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이블릿 기반의 데이터 매트릭스와 블록단위의 계수변환을 이용한 워터마킹

        朴鍾三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ind watermarking using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technique. We have shown a robustness in several attacks by inserting the watermark in the frequency domain instead of spatial domain in the image. Also, we can extract watermark without the original image using this blind watermarking. An original image is transformed into the 4 sub-band areas (HH, HL, LH, LL) by the DWT. We select the two sub-band areas (HL, LH) for watermarking, except for the low-low (LL, HH) sub-band area. For watermarking, a watermark is encrypted by an encryption key, and it holds a certain value of two sub-bands, which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watermark that we want to insert or change. And we insert watermark to the image. For extraction, a watermarked image is transformed by DWT, we compare the coefficient values of two sub-bands used in inserting watermarking, we extract the encrypted watermark, and we reconstruct the watermark by the encryption key. We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the data matrix that is a two-dimension bar-code. For error detection code and error correction code, we use the ECC 200. For the JPEG image with the watermark, we could get the better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and NC(Normalized Correlation)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오늘날 통신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각종 미니홈피나 블로그등은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워터마킹(Watermarking) 기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이란 컨텐츠에 워터마크 (Watermark)라고 하는 자신만의 정보를 삽입시킴으로 불법 복제를 막고, 지적재산권 및 저작권을 보호하며,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차원 바코드의 하나인 Data Matrix와 블록단위 계수 변환을 이용한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워터마크를 삽입하기 위해 영상은 8비트 그레이 영상을 사용하였다. 워터마크로는 2진화 데이터 매트릭스를 사용 하였다. 본 논문의 워터마크 삽입 알고리즘은 3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원 이미지를 1단계 DWT하여 나온 서브밴드 중 cV밴드와 cH밴드를 선택하여 블록화를 하는 과정이다. 블록화는 원 이미지와 워터마크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되어진다. 두 번째로는 우리가 삽입 하려는 데이터를 Data Matrix로 인코딩을 한 후 인코딩된 Data Matrix내의 각 모듈을 하나의 픽셀로 바꾸어 워터마크의 크기를 축소한다. 마지막으로 블록화 된 계수들을 변환하여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IDWT를 통해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를 만든다. 워터마크 추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첫 번째로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를 DWT하여 나온 서브밴드 중 cV밴드와 cH밴드를 선택하여 블록화를 한다. 두 번째로 cV밴드와 cH밴드의 서로 대응되는 블록의 계수총합을 통해 블록과 대응하는 축소된 워터마크 픽셀값을 알아낸다. 마지막으로 축소된 워터마크의 픽셀값을 통해 원래의 워터마크 크기로 만든다. 본 논문에서 우리가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NC(Normalized Correlation)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기존의 방법들 중 하나인 DCT를 이용한 용량기반의 워터마킹 알고리즘과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忠南 飛鳳蛇紋石鑛床 一帶에 分布하는 超鹽基性岩體의 變質作用

        박종삼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eology of the Beebong serpentine ore deposits area is composed mainly of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unknown age ultramafic rock intruded into the granitic gneiss. The ultramafic rocks are composed mainly of serpentinite, and have small amount of talc and asbestos originated from serpendnite. The serpentin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rock types of I, H and M. Types I is dark green medium grained rock, and composed mainly of serpentine minerals but has some relicts of olivine and pyroxene, and thin net structures of magnetite veins. Type II is dark black fine grained compact rock, and composed mainly of serpentine minerals and has thick magnetite net structures. Type III is the altered rock of Type H, and has fine serpentine aggregates and small ribbon shaped serpentines, and magnetite patches instead of magnetite net structures, It is considered that the order from I tom is the general trend of serpentinite. Also, it is considered that the serpendnite have been formed by serpendnization of the mantle origin ultramafic rock such as hazburgite, and major steatitization have been formed by hydrothermal alteration of serpentine through the boundary cracks between serpentinite and gneiss or pegmatite, and fissures in serpentinite, and asbestos, that is, the chrysodle which is one of three serpentine polymorphs have been formed by partial enviormental difference during serpentinization process.

      • 기체저장재 K_(3)-A 제올라이트의 제조와 결정구조

        박종삼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체 저장재로서 제올라이트의 구조와 기체분자의 encapsulation과 decapsulation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완전히 탈수된 K₃-A들을 제조하고 K₃Na_8H-A(crystal 1; R₁= 0.0478, R₂= 0.0458 및 a = 12.257(1) Å)와 K3Na9-A(crystal 2; R₁= 0.0518, R₂= 0.0484 및 a = 12.257(1) Å)의 결정구조들을 Pm □m 입방 공간군에서 단결정 x-ray 희절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탈수된 K₃Na_9-A의 결정구조에 있어서, 단위 세포당 3개의 K^+이온들이 8-ring(0.0, 0.4531, 0.4531)상에 존재하였고, 단위 세포당 8개의 Na^+ 이온들이 6-oxygen ring들의 중앙에 위치하였다. 8-ring상에 존재하는 각 K^+이온들은 두가지 종류의 골격산소 원자들로부터 각각 2.87(2)Å과 2.79(1)Å의 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값들은 이미 기존에 알려진 K_12Na-A의 값들보다 더 짧은 값으로 이들의 이온 반경들을 고려할 때 더 타당한 값들이였다. K^+이온들의 정확한 위치들은 8-ring들의 중앙으로부터 약 0.8Å 떨어져 있었다. 12번째의 양이온은 발견되지 않았고, Si/A1(=1.04)의 알려진 차이와 pH=6.8인 이온교환 용액 상의 H^+양이온의 적절한 양을 고려해 볼 때 H^+이온으로 추측되었다. 탈수된 Cs₃Na_9-A에 있어서, 구조들은 large-cavity의 4-ring 맞은편 위치에서 12번째 양이온이 0.7(1)의 점유수로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K₃Na_8H-A의 구조와 매우 유사하였다. The crystal structures of fully dehydrated K₃Na_8H-A(crystal 1; R₁= 0.0478, R₂= 0.0458 and a = 12.257(1) Å) and K₃Na_9-A(crystal 2; R₁= 0.0518, R₂= 0.0484 and a = 12.257(1) Å) have been studied by singl-crystal x-ray diffraction methods in the cubic space group Pm3m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zeolite as a gas storage medium and the mechanisms based on the encapsulation and decapsulation processes of gas molecules. In the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K₃Na_8H-A, three K^+ ions per unit cell are located on the 8-oxygen ring(0.0, 0.4531, 0.4531) and eight Na^+ ions per unit cell are located near the centers of 6-oxygen rings. Each K^+ ions on the 8-ring is 2.78(2) Å and 2.79(1) Å away fron two kinds of framework oxygen atoms. These values are more realistic than previously known values in K_12Na-A. The exact positions of K^+ ions are ca. 0.8Å away from the centers of the 8-rings which are previously reported as the prefered location of K^+ ions. The twelfth cations was not found and assumed as H^+, considering the known deviation of Si/Al(□1.04) and moderate amount of H^+ in ion-exchange solution.(pH = 6.8) In the dehydrated Cs₃Na_8-A, the structures are very similar to the structures of K3NasH-A except for twelfth cation which is located opposite 4-ring in the large cavity with occupancy of 0.7(1).

      • CH_(4)/H_(2)기체를 이용한 InP 소재의 반응성 이온 에칭에 관한 연구

        박종삼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응성 이온 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 방법을 이용한 InP의 에칭에 있어서 CH₄/H₂ 혼합기체의 분율, RF 전력(radio frequency power), 마스크 물질의 변화가 에칭속도, 메사각(sidewall verticality), 표면손상 및 오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정압력 60 mtorr, 총 기체유량 100 sccm(standard cubic centimeter)을 유지하면서 CH₄유량을 10-25 sccm, RF 전력을 100-200W로 변화시킨 결과 CH₄ 기체 유량과 RF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에칭속도와 메사각도가 증가하였다. 최적 조건인 10-15 %CH₄, RF 전력 100-150W에서 에칭속도 1.5-2.5 ㎛, 메사각 84°-85°, 마스크 흘러내림, 거친 표면, 마스크 언더컷, 오목한 측면 등의 결함이 거의 없는 좋은 에칭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마스크 물질에 따라서 Ti/Au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흘러내림 현상이 나타났으나, Ti/W, Ti/Cr 마스크를 이용할 경우 마스크 흘러내림 현상을 막을 수 있었다. Reactive ion etching of InP in CH₄/H₂ discharges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plasma parameters rf power, gas composition and mask material. It was observed that the etch rate and the sidewall vertica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rf power and CH₄ gas concentration. Etch rate of 1.5-2.5 ㎛/h, sidewall angle of 84°-86° was obtained and defects as the flow of mask material, rough surface, mask undercut and concave sidewall were not obtained at the optimum condition range of 100-150 W rf powers in 10-15% CH₄ partial pressures. There were the flow of mask material at masks of Ti/Au, but were not the flow of mask material at masks of Ti/Cr and Ti/W.

      • 만성질환의 발생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 고령화연구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박종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on depressive symptom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10-2016). Participants were aged 51 year and older who did not have depressive symptoms and chronic disease in a previous survey.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with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10) Scale. The interesting variable was newly responded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mode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on depressive symptoms. Results: Of the 2,212 participants, 516 (23.3%) had the incid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baseline (2012). Participants with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were more frequent in depressive symptoms than participants with participants with no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normal → chronic disease: 30.9%, normal → normal: 22.6%; P-value: 0.0088). Participants with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wa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ose with no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OR = 1.37; 95% CI: 1.15 ― 1.62). Regarding gender, female with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had highest OR of depressive symptoms (male: OR = 1.27; 95% CI: 0.94 ― 1.71, female: OR = 1.63; 95% CI: 1.24 ― 2.15). Participants with incidence of cancer and participants with incidence of cerebrovascular disease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other types of chronic disease (normal → cancer: OR = 3.27; 95% CI: 2.03 ― 5.28, normal → cerebrovascular disease: OR = 4.08; 95% CI: 2.06 ― 8.10). Conclusions: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depressive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sidering the effects of chronic disease on depressive symptoms should be part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treatment plan. 이 연구는 만성질환의 발생 여부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만성질환자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 주관으로 조사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3차(2010년), 4차(2012년), 5차(2014년), 6차(2016년) 자료를 활용 하였으며, 만성질환의 발생여부에 응답한 만 51세 이상의 성인 중 매 조사마다 직전 조사에서 우울감이 없던 사람 중 차기 조사에 새롭게 우울감이 발생한 사람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우울은 지난 1주일간의 느낌과 행동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된 CES-D10 척도를 이용하였고, 관심변수는 만성질환의 발생유무로 직전 조사에서 만성질환이 없었는데 차기 조사에도 없는 경우, 직전 조사에서 만성질환이 없었는데 차기 조사에 신규로 발생된 경우로 구분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 일반적 특성에 따른 CES-D10 차이는 카이스퀘어 검정, 만성질환의 발생 여부에 따른 우울의 변화량은 일반화 추정방정식(GEE)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기준년도 2012년도 총 2,212명의 대상자 중 우울증상이 없다가 발생한 대상자는 23.3%(516명)였다. 만성질환 신규 발생여부에 따른 우울증상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88),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은 2,018명 중 456명(22.6%), 만성질환이 신규로 발생한 군은 194명 중 60명(30.9%)에서 우울증상이 발생했다. 또한,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만성질환이 신규로 발생한 군에서 우울증의 교차비가 1.37(95% CI=1.15-1.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서는 여자에서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만성질환이 신규로 발생한 군에서 교차비가 1.63(95% CI= 1.24-2.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남자에서는 교차비가 1.27(95% CI= 0.94-1.71)로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음주여부에서는 비음주군에서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만성질환이 신규로 발생한 군에서 교차비가 1.52(95% CI= 1.18-1.9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음주 군에서는 교차비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 연구의 관심변수인 만성질환의 종류별로 만성질환의 신규 발생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 GEE로 분석한 결과 만성질환 중 당뇨가 새롭게 발생된 군에서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교차비가 1.64(95% CI= 1.11-2.44)로 높았으며, 암이 새롭게 발생된 군에서는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교차비가 3.27(95% CI= 2.03-5.2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뇌혈관질환이 새롭게 발생된 군에서는 교차비가 4.08(95% CI= 2.06-8.10)로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만성질환 중 고혈압, 심혈관질환이 새롭게 발생된 군에서는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과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만성질환이 발생된 개수에 따라서는 만성질환의 발생이 없는 군에 비해 만성질환이 한 개 발생된 군에서 당뇨가 새롭게 발생되었을 때 교차비가 1.74(95% CI= 1.07-2.8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암이 새롭게 발생되었을 때 교차비가 3.21(95% CI= 1.97-5.25), 뇌혈관질환이 새롭게 발생되었을 때 교차비가 4.06(95% CI= 1.76-9.35)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만성질환이 두개 이상 발생된 군에서는 1.49(95% CI= 0.86-2.60)로 교차비는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이 연구에서 만성질환의 신규 발생이 우울을 높임을 보였다. 여러 가지 사회 장애와 부작용, 자살,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우울을 미리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관심과 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우울을 높이는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만성질환이 새롭게 발생되는 경우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시민정원사 교육과 정원관리 활동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시민정원사 중심으로

        박종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시민정원사는 식물과 정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추고 정원문화 확산, 지역사회 발전, 삶의 질 향상을 모토로 2006년 녹색문화공동체 구축을 위해 운영된 조경가든대학 교육 프로그램 이 모태가 되어 탄생하였다. 경기도지사가 인증하는 시민정원사 제도는 2013년부터 운영해왔으며, 시민정원사들은 학교 숲, 사회복지시설, 공공임대주택, 정원문화박람회장 등의 대상지에서 정원관리 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오고 있다. 시민정원사 제도가 10여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시민정원사 재인증, 부족한 활동예산, 관련 단체들에 대한 미약한 인센티브, 일부 자방자치단체의 관심도의 편차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시민정원사 양성교육 및 정원관리 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민정원사와 시민정원사 업무담당자의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하여 시민정원사 교육과 정원관리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시민정원사의 참여동기, 교육만족도, 참여태도, 제도인식을 시민정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시민정원사 단체 임원 및 담당자들에게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남자보다는 여성 응답자가 많았고, 연령대로는 60~69세가 주축을 이루고, 주 직업층은 주부가, 학력사항으로는 대졸인원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시민정원사 봉사활동 기간은 1~4년이 42명, 4~8년이 36명으로 분석되었다. 시민정원사들의 참여동기를 3가지 요인으로 조사한 결과는 활동지향형이 3.77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표지향형이 3.41로 가장 낮았다. 참여동기 15개 측정항목 중 앞으로의 인생을 보람 있게 보내고 싶어서는 3.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생활의 경쟁에서 뒤지고 싶지 않아서가 2.74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사회구성원들과의 유대관계나 본인의 성취감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민정원사의 교육만족도를 3가지 요인으로 조사한 결과는 활용도에 대한 만족도는 3.44로 가장 높았으며,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3.35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5개 측정항목 중 심화교육 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3.77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목별 교육비중의 만족도는 3.16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실습시간을 더 증대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민정원사 정원관리 활동의 참여태도를 2가지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지속성은 3.85, 참여강도는 3.75로서 대부분이 정원관리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이고, 정원관리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여동기, 교육만족도, 참여태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생활과의 경쟁과 관련된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미약하기 때문에 교육 교과과정 구성 시 사회경쟁보다는 지역사회와의 화합과 참여가 활성화 되는 방향으로 교과과정을 조성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정원관리 활동의 지속성과 참여강도는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그 자체와 사회적 교류를 활발히 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정원관리 활동의 지속성과 참여강도는 시민정원사 교육기간, 심화교육과정 참여와 같은 교육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어 시민정원사의 지속적인 심화교육 활성화가 진행되어야 봉사활동의 지속성과 참여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시민정원사 단체 임원 및 업무담당자의 심층 인터뷰 결과, 실습수업의 증가, 사후 역량강화 등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습수업 증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봉사활동은 지원혜택이 적어 봉사활동을 중단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또한, 현재의 10년이라는 재인증 기간은 주 봉사활동 연령층이 60~69세인 점과 비교하면 너무 길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해당사자들과의 원활한 협의를 통해 재인증 기간 축소화가 필요해 보인다. 시민정원사 교육과 정원관리 활동의 활성화 방안 중 정책적 측면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시민정원사 제도 업무연계성 확립,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시민정원사 인증제도 구축, 정원관리 고급기술 숙달을 위한 역량강화교육 실시, 공공분야 활용과 일자리 창출 병행, 시·군·구 단위 시민정원사 양성 및 시민정원사 단체에 대한 지원을 제안하였고, 교육 및 활동적 측면으로 참여자의 수준으로 난이도 조절과 심화과정 교육 필요, 정원관리 실습 및 정원디자인 워크숍을 강화, 시민정원사의 특성에 적합한 정원관리 봉사활동 편성, 정원관리 전문 자원봉사임을 인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시민정원사 양성교육과 정원관리 활동의 결합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시민정원사 제도의 양성교육에 대한 성과 조사와 정원관리 활동에 대한 성과 조사를 통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민정원사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참여와 시민정원사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시민정원사 제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시민정원사 양성교육을 수료한 후에 정원관리 봉사활동에 참여하다 중도에 그만 둔 시민정원사들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 파악 및 분석하는데 미흡함이 있었다. 앞으로 추가로 수행될 시민정원사 제도에 대한 연구에서는 시민정원사의 중도 하차에 대한 정확한 원인 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시민정원사 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규정이 개정·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