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市販用 고추장의 流通期限 設定을 위한 品質 指標에 관한 硏究

        박일규 建國大學校 農畜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판용 고추장의 품질 지표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도출하고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17종의 고추장을 수거하여 이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유사한 성분 배합비를 가지는 3개사(SA, SJ, JI)의 제품을 선택하여 저장기간 중 일반 성분의 함량 변화, 색도의 변화, 아미노산 함량 변화 그리고 Capsaicinoid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일반 성분은 제품에 따라서 성분 함량비가 매우 상이하였으며 특히, 수분 함량, 아미노태 질소, 색도 등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2. 일반 성분의 각 항목간의 상관성은 수분과 고형성분, 가용성 고형성분이 높았다. 3. 저장 기간에 따른 일반 성분 함량 변화 중 아미노태질소, 휘발성 염기길소가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품질 지표가 될 수 있었다. 4. 저장 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는 L, a, b값 모두가 감소하였고 그 상관성도 높았으며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품질 지표가 되었다. 5. 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는 매우 낮은 변화를 보였지만 품질 지표로서 중요한 요인이었다. 6. Capsaicinoid 함량 변화도 매우 낮은 변화이었지만 품질 지표로서 중요한 요인이었다.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quality index, quality characteristics of 17 kinds of commercial Kochujang were investigated during distribution. Among 3 kinds of commercial Kochujang that the same ratio in mixture raw material were selected, and we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omponent, color, amino acids and capsaicinoid content during 2 months at 10℃.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omponents were very different in the moisture content, aminoform nitrogen, and color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 ratio and the manufactured methods.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ach component were high on the moisture content, solid content, and pure extracts. 3. Aminoform nitrogen and volatile base nitrogen were excellent in quality index for the determination of shelf life during storage at 10℃. 4. Hunter's values (L, a, b)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were good quality index for the determination in shelf life of commercial Kochujang. 5. Amino acid was very slow changed, but was the important factor in quality index for the determination of shelf life. 6. Capsaicinoid contents were very slow changed, but were important factor quality index of commercial Kochujang.

      • 다공 크기 구배를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한 지지체의 다공 크기에 따른 조직적합성 연구

        박일규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느 시기에서나 매일 수많은 사람들이 인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손상으로 인해 병원을 드나들고 있다. 조직공학은 이렇게 손상되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기관을 대체하고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제공한다. 인체의 조직세포 일부를 채취하여 생분해성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scaffold)에 주입하여 일정기간 체외 배양한 뒤 이 세포/고분자 구조물을 다시 인체 내로 이식하는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기법은 손상된 인체조직 및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조직공학 분야에 사용되는 합성고분자로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로부터 인체사용이 허가된 폴리락틱산(PLA), 폴리글리콜산(PGA) 및 이들의 공중합체(PLGA)등이 있으며, 이들 고분자를 이용하여, 조직 재생용 지지체가 제조되고 있다. 고분자 지지체를 만드는데 있어서 다공 크기 및 다공도는 조직의 재생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즉, 다공성 지지체는 세포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영양분과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며 대사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다공 구조를 지녀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공 크기의 최적화 연구는 조직 세포의 삼차원 배양 및 조직 재생에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자에 의하면, 각각의 세포 마다 세포 성장에 최적인 다공크기가 각각 다르다는 실험 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공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를 하는 삼차원적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공 크기에 따른 조직세포들의 부착 및 성장 거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3차원적 다공 크기 구배를 가지는 실린더 모양의 alginate, chitosan, PCL 지지체를 새로이 고안된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조하였고, 제조한 지지체들의 다공질 형태, 다공도, 친수성, 유연성, 기계적 물성 등이 평가되었으며, in vitro, in vivo 실험을 통해 다공크기와 조직세포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예상되었던 것처럼 각 조직 세포마다 세포 성장 및 증식에 최적인 다공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상기의 연구는 조직공학용 다공성 지지체의 다공크기와 조직재생을 위한 조직세포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Every day thousands of people of all ages are admitted to hospitals because of the damages of the tissue and organ. Tissue engineering offers the possibility to creat completely natural tissue and replace failing or malfunctioning organs. In recent year,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manufacture porous polymeric scaffolds having 3-dimensional structure. It is well recognized that the pore size of polymer scaffold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issue ingrowth and regeneration: different kinds of cells were shown to have different optimal pore size ranges in the scaffolds for effective cell growth. So, if the tissue scaffold with pore size gradient (i. e., the scaffold with gradually increasing pore size along one direction) can be prepared, it will be of particular interest for basic studi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issue cells and scaffolds with different pore size since the effect of pore size can be examined in a single experiment using one scaffold. Recently, we developed a novel scaffold fabrication method (centrifugation method) to prepare cylindrical scaffolds with pore size gradient.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lginate, chitosan and hydrophilized polycaprolactone (PCL)cylindrical scaffolds with gradually increasing pore siz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entrifugation method. In this method, the pore size ranges of the scaffold could be easily controlled by adjusting centrifugal force. The prepared pore size gradient alginate, chitosan and PCL scaffolds were characterized by the morphology observations, the measurements of pore size, poro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s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caffold sections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in vitro cell compatibility using different kinds of cells (fibroflasts, chondrocytes, osteoblasts, etc.) and in vivo tissue compatibility by preliminary animal study using a rabbit model (skull bone defects) in terms of scaffold pore sizes. From the in vitro cell culture and in vivo animal study, we could observe that the cells or tissue have their own optimum pore sizes or porosity for the growth. From th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the pore size gradient scaffold can be a good tool for the basic studi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issue cells and scaffolds with different pore size.

      • Multi Agent System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시야확보와 대피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

        박일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물의 안전에 대한 요구는 초고층 및 대형화로부터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사양위주설계는 건축물 통계실험에 기초한 최소한의 공간 안전이며, 복합 건축물의 다양한 공간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성능위주설계가 2007년 입법되어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성능위주설계의 성능평가에서 주요 요소인 대피자의 대피시간산정의 신뢰도 향상을 목표로 하며, 대피자가 건축물에서 대피하는 시간(RSET)을 위험인자 확인영역의 설정에 대한 기존 방식과 비교 산출하였다. A*알고리즘기반 대피시뮬레이션의 특성상은 화재와 같은 재난상황 시 대피경로상의 위해요소 인지가 불가능하므로 위험인자 감지 및 우회대피 구현에 대한 기능이 없으며, 위험지역을 통과하는 최단 경로 대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으며, 공간상 안전대피에 대한 실제적 모사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위험인자 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MAS기반 대피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존에는 구현 불가능하였던 위험인자 감지 및 우회대피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알고리즘 기반 대피와 MAS기반 위험인자 감지대피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 비교를 통하여 MAS기반 대피의 유효성 및 위험인자 감지 대피의 적합성 확보와 기존방식의 평가대체 활용필요성 확보를 위한 정확도향상 및 신뢰도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서울市 都市再開發事業에 관한 硏究

        박일규 檀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年代末~1970年代初의 急速한 經濟成長의 結果로 인해 우리나라의 都市化는 急格하게 發展되어 都市의 대개가 바람직하지 못한 構造를 形成하게 되었다. 이 때에 大都市로의 人口流入은 大都市의 過密化 現象을 더욱 深化시키게 되었고 서울市의 경우 그 程度가 다른 大都市에 비해 特히 심할 現象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1976年에는 都市再開發法을 制定하여 旣存의 老朽된 不良住居地를 整備하고 都心部의 機能回復을 爲한 改造整備를 目的으로 새로운 都市環境을 창출하기 위해 再開發事業을 實施하고 있다. 따라서 本 硏究는 第2章에서 都市再開發事業에 있어서 一般的理論으로써 槪念과 必要性을 考察하였고 特히 再開發事業의 特性과 效果를 記述하였으며 外國과 우리나라의 再開發制度의 沿革과 施行節次를 살펴봄으로써 3章의 基本資料가 되도록 하였다. 第 3 章에서는 2章을 바탕으로 美國·英國·프랑스·日本 等의 外國事例와 우리나라의 서울市에 있어서 現在(1990. 11.30)까지의 都心再開發事業 現況을 基本計劃 및 推進現況과,認可 및 區域指定, 施行者別, 用途別現況 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結果 現在 서울市 都市再開發 現況은 總 對象 38 個區域 423 個地區 1,929千㎡中에서 認可地區는 147 個地區 (面積 697千㎡)이며 完了된 地區는 94 個地區 439千㎡으로 全體面積의 約 22.7 %에 達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第4章에서는 2章과 3章에서의 基本理論과 事業推進 現況을 살펴보는 過程에서 導出되는 여러가지 問題點을 찾아 그 改善方案을 提示하고 있다. 本 章에세 硏究되는 問題點으로는 첫째 計劃政策 및 住民參與問題, 둘째, 都市構造 및 交通問題, 세째, 土地利用의 非效率性을 들수 있으며 이와같은 問題點을 解決하기 爲한 改善方案을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다. 먼저 첫번째로, 政策方向의 定立을 爲해 再開發計劃의 樹立에 있어서 地域內의 事前調査를 充分히 하여 法制化하고 時代 變化에 따른 對處方案이 效率的이 될 수 있도록 計劃期間이 充分하고 융통성을 가져야 하며 再開發의 波及效果를 考慮학 수 있는 政策이 立案되어야 한다. 또한 住民參與의 制度的 保障으로 住民의 意思가 充分히 反映될 수 있는 政策的 配慮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都市構造改編과 交通改善에 있어서 都市構造改編은 現在의 單核化된 都心機能을 多核化시켜 都市機能을 再配置하고 都市全體의 秩序體系內에서 융통성을 발휘해야 하며, 事業順位의 優先順位도 調整하여 機能을 活性化 해야한다. 또한 交通體系의 改善은 T·S·M 技法을 導入하여 우리나라 實政에 맞게 再開發하여 現實化시키고 駐車難을 解決하기 爲해 建物別 全用施設을 公共施設로 하고 公園 등의 公共用地를 地下로 開發할 必要가 있다. 마지막 세번째로는 土地利用의 改善을 爲해 土地利用法制의 一元化로 法體系의 복잡성을 改善해야 하며 아울러 土地利用規制法과 用途地區地域制의 改善도 重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第5章에서는 지금까지의 理論과 現況을 살펴본 結果로서 그 동안의 서울市 都市再開發事業이 겉으로 보이는 問題點만을 解決하려다 보니 오히려 自體的인 機能이나 構造와 같은 都市全體에 미치는 영향을 미처 생각하지 못한데서 기인하는 問題解決로서 앞으로 進行될 都市再開發事業은 都市全體的인 機能의 造化를 이루는 則面에서 出發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都市再開發事業의 目的이라 할 수 있는 都市機能의 回復을 위해 長期的인 計劃을 세워야 하며 單核化되어 많은 問題點을 야기시키고 있는 現 都市機能을 多核化한 都市로의 改編을 爲해 보다 긴 眼目을 갖고 地域住民의 權利保障과 意思反映이 이루어지는 보다 낳은 福祉向上을 爲해 施行되어야 할 것이다. Due to the result of rapid growth in the economic field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1960s to the beginning of 1970s, the fast development of most of the cities in Korea has formed undesirable structure. During the above mentioned period, the influx of people into the large cities has resulted in aver-population in the large cities, which has shown a serious phenomenon. In case of Seoul city, the phenomenon seems to be more serious than that of orther large cities.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City Re-development Law was enacted in the year of 1976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re-development work by means of renewing the old and unfavolrable residence area and recovering urban functions so as to create new city environment. Therefore, in the 2nd chapter of this dissertation, I have studi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general theory related to urban re-developmen work. In particular, I have described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re-development work. The 3rd chapter includes the basic material concerning the history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re-development process comparing Korea with such foreign countries as America, England, France, and Japan. I have also studied the present status (as of 30 Nov. 1990) of the city re-development work of Seoul city including basic plan, implementing status, approval, district designation, the workers of the project and the usage status. As a result of my study, I have found that the status of redevelopment work in Seoul city includes 38 regions and 423 districts, 19,294 square meters, among which 147 districts (dimension: 6,974 ㎡) have been (approved, of which 94 districts ( 4,394 ㎡ ) have been completed, which means that approximately 22.7% of the total dimension has been completed. Chapter 4 has suggested various methods of improvement with which to eliminate those problems occurred while studying the basic theory and the status of implementing redevelopment work specified in the chapter 2 and chapter 3. The study of this chapter 4 include those problems: first, planning policy and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city structure and traffic problem, third, inefficiency of land utiliz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I have suggested improvement methods of which summar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policy, prior spot survey in the above mentioned regions should be thoroughly conducted and related law ought to be enacted so as to meet the requirement of long-term plan for the efficiency of implementing redevelopment work according to the change of certain period of time, 'by which sufficient and flexible redevelopment plan will be established. and reflected that district residents ought to have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said plan pursuant to legal-guaranteed system. Second,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city structure and traffic improvement, the mono-nucleus system of the city functions should be made into multi-nucleus system so as to re-distribute city functions and to meet the flexibility within the area of total city order. And also priority of the redevelopment work ought to be arranged in order to vitalize city functions. Regarding the traffic system, T.S.M. method will be necessary to be applied for the traffic improvement which should be practically developed considering the reality of current problems of parking area.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set up public installations and public parks for the use of under-ground parking area. Third, for the improvement of land utilization, the complicated legal system ought to be improved by means of making it into unitary system and also the law and regulations which control land utilization and the usage of district system ought to be improved. Therefore, in the chapter 5, I have studied the various problems concern ing the city redevelopment work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tatus of theory on the said work, which should be, in my opinion, directed toward functional harmonization of total city redevelopment project. For the purpose of recovering city functions which is the goal of city redevelopment work, a long-term plan will have to be established and be implemented so as to form multi-nucleus system of urban functions by eliminating mono-nucleus system which has occurred lots of problems so far, and the above mentioned long-term pla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welfare of district residents and guarantee their legal rights and also their opinions ought to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aid plan.

      • 항응고제에 따른 소 순환혈액내 다형핵백혈구 분리빈도

        박일규 全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morphonuclear(PMN) leucocytes are of fundamental imfortance to the body's defense mechanism and play a major role in the local and systemic reactions to infectious disease. Investigation of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role of the various leucocytes subtypes in host defence mechanisms is dependent upon the isolation of adequate numbers of viable, pure leucocyte fractions. This reports describes the separate frequency of PMN leucocytes both from buffy coat layer and from packed RBC layer when bovine peripheral blood was treated with various anticoagulants such as acid citrate-dextrose(ACD),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EDTA), sodium citrate and hepari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eparate frequency of PMN leucocytes from buffy coat layer was heparin (60.4±9.6%), sodium citrate(56.8±11.8%), ACD 30.6±14.1%) and EDTA(6.2±3.7%) in order. 2) The separate frequency of PMN leucocytes from packed RBC layer monitored with EDTA, ACD, sodium citrate and heparin was 85.0±4.7%, 84.3±5.5%, 83.8±6.5% and 76.3±7.7%, respectively. 3) The Ficoll-hypaque(FH) density gradient method was used to remove a small part of lymphocytes and/or monocytes from leucocytes in packed RBC layer. With the result that it achieved increased separate frequency of PMN leucocytes from EDTA (89.9±2.4%), ACD(89.5±3.6%), and sodium citrate (83.6±10.3%) than heparin (68.4±13.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EDTA and ACD as anticoagulant is suitable for the separation of PMN leucocytes from bovine peripheral blood. And the FH density gradient method is able to increase the separate frequency of PMN leucocytes from packed RBC layer.

      • 차량 항법용 GPS 자세측정 시스템 설계

        朴日圭 충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designs a real-time attitude determination system for car navigation using commercial GPS chipsets. The ARCE(Ambiguity Resolution with Constraint Equation) algorithm is used for resolving the integer ambiguity. From the test results, the developed receiver shows satisfactory performance comparing with high performance receiver.

      • 암 치료를 위한 표적 지향형 헤파린 나노입자의 제조

        박일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in the fight against cancer, treatment should target cells more specifically, produce fewer side effects, be easy to administer and deter tumor viability on multiple levels. We have attained dramatic in vitro tumor shrinkage and tumor vasculature disruption using a ternary biomolecular nanoparticle comprised of polymeric carrier polysaccharide heparin, anticancer drug retinoic acid and targeting ligand folic acid. The conjugation of retinoic acid and folic acid to heparin enhanced the water solubility of the drug, enabled selective targeting, and enhanced the role of heparin as anti-cancer drug carrier by eluding the coagulation cascade. This approach for targeting tumor holds great promise for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cancer. The folicacid linked heparin-retinoic acid conjugates(HFR) reactions was conjugated with ester and amide bonding which was confirm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FT-IR) and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1H-NMR). The ratio of HFR conjugates was measured with Ultra-Violetspectrometry(UV-spectrometry). The particle size of HFR nanoparticles was measur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DL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And, we confirmed that the synthesized HFR retained its ability to selectivity contacting with confocal microscopy, showing an directly effect of anti-tumor with MTT-assay in vitro. These results guess that the HFR nanoparticles could be applied as the nontoxic anti-cancer drug carrier, the effective therapy of tumor in new nanoparticles drug delivery systems. 암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600만 명의 사망을 기록하는 난치성 질환으로 전체 사망률이 1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노령인구의 증가, 환경오염, 유전적 요인, 식생활의 변화 등으로 암 발생률이 매년 5%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사망률의 1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획기적 진단기술 및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1-3 현 시점에서의 암 치료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우리 몸 안의 조직 절개수술이 아닌 조기진단을 통한 약물(항암제)의 투입을 이용한 암세포의 치료이며, 이 방법은 현재 생존율이 80∼90% 이상 유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현재 투여되어지는 약물들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고분자 합성 및 고분자 제제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낮은 수용해도로 인하여 제형화가 어렵고 낮은 생체 흡수율을 보이는 소수성 약물들이 수용액상에서 가용화 시스템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고분자 마이셀, 혹은 고분자 나노입자 시스템이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를 위한 제형으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4-10 고분자 나노입자 시스템은 수용액상에서 양친성 고분자의 자기 조립현상으로 인해 형성되며, 이들의 독특한 core-shell (corona) 구조는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하는데 있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양친성 고분자란 소수성인 성질을 가지는 그룹과 친수성 성질을 가지는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는 고분자를 말한다, 소수성 그룹은 소수성 상호 작용으로 수용액상에서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스로 뭉쳐지려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자유에너지의 안정화에 기인한다. 이렇게 뭉쳐진 소수성 집합체 내에는 소수성 그룹으로 이루어진 미세 core를 형성하고, 친수성 shell (corona)에 의해 둘러싸여있어 분자간 물리적 결합을 하고 있는 고분자 나노입자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자기 조립현상에 의해 이루어진 나노입자들은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 크기로 형성된 구형의 나노입자들은 수용액 상에서 용해 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1-23 또한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표적 지향형 약물 전달 시스템의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것은 특정 암세포에 직접 연결 될 수 있는 리간드, 단백질, 항체 등을 고분자 나노입자에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을 시켜 수동적 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고분자 나노입자가 암세포에 전달 할 수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이다.24-29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약물인 retinoic acid (RA)의 가용화를 위한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제조를 위해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6000 dalton)과 특정 암세포에 표적 지향되어지는 리간드 (folic acid, FA)를 사용하여 coupling reaction을 하여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였고, 합성된 고분자들은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1H-NM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 opy(FT-IR), ultraviolet visible spectroscopy 등의 장비 측정을 통하여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fluorescence spectrometer 분석을 통해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MTT assay를 통한 생체 외 세포독성과 동물실험을 통해 생체 내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 SCM시스템 성과 평가모형 및 평가지표 개발 : SCOR 모델에 근거하여

        박일규 광운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DeLone & McLean의 IS 성과모형과 Kaplan & Norton의 BSC 모형 그리고 SCOR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SCM시스템 성과평가 모형을 구축하고, 광범위한 선행연구와 논리적 추론과정을 거쳐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즉 기술영역의 평가항목-시스템품질(SQ), 정보품질(IQ), 서비스품질(VQ)- 3개, 업무영역의 평가항목-업무효율화 기여도(TEC : IS 포괄도(ISC), IS 의존도(ISD), IS 사용용이성(ISE), IS 유용성(ISU)의 4개 세부지표로 구성), 사용자만족도(US)- 2개, 성과영역의 평가항목-재무성과(FP), 고객성과(CP), 내부 프로세스성과(IP), 학습 및 성장성과(LP)- 4개로 총 평가영역 3개, 평가항목 9개 그리고 이를 측정하는 평가지표 60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SCM시스템 성과평가 모형의 평가항목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기술요인(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이 업무효율화 기여도와 사용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업무효율화 기여도는 사용자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업무효율화 기여도와 사용자만족도는 성과수준(재무성과, 고객성과, 내부 프로세스성과, 학습 및 성장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로 설정하였다. 성과평가 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인터넷 기반의 웹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PLS 방법론을 이용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지표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지표검증을 통과한 측정지표들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의 평가항목 간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5개의 연구가설 중 기각된 2개의 가설(시스템품질→업무효율화 기여도, 서비스품질→사용자만족도)을 제외한 13개의 가설에서 서로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하였으며, 이 중에서 업무효율화 기여도는 사용자만족도에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M시스템 성과평가를 위한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기 위한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중치 분석 결과, 평가항목 전체의 중요도에서 성과영역의 평가항목들이 상위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측면에서 첫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과정을 통하여 SCM시스템 성과 평가모형을 이론적으로 구축하고, 실증적 분석과정을 통하여 검증된 평가항목 및 측정지표들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SCOR 모델에 근거하여 방대하고, 복잡한 SCM 업무프로세스를 분석함으로써 모형의 이론적 견고성 및 차별성을 확보케 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기업의 궁극적인 균형성과 목표를 이루는 성과경로를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평가영역간, 평가항목간의 가중치가 다르다는 점을 밝힘에 따라 성과평가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 및 입장을 합리적으로 통합·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어 실천적 측면에서 첫째, SCM시스템 운영과 관련한 기업의 의사결정자에게 성공적인 SCM시스템 도입 및 확장을 위한 실무지침(guideline)을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평가영역에 대한 평가항목들 간의 인과적 규명은 이루어진 만큼 유사 정보시스템의 성과평가 업무를 수행할 때 상황을 진단하고, 추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 성공적인 SCM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전략적 도구(strategic tool)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이론적으로 구축된 SCM시스템 성과 평가모형에 대하여 평가항목 간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SCM시스템 성과측정을 위한 확고한 전략적 안목(strategic insight)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Based on DeLone & McLean‘s IS success model, Kaplan & Norton's BSC model and SCOR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SCM systems has been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with development of evaluation measures through reviewing a wide range of preceding studies and logical reasoning. In sum, 3 evaluation items in technology evaluation area-system quality(SQ), information quality(IQ), service quality(VQ) and 2 evaluation items in task evaluation area-task efficiency contribution(TEC, 4 sub-measures: information system coverage, information system dependency, IS ease of use, IS usefulness), user satisfaction(US) and 4 evaluation items in performance evaluation area-financial performance(FP), customer performance(CP), internal process performance(IP),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LP). In total, 3 evaluation areas, 9 evaluation items and 60 evaluation measures have been drawn in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suggest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SCM systems in the study, this study derived research hypotheses concern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evaluation items. The causal relationships were as following: factors(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have effects on TEC and US, TEC influences US and such TEC and US have effects on performance level(FP, CP, IP, LP). To empirically analyze performance evaluation, an internet-based survey was conducted. And verification of measures’ reliability and validity concerning measurement model using PLS methodology and then path analysis concern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evaluation areas of the structural model of performance evaluation done with respect to the measures which passed the verific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es, 13 of 15 research hypotheses except 2 hypotheses(System Quality->TEC, Service Quality->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ccepted. Among the hypotheses, it was shown that TEC had very profound effect on US. Addition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items for assessment of SCM systems performance, AHP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wei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items of performance area ranked high, forming a high group.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In theoretical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SCM systems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preceding studies, in that the verified evaluation areas and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nd in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reas and measures has been investigated. Second, based on SCOR model, by analyzing broad and complicated SCM task processes, this study has secured theoretically well-built construct and uniqueness for the suggested evaluation model of performance in this study. Third, the success routes to the corporate ultimate balanced success and goals have been investigated. Fourth, by identifying that different weights exist in among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items, the methods to rationally integrate and control relations of various interests and views have been suggested. In practical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has provided corporate decision-makers involved in operating SCM systems with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SCM systems. Secon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to diagnose current status and to offer the direction to take when conducting performance assessments on similar information systems, becaus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valuation items concerning evaluation areas has been examined. Third, this study has come up with strategic tools required for successfully conducting SCM tasks. Fourth, the study has provided firm strategic insights to measure SCM performanc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valuation areas concerning theoretically-built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SCM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