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에 대한 학생의 인식 연구

        박인형 부산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Status of Operation Subject Teacher System at Elementary School and Students` perception of Achievement Park, In-Hyung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Sung, Byung-Chang A subject teacher system i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and extending the teachers' expertise by retaining the teachers' training and research time gained bu reducing the excessive class burde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that the specific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he certain subjects while a framework of the existing subject teacher system is maintained. The adopted subject teacher system has a positive assessment in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somewhat. So,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rections where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should be headed, for sound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research results of general operation including the necessity, effect, problems, solutions,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improvement to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for the this study : First, what is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operation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Second, what is the improvements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samples were selected as students from for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o has various experiences in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study tools were surveys on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for studen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 reactions per each variabl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recognize the general aspects of samples, and have conducted x² (Chi-square) examination to se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variables on student's recognition on general operation and improvements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lso realized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and were positive reaction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But, the satisfaction rate of improvement of practical subject was low. Second, students showed high response to physical curriculum and English for departmentalized instructing subjects. Third, the familiarity and interaction between subject specialist teachers and the students was low compare to the homeroom teacher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needs more improvement so that more students can take interest in those curriculums, and create an exciting class atmosphere. Second, in terms of operating plans of subject-specialist system and applicable subject, preference on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along with arts, in particular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is very strong, so more support for tect books and facilities are needed to run these classes efficiently. Third,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is a favorable and helpful system when considering the professionalism of curriculum, to normalize the operation of curriculum, so consistant improvement and expansion is needed. 교과전담제도는 기존의 학급담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특정 교과를 교과전담교사가 전담하여 지도하는 교수조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다한 수업 부담을 경감시켜 교사들의 연구 시간을 확보하고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육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과전담제도는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과전담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교과전담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과전담제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관내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은 그 중에 비교적 교과전담제 경험이 많은 4,5,6학년 아동 30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0개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변인별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과전담제 전반적인 운영과 개선방안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대해 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도에 대하여 학생들 역시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전담과목의 학습 효과에 대해서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흥미나 실기능력의 향상 면에서는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았다. 둘째, 학생들은 체육과 같은 예체능 과목 및 영어 교과에 대한 전담교과 희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전담교사와 학생들의 친밀도와 상호작용 관계는 담임교사와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교사는 실기 지도 능력을 갖추고 아동의 흥미를 높이며 재미있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다 더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전담제 개선방안과 적용 교과에서는 체육과 같은 예체능 교과와 영어 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만큼 이러한 교과목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재와 시설 마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의 전담제도는 교과목의 전문성과 교사의 수업 부담 경감,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서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제도이므로 지속적으로 개선 및 확대되어 실시될 필요가 있다.

      • 마이크로 유동 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1차원 GUI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박인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바이오칩, 미세 종합분석 시스템(micro-total analysis system: μ-TAS) 그리고 LOC(lab-on-a-chip)과 같은 마이크로 유동 칩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압력이나 전기삼투유동에 의해 유체를 이송시키는 마이크로 채널들 역시 전기회로나 망처럼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아주 간단한 채널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적합한 공식을 사용하여 압력과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네트워크에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그러한 정보들을 획득하기는 쉽지가 않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마이크로칩 설계자들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프로그램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심플한 공식을 사용하여 개발된 GUI프로그램을 소개한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Hu등이 사용한 H모양의 네트워크를 계산하였고, 수치 결과를 비교하여 1% 이내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채널모양이 망(web)형태의 더 복잡한 경우에 적용하여 타당한 결과를 획득 하였다. Nowadays, the development of microfluidic chip [i.e. biochip, micro-total analysis system (μ-TAS) and LOC (lab-on-a-chip)] becomes more active, and the microchannels to deliver fluid by pressure or electroosmotic forces tend to be more complex like electronic circuits or networks. For a simple network of channels, we may calculate the pressure and the flow rate easily by using suitable formula. However, for complex network it is not handy to obtain such information with that simple way. For this reason, Graphic User Interface (GUI) program which can rapidly give required information should be necessary for microchip designers. In this paper, we present a GUI program developed in our laboratory and the simple theoretical formula used in the program. We applied our program to simple case and could get results compared well with other numerical results. Further, we applied our program to several complex cases and obtained reasonable results.

      •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인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study pru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questionnaires o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istributed to 30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7.0. The study results analyzed in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depenf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ocratic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uthoritarian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nd the school whether can get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and faire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nd the school whether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Second,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gnificantly caried depending on the school whether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hen democratic leadership was highly perceived, there was a closer correlation wh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democratic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ed jog satisfaction, organizatioan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a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d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at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means that for improving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qu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proper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must be studied and developed and constant studies for enhancing capability of principal is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장리더십 유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 초등학교 11개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설문지링크를 통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재직 학교 교장리더십 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은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독재형 리더십은 교직경력과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방임형 리더십은 교직경력과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조직효과성 하위요인 중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은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에 관한 인식이 높을 때 초등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이 높다. 넷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민주형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재직학교의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교장리더십 유형에 따라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여 초등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장리더십 유형을 연구, 개발하여 교장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에 대한 기초 분석

        박인형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o children school is very important since it is the space where they spent their time most as well as where they learn new knowledge and rules. In particular, an elementary school is the starting point of public education and is an important place where the development of emotions and sociality is made. Hence, it can be said very important for school children to adapt to a new elementary school life. Howeve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more difficulties in their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as their development in terms of body, intelligence, sociality, emotion and language is delayed, than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ence, this study is aimed to assist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apt to the school life well by developing and carrying out a diversion program so that the fear and stress they feel from elementary school life can be reduced and they can have the technology necessary fo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version program based on a logic model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the basic level so that it can assist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apt to their initial school lives. To achieve this purpose of study a diversion program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n elementary school life has been developed. The development steps are as followings: the first step was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material collection; the second step was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oing to elementary schools; the third step was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which social welfare work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are included. And the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eveloped, the comparison analysis on pretest-posttest and the analysis on the individual goal attainment have been made for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meeting was made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ren participated, and the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ve been verifi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8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or autistic disorder) who were going to enter ordinary elementary schools in March, 2014, and they are divided in two groups for the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a divers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s on the basis of a logic model. The developed program was consisted of 8 sessions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ing spot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elf-help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socializing technology and learning technology; secondl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intended to be verified on a basic level. For it participant children's pretest-posttest comparison verification was done, but significant effectiveness has not been identified. It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limit that a short program of 8 sessions has made it difficult to see the changes i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by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scale item contents and the contents actually carried out in the program. However, in the evaluation meeting with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it has been shown that it had a positive influence as they had expectations on school life and they can learn the technologies necessary for the school life. And the analysis of goal attainment scale result by participant child has shown overall rise in 5 children out of participant 8 children. Seen from the result the diversion program for the adapt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life can be said helpful.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in this study a divers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life and it can influence positively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ly, family assistance has been made simultaneously by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through consultation as well as by the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l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any things have been done such as pretest-posttest comparison verification and individual attainment scale analysi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and evaluation meeting with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fourthly, the program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when social welfare program is developed in future as the program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a logic model that is widely used in social welfare practicing spots. Successive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chool life are expected to be followed starting from this divers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chool life and the investigation on its effectiveness. 아동에게 있어 학교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자 새로운 지식과 규칙을 배우는 장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특히 초등학교는 공교육의 시작점이 되는 곳으로, 정서와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곳이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 진학하여 적응하는 과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발달장애아동의 경우 비장애아동과 비교할 때,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언어적 발달이 지연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 속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초등학교 입학에 대하여 느끼는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익혀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발달장애아동의 초기 학교생활 지원을 위하여 논리모형을 토대로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초 수준에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졌다. 개발 단계는 1단계 문헌 연구 및 자료수집, 2단계 초등학교에 진학하여 생활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3단계 사회복지사, 특수교사, 일반 교사 등이 참여한 전문가 집단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다음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비교 분석과 개별 목표 성취에 대한 분석이 실시되었다. 또한 참여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강․약점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4년 3월 일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는 발달장애(지적장애․자폐성장애)아동 8명 이었으며, 2개 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신변자립기술, 의사소통기술, 사회성기술, 학업기술의 내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의 기초 수준에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참여아동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유의미한 효과성을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이 8회기라는 단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발달장애 아동의 변화정도를 보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점과 더불어 척도 문항 내용과 실제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졌던 내용에서 오는 차이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 하지만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회의에서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교생활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되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아동별 목표성취척도 결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8명의 아동 중 5명의 아동에게 전반적인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은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만을 대상으로 개입한 것이 아니라 상담 등을 통하여 부모에 대한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가족 지원이 병행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참여 아동의 사전-사후 비교 검증 및 개별 성취척도 분석, 참여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프로그램 평가회의 등을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추후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은 더욱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를 계기로 발달장애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확대 실시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