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품공유 모델 도입을 위한 커뮤니티 식당 확대와 잠재적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이론을 중심으로

        박정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Amid ongoing global turmoil such as the 2007 economic crisis, the 2019 COVID-19 pandemic, and the 2022 Russia-Ukraine war, food prices have soared and the FAO's Food Price Index have reached record highs. Despite over 2.5 billion people experiencing severe food insecurity, more than one-third of food produced elsewhere is lost or wasted. As a result, it accelerates the global environment. Many scholars argue that food sharing could be a viable solution to this paradoxical reality of food scarcity and waste. However, awareness, legislative support and actual instances of food sharing in Korea remain notably scar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regional expansion of community restaurants as a proactive measure to introduce a food-sharing model. A consumer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IDT) and the Innovation Resistance Theory(IRT) Relative advantage, suitability, simplic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were set as diffusion factors, and use barriers, value barriers, risk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were set as resistance factors. Consequently, the influences on affective and cognitive attitudes that these factors have ar verified. The survey, conducted in October 2023, targeted 626 participants aged 20 and over who were aware of community restaurants.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iffusion factors, compatibil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attitudes, an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simplic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attitudes. Secon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and trial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usage intention, while simplicity and observability don’t have influence relationship. Third, among the resistance factors, value barrier is the only fator tha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ffective attitude, cognitiv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and tradition barrie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attitude. Fourth, attitud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usage intention. Fifth, affective attitude and cognitive attitude both exhibited mediating effects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diffusion factors and resistance factors on usage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diffusion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positively influence to increase usage intention to establish personalized detailed manuals the analyzing extensize data abailable from community restaurants. Second, ensuring the safe preparation and providing nutritionally balanced meals cooked with fresh ingredients align with the fundamental function of a restaurant. Therefore, the verification of food quality is essential. Third, emphasis on using community restaurants help save physical energy and time, allowing for more leisure,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consumers who experience significant fatigue in life. Fourth,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ordering and search methods for all users to prevent encountering digital barri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risistanc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Attempt to share surplus food between individuals in community restaurants to make it a base for the food sharing model can provide new value to potential consumers, and i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the usage intention. In addition, there's a need to contemplate methods that can elevate the general public's consciousness regarding food choices. Second, community restaurants can help strengthen family bonds for consumers who value home-cooked meal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attitudes are as follow: Collaboration with the various field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of food shating in community restaurants can increase the usage intention by strengthen positive attitudes. In this regard, it is preferable to explore ways of sharing existing facilities rather than creating new facil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comprehensive recommendation are as follow: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food quality factor that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age intention. No innovation can be succeeded until the fundamental function of community restaurants, conveniently providing good quality of food, is properly established. This study introduces a rarely addressed research topic in Korea, contributes academically to the extension of innovation theory. Also, it proposes the regional expansion of community restaurants to introduce a food sharing model and provides empir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consumer perceptions. However, this study does not include comparative studies on actual users of servies which is prototypes of community restaurants, and could not surpass the limitations of self-reported surveys. Accordingly,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this study will ne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presented. 2007년 경제위기,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 나 전쟁 등 세계적 혼란이 지속되면서 식량가격이 급등하고 FAO의 식량 가격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매년 25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극 심한 식량불안을 겪지만 다른 곳에서는 생산되는 식품의 1/3 이상이 손실 되거나 버려지고, 이러한 손실은 지구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많은 학 자들은 식량부족과 식량낭비라는 모순된 현실에 대해 식품공유가 좋은 해 결방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식품공유에 대한 인식, 법제적 기반, 실제 사례 등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방적 차원의 개혁으로 식품공유 모델 도입을 위해 커뮤니티 식당의 지역별 확대를 제안하고,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이론 을 기반으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산요인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단순성⋅시도가능성⋅관찰가능성을, 저항요인으로 사용장벽⋅가 치장벽⋅위험장벽⋅전통장벽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이 감정적⋅인지 적태도와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식당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에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고, 총 626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요인 중 적합성⋅시도가능성⋅관찰가능성은 감정적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상대적이점⋅적합성⋅단순성⋅시도가능성 ⋅관찰가능성은 모두 인지적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확산요인 중 상대적 이점⋅적합성⋅시도가능성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순성⋅관찰가능성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저항요인은 가치장벽만이 감 정적태도⋅인지적태도⋅이용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전통장 벽은 인지적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확산요인⋅저항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적태도⋅ 인지적태도는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확산요인의 영향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커뮤니티 식당에서 확보할 수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세부매뉴얼을 확립한다면 차별화된 정보 제공으로 이용의도를 높 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신선한 식재료로 영양균 형이 맞는 식단을 안전하게 조리하여 제공하는 것은 식당의 본질적 기능 이므로, 음식품질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은 필수 불가결한 일이라 하겠다. 셋째, 삶의 피로를 많이 느끼는 소비자에게는 커뮤니티 식당을 이용함으 로써 육체적 에너지나 시간을 절약해 조금 더 여유로워질 수 있음을 강조 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어떠한 사용자도 디지털장벽에 부 딪히지 않도록 주문·검색 방법의 편리함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저항요인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커뮤니티 식당이 식품공유 모델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개인 간 잉여식품 공유 등을 시도한다면 잠재적 소 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이용의도를 높 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더불어 일반소비자의 먹거리 의식수준 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접 만든 음식으로 집에서 식사하는 식습관을 중요시하는 소비자에게는 커뮤니티 식당을 이용하는 것이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다는 부분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태도에 대한 제언으로, 커뮤니티 식당에서 식품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협업한다면 긍정적 태도를 강화시켜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시설을 마련하기보다 기존 시설을 공유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적 제언으로,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음식품질 요인 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질의 음식을 편리하게 제공한다는 커뮤니티 식당의 본질적 기능이 제대로 선행되지 못한다면 어떠한 혁신도 성공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연구 주제의 화두 를 제시하였으며, 학문적으로는 혁신이론의 확장에 기여하였고, 식품공유 모델 도입을 위해 커뮤니티 식당의 지역별 확대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소 비자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실증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커뮤니티 식당의 모태가 되는 서비스의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비교군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 점 등의 큰 한계로 추가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 독서과정코칭수업 모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박정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ading Process Coaching Model Park, Jung-A Department of Education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A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is to cultivate a lifetime reader who reads books voluntarily. Factors affecting reading behavior include reading attitude, reading strategy, text selection and reading fun. Whereas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selecting books suitable for reading strategy and fun, studies on affective domain for improving reading attitude are inadequate. In many cases, even a learner who is well aware of reading strategy does not make reading behavior in actual life, so studies for solving this problem are necessary. This study develops and applies a reading course coaching model which integrates a coaching technique for inducing leaner's initiative practice into a course-centered reading guidance model for teaching reading strategy in each reading course for leaner's voluntary reading life, and examined how much reading attitude, which is affective domain, was improved. Reading attitude tests composed of four domains of reading motive, reading fun, reading habit and reading value were conducted beforehand and after to analyze the results of handling the researcher's teaching model. The reading course model consists of two. One is a desirable reading life model for checking one's own reading life, and the other is a model as a teaching procedure applied to teaching. Teaching proceeded for six weeks. At first the goal and activity of teaching were provi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teacher, who then guided learners to select the goal and activity gradually for themselves. Reading attitude was tested before the first class started and prior test was conducted with the same tool after the last class. At every class checklists on desirable reading life were made in the introductory part of class and these were collected to analyze students' change of thought and whether they are practicing in actual life. Also, I explained to learners the reading course coaching model provided as a teaching procedure to have them understand what they are doing in the course of learning and what they have to do next. The reading attitude test was composed of 40 questions, of which 1-10 questions are for asking reading motive, 11-10 questions for asking reading fun, 21-30 questions for asking reading habit, and 31-40 questions for asking reading value.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what kind of difference is shown before and after in each low-order domain of reading attitud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our domains, of which the reading value domain showed a big differen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should play a role of coach. The researcher received coach training to develop the reading course coaching model. For this model to be significant, the teacher should be at class as a coach instead of a teacher. The teacher should not act like a leader but play a role of helper to learning who creates a free discussion atmosphere so as to stimulate motive and fun inside the learners and for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y by himself. Second, the school years suitable for carrying out this model are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or higher. To draw out what is inside the learner, the suitable school grades are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or higher grades which are steps for learning reading and are above middle school grades. This study set middle school students as learner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results that the learner can check, adjust and improve his own reading life by setting his own reading life goal and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oal and his present reading life to understand the factor for overcoming the difference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the most suitable scheme of practice, and that the goal and activity selected by learner himself also during class can improve learner's reading attitude. 독서과정코칭수업 모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敎育工學科 박정아 指 導 敎 授 최성우 독서 교육의 목적은 자발적으로 책을 읽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데 있다.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독서태도와 독서 전략, 텍스트 선정, 독서 흥미 등이 있다. 독서 전략과 흥미에 맞는 도서 선정에 대한 많은 연구에 비해 독서태도 향상을 위한 정의적 영역의 독서 지도 연구는 미비하다. 독해 전략을 잘 인지하고 있는 학습자라 할지라도 실생활에서 독서 행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분도 독서 교육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인 독서 생활을 위해 독서 과정별 독해 전략을 가르치는 과정중심 독서 지도 모형에 학습자의 주도적인 실천을 이끌어내는 코칭 기법인 (주) 인코칭의 GRROW모델을 통합한 독서과정코칭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후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이다. 독서 동기, 흥미, 습관, 가치 4영역으로 구성된 독서태도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모형의 처치 결과를 분석하였다. 독서과정코칭모형은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자신의 독서 생활을 점검하는 바람직한 독서생활 모형과 다른 하나는 수업에 적용되는 수업 절차로서의 모형이다. 수업은 6주간 진행되었고 처음에는 교사 주도하에 수업의 목표와 활동이 제공되고 차츰 학습자들 스스로 목표와 활동을 선택하도록 안내하였다. 첫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독서태도 검사를 하였고, 마지막 수업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수업마다 수업 도입부분에서 바람직한 독서생활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이것을 취합하여 학생들의 생각의 변화와 생활속에서 얼마나 실천에 옮겼는지 분석해보았다. 또한 수업 절차로서 제공되는 독서과정코칭모형을 학습자들에게 설명하여 자신들이 수업 과정에서 지금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며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수업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인지하도록 하였다. 독서태도검사는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독서 동기, 독서 흥미, 독서 습관, 독서 가치를 묻는 각각의 1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t-검정한 결과 독서과정코칭수업으로 독서태도의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독서 가치, 독서 동기, 독서 흥미, 독서 습관의 순서대로 사전사후의 결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항목간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독서 흥미와 독서 습관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사전검사 때는 독서 흥미와 독서 가치, 독서 습관과 독서 가치가 낮은 상관을 보였는데, 사후검사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코치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본 연구자는 독서과정코칭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코치 연수를 받았다. 이 모형이 의미 있으려면 무엇보다 교사가 teacher가 아니라 coach로서 수업에 임해야 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수업의 주도자가 아니라 학습자들 내부의 동기와 흥미를 자극하고 수업 중 독서 활동을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를 만드는 학습의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이 모형을 실시하는 학년은 독서 능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이 적당하다. 학습자 내부의 것을 끌어내려면 독서를 학습하는 단계인 초등 중학년 단계를 벗어난 독서로 학습하는 단계에 있는 초등 고학년 이상이 적당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독서생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와 자신의 현재 독서 생활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해서 그 중 가장 적절한 실천 방안을 선택하고 실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독서 생활을 점검 조절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수업 중에도 학습자 스스로 선택한 목표와 활동이 학습자의 독서태도를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루버 휜 형 열교환기의 성능향상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박정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밀도 열교환기는 높은 열교환기 유용도를 가지며, 에어컨과 라디에이터 등에 사용된다. 고밀도 열교환기 중 하나인 루버 휜 형 열교환기는 휜의 형상에 의해 유동이 교란되어 열교환기 성능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루버 휜 형 열교환기의 기준 모델은 지역 냉·난방 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모델로 선정하였다. 루버 휜 형 열교환기의 형상 변수로 루버 피치, 루버 각, 휜 두께, 휜 피치 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루버 피치를 2~4 mm, 루버 각을 5~15°, 휜 두께를 0.08~0.12 mm, 휜 피치를 1.0~2.0 mm로 변화시켜가며 열교환기 성능을 수치해석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논문을 위해서 열교환기의 열 교환 형태를 대향류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휜의 고온 채널의 입구와 저온 채널의 입구의 온도차이로 열전도가 발생하였다. 각 채널 입구의 온도차로 발생한 열전도가 열교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존재할 때와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존재할 경우, 열교환기 유용도가 8 %p 감소하였다. 대향류 열교환기의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열교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동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휜의 중앙에서 열전도를 차단하였다. 그 결과 열교환기 유용도가 2.22 %p 향상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로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열교환기 유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휜의 열전도 차단으로 열교환기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Compact heat exchanger, which is used for air conditioner or radiator has high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One of the Compact heat exchanger is louvered fin. Louvered fin heat exchanger can improve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by geometry variables. louvered fin what is introduced in this paper is usually used for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ervice.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different geometries with varying louver pitch, louver angle, fin pitch and fin thickness. For this study, counter flow heat exchanger is selected. As a result of counter flow, fin conduction is occurred by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high temperature channel inlet and low temperature channel inlet. To find out effect of the fin conduction, a case, which has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is compared. with another case, which has not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As a result,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was dropped by 8 [%p] in the case, which has not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To reduce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fin's conduction was cut off in the middle of the heat exchanger. As a result heat exhanger effectiveness was improved by 2.22 [%p].

      • 혼합치열기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서 Frankel functional regulator Ⅲ의 치료효과

        박정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혼합치열기 전치부 반대교합 어린이의 FR Ⅲ를 이용한 성장에 미치는 골격과 치아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FR Ⅲ로 치료를 시행한 전치부 반대교합을 지닌 30명의 아동(평균나이 7.9±1.1세 : 평균 치료기간 1.5±0.8년)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R Ⅲ의 상악에 대한 골격적인 효과는 상악의 하방이동이 있었으며, 전방이동 또한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FR Ⅲ의 하악에 미치는 골격적인 효과는 하악의 후하방이동과 SNB가 감소되었다. 3. FR Ⅲ의 치아에 대한 효과는 하악 전치 첨부의 후방이동와 더불어 수평피개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FR Ⅲ는 상악골의 전방이동 촉진효과는 미약한 반면 상악골의 하방이동과 함께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함께 수평피개 증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탄사 연구

        박정아 경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terjection serves as a function of various discourse while the speaker and the speaker interact.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that the interjection expresses the feelings of the speaker and performs various linguistic functions. Previously, the pre-interjection study addressed the function of interjection as either a quantitative study or a discourse mainly based on a corpus. However, most studies have limitations because they consider frequency more important than interest in the semantic function of an interjection, or because interjection are treated as a one of the discourse marker.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to the pure function of the interjection itself for Korean education. Thus, this study took the view that the interjection performs various semantic functions within the context of the dialogue with the aim of the interjection only. It also focused on a classification of interjection centered on semantic functions for Korean education. In addition, two metho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and for the analysis of the learner corpu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terjection education and how to present semantic functions. The results discussed herei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interjection does not cover the various uses of interjection used in the spoken context. In particular, interjection, which are used in conversation situations, perform many semantic functions within a context, have different meanings and functions. Therefore, detailed semantic functions of interjection for Korean education should be studied. Second, various interjection were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 analysis result, but the presentation of each semantic function was very insufficient. even if a new kind of interjection is presented in the dialogue, there are very few items to be heard in the new vocabulary list, and there is not enough explanation for their meaning or function. In addition, in the same textbook, the types and frequency of interjections that appear in each series are presented in a very unbalanced manner. Third, the Korean-language corpus analysis showed that learners use more diverse interjections than are presented in textbooks. However, most of the cases of misuse were used, and the use of semantic functions was not diverse compar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interjections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showed a wide gap from the list of interjections used by actual learners when comparing the interjection points and their meaning function with the student corpus example. Interjection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detailed semantic functions in terms of the grammar of the discourse. Furthermore, if the goal of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improve fluency,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functions and education of interjections is necessary. 구어적인 특성이 강한 감탄사는 청자와 화자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다양한 담화 기능을 수행한다. 본고는 대화 맥락에서 사용되는 감탄사가 화자의 감정이나 기분을 표현하기도 하고 여러 언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감탄사의 특성에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선행된 감탄사 연구에서는 주로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계량적 연구나 담화표지로서의 감탄사의 기능을 다루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감탄사가 가지는 의미 기능에 대한 관심보다는 빈도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감탄사를 담화표지로 취급하였기에 한계가 있었다. 즉,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탄사 자체의 담화표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감탄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화 맥락 안에서 감탄사가 여러 가지 담화표지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미 기능 중심의 감탄사 분류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학습자 말뭉치 분석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교재와 한국어 학습자의 감탄사 사용 실태의 비교를 통해 감탄사 교육의 실제성을 검증하고,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감탄사의 분류 및 의미 기능 제시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탄사의 전통적인 분류로는 구어 맥락 안에서 사용되는 감탄사의 다양한 쓰임을 포괄하지 못한다. 특히 대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감탄사는 형태는 동일해도 화맥(context) 안에서 여러 가지 의미 기능을 수행하며 대화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의미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탄사의 세밀한 의미 기능들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둘째,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 대화문에서는 다양한 감탄사가 제시되고 있었지만 각 의미 기능에 대한 제시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화문에서 새로운 종류의 감탄사가 제시되어도 새 어휘 목록에서 다루는 감탄사 항목이 매우 적었으며 그 의미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같은 교재에서도 급별로 출현하는 감탄사의 종류와 횟수가 매우 불균형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것이 공통된 특징이다. 셋째,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교재에 제시되는 감탄사보다 좀 더 다양한 감탄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오용하는 용례가 대부분이었으며 감탄사를 발화하는 횟수에 비해 의미 기능의 사용 양상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또, 교재에서 출현한 감탄사 항목과 그 의미 기능을 학습자 말뭉치 용례를 대조하였을 때 실제 각 급 학습자가 사용하는 감탄사 목록과는 큰 괴리를 보였다. 감탄사는 하나의 의사소통 전략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담화 문법의 차원에서 상세한 의미 기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한국어 교육 차원에서 언어 교육의 목표를 의사소통능력 향상 및 유창성 증진에 두고 있다면 감탄사의 상세한 의미 기능 분류와 교육이 필요하다.

      • John Woods Duke의 연가곡 “From the Sea”에 관한 연구

        박정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John wood Duke (1899~1984)'s lied, 'From the Sea' in order to find out how to reflect the contents and feelings of a poem into the song and how to express the rhythm effectively to make a beautiful and lovely music.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 United States made a remarkable growth in lied. The growth of lied became concrete in 1910s with the American poems revival. Many composers began to make lots of lieder and John Duke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sers in the America lied history. On the based of the brilliant literary knowledge, the front-runner in the lied, John Duke made 265 works during his life time, most of his works were vocal music using American poems. Lied, 'From the Sea' was originally a poem written by a woman poet, Sara Teasdale(1884~1933) and was composed into 5 songs by John Wood Duke. It became a beautiful and lovely music through the combination of Sara Teasdale's poet, giving a naive, lovely and delicate expression and deep sorrow, and John Duke's art world seeking after the charming and lyrical style. John Duke makes us feel 'From the Sea', as a poem which expresses the beauty of love with the background of the sea, more romantic and lyrical by using simple and comfortable melody. In particular, John Duke gives an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music. So it is easy to find his intention of reflecting the contents and feelings of poem into the 5 songs of 'From the Sea'. For example, to make a clear division, he uses comma, pause and interlude, or to stress the lyrics, he gives various changes in the process of melody, formation, theme(musical motif), musical interval, and range. In addition, he gives a stress on the syllabic relationship of lyrics, and expresses the rhythm of poem using the short phonetic value to the words such as suffix and preposition. Lied can be said as an ideal combination of poem and music. Through that combination, it can not only express the contents of poem fully but also gives a deep impression of more than simple melody. John Duke's effort of expressing the various and wide-ranging composing world gives an great impact on those who research and play his lieder. If, in conne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music, the study on the effect of John Duke's works on the other composers were continued, constructive implication for the music development would be given to our music.

      •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 분석

        박정아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관광객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 차이와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농촌치유관광에 적용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2개의 가설이 설정되고 세부적으로 11개 하위 가설이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영암군 선애마을과 경상북도 예천군 금당실 마을에서 진행하고 있는 농촌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농촌관광객으로 설정하였고 표본은 37명이었다. 1차 사전설문조사, 2차 사후설문조사 통해 36부의 유효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효 자료에 대하여 빈도 분석, 요인분석과 붓스트랩방법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모든 분석은 통계패키지 SPSS 22.0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11개 가설 중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구체적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객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마음챙김, 회복탄력성)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농촌관광체험 중 기분전환 요인은 마음챙김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농촌관광체험 중 풍경경관, 일상변화, 대인교류 요인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효과 차이 검증의 학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 독립변수를 농촌관광 체험으로 종속변수를 마음챙김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농촌관광 체험의 하위 요인 중 기분전환 요인은 마음챙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에 관련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셋째, 농촌관광객의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에 차이가 있으며 농촌관광 체험은 치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 분석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학술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결과로 일년간 농촌관광 방문횟수로 1번 방문이 많고 그 다음으로 2번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농촌치유 마을에서는 재방문을 위하여 농촌관광객들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야한다. 연령대별 치유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스토리텔링을 통한 치유 이벤트 및 공연을 활용하는 마케팅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 둘째, 농촌관광객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관광객이 각자 소화 할 수 있는 체험 시간과 강도의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자율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셋째,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는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관광을 체험하는 동안 활용 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농촌관광을 체험하는 농촌관광객을 위해서 갖추어야할 시설과 프로그램 및 서비스품질을 구성하고 치유 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는 농촌치유전문가 발굴 및 양성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향후 연구에서 개선되어야한다. 첫째,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 분석과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들과의 비교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설문지 치유효과 항목 구성의 부분이다. 농촌관광체험의 치유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연구의 한계점이 있었다. 설문지의 치유효과 구성에 심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문항으로 더 보완하여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관광 체험과 치유효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농촌관광 체험과 치유효과 분석을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하고 있는 곳을 선정하여 세분화된 조사를 수행 할 필요가 있으며, 농촌관광 체험과 관련된 농촌어메니티를 함께 추가하여 치유효과 검증이 이루어져야한다고 판단된다. 넷째, 농촌관광객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 분석을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치유프로그램 참여대상자와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 분석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 and post-therapeutic effects of rural tourists' experiences. The survey was undertaken for two times period during June and August in 2016. Thirty seven rural tourist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procedures. Results from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re- and post-therapeutic effects(i.e., mindfulness and resiliency).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ne factor(emotional changes) of the rural tourism experiences and therapeutic effects(mindfulness). Finally, three factors(daily changes, social interaction, and beautiful nature) of the rural tourism experiences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resiliency. Additionall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may be implemented into a professional practice in the following way. Tourism marketers or planners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herapeutic program contents or services for promoting the rural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Tourism planner and managers are necessary to identify the understanding of visitor behavior through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Future study may need to focus on qualitative approaches(i.e., interview or observation) to understand rural tourist behavior based on therapeutic effects.

      •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보호시설의 위기개입 중심으로

        박정아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보호시설의 위기개입 중심으로 - 박 정 아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시설의 가출청소년들에게 지지적이고 안정감 있는 체계로써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출, 조절하게 하는 과정에서 "지금 여기"의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며 입소자의 재가출 및 갈등을 위기개입방법으로 접근하여 보호시설에서의 적응을 높이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경남 00시 천주교 00교구에서 운영하는 선도보호시설 00의 집의 입소초기(3개월 미만)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2007년 8월 22일부터 31일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자아존중감척도, 자기효능감척도, 대인관계기능척도, WZT (Wartegg-Zeichentest)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해 가출청소년들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해서 가출청소년의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내면의 힘을 발견하여, 보호시설에서의 위기를 중재하고 부적응을 극복하는데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보호시설의 가출청소년 위기개입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 성인 독서 실천공동체 <책마루> 구성원의 학습경험 탐구

        박정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발적인 독서공동체로 시작해서 16년간 지속되고 있는 책마루 독서 실천공동체(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이하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을 내부자 관점으로 탐구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자발적 독서 실천공동체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사례인 책마루는 2003년에 자발적으로 창립한 독서지도사들의 독서공동체이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위해 2017년 6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책마루에 참여관찰을 하고 구성원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 전사자료, 책마루 워크숍 자료집, 연구지, 모임일지, 홈페이지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16년간의 내․외부 실천 활동을 통해 공동 자산을 누적한 과정 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합법적 주변참여를 시작하는 차원이다. 구성원들은 독서 지속을 목적으로 가입해서 공동체에서 동질감, 삶의 해방감, 책 읽기에 낯선 재미를 느끼며 합법적 주변 참여를 시작했다. 두 번째는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공동체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고양시키는 차원이다. 구성원들은 공동 독서에 참여하고 지식과 절차를 구체화하면서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구체화가 계속된 공동체 내․외부의 실천 활동은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고양시켰다. 세 번째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증진시키는 차원이다. 공동 독서에 관여하고 공동체의 실천에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의 시간과 환경을 조정하여 실천을 완수하는 관여와 상상, 조정의 나선형 과정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증진시켰다. 네 번째는 지식과 학습 방법과 학습 자체를 체화하는 재전유의 차원이다. 재전유는 개인적으로는 역량을 강화해주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는 자부심을 갖게 하며 보다 만족스러운 ‘새로운 나’로 나아가게 해주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서 실천공동체를 지속시킨 구조적인 세 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호혜적 관여의 축과 정체성 형성의 축, 소속감 증진의 축이다. 세 축의 긍정적 연동으로 책마루는 16년간의 역사를 지속하였다. 결론적으로 독서공동체가 유지, 지속되는 맥락은 지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공동 독서, 낯선 지식을 구체화하는 치열한 토론과 논쟁, 서로 다름을 수평적으로 받아들이는 호혜성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책마루가 16년간 독서 실천공동체로서 내․외부 실천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던 맥락은 실천 활동 결과를 계속적으로 문서화하고, 새로운 실천 활동 개발을 위해 아이디어를 무조건적으로 공여하며, 부단히 내부 실천 활동의 결과를 사회적 실천으로 연계해 실행 하고, 성찰적 공동체로 이행한 것으로 포착되었다. 성찰적 실천가의 모습을 보이는 책마루 고참 구성원들은 ‘빨리가기 보다는 함께 가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독서를 통한 성장은 참여를 통해 더욱 고양 된다’라는 책마루의 텔로스를 실현해 구성원들의 호혜적 관여의 원천이 되고 있다.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of members for Chaekmaru (CMR, hereafter), an adult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from the inside point of view. The study aims for analyzing the detailed contents of learning experienc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community programs. CMR was established in 2003 by several voluntary instructors/leaders for reading. From June, 2017 through January, 2018, 9 members of this community were interviewed in person and observed closely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and their workshop materials, meeting records, contents on the Internet website of the community were collected and thoroughly reviewed for the study. Learning experiences of CMR members have been accumulated for 16 years through practicing inside as well as outside activities and they can be classified for four areas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area for start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MR members joined the community for continuous reading activities and starte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order to enjoy unique pleasure from reading, to exchange their opinions, and to free themselves from their narrow points of view. Secondly, it is the area for inspiring them with positive identification as members of the same community. Participating in the group reading activities and getting reification of theories and knowledges gave them positive ways of thinking. Inside and outside practicing activities of the community along with continuous reification provided them with chances to share a sense of belonging. Thirdly, it is the area for encouraging the better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CMR members participated in group reading programs, acquired the meaningful practical knowledge, controled their time/environ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spiral process of positive linkage, and eventually gained the fair level of sense of belonging. Lastly, it is the area for reappropriation of knowledge/teaching methods and their embodiment. CMR members succeeded in the reappropriation of the knowledge/teaching methods acquired from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finally they revealed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community as lifelong learners. Among learning experiences, three sustaining axes were found in strongly holding on the community. They are the axis of mutual engagement, the axis of positive identification, and the axis of advancing sense of belonging. Through positive of the three axes, CMR has continued its history for 16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ason why the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sustains its vital power among today's society is not only because its members can acquire intellectual pleasures in reading but also the members accept differences in their thoughts by having hot discussions, and recognize reciprocal benefits on all the members.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re are three good reasons why they were able to keep their community activities for 16 years. Firstly, they have kept records of their inside as well outside activities. Secondly, the community shared their ideas for new programs without any qualification. Lastly, they continuously practiced social contribution as an introspective community. Senior members of CMR pointed out that their Telros, “doing together is better than being prompt, and getting more self-development through reading can be enhanced by participation,” are the essence of reciprocally beneficial involvement in their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