influenced the efficiency (R2=0.291). In small-medium sized unit, R2 equals 46.5% and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In medium-large sized unit, ratio of full-time employees, meal price, contract periods had an effect on the DEA efficiency(R2=0.352). In large sized unit, meal price and meal counts per month had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yet inventory turnover and the rate of food loss had negative one(R2=0.499). According to the BCC score and profitability, uni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like High efficiency-high profitability(HEHP), High efficiency-low profitability(HELP), Low efficiency-high profitability(LEHP) and Low efficiency-low profitability(LELP). HEHP group contained 114(43.8%) units which mostly contracted management fee type and had high meal price. They had many small units which managed only 1 meal. HELP group had 15 units which were operated at low price. They were mostly factories and served self-service foods. LEHP group with 35(13.5%) units, were mainly factory stores with intermediate meal price and medium scale. 96 LELP group's meal price were low. They opened throughout the year and managed over 2 lines. In spite of scale, profitability was low because of high food cost in HELP group. In contrast, profitability in HELP group was very high due to the low ratio of input variables. Meal price was significantly high in HELP group, y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od cost per meal. It means that food cost ratio was different between groups. When the contract period extends, efficiency and profit increased because stores became stable. As more convenient products were used, efficiency increased more in production system. Among menu factors, meal counts, inventory turnover, number of events, and the rate of leftover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BCC score and CSI, uni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like High efficiency-high satisfaction(HEHS), High efficiency-low satisfaction(HELS), Low efficiency-high satisfaction(LEHS) and Low efficiency-low satisfaction(LELS). HEHS group contained 73(28.1%) units which were mostly factories with high meal price. In management fee contract type units, 58% units belong to HEHS group. They opened throughout the year and managed 3 meals per day. HELS group had 56 units which had no special characters. It assumed that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management skill than the environment. LEHS group with 62(23.8%) units, had B&I stores with intermediate meal price. At 69 LELS stores, meal prices were low. They were mostly factories and managed many meals per day. In DEA efficiency-satisfaction matrix, sale, EBITDA, profit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ontract factors, meal price, food cost per person, contract period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production system,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 and use of convenient products had different results among groups. The number of menu items, meal counts, and rate of leftover made a difference in menu factor. The DEA can apply many variables simultaneously, compute the weight mathematically, measure the inefficiency compared with similar units and establish improvement goal. It'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efficiency in foodservice industry because the operation environment varies due to contract and there are so many variables affecting the efficiency. The good point of DEA can make up for the difficulty of the efficiency measurement problem in foodservice industry. Thus the DEA could be a new metho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unit managers. This paper analyzed the causes in details which were related to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fitability, satisfaction, operation environments and scale. The scholastic import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introduces a new analysis method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 limit of existing methods and makes a new model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foodservice units. It is an empirical research which considers the various conditions of units, so it could maximize the improvement results. Also this paper could be applied as a practice guide to help with decision-making in each value chain phase and be used as a short term strategy. To improve the efficienc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strategies. First, it's the meal price which primarily controls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not meal counts. To satisfy the profitability and satisfaction simultaneously, it should satisfy a few conditions. The meal price should be over \2,750, the food cost should be over \1,900 and meal counts per month should be over 8,400meals. Secondly, satisfaction should be a priority whe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Thirdly, service quality could be deteriorated by reducing full-time employees too much. To increase the efficiency, however, you should decrease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To solve this problem, increase the use of convenient foods and make a standard system to reduce management time. Instead increase time to meet customers. Fourthly, not only is it important to make new deals bu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maintain and renew existing contracts since contract period has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This paper has a few limited points. Specific companies were researched, so it's difficult to apply to all foodservice companies. Another limited point is quality variables. Owing to measurement problem, quality variables and management indices were not reflected a lot. Customer satisfaction index, quality variables which affect the efficiency and operation indexes should be developed and examined continuously. Finally for future research, I would like to do detailed analysis on inefficiency by introduc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hich can analyze time-series efficiency and slack based model that can measure the degree of inefficiency by variables or extend research in other industries or subdivideunits depending on scale and type to search for proper methods on efficienc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 리튬 이온 전지용 Ni-rich NCM계 양극활물질의 합성 및 ALD 코팅을 통한 전기화학적 특성 개선 연구

        박주연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ntense efforts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emission and to develop a sustainable energy storage is gaining much attention during the recent days. The demand for green and clean energy have triggered interest of new storage devices, particularly Li-ion batteries (LIBs) for electric vehicles, renewable energy storage, and large-scale smart grids. In particular, the investments in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re continuously expanding, and so lithium-ion battery market for such vehicles have seen a significant growth. Yet, the current state-of-the-art LIBs can power electric vehicle only to a short mileage and requires a long charging time when compared to a conventional gasoline car. The performance of LIBs in electric vehicl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de materials utilized in LIBs. Layered type Ni-rich LiNixCoyMn1-x-yO2(0 < x, y < 1)cathode material is one of great interest in LIBs because of its high theoretical capacity and high operating voltage. The increased Nickel content leads to a high capacity and voltage which helps to realize a high energy LIBs for electric vehicles. However, as the ratio of nickel increases, the irreversibility due to the cation mixing makes them structurally unstable with cycling. Furthermore, the electrolyte decomposition at higher voltage, and poor power capability needs to be addressed. Addressing the above issues with precursors recycled from spent LIBs can led to a green and sustainable cathode material. In this study, optimization of synthesis conditions for phase pure LiNi0.87Co0.1Mn0.03O2 cathode from recycled metal-hydroxide precursors is evaluated. The as-obtained phase-pure cathode materials is investigated for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n LIBs. Inaddition, characteristics such as capacity retention, and rate performance of there cycled LiNi0.8Co0.1Mn0.1O2 cathode is enhanced by a novel surface coating utilizing ALD(Atomic Layer Deposition) technique. Initially, the calcination temperature for LiNi0.87Co0.1Mn0.03O2 cathode active material is optimized. XRD analysis reveals that LiNi0.87Co0.1Mn0.03O2 cathode synthesized at 720 °C suppressed cation mixing than LiNi0.87Co0.1Mn0.03O2 calcinated at 700 °C and 740 °C. Also, LiNi0.87Co0.1Mn0.03O2 synthesized at 720 °C showed an initial discharge capacity (198.4 mAh/g) at 0.1 C, higher than LiNi0.87Co0.1Mn0.03O2 synthesized at 700 °C(168.6 mAh/g) and 740 °C(195.0 mAh/g). Later, ZnO coating is adapted over LiNi0.8Co0.1Mn0.1O2(720 oC) electrodes using ALD techniques. TEM analysis reveals an ultra-thin metal oxide coating over the LiNi0.8Co0.1Mn0.1O2 electrodes. The ultra-thin metal oxide coating greatly enhance the kinetics of LiNi0.8Co0.1Mn0.1O2 electrodes by enhacnhing the active material utilization. The ZnO coated electrodes showed an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195 mAh/g at 0.1 C and a high capacity even at 5 C(154.5 mAh/g), higher than the non-coated electrodes. Furthermore, the ZnO coated LiNi0.8Co0.1Mn0.1O2 showed a cyclicretention rate of 86% at 1 C after 150 cycles, much higher than un-coated sample(80%). The coating greatly reduces the interface resistance and helps for facile lithium-ion and electron transfer kinetics. Postmortem of cycled LiNi0.8Co0.1Mn0.1O2(both pristine and coated electrodes) by Ex-situ analysis reveals a reduced unwanted side react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electrolyte. A further research on recycled electrodes and coating techniques could be trendsetter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electrode materials for LIBs. 심각해지는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가로 온실가스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청정 에너지에 대한 수요로 인해 새로운 저장 장치, 특히 전기 자동차, 재생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중대형 스마트 그리드용 리튬 이온 전지 (LIB)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서, 이러한 자동차용 리튬 이온 전지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LIB를 탑재한 EV는 가솔린차에 비해 짧은 주행 거리와 충전 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LIB에서 사용되는 전극 재료의 특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리튬 이차 전지용 층상계 Ni-rich LiNixCoyMn1-x-yO2(0 < x, y < 1) 양극 활물질은 큰 에너지 밀도와 높은 작동 전압으로 유망한 양극 활물질로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니켈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리튬 위치에 니켈이 위치하게 되는 양이온 혼합으로 인한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가역성이 낮아져 용량 유지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높은 전압영역에서 발생하는 전해질의 분해는 전극 표면과 부반응을 일으켜 전지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폐기된 리튬 이차 전지로부터 재활용 된 양극 물질을 이용하면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친환경적 측면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양극 활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된 전구체를 이용해 LiNi0.87Co0.1Mn0.03O2 양극 활물질의 소성 조건을 최적화 하였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재활용 LiNi0.8Co0.1Mn0.1O2 양극에 원자층 증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용한 표면 코팅을 수행하여 양극 활물질의 출력 특성과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재활용 LiNi0.87Co0.1Mn0.03O2 양극 활물질의 개질을 위해 소성 온도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720 ℃에서 양이온 혼합이 억제된 잘 정렬된 Rm 공간군의 층상계 LiNi0.87Co0.1Mn0.03O2 양극 활물질을 합성을 확인하였다. 초기 방전용량은 0.1 C에서 198.4 mAh/g으로 700 ℃(168.6 mAh/g)와 740 ℃(195.0 mAh/g)에 비해 더 높은 용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원자층 증착 공정을 이용해 ZnO를 재활용 LiNi0.8Co0.1Mn0.1O2 양극 위에 코팅하였다. TEM을 이용해 LiNi0.8Co0.1Mn0.1O2 양극 위에 코팅된 ZnO 코팅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 ZnO 코팅된 전극은 0.1 C에서 195 mAh/g의 개선된 초기 방전 용량과 5 C에서도 높은 율 특성(154.5 mAh/g)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 C에서 150 사이클 후 86%의 용량유지율을 보여 80 %인 Pristine에 비해 개선된 수명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팅층은 계면 저항을 크게 감소시키고 리튬 이온 및 전자 전달 동역학을 크게 증가시켰다고 판단하였다.

      •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수면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박주연 계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5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이었으며, 연구대상 실험군은 20명, 대조군은 18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0.0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및 Mann-Whitney test로, 가설검정은 Wilcoxon test와 Mann-Whitney test로 분석하였고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과민성방광증후군 증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과민성방광증후군 증상심각도(U=115.50, p=.041)와 야간뇨 횟수(U=70.00, p<.00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수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면의 질(U=85.00, p=.005), 수면 만족도(U=101.00, p=.017), 수면효율(U=74.00, p=.002), 입면 후 각성시간(U=35.00, p<.001), 수면 중 각성횟수(U=56.50, p<.001) 및 입면 후 3시간 이내 각성횟수(U=108.50, p=.03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가설 2는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율신경계 활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U=138.00, p=.219), total power (U=160.00, p=.559), low frequency (U=178.00, p=.953), high frequency ((U=179.00, p=.977)과 LF/HF ratio (U=169.50, p=.759)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4) 제 4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활동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활동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66.00, p=.001).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제 5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64.00, p=.001). 따라서 제 5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노화수면모델에 기반을 둔 바이오피드백 수면증진 프로그램은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의 수면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추후 체계적으로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에게 확대·적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s of a biofeedback-based sleep improvement (BBSI) program for Korean elderly female with overactive bladder syndrome (OAB).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August 31 in 2018. There were 20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and 18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SPSS Statistic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test were used to test homogeneity. The Wilcoxon and Mann-Whitney test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and Cronbach's test was used to assess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symptoms of OAB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After completion of the BBSI program, the symptom severity of OAD (U=115.50, p=.041) and frequency of nocturia (U=45.00,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 “sleep patterns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Sleep quality (U=85.00, p=.005), sleep satisfaction (U=101.00, p=.017), sleep efficacy (U=74.00, p=.002), wake time after sleep onset (U=35.00, p<.001), number of awakenings, and number of awakenings in the 3 hours after sleep onse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refore,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3. The third hypothesi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between groups” was tested. After completion of BBSI program,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U=138.00, p=.219), total power (U=160.00, p=.559), low frequency (U=178.00, p=.953), high frequency ((U=179.00, p=.977) and LF/HF ratio (U=169.50, p=.759)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fore, the third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4. The fourth hypothesis,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There was significant a difference in amount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groups (U=66.00, p=.001). Therefore, the fourth hypothesis was supported. 5. The fifth hypothesis “level of depression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There was significant a difference in level of depression between groups (U=64.00, p=.001). Therefore, the fifth hypothesis was support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BBSI program based on the senescent sleep model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sleep in Korean elderly women with OAB. Applying the program systematically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with OAB.

      • 음악을 활용한 태권도 품새 수련이 건강관련체력 및 심리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을 활용한 품새 수련이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심리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존 품새의 틀을 벗어나 음악을 활용한 품새가 더 다양화, 전문화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태권도장 활성화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B태권도장에서 수련중인 3학년-6학년 초등학생 중 1년 이상 수련한 유품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악을 활용한 품새를 하는 실험집단 11명과, 공인 품새를 하는 비실험집단 10명을 선정하여, 음악을 활용한 태권도 품새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모든 자료 통계분석은 IBM STATISTICS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때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개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시기별, 집단 간의 차이에 따른 각 심리적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시기별×집단 간의 기초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시기ㆍ집단에 따른 건강관련체력 요소 중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연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따른 운동결과기대는 신체적 기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심리적 기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에 따른 운동결과기대는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재미요인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에 따른 재미요인은 하위요인인 흥미, 건강에서는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사교, 인정에서는 비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따른 운동몰입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에 따른 운동몰입은 비실험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의 참여만족 중 하위요인인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심리적 만족, 휴식적 만족, 생리적 만족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에 따른 참여만족도는 실험집단이 비실험집단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can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out of the basic Poomsae framework for primary school students' health-related fitn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study had proceeded with 20 young kids between 3rd and 6th-grade students with color belt who have been trained more than a year at taekwondo gymnasium in Seoul, South Korea. To sum up, the study was analyzed Music Poomsae Programme by selecting two experimental groups, ten students who practiced Poomsae using music and the other students who practiced Poomsae without music. All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ion was used IBM STATISTICS SPSS 20.0 and AMOS 20.0 for data processing.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05 to analyz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Moreover, the paired t-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each psychological variable fact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lso, A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essential fitness between the study groups by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tst, Among health-related health factor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creased but but it also had not illu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bility. Second, it had no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expectation for movement results according to subjects' exercise time. However,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expectations. Furthermore, no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illustrated higher expectations results for expectations of movement outcomes, but it also had not illu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exciting element regarding the exercise process of subjects increased more than before, while there were no substantial differences. The sub-factors had demonstrated high interest and health in the experimental and social groups, and recognition factors were higher in the non-experimental group. By contrast,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not dramatically different. Fourth, exercise immers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measurement time had been increased while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Moreover, the non-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exercise immersion part.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and social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sychology, leisure, and physiology satisfaction between the group's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mong the groups than the non-experimental group as well.

      • 프로젝트학습 방법이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의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create new esthetic valu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achers should facilitate learners to visualize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in the background of their imagination by exposing the learners to learner-centered environment and by making them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It is helpful for self-realization to enhance 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ir individual characters and experience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under the learner-centered project learning metho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bility of esthetic expression, among learners of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e two classes, which are equivalent groups consisting of learners among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Guro-gu in Seoul. One is a experimental group of 32 students, to which learner-centered project learning method is applied and the other is a controlled group of 30 students, to which traditional educator-centered method is appli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xpressing ability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the instruction program was made by integrating various subjects; Korean, Morality and Society centering around Art. The life in community among the three subjects('We are friends', 'The life in community', and 'Our global village') is chosen as the main subject. And this instruc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ir actual classes. On the other hand, only art lectures, without any adjustment, using the identical instruction program are given to the controlled group. But the same instruction program for Art is applied to both groups. Besides, the achievement evaluation-'theme expression', 'molding factor and principle', 'expression method', and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02) was used as a researching tool to observe the impact of the project learning method on the enhancement of learners' expression ability. Cronbach's Alpha value was used for the internal confidence test of researching tools a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statistically modified using SPSS ver. 13.0 In the aspect of theme expression, the t value was 2.006 showing a difference in the 5% level of significance. The average of experimental group(3.67)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3.23) by 0.36. For molding factor and principle, t=2.083 giving a difference in 5%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average of experimental group was 3.67,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3.23) by 0.44. In the criteria of expression method, t=2.817 showing a difference in 1% level of significance and experimental group gave a 0.52 higher average of 3.82 compared to 3.30 from controlled group. For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t value was 3.423 showing a difference in the 1%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average of experimental group(3.73)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3.15) by 0.58. As the total expression ability, which is the sum of these four factors, of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by 0.49, project learning method has been proved to be efficient and helpful for learners. For this reason, teachers should prepar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offer learners various informations and activities to help them visualize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based on imagination. 21세기 세계화ㆍ정보화 시대에 새로운 미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정보와 체험활동을 접하게 하여,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 등을 상상력을 바탕으로 시각화해 나아갈 수 있도록 촉진시켜주어야 한다. 학습자마다의 다양하면서도 독특한 개성과 독서와 삶의 경험이 상상력을 통해 표출되도록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학습자의 긍정적인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의 미술을 통한 표현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택하여 실험연구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G 초등학교 5학년 집단인 두 학급으로 실험 전 동일한 집단이었다, 두 학급은 각각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 32명과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적용한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체험활동을 통해 표현능력이 향상되도록 프로젝트 학습 준비단계에서 미술과를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다학문적으로 통합을 시도하여 세 가지 주제(우리는 친구, 공동체의 삶, 지구촌은 하나) 중 공동체의 삶을 주제로 선택하여, 국어과, 도덕과, 사회과를 통합하여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고, 이를 실제 현장수업에 적용하였다. 통제 집단에게는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사용하여 통합적 접근이 아닌 각 교과의 개별적 학습내용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미술 수업에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미술 수업지도안과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 프로젝트 학습방법이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의 미술과 표현능력 향상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표현영역의 필수학습 요소인 ‘주제표현’,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방법’, ‘재료와 용구’를 교육인적자원부(2002) 수행평가의 기준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표현능력을 측정하는 연구도구 문항들의 내적 신뢰도 검사를 하기위하여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SPSS ver 13.0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를 해본 결과 주제표현에서는 t=2.006으로서 유의수준 5%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이 3.64, 통제집단이 3.28로 실험집단의 주제표현 평균 점수가 0.36 더 높게 나타났다. 조형요소와 원리에서는 t=2.083으로서 유의수준 5%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이 3.67, 통제집단이 3.23으로 실험집단의 조형요소와 원리 점수의 평균 점수가 0.44 더 높게 나타났다. 표현방법에서는 t=2.817로서 유의수준 1%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이 3.82, 통제집단이 3.30으로 실험집단의 표현방법 평균 점수가 0.52 더 높게 나타났다. 표현재료와 용구에서는 t=3.423으로서 유의수준 1%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평균이 3.73, 통제집단이 3.15로 실험집단의 재료와 용구 평균 점수가 0.58 더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이 4가지 요소들의 합인 전체 표현능력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표현능력 평균 점수가 0.49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프로젝트 학습방법이 주제표현,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방법, 재료와 용구 등 전체의 표현능력에서 학습자들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들은 교실환경을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으로 조성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와 체험활동을 접하게 하여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 등을 상상력을 바탕으로 시각화해 나아가되, 미술이 예술로서 갖는 특성을 지키는 한에서 표출해 나갈 수 있도록 촉진시켜주어야 할 것이다.

      • 뇌졸중 환자의 상부 체간 안정을 통한 스쿼트 자세가 핵심 안정근과 하지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대구가톨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on core stability and lower extremities muscles and further was to suggest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method for stroke patients improving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stroke patients(males 20) and healthy adults subjects(males 20)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re stability and lower extremities muscles was measured by applying general squat posture and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The study is conducted in two ways; one is a comparison of within groups according to two different squat postures by employing eight channel surface electromyography(WEMG-8) into both sides of quadriceps, external oblique, rectus abdominal and multifidus in order to estimate the muscles activities and the other is a comparison between groups who are healthy adults non-dominance and healthy adults dominance, stroke affected side and stroke non-affected s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quadriceps and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squat posture,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within groups revealed more valid difference than general squat posture within groups(p<0.05).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rectus abdominal muscle activity, within groups, non-dominant and dominant of healthy adults subjects and stroke patients affected side in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showed more valid difference than in general squat posture(p<0.05). 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quadriceps muscle activity, between groups, both general squat posture and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showed more dominant valid difference in the stroke patients’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than in a healthy adult subjects’ non-dominant and a dominant(p<0.01). 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multifidus muscle activity, general squat posture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revealed that an affected side and a non-affected side of stroke patients showed more valid difference than a non-dominant and a dominant (p<0.01). In the conclusion,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training of stroke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useful program for improving muscle of lower extremities and stability of postures through triggering muscle of lower extremities and core stability muscle. Based on this outcome of the one-off appli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can be conducted, which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depending on a period in muscles activities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of stoke patients.

      • 그림책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 전조작기(2-7세) 아동의 창의력 상상력을 중심으로

        박주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교육은 물론 사회전반에 있어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의 하나가 창의성인데 그동안 창의성은 개인적인 특성이나 타고 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았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부터는 창 의성도 교육되고 길러질 수 있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아 졌다. 창의적 사고를 기르기 위한 가장 좋은 시기는 유아 후반기와 아 동 전반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피아제의 발달단계 이론의 전조작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창의력은 상상력과 함께 확산적인 사 고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조작기의 아동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아동 에게 영향을 미치는 그림책의 가치를 이해하고 아동이 갖는 그들만 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의 연령이나 발달단계에 알맞는 그 림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어린이 그림책은 예로부터 아동의 교육을 위한 중요한 매체로 간 주되어 왔으며, 많은 연구가와 그림책을 읽어주는 어른들은 그림책 이 아동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고 믿어왔다. 이러한 그 림책의 어떤 면이 상상력과 창의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는지 파악 해야 하며 그림책을 보다 올바른 교육매체로 인식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Ⅱ장과 Ⅲ장에서는 우선 그림책에 대한 개념을 문헌을 통해 조사 하였고 일반인이 알고 있는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들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림책이 갖는 교육적인 특징들이 아동의 정신적인 성장에 주는 영향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림책을 가장 많 이 즐겨보는 연령이며 가장 많이 성장 발달되는 전조작기의 아동의 특징인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환상적 사고방식이 갖는 특징과 그 이 유를 설명하고 이 시기에 그림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이야기하 였다. Ⅳ장에서는 전조작기 아동에 해당하는 연령의 아동이 가질 수 있 는 창의력과 상상력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확산적 사고에 기반을 둔 창의력과 상상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두 가지 개념의 상관관계로써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림책이라는 매체가 아동에게 어 떤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였는데 창의성 개발은 그림책 을 보고 연령별로 가능한 이야기 꾸미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교사 가 해야하는 질문이나 방법을 소개하였고 상상력 개발은 주로 그림 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의 고유한 시각언어로써 개발될 수 있음을 설 명하였다. 이러한 근거로 그림책은 아동에게 정서적으로도 많을 도움을 주 지만 인지적인 발달에도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 라서 어린이 그림책을 선별하는 어른들은 아동의 발달단계를 이해 하고 아동의 흥미가 잘 반영된 그림책을 골라야 하며 그들의 상상 력을 허무맹랑한 이야기나 허구의 것이라 폄하하지 말고 아동의 이 야기에 귀기울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시기의 아동은 혼자 독립 적으로 책을 보기 어려운 시기이므로 책을 읽어주는 어른의 태도에 따라서 아동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의 상태와 이해는 많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ords at the entire range of society including education, and it has been mostly thought of as a personal or inherent characteristic. Since the middle of 20th century, however, the majority of scholars have thought that the creativity can be both cultivated and developed. The optimum period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ar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babyhood to the first half of the childhood, which corresponds to the preoperational stage mentioned in piaget's Developmental Stage Theory. And the creativity is based on dispersive thinking along with imagin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to develop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children's at the preoperational stage. Additionally, it aimed at understanding the values of picture books affecting these children and the traits peculiar to them to present picture books appropriate for their age or developmental stage more effectively. Picture books for children have been regarded as important media for their education for a long time, and many researchers and adults reading the picture books to children have believed that the books can help them to cultivate imagination and creativity. We must understand which respect of such picture books contributes to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and understand the books as proper educational media to use. ChapterⅡ and Ⅲ examined the ideas of picture books through literatures and described educational values of the books understood by people. And they performed a general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on children's ment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nd reasons of self-centered and fantastic thinking, which are specific to the children at the preoperational stage enjoying picture books the most and making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and suggested why the children at this stage are required of picture books. Chapter Ⅳ described the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the children at the preperational stage and showed both what are in common and differences between creativity and imagination based on dispersive thinking according to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it showed the way the media of picture books can be used for children: it suggested questions and methods required to teachers during the program for creativity development composed of story making with picture books possible for each age, and demonstrated that imagination can be mainly developed through a visual language peculiar to each illustration of the picture books. On this ground, it could be insisted that picture books can be not only an emotional help to children but have a great effect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Thus, adults to select picture books for children must choose ones with understanding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with sufficient reflection of their interest, and should listen carefully to what the children say, instead of thinking of their imagination negatively as false and fictitious. Besides, they must remember that because the children at this stage are hard to read a book by themselves independently, the states of their feeling and understanding can significantly vary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adults reading a book to them.

      • 한국무용을 이용한 만성질환고령자의 춤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 심층문답 기법활용

        박주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이 만성질환 고령자들의 인지적 신체 변화, 우울감 변화, 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고령자의 인지적 신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고령자의 우울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고령자의 사회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 대상자는 W요양병원 만성질환 고령자들 중 본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하며 전문이의 수락이 있는 자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3주간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고령자의 인지적 신체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친다. 하위 요인인 신체 움직임에 대한 수행의지는 1명에서 5명으로 증가하고 신체 통증으로 인한 고통 호소는 5명에서 2명으로 감소하여 긍정적인 변화 향상을 보였다. 둘째,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고령자의 우울감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위 요인인 우울 표적행동이 7가지에서 1가지로 감소하는 긍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놀이 프로그램은 만성질환 고령자의 사회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위 요인인 사회성 기술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