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조직건강에 관한 연구 :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은주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이 실제 체감하는 학교조직의 건강정도와 학교조직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 분석함으로써 학교 조직이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이 인식하는 학교의 조직건강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조직건강정도와 조직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교육행정직공무원과 학교장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학교조직 건강정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학교 조직건강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왕기항(1981)의 학교 조직건강의 진단모형을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의 실제업무와 관련한 질문으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학교의 조직건강은 학교 조직의 성과, 유지, 성장·변화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내용을 구성하였다. 학교 조직이 건강하다는 것은 조직이 환경변화에 잘 대처하면서(혁신성, 자율성), 유지·발전을 계속해 나가고(응집성, 신뢰성), 조직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목표지향성, 권력의 적정한 분산, 의사소통의 적절성) 잠재적 능력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조직건강의 3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 ·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조직의 성과와 관련한 건강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이 3.91(중앙값=3.00), 학교 조직의 유지와 관련한 건강정도는 평균이 3.88, 학교 조직의 성과와 관련한 건강 정도는 평균이 3.69로 나타나 학교 조직건강 정도가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에서 학교 조직의 성장 · 변화와 관련한 ‘혁신성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은 학교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의 조직의 성과, 유지, 성장·변화와 관련한 건강 요인과 조직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의사소통의 적절성, 신뢰성, 혁신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조직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 신뢰할 수 있어야 하고,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 새롭게 변화하려는 학교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행정직공무원과 학교장의 배경변인과 조직건강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행정직공무원의 경력, 직급, 학교규모, 최종학력과 학교장의 경력이 많아질수록 학교조직이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이 경력이 많아질수록 직급이 높아지며, 근무 환경이 보다 나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대적인 예우 등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조직의 건강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 조직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원활한 의사소통과 새롭게 변화하려는 혁신이 가장 중요하다. 신뢰, 의사소통, 혁신은 지도성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최근 우리나라 고위공무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교 조직을 보다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들 건강구성요인을 중심으로 지도성 함양, 핵심 역량 배양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방법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stic pla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who are working for school, to develop their healthy school organiz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health and satisfaction toward school organization. To reach these goal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inquiry for this study. First, how is the degree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from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points of view? Seco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 satisfaction? Thir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recognizing the degree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and schoolmaster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is reorganized a Kee-Hang Wang's diagnosis model for school organization health (1981) into the questions related 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real duties. The survey was classified and organized with three main factors for school organization health, which are an outcome, maintenance, and growth/ change about school organization.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means that the organization is well conducting the environmental change (innovation, self-regulation), continuing maintenance and development (cohesion, trust), and having potential ability to effectively accomplish organizational goals (goal-aiming, pertinent dispersion of power,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after examining and analyzing three main factors for organization health.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degree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is favorable. That is, the degree of health related to school organization outcome yielded the average of 3.91 (Mdn=3.00) out of 5, the degree of health related to school organization maintenance was the average of 3.88, and the degree of health related to school organization outcome was the average of 3.69. Among these, it revealed that the 'the degree of innov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growth and change about school organization, was rated as the lowest. It means that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recognized 'innovation' as the most needed one to intend to develop the school organization. Secon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factor related to outcome, maintenance, and growth/change of school organization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 satisfaction, it showed high correlation. And it revealed that they were highly affected by the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on, trust, and innovation. To have a healthy school organiz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they must rely on each other and make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t also revealed that the school environment, which encourages to be newly changed, should be formed. Thir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 health about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and schoolmasters, it revealed that if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have more careers, higher positions, bigger school size, higher final degree, and if schoolmasters have more careers, then they tended to perceive the school organization as safer. That is becaus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eholders are getting higher positions, moving to more favorable work environments, and receiving relatively more respects with more care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indicates the following conclusions that could improve the degree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To make the school organization healthy, more than anything els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based on trus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Trust,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make leadership and the core capability that is currently required for high ranked officeholders in Korea. Thus, to make the school organization healthier, the realistic educational methods need to be investigated for the improvement of leadership, nurture of core capability focused on the health organization factors.

      • 박완서 자전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 기억의 반복과 상처 치유를 중심으로

        박은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고는 작가 박완서의 자전소설을 검토하여 시대에 따른 자전소설의 변모 양상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자전소설은 1970년부터 1979년까지로 『나목』,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틀니」, 「부처님 근처」, 「카메라와 워커」를 중심으로 작가의 한국체험을 형상화 하고 있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허구적으로 나타내면서 전기적 사실이 은폐 되어 나타난다. 중기 자전소설은 1980년부터 1990년까지의 시기로 초기의 자전소설에서 나타난 사실의 ‘은폐’가 완화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시기의 소설은 주로 작가의 ‘회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엄마의 말뚝 1,2,3」, 「사람의 일기」,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를 중심으로 개인들의 상처가 타인의 상처와의 대면을 통해 비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후기 자전소설은 1991년 이후로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등의 텍스트를 통해 전기적 사실의 사실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자신의 사적 체험을 동시대인들의 아픔에 호소하여 진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박완서는 자전소설을 통해 자신의 사적 체험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었다. 나아가 소설가로서 시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진정성을 확보하여 자신의 사적체험을 대중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었다.

      • 北韓 美容 實態에 關한 硏究

        박은주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the beginning, there was an instinctive human desire to be beautiful. A human's beauty is normally expressing by their external appearance, like they are trying to make themselves look good by hair style, make up, and clothes. An era's culture appears to reflect things like values, ideology, lifestyle, art form, economical, social, political, etc. The speed of the change and character show variety of aspects, among these, beauty culture is an well indicated element which is keep alternating and product of material, social and mental. The standard of beauty can be personally prefer, but it is changing by social awareness. Individual's external appearance can also be the standard of judging his/her social position. So that a human's beauty culture appears differently by the time and community. Today, our country, which is the only divided country among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for 60 divided years of having different politic, economy, and culture, now we are in a serious situation of dual living. Providing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Not feeling the necessity of advance preparation for politics and economics, but many-side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North Korean's beauty culture is needed. Even though, North and South have the same history and language, since dividing into parts, the language that we use begun different. As the result of comparing North and South Korea's language and looking into North Korea's beauty industry, knowing North Koreans lifestyle as a beauty artist is as follows. First of all, North Korea's vocabulary is basically corrected from Chinese character and have a lot of words meaning revolution. Above all things, because they do not use English which is a world common language, the words being used in beauty industry is different. It causes serious problem in communication between two countries and remaining as a subject. Secondly, looking into beauty industry. Owning a beauty salon individually is not allowed in North Korea, every beauty salon is running by the government. They have a chart showing hair style numbers with its names hanging on the wall, so people can choose what they want. Men and women are being regulated not to have long hair, and women can not ware short skirt. It is advised to have short hair for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Dying hair is only being done to cover white hair and criticising that the light color is for those who are in a capitalist country. Because, the supplies of women makeup is not much and expensive, it is normally being used among executive and wealthy people, can see ordinary women does just basic make up. Taking 1989 Pyoung Yang festival as an opportunity, North Korean's hair style, make up and clothing got better and various. However, it is strongly understood as a capitalist style. An interview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 was more specific and realistic. The supplies of industrial product not being done freely, Chinese products are coming into market. Mos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ming from Chinese border line,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life in North and what we can see and hear from TV or news papers, however it would be pretty much the same.

      • 청소년 부모를 위한 교회교육

        박은주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부모를 위한 교회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법을 제안하였다.

      • R. Strauss의 Vier Letzte Lieder에 관한 연구 : Frühling, September, Beim Schlafengehen의 시, 성악선율, 오케스타라의 색채감을 살린 피아노 반주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박은주 삼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R. Strauss의 Vier Letzte Lieder에 관한 연구 (Frühling, September, Beim schlafengehen의 시, 성악선율, 오케스트라의 색채감을 살린 피아노 반주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Richard Strauss(1864-1949)의 오케스트라 반주에 의한 가곡 <Vier Letzte Lieder>(네 개의 마지막 노래, 1948)에서 Hermann Hesse의 낭만주의적인 죽음에 관한 3편의 시에 의한 3곡을 피아노 반주부로 편곡한 악보를 중심으로 시와, 성악선율, 오케스트라의 색채감을 살린 피아노 반주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Strauss는 19세기 말 낭만음악에서 20세기 초 현대 음악으로 향하는 전환기에 활동하던 작곡가로 낭만주의적 표제음악의 전통을 이은 작곡가이다. 피아노에만 의존하던 이전의 가곡과 달리 그의 가곡들은 화려하면서도 풍부한 색채를 갖게 하는 오케스트라 반주를 가진 작품이 많다. 일생동안 200곡이 넘는 가곡을 남겼으며 본 논문에서 다룰 <Vier Letzte Lieder>는 인생 말년의 작품으로 오케스트라와 소프라노를 위한 곡이다. 시의 내용과 음악을 일치시켜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것을 중요시했던 그의 음악관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Hesse의 시를 통해 Strauss 자신의 인생의 회고록을 <Vier Letzte Lieder>라는 곡 가운데 담아내려 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Vier Letzte Lieder>를 통해 Strauss 가곡들의 일반적 특징들이 이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의 내용과 음악을 일치시켜 완벽한 조화를 추구하던 그가 성악선율과 반주선율을 어떻게 이끌어 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 작품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 이 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정확하고 아름답게 이 곡이 표현되기를 바란다. 또한, 앞으로 Strauss의 오케스트라 반주에 의한 가곡들이 폭넓게 연구가 이어지고 가곡을 작곡하거나 편곡하는 작곡가와 편곡자들이 시를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함으로 곡의 품위와 예술성이 높은 차원으로 향상되며 새로운 아름다운 가곡들이 계속해서 탄생되길 기대해본다.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유형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

        박은주 全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유형이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의사소통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직할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386쌍의 남·여학생과 그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nes와 Olson (1982)이 제작한 부모와 청소년자녀 의사소통 척도와 선행연구들 (이정우와 김규원, 1989; 최선남, 1990)의 의사소통 유형을 참고로 하였고,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Olson과 Portner, Lavee(1985)가 제작한 FACFS III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쌍체 T검증, x²-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그러고 통계처리는 PC기종을 이용한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자녀 모두 하루평균 대화시간은 1시간 미만이 대부분이었고, 대화 시간에 대한 느낌은 보통이다, 충분하지 않다. 충분하다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화시간이 부족한 가장 큰 이유는 서로 함께 있는 시간이 적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평일에 주로 대화하는 시간은 휴식·식사시간이었고, 대화내용이나 대화 방식에 대한 만족은 보통이거나 만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대화하고 싶은 경우와 다른 사람과의 대화정도에서 어머니·자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대화내용별로 어머니의 대화하는 정도는 자녀보다 많았고, 어머니의 만족도도 자녀보다 높았다. 전반적으로 어머니와 자녀가 인지하는 의사소통 유형은 53.1%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가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양방개방형으로 인지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에 자녀는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양방차단형으로 인지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어머니·자녀 모두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이 중간점수보다 높였고, 어머니 보다 차녀가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이 낮았으며, 어머니·자녀 모두 희망하는 응집성 및 적응성이 현재의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보다 높았다. 2. 의사소통 유형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성별과 형제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의사소통 유형은 의사소통 변인 중 어머니·자녀 모두 대화시간, 대화시간에 대한 느낌, 대화내용·대화하는 방식에 대한 만족, 대화내용별 정도와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외에 어머니는 대화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부족이유와 자녀와 대화하고 싶은 경우, 자녀는 평일에 주로 대화하는 시간과 어머니외 다른 사람과의 대화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3. 어머니의 응집성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적응성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종교 유무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자녀의 응집성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성별과 출생순위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적응성은 성별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또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은 의사소통 변인 중 어머니·자녀 모두 대화시간, 대화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부족이유, 대화내용·대화하는 방식에 대한 만족, 다른 사람과의 대화정도, 대화내용별 정도와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외에 어머니의 응집성과 자녀의 응집성 및 적응성은 대화시간에 대한 느낌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4. 어머니·자녀 모두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친 변인은 어머니·자녀 모두 양방개방성으로 나타났다. 단, 응집성의 경우 어머니는 대화내용별 만족도, 자녀는 모차단-자녀개방성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유형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2. 어머니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에는 사회인구 학적 변인보다 의사소통 변인이 더 중요한 관계가 있다. 3.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유형이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양방개방성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자녀 모두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면 가족원간의 정서적인 유대감인 응집성과, 발달적·상황적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때 이것에 더욱 잘 대처할 수 있는 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general trends of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o estimate the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pattern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communicative variables, and to analyze communication variables which influenc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e samples were-se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in Kwang-ju and 386 coupl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Barnes & Olson (1982)'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PACI) and the communication pattern of precedent research (Jung-Woo Lee & Kyu-Won Kim, 1989: Seon-Nam Choi, 1990) were used to measur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pattern. And Olson, Portner & Lavee(1985)'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FACES I) were used to measur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methodological instrument. Statistical method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Faired T-test, Chi-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reliability tes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2. Among conversation variables, mother-adolescent average conversation time a day was relatively lacked. Communication degre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mot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adolescents. The communication pattern of mother and adolescent didn't agree by 53%. And mothers highly perceived mother-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pattern, but adolescents highly revealed mother-adolescent close communication pattern. The general trends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showed that mothers and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middle score, but adolescents were lower than mothers and desire was higher than reality. 2. Communication patter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sex, brother number, and communication variables such as average communication time with mother and adolescent, feeling at the amount of communication time, satisfaction at communication content and communication style, degree of communication contents and degree of satisfaction at commnunication contents. Family cohe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olescent's sex and birth order. And adapt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ther's religion and adolescent's sex. In addi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verage communication time with mother and adolescent, satisfaction at communication content or communication style,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degree of communication contents, and degree of satisfaction at communication contents. 4.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atunication pattern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patterns were crucial to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specially, open communication pattern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s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 communication patterns in order to increas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wer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posed that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must try to increase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to solve the family problem through open communication pattern and their congruence in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