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결혼 이주민 관광통역안내사의 노동경험과 정체성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조선족 출신 여성 관광통역안내사를 대상으로-=

        박인숙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로 활동하고 있는 중국 동포(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통하여 이들의 노동 경험을 구조적 으로 탐구하려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노동시장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참 여하고 있으며 어떠한 장벽에 직면하고 극복하고 있는지, 출신 국가 및 한 국에서 얻은 다양한 자원이 이들의 노동 경험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들 의 정체성 인식이 노동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 간 중국 동포 관광통역안내사 6인에 대한 개별 심층인터 뷰를 진행하였고, 심층 코딩 작업의 결과로 나타난 코드들을 비교 대조 하고 서로 연결시키면서 핵심 주제를 생성 또는 발견하며 결론을 도출하 였다. 분석결과 의미 있는 진술 189개를 추출하였고, 8개의 중심 의미를 조직하였다. 총체적인 발견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관광통역안내사 노동경험은 중국 동포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 에 더 빨리 적응하고 한국구성원과 심리적으로 동등한 위치에서 한국인 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 동포 결혼 이주여성들은 출신국 중국어 능력과 조선족 사회에서 구축된 한국어 구 사력,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중국어 인바운드 관광시장이 선호하는 핵 심 인력으로 활약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 동포 결혼이주여성에게 가장 큰 노동 장벽은 중국 동포 출신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인 시선, 쇼핑실적 에 대한 과도한 압박이었다. 끝으로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함께 개인이 지닌 성향과 가치관도 정체성의 변화와 정립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주노동보다 급격히 증가한 결혼이주 현상 자체 에 주목하여 왔다. 또한 노동 이주와 결혼 이주를 뚜렷하게 구분함으로 써 결혼 이주자를 노동의 맥락에서 분석하는 작업은 소홀하게 취급된 면 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동포 관광통역안내사의 노동경험을 구조적으로 탐구 함으로써 이주민의 다양한 자원이 노동경험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이들의 노동 경험을 통한 정체성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이주 민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 인바운드 관광시장에서 결혼이주여성을 포함한 이민자 들의 언어⦁문화적 역량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관련 학계에서도 관광 통역 안내 등 관광업에 종사하고 있는 이민자들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하 여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이론적 토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 관광통역안내사, 노동경험, 정체성, 질적 연구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abor experiences of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who work as Chinese tourist interpreters in Korea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participants specifically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what barriers they face and overcome, how various resources acquired in their country of origin and in Korea are utilized in their labor experiences, and how their identity perceptions change through their labor experience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to September 2023,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Chinese-Korean tourist interpreters, and conclusions were drawn by generating or discovering core theme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odes that appeared as a result of the in-depth coding work and connecting them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89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8 central meanings were organized. The overal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 of tourist interprete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to adapt more quickly to Korean society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Koreans by standing shoulder to shoulder with Korean members. Second, the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ctive as key personnel preferred by the Chinese inbound tourism market based on their Chinese language skill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competence built in the ethnic Korean society. Third, the biggest labor barriers for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wer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ethnic Chinese origin, and excessive pressure on shopping performance. Finally, along wit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values also affect the change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So far, academia has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marriage migration itself, which has increased rapidly rather than labor migration. Moreover, by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the work of analyzing marriage migrants in the context of labor has been neglec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s the labor experiences of Chinese expatriate tour guides. It examines how immigrants utilize their diverse resources in their work experiences and how their identity perception evolves through labor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multifaceted exa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nts. In addition, it appears that in the inbound tourism market in South Korea, the language and cultural competencies of immigrants, including marriage migrant women, are strategically utilized. This also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immigrants working in the tourism industry, such as tour guides. Keywords : Tourist interpreter, Labor experiences, Identity, Qualitative study

      • Effect of partial densities on the fragility of binary Lennard-Jones glass-forming mixtures

        박인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Upon supercooling, liquid undergoes glass transition to form an amorphous structure. Structural and dynamical changes during the transition are one of the most debated issues in condensed matter physics. Particularly, structural differences of glass formers in the rate of freezing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strong?ragile behavior.Recently, a dramatic change in glass fragility has been observed within modified binary Lennard-Jones glass-forming mixture models, which resembles the conventional model except the management of the relaxation of large particles. By freezing the large particles at their thermal equilibrium configuration, the model exhibited significant fragility, while the corresponding conventional model has weak fragilenature. In this thesis, the role of partial volume and density of small particles that are constrained by the frozen large particle configuration has been considered. By selecting large particle configurations, effectively the same partial volume and density for small particles are provide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t various temperatures have been performed and the fragility change has been explored in details through the viscosity, free-volume, and force-network diagram. The change of strong-fragile glass which occurs during process of the formation for the glass has appeared separately in a cross over temperature, Tc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influence by the change of two-dimensional particle and the repulsive force in this temperature.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glass formation''s force by the repulsive force, we could observe the change of the force in the Tc by researching the network of two-dimensional force. 초냉각액체인 유리를 얼리면서 생기는 변화를 유리 전이 현상 이라하고 이것은 응축상 물리학 같은 고체 물리학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많은 의문점을 갖고 있다. 유리 전이 시 생기는 strongfragile 유리의 많은 원인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조망과 유리의 깨짐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밝혀내고 더 나아가 단백질의 3차원적 구조 꼬임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유리의 깨짐성이 급격히 변하는 현상은 두 개의 제안된 레나드-존스 모델에서 관찰하였는데 이는 큰 분자들을 이완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모델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큰 입자들을 고정시킴으로써 작은 입자들의 부분 부피와 밀도의 역할에 대해 연구한다. 작은 입자들에게 똑같은 부분 부피와 밀도를 효율적으로 만드는 큰 입자들을 선택하여 일부 온도에서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선택된 모델의 깨짐성을 구했다. 유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교차온도에서 깨짐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레나드-존스 입자 간에 생기는 자유 부피에 의한 변화와 교차온도에서 생기는 척력에 의한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척력에 의해 유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힘의 분포를 고려하여 교차온도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면서 유리 전이 원인규명 연구에 여러 원인을 제시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원인 규명 연구에 힘썼다.

      •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비교 연구

        박인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아동들은 여러 발달적 측면이 서로 통합되고 연계되어 성장하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있어서도 연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 현황을 알아보고 교수-학습 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사이의 연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두 기관 사이의 바람직한 연계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르는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은 어떠한가? 1)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직접 경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영상 경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추상적 경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유아주도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교사 유아주도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교사주도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초등학교와 병설 유치원 16개를 각각 표집하여 한 학교당 초등학교(1학년) 1학급 및 병설유치원 1학급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Dale의 경험 원추이론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x ²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 빈도는 유치원에서는 영상적 경험·직접 경험·추상적 경험의 순서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는 추상적 경험·영상적 경험·직접 경험 순서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교수-학습 매체가 유치원에서는 영상적 경험에서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추상적 경험에서 가장 낮은 활용도을 보이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추상적 경험에서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직접 경험에서 가장 낮은 활용도를 보인다. 직접 경험적인 교수-학습 매체로는 유치원에서는 리듬악기·실물자료를, 초등학교에서는 실물자료·학습 보조물·리듬악기 등을 많이 이용한다. 영상적 경험에 대한 교수 -학습 매체로는 유치원에서는 사진·그림자료를 초등학교에서는 실물화상기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셋째, 추상적 경험에 대한 교수-학습 매체로는 유치원에서는 정보지를, 초등학교에서는 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학습지, 정보지를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한다. 2. 교수-학습 활동 방법을 유아주도, 교사-유아주도, 교사주도의 세 가지로 나눌 때,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다같이 교사-유아주도의 활동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유아주도, 교사주도 순서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놀이에 비해 작업·조작·실험을 통한 방법이 유아 주도적 교수 학습 활동으로 양교육기관에서 같이 이용된다. 교사-유아주도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활용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모두 이야기나누기가 많이 이용되는 교수-학습 매체이다. 교사주도적 활동 방법인 설명식 수업은 유치원에서보다는 초등학교에서 유의하게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학생이 유치원 학생보다 지적 수준에 있어 한 단계 높다고 볼 때 이는 당연한 귀결일 것으로 해석된다. Now that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me developmental stages, it is desirable that you take correlations between them into account in instructional media use. This paper discusses their use in pre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comparing and analysing the methods. It will provide teachers with feasible suggestions for the linking education between them. The pending issues are as follows: 1) At present, how is instructional media use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1-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direct experiential applications between them. 1-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audio-visual experiential applications between them. 1-3)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symbolic experiential applications between them.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2-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child-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them? 2-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 and child-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them? 2-3)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them? For this, the investigation addresses the applicative conditions of the instructional media in each class of 16 elementary schools (first graders) including the attached kindergartens, situated in Hwasoon, Southern Cholla Province. Based on Dale's Cone of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calculation of frequencies and percentages per item followed by use of the chi-square test(x²).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kindergartens, the applicative priority of the instructional media was by order of audio-visual, direct and symbolic experience, while in the elementary schools by order of symbolic, audio-visual and direct experience. The kindergarteners liked direct experience better than the grade schoolers, as contrasted with the grade schoolers’ preference for symbolic experience. First, in an applicative way of the direct experiential instructional media, musical instruments and authentic materials were used much in the preschools, in happy contrast to more use of the authentic materials, the learning aids and the musical instruments by the first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Second, in the audio-visual experiential application of the media, the preschoolers had a preference for still pictures and graphics, which stood in contrast to the grade schoolers’ preference for use of visual presenters. Third, in the symbolic experiential use, information sources were used much in the kindergartens, and textbooks in the elementary schools.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media application of the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both of them gave a preference to the teacher and child-centered instructional activities, followed by the child-centered ones followed by the teacher-centered ones. In the applied consequences of the child-centered methods, first of all, the kindergarteners and grade schoolers developed a liking for tasks, manipulations and experiments rather than roleplaying games. Second, in the teacher and child-centered activities, all of them enjoyed sharing conversations with each other. Third, in the teacher-centered situations, unlike the preschools, the elementary schools chose to carry explanatory classes in preference to other activities.

      • 주기도문 사용에 관한 예배사적 문헌 연구와 한국교회 적용 방안

        박인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주기도문 사용에 관한 예배사적 문헌 연구이다. 주기도문은 예수가 친히 가르쳐준 기도라는 점에서 충분히 가치 있고 소중한데 그 사용에 있어서의 경시현상은 좌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전에서는 일관성 없는 위치선정, 적용성 여부의 불투명, 위치에 대한 불이해로 나타났고 교육적 관점에서는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 가르침의 부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는 진정성과 정체성의 상실, 행동화의 단절이 파악됐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비롯된 본 논문은 주기도문이 예배 요소가 되는 신학적 근거를 입증함으로써 예배학 측면의 실천적 접근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교회와 성도들로 하여금 주기도문은 선택사항이 아니라는 인식 함양과 함께 예배 안에서의 기도의 실행을 기대하였다. 그리고 예배 구조에서의 주기도문 활용 위치가 일률적이지 않음에 대해서는 이에 따른 신학적 역할론을 증명하였다. 주기도문에 관한 교육적 측면은 성경적인 선 이해와 신학적인 요소 재발견으로 이해도를 높였고 초기기독교와 교부들의 가르침을 습득하는데 주력하였다. 주기도문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새신자, 세례자, 가정교육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락시스적 접근 방식으로 활성화를 기했다. 그 뿐 아니라 교육 내용은 접근이 용이하도록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점진성과 세부적 방식에 차등을 두었다. 모든 교육 내용에는 주기도문 이해의 다각화를 시도함으로써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목표한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은 주기도문 이해의 고취, 배움에 대한 함양, 이론이 아닌 현장감 상승, 적용적 가치의 확신에 있다. 또한 예배사적 큰 틀에서 주기도문을 중점적으로 관찰한 점과 주기도문 위치에 따른 신학적 의미를 도출한 점 그리고 한국교회 예배 문헌을 시기별․교단별로 분류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 점은 타 연구와의 차별성 내지는 독특성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historical literature study on the use of the Lord's Prayer. The Lord's Prayer is valuable and precious enough in that it is the prayer taught by Jesus himself. It is the reason that the slight phenomenon in its use cannot be ignored. In the past, there was inconsistent positioning, an opacity of applicability, and an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absence of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teachings was confirmed. And for Christians, the loss of authenticity and identity and the disconnection of activism were identified. This paper, which originated from such problem recognition, provided a practical approach to the worship studies by proving the theological basis that the Lord's Prayer is the element of worship. This led th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to realize that the Lord's Prayer was not an option and expected to practice prayer in worship. Also, the theological role theory was proved according to that the use of the Lord's Prayer in the worship structure is not uniform.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Lord's Prayer was improved with biblical understanding first and the rediscovery of theological elements and focused on acquiring teachings of the early Christians and Church Fathers. The program to educate the Lord's Prayer was aimed at new believers, baptists, and home-educ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are differentiated in a gradual and detailed mann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tuation in the field for easy access. In all teaching, the goal is to become a mature Christian by attempting to diversify the understanding of the Lord's Prayer. The cor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Lord's Prayer, to cultivate learning,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sm, not to theory, and to convince of applied values. Also, the differentiation or uniquenes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re are the main observations of the Lord's Prayer in the context of worship history,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derived from the position of the Lord's Prayer, and the in-depth consideration of the Korean church worship literature was classified by the time and deno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