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EEE P1901 전력선 통신에서 RTS/CTS 메시지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매체접근제어 전송기법

        박재용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HDTV, IPTV, VoIP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보급에 따라 네트워크망은 실시간성과 QoS 보장이 요구되고 있다. 별도의 통신망 사용없이 전력공급을 위하여 사용하는 전력선을 통신선로로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전력선 통신이다. 이러한 통신방식은 소수의 회사들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오다가 2005년부터 IEEE에 의하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완성단계에 와있다. 전력선 통신은 무선통신에서 발생하는 히든 스테이션 문제와 같은 무선통신과 유사한 문제점을 가진다. MAC 사이클은 교류 사이클에 동기화 되어 동작하며, 짧은 전송 주기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에 취약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서비스를 고려한 새로운 MAC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TRINFO라는 새로운 MAC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는 기존의 RTS/CTS 메시지를 확장시킨 형태이며, 스케쥴링 정보를 가진다. 또한 MAC cycle을 짧은 전송요청 구간과, 긴 데이터 전송구간으로 분리하였다. 이를 IEEE P1901 표준 MAC과 비교하는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였으며, 지터와 딜레이에서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다. According to multimedia service distribution such as High-Definition Television (HD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the networks are required to guarantee Quality of Service (QoS) and real-time performance.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used for data transfer as well as the transfer of electric power. However, power line communication has some probl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noise and hidden station problem. And MAC cycle is synchronized with AC cycle of power line. MAC Scheme is week in real time data transmission with short cycl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AC Scheme for real-time service. Proposed scheme uses new message called TRINFO. It has scheduling information and is added to the RTS/CTS message. And we divide MAC cycle between time slot request region and data transmission region. Finally, there is a simulation with MAC performance of IEEE P1901 standard and the proposed MAC.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a proposed scheme outperforms existing standards from the viewpoints of jitter and delay.

      • 유기섬유 및 폴리머의 조합사용이 콘크리트의 균열저감에 미치는 영향

        박재용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crete has an outstanding compressive strength while very low tensile strength and brittle behaviors. Because of brittle behaviors of the concrete, the concrete structure suffers cracking in the tensile area, and thus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structure are the problems. As an alternative of these problems, fiber-reinforced concrete has been suggested and the most representative fiber types used in fiber-reinforced concrete ar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steel, and Nylon (NY), etc., and many research has been performed.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of applications on the practical cases due to not enough comparing data base and loss of strength due to poor dispersion of the fiber and poor adhesiveness of the fiber in cement paste system. Therefore, in this research, expecting the improvement of fiber-reinforced concrete including combination of polymer and organic fibers, the optimum combinations of organic fibers and polymer is suggested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types and amount of the fibers.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c fibers are compared with the Cellulose fiber. The result of a serie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 (1) As a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including polymer and organic fibers, because of the ball-bearing effect of polymer and entrained air, and dispersion effect of the surfactant caused by the polymer admixture, the workability of the concrete w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Cell fiber is considered as a reason of decreased workability due to the absorbing mixing water. (2) The air content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fiber was increased. This is likely caused by increased the amount of the entrapped air by the added fibers. The setting times were measured in the exposed conditions. The average time of initial set and final set of plain mixture was 3 hours 45 minutes, and 4 hours 50 minut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M-NY, the fastest case was the initial and final set was 1 hour 50 minutes, and 2 hours 10 minutes, respectively. (3)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no clear trend was observed while all cases satisfied target compressive strength for 21 MPa grade. For 24 MPa grade, there was increased trend with adding polymers in the concrete mixture. It i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continuous hydration of cement paste due to the preventing evaporation of moisture by membrane produced by polymer. If the air content is controlled, improved compressive strength can be expected. (4) For tensile strength properties, similar to the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21 MPa grade did not show specific trend. However, for the 24 MPa grade,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fiber amount. This is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ball-bearing effect by polymer and dispersion by surfactant. For the second phase experiment, the tensile strength was obtained only 10 % of compressive strength and very slight increase of tensile strength was observed with increased amount of the fiber. (5) All crack lengths of fiber reinforced specimens were shorter than the crack lengths of plain specimen. This is likely the crack preventing effect of the fibers reinforced. The width of cracks wcere measured for the cracks larger than 0.1 mm. The concrete specimen including cell fiber showed increased cracking because of the decreased workability by absorbed moisture. (6) The result of measuring width of crack was also showed decreased width of crack by the fiber reinforcement. From the cracking space calculated by the length times the width, fiber reinforced specimens showed maximum and minimum of 60 % and 30 % to the plain specimen of improvement were shown. In summary, the workability of concrete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fiber because of increased the amount of the polymer, while significantly decreased slump was observed when the fiber was added excessively. The air cont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amount of fibers due to the increased entrapped air. For the Cell fiber, workability of the concrete was decreased because of the absorption of moisture, while the dispersion of fiber was improved because of the entrained air and surface activity. Because of this effect, the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crack resistance performance were improved. Based on the workability, strengths, crack resist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NY fiber can be suggested as an optimum fiber for the concrete mixture.

      • 수학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 공력저항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박재용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wind tunnel test or CFD were used for predicting aerodynamic drag coefficient in motor company. But, wind tunnel test requires much cost and time, and CFD has about 30% error. In this study a predicting program of the aerodynamic drag coefficient based on Carr’s and Rose’s empirical techniques and Guan’s measurement method was developed. Also a mathematical optimization method using GRG method was added to the program. The program was applied to six cars. Aerodynamic drag coefficient values of six cars were predicted with 4.857% average error. Three of them had over 5% error. They were difficult to apply same measuring method for each six model. The optimization method was also applied to six cars. Three parameters selected from sensitivity analysis were determined to reduce the afterbody drag coefficient to the value established by a designer and when some parameters were changed for a developing automotive, optimal modifiable parameters were determined to preserve the same drag coefficient as the original automotive.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could predict the aerodynamic drag coefficient effectively and accurately, and this program with GRG method could determine optimal values of parameters. 현재 자동차회사에서는 차량의 공력저항계수를 예측하기 위해 풍동실험이나 CFD를 이용한다. 그러나, 풍동실험은 공력저항계수를 예측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고, CFD는 풍동실험에 비해 계산시간은 빠르나 만족할만한 결과값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동실험과 CFD를 이용하지 않고 경험적 기법을 통한 차량 공력저항계수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공력저항계수 예측 프로그램은 51개의 형상인자로 구성된 13개의 요소 공력저항계수들로 나누어 공력저항계수를 예측하도록 하였으며, 일반화된 환산경사도법(generalized reduced gradient method)을 이용한 최적화 기법을 부가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현재 양산되고 있는 6개 차종에 대해 공력저항계수 예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풍동실험의 측정값에 비해 평균 오차율 4.857%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예측된 6개 차종의 후부(afterbody) 공력저항계수예측에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최적화 기법을 적용시킨 결과, 공력저항계수 저감 목표값을 선정하여 형상인자의 값을 결정할 수 있었으며, 개발하려는 차종의 형상인자를 변화시켰을 때, 동일한 공력저항계수를 유지하기 위한 수정 가능한 형상인자의 값을 결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설계초기단계에서 공력저항계수를 예측하고, 설계자가 요구하는 공력저항계수를 갖는 형상인자들의 값을 최적화 기법에 의해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차량 후드 보강재의 신뢰성 기반 다중목적 위상 최적설계

        박재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뢰성 기반 위상 최적설계(reliability-based topology optimization:RBTO)는 설계변수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상을 얻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 진화적 구조 최적화(bi-directional evolutionary structural optimization : BESO) 기법을 이용하여 자동차 후드 보강재에 대하여 신뢰성 기반 위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굽힘, 비틀림 그리고 고유진동수를 고려하기 위해 각각의 문제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하나의 다중목적 민감도 수로 정의하여 곡률이 다를 때와 외장판이 있는 경우의 보강재에 대하여 다중목적 위상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목표 성능치 접근법(PMA)을 이용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결정론적 위상 최적화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하였다. 위상 최적화 결과 고유진동수의 가중치가 0.3에서 0.7로 변하면서 고유진동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조건들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위상 최적화시 각각의 가중치를 사용한 위상 최적화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뢰성 기반 위상 최적화의 체적이 결정론적 위상 최적화보다 크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목표 신뢰도 지수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고, 보강재 설계시 외장판을 고려하지 않고 보강재만 해석을 하여도 위상에 있어서는 결과적으로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좀목형(Vitex negundo) 분비모의 유형별 분화 연구

        박재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romatic plants release distinctive substances by developing secretory structures like glandular trichomes in many parts of their body. Vitex negundo is a known aromatic plant which releases a unique scent due to the presence of essential oil in its stems or leaves. Epidermal surfaces like its leaves, which are used for medicinal purposes, carry various trichomes.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structural and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 patterns of glandular trichomes in Vitex negundo leaves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There are two types of glandular trichomes which develop on the epidermis of Vitex negundo—peltate glandular type (PT) and capitate glandular type (CT). Structural features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size and density, formation of secretory cavity, plastid, etc during developmental stages. Undifferentiated PTs are densely distributed in the upper epidermis, but are not externally exposed in the lower epidermis because they are covered by non-glandular simple trichomes. Upon leaf development, PTs and CTs show clear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 the upper and lower epidermis. PTs are composed of eight head cells (~35-40㎛) and one stalk cell (~5㎛) while CTs are composed of four head cells (~10-15㎛) and 2-3 stalk cells (~10㎛). Although secretory cavities develop within secretory cells, their size, structure, and formation proce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trichome type. On secretory cells within early developmental PT, secretory cavities form while the cuticle layer separates from the cell wall and expands rapidly. There are numerous leucoplastids within secretory cells, and the substances produced by well-developed golgi bodies and endoplasmic reticulum are transported through the cell wall via numerous vesicles, or membranous compartments, formed within the secretory cavity. These compartments fill the expanding cavities, accumulate the substances produced, and release them as aromatic components by the eccrine secretion pathway. In CT, however, the cuticle layer and cell wall separate rather slowly within the secretory cell, and only small secretory cavities are formed without secretory vesicles. Therefore, PTs are consider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releasing the aromatic components of Vitex negundo. This plant has been popular among people due to the unique substance possessed and released by its leaves and has been used to produce scents or to repel mosquitoes. In such a way, applying the aromatic components of young leaves from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Vitex negundo should yield noteworthy results as in this research. 방향성 식물은 식물체의 여러 부위에 분비모 등의 분비구조를 발달시켜 특수한 성분을 방출한다. 좀목형(Vitex negundo)은 줄기나 잎에 방향유가 있어 독특한 향기를 발산하는 식물로 약재로 사용되는 잎 등의 표피조직에는 다양한 모용이 발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좀목형 잎에 발달하는 분비모에 대하여 유형별 형태구조 및 세포수준에서의 미세구조 분화양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하였다. 좀목형 엽육 표피에 발달하는 분비모 유형은 peltate형(peltate glandular type, PT)과 capitate형(capitate glandular type, CT)으로 대별되었고, 크기 및 밀도, 분비강 형성, 색소체 등의 구조적 특성이 생장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엽원기 상피에는 미분화된 PT형 분비모가 밀생하나 하피는 비분비성 단순모에 피복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았다. 엽신의 발달로 표피조직이 신장되면 PT 및 CT 분비모들은 상피 및 하피에서 뚜렷한 형태구조적 특성을 보이며 분화하였다. PT형 분비모는 6개의 분비세포(head cell, ~35-40 ㎛)와 병세포(stalk cell, ~5 ㎛) 1-2개로 구성되어 있고, CT형 분비모는 4개의 분비세포(~10-15 ㎛)와 병세포(~10 ㎛)로 이루어져 있다. 분비세포 내에는 분비강(secretory cavity)이 형성되나 크기, 구조 및 형성과정은 유형에 따라 매우 다르게 진행되었다. 분화 초기 PT형 분비세포 정단에는 큐티클층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고 빠르게 팽창하면서 분비강이 형성되었다. 분비세포 내에는 다수의 백색체가 분포하고, 잘 발달된 골지체 및 소포체에서 생성된 물질은 세포벽을 통해 운반되어 분비강에 형성된 무수히 많은 막성계 구획인 분비소포에 저장되었다. 이들 구획은 팽창된 분비강을 가득 채우며 생성되는 물질을 축적한 후 누출형 분비(eccrine secretion)를 통해 방향성분 및 물질을 외부로 방출하였다. 반면, CT형에서는 분비세포의 세포벽과 큐티클층이 서서히 분리되나 분비소낭 생성 없이 작은 분비강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좀목형의 향 성분 방출에는 PT형 분비모가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민간에서 좀목형은 잎이 함유하는 특정성분에 의해 항균효과 또는 모기퇴치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이 지닌 방향성 성분을 활용할 경우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생장초기의 어린잎들이 활용되면 더 큰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 제한된 궤환량을 가진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클러스터 구성 및 송신 전력에 관한 연구

        박재용 西江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due to the data explosion, enhancement of user throughpu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and coordinated multipoint t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schemes are considered. As the number of the antennas of base stations participating in cooperative transmission increases, however, a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 to carry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of the users is requir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codebook construction method for MIMO beamforming systems operating under the per-antrnna power constraint (PAPC). Using the phase tracking information between adjacent feedback slots as feedback messages, we provide the Lloyd-Max vector quantization (VQ) algorithm for the phase tracking codebook. The performance of the two codebooks is evalua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debook is demonstrated by Monte-Carlo simulations. We also propose a partial CoMP transmission method for systems under the constraint of finite feedback information data. This method selects candidates of base stations which can provide a high efficiency gain when they participate in the CoMP set. We perform computer simulations to compare performance of the non-CoMP, full-CoMP and partial CoMP in terms of the average throughput using finite feedback and demonstr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roposed method. Lastly, by placing an edge remote radio head (RRH) at cell boundaries, cell edge users performance can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system rate efficiency, we propose a rotational clustering method. The performance of systems for varing edge RRH adjusts the power is also analyzed. 최근 증가하는 데이터 폭증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전송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단과 수신단의 다수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과 다수 개의 기지국을 협력적 전송에 사용하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tansmission and reception)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협력에 참여하는 기지국의 안테나가 증가할수록 기지국 간 공유가 요구되는 채널상태정보 및 전송 데이터의 교환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안테나 별 전력 제한을 고려하는 PAPC (per-antenna power constraint) 하에서 MIMO 빔포밍을 위한 코드북 구성을 제안한다. 인접한 궤환 정보를 이용하여 위상 추적 코드북을 위한 Lloyd-Max 벡터 양자화 알고리듬을 적용한다. 기존방식 대비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비교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우수성을 입증한다. 둘째, 제한적 궤환량을 고려하여 전송효율이 높은 기지국들만을 협력적 전송에 참여시키는 부분적 CoMP 전송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지국 정보를 반영하여 협력 기지국 조합을 구성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한적 궤환량 사용 시 기존의 비협력적 기지국 전송방식과 협력적 기지국 전송방식과의 평균 전송율 성능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제안방식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셀 경계 지역에 원격 송신국을 배치함으로써 셀 경계 지역의 사용자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며, 특히 효율적으로 시스템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rotation 클러스터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원격 송신국의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분석한다.

      • 개방적 탐구에서 소집단 구성 방식의 효과와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박재용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instructing the open inquiry effectively through exploring the effect of grouping methods and the components/ functions of scaffolding in open inquir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uping methods on open inquiry implementation through the use of mixed research methods. Some 113 7th graders and 2 science teachers in two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113 students were grouped by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ccording to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personality types respectively, and performed the open inquiry activities on the same subject for three weeks.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test 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6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 teachers. Also teaching logs made by 2 teachers were subsidiarily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than heterogeneous grouping in improvement of scientific inquiry skills. Meanwhile, the qualitative results revealed both the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effective to compose a small group according to their affective quality than their cognitive quality. Particularly,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the method of small group from the personality types. Some students and both teachers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collect enough information on students and to use them in mixture with the method of small group according to the affective quality. Second, in order to identify scaffolding components, a survey is conducted of 110 students who performed open inquiry in two middle schools of how students think about open inquiry, and then factor analysis is carried out based on the survey result. It was also attempt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from focus group interviews correspond with scaffolding component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d teachers’ empirical view of scaffolding functions in open inqui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4 teachers. The reliability(Cronbach’s α) of the questionnaire on the survey is .931.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Varimax rotation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scaffolding components(motivation, planning, strategy,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of which cumulative variate is 64.58%.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s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lanning, strategy,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components except for motivation component. Especially, students asked for a support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component which means recognizing their role,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peers. Meanwhile,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showed that teachers’ empirical view of scaffolding function in open inquiry categorized as cognitive (conceptual, metacognitive), emotional(motivational, arbitrative) and strategic function. Interviewed teachers thought that cognitive and strategic function need to be used more often than emotional function. Furthermore, they thought that teacher should make more often use of strategic function in motivation, planning, environment component, the metacognitive function in strategy component, and arbitrative function in participation component respectively than other functions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an appropriate grouping method for implementing open inquiry effectively, and exploring teacher role in open inquiry by identifying scaffolding components and func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에서 소집단 구성 방식의 효과와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을 탐색함으로써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졌다. 첫째, 개방적 탐구에서 소집단 구성 방식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혼합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강원도 소재 중학교 2곳에서 1학년 각 2학급씩 4학급(남녀 혼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교사 2명과 총 113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두 학교 학생들을 각각 과학 탐구능력 및 성격 유형에 따라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으로 편성하였으며, 동일 과제로 약 3주에 걸쳐 개방적 탐구를 수행하게 하였다. 소집단 구성 방식이 개방적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 과학 탐구능력 검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교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 두 학교 모두 소집단을 동질적으로 구성했을 때가 이질적으로 구성했을 때보다 과학 탐구능력에 대한 개인별 향상 지수의 향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소집단 구성 방식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인지적인 특성으로 소집단을 구성하기보다 정의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소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개방적 탐구 수행에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학생들의 경우 성격 유형에 따른 소집단 구성 방식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일부 학생들과 지도 교사들은 소집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할 필요가 있으며, 그와 같은 정보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기준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둘째,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중학교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탐구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결과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응했던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추출된 스캐폴딩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수준을 조사하였고, 개방적 탐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살펴보았다. 설문 조사 문항의 전체 신뢰도(Cronbach’s α)는 .931이고, 주요소분석법으로 베리맥스(Varimax) 회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누적 변량이 64.58%인 총 5개의 공통 요소(탐구 동기,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학생들은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중 탐구 동기를 제외한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에서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자기 역할 인식, 과제 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모둠원들과의 협력으로 대표되는 참여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도움 방안을 요구하였다. 한편,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심층 면접을 통해 탐색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스캐폴딩의 기능들을 인지적(개념적, 메타인지적), 정서적(동기적, 중재적), 전략적 기능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인지적 기능과 전략적 기능을 정서적 기능보다 더 많이 사용해야 할 기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탐구 동기, 탐구 계획, 탐구 환경 요소에서 전략적 스캐폴딩을, 탐구 전략 요소에서 메타인지적 스캐폴딩을, 탐구 참여 요소에서 중재적 스캐폴딩을 다른 기능들보다 더 많이 활용해야 할 기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소집단 구성 방식을 제안하고, 스캐폴딩 요소와 기능 확인을 통해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鷄糞으로부터 살모넬라에 감염된 家禽類의 신속한 診斷法에 관한 연구

        박재용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apid and convenience detection method of salmonella in poultry feces. The detection of salmonella spp. in contaminated food takes about 5 to 7 days in culture and biochemical assay. Therefore, rapid detection method of salmonella in contaminated food is required. PCR method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almonella spp. rapidly from poultry's feces as a means of detection of salmonella spp. infected poultry. Boiling method was employed to extract genomic DNA from the feces. The DNA were denatured at 94℃ for 30 sec, annealed at 63℃ for 20 sec and polymerized at 72℃ for 40 sec. Total reaction was repeated 30 times. These reaction condition with given primers showed very sharp band of PCR product which is specific to salmonella species on agarose g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