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임계유체를 사용하여 생산한 insulin nanoparticles의 thermal behavior에 대한 이차원상관분광분석
박연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SEDS (solution enhanced dispersion by supercritical fluids) 공정은 좁은 입자크기 분포에 따르는 단백질 나노입자를 생산하는데 매우 흥미롭고 강력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 SEDS 공정은 인슐린 나노입자를 생산하는데 사용되었다. ethanol (EtOH)과 dimethyl sulfoxide (DMSO)는 수용액상의 단백질 용액에서 물을 추출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돕는데 사용되었다. 각각의 막대형과 구형인 인슐린 나노입자는 EtOH와 DMSO 용액으로 다른 첨가제 사용 없이 성공적으로 생산되었다. 두 다른 모양의 인슐린 나노입자의 분자 구조와 열적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초임계유체로 생산한 인슐린 나노입자의 온도의존 적외선 스펙트럼 (temperature-dependent infrared (IR) spectra)에 이차원상관분광학 (two-dimensional (2D) correlation spectroscopy)을 적용하였다. 이차원상관분광학은 물리, 분석, 고분자 나노물질 및 생화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이들 연구에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차원상관분광학은 온도, 압력, 농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섭동 (perturbation)에 의해 변화하는 어떤 시스템의 변화를 다양한 분광학적 (적외선 (infrared, IR), 라만 (Raman), X-ray 흡수 분광학 (XAS) 등) 방법으로 관찰하여 나온 스펙트럼을 해석하는 새로운 분광분석법이다. 또한 이차원상광분광학은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MT (eigenvalue manipulation transformation)등과 같은 다양한 케모매트릭스 (chemometrics)와 결합하여 더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막대형과 구형인 인슐린 나노입자의 열적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차원상관분광학을 수행하였다. PCA-이차원상관분광분석법 결과 두 인슐린 나노입자의 분자 구조가 다르고, 열적 변화 또한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Solution enhanced dispersion by supercritical fluids (SEDS) process is a very interesting and powerful technique to produce protein nanoparticles with a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is study, SEDS process was applied to produce insulin nanoparticles. Ethanol (EtOH) and dimethyl sulfoxide (DMSO) were used to help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o extract water from the aqueous protein solution. Rod and spherical shapes of insulin nanoparticl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from EtOH and DMSO solution, respectively, without using any additive. To investigate molecular structures and thermal behavior of two different shapes of insulin nanoparticles, two-dimensional (2D) correlation spectroscopy was applied to the temperature-dependent IR spectra of insulin nanoparticles produced by supercritical fluid precipitation. Furthermore 2D correlation spectroscopy in combination with chemometrics techniques are powerful in more detail spectral analysis. Therefor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2D (PCA2D) correlation spectroscopy with eigenvalue manipulating transformation (EMT) technique which uniformly lowers the power of a set of eigenvalues was also performed to better understand the thermal behavior of rod and spherical shapes of insulin nanoparticles. PCA2D correlation spectra showed that molecular structure and thermal behavior of two different shapes of insulin nanoparticles are different.
캐빈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육훈련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박연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기업의 교육훈련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육훈련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 중에 개인의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 여부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에 더하여 사회적 자본의 역할 여부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사회적 자본의 역할과 관련하여서는 개인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육훈련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관여를 하는지 여부 즉 조절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보자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신감, 복원력 모두 교육훈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긍정심리자본이 교육훈련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사회적 자본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긍정심리 자본 중 자신감은 조절효과를 갖지 않으나 복원력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분석해 보자면, 자신감과 복원력이 모두 교육훈련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긍정심리 자본의 중요성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 자본 역시 교육훈련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는 서비스기업의 교육훈련 방식과 체계, 효과증진을 위한 개선책 등 다양한 방면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긍정심리자본 관련 신규 인력채용이나 인적 자원배치 등에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that Appreciation Program Adapted Group Art Therapy Causes to Elder Female’s Life Satisfaction and Ego-Integrity Park, Youn-ju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Human Care Daegu Cyber University Supervised by Jun, Young-suk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how adapting appreciation program into Group Art Therapy affects elder female’s life satisfaction index and ego-integrity. The study subjects are composed of 22 females who are older than 65 years living in nursing home in D city and agreed to the study. We have made 2 groups of 11. One group is the study subject group and the other is the controlled group. Since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total of 12 sessions are completed. For the study tool, Life Satisfaction Index developed by Yoonjin (1982) and ego-integrity index developed by Jooyeon Hong (2000) was used as questionnaire tests. Pre, post, and 2nd post tests were performed to the subject study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e have used Tree Drawing Test for a drawing test and the same as the questionnaire tests, pre, post, and 2nd post tests were performed to the subject study group. We have used converted the collected result data into numerical score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AS 9.4 program. First, we have performe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equivalence verification. Als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s (the study subject group, the controlled group) and the test period (pre test, post test, and the second post test), we have performed two-way ANOVA using the test period as a repetitive measuring factor. Additionally, in case of existence of interactive effect, we have only verified the main effect and in order to compare the test period of the groups, we have performed the second post test. For the study subject group’s tree drawing test, in order to obser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s (the pre and the post tests, the post and the second post tests), we have performed matching sample t-test. Furthermore, we have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each state during the test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and ego-integr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attended Group Art Therapy with Appreciation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an the group who did not attend and the effect was continued. Additionally, Tree Drawing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n quantity and quality aspect. I was able to observ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therapy. Group participants changed their personality into positive and thankful way. Second, group who attended to Group Art Therapy adapting Appreciation Program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n ego-integrity and the effect was continued. I was able to observe change on ego-integrity. Group showed expressing more emotions, accepted death in positive way, and built their plans for the rest of life. For the summary of the result, Group Art Therapy adapting Appreciation Program improved elder females’ life satisfaction and ego-integrity. This study provided positive emotion and interaction of Appreciation Program to the elder females so that they have emotional stability and a chance to look back their life. Especially, the points where that applying the Appreciation Program that only used for teenagers to the elder females and improving the effect by adapting with Group Art Therapy are important to the study. Keyword: Appreciation Program, Group Art Therapy, elder Female, Life Satisfaction Index, Ego-Integrity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B양로원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본 연구 목적에 동의하여 동의서를 제출하고, 집단미술치료 활동 수행이 가능한 여성노인 22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성하였다. 그 중 11명은 실험집단, 11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매주 1회, 매회기 60분씩, 총 12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설문지 검사로 윤진(1982)이 개발한 삶의 만족도 척도와 김정순, 홍주연(2000)이 개발한 노인의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림검사로는 나무그림검사를 실시했으며, 실험집단에게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각 검사의 채점기준에 근거하여 점수화 한 후, 통계적 분석으로 SAS 9.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과 검사 시기(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검사 시기를 반복측정변인으로 하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단순 주 효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집단과 검사시기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나무그림검사는 검사 시기에(사전과 사후검사, 사후와 추후검사)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회기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만족도와 자아통합감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별로 그 변화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추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무그림에서도 양적 질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치료회기 과정에서도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집단원들의 밝은 표정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자연스러운 감사의 표현이 많아지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통합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추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회기 과정에서도 자아통합감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감정표출과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남은 생에 대한 삶의 설계를 하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프로그램이 가지는 긍정적인 정서와 상호작용이 집단생활을 하고 있는 노인에게 적용됨으로써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고, 삶을 정리하고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히 아동·청소년에게 주로 적용되었던 감사프로그램을 노인에게 적용하였다는 점과 감사프로그램을 집단미술치료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박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오늘날 실용무용(스트릿 댄스)은 수많은 매스컴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있다. 그로 인해 실용무용 (스트릿 댄스)은 여러 가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용무용의 역사 및 용어 정리가 확립되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교육적 영역의 확립은 무용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학점은행제 시설 운영이 활발한 오늘날,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교 중 4년제 학교에서 운영 하고 있는 4개의 학교(상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국민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 한양대학교 부설 미래 인재 교육원,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을 선정하여 학교의 이론 및 실기교과목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문헌조사와 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선행 논문, 인터넷 조사, 통계치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각 학교 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적 발전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교육 목표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더 나아가 다양한 장르를 습득하고, 기초이론 및 실기 교육 습득하여 개인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둘째, 기관별 교육과정은 표준교육과정과 학점인정과목 (일반선택), 전공 심화 과정으로 구분되며, 표준교육과정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으로 심층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전공 필수는 총 8과목으로 기관별로 8과목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선택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모두 15과목 이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점인정 과목(일반선택)은 기관별 개설 운영과목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힙합Ⅰ,힙합Ⅱ의 과목은 4개의 기관 모두 운영 중이었다. 이는 각 기관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실용무용 관련 학점인정 과목이기 때문에 4개 기관 모두 운영 중인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학점인정과목(일반선택) 모두 힙합Ⅰ,Ⅱ를 제외하곤 대부분 순수무용 과목과 타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과목 수를 합한 이론 및 실기 과목 비율이 70% 이상 실기 과목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전공 심화 과목은 기관별 학과 교수역량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실용무용 역량을 채우기 위해 개설되고 있다. 과목은 락킹, 왁킹, 팝핀, 비보잉, 등으로 운영된다. 4개 기관 모두 모든 실용무용(스트릿댄스) 장르를 전공 심화 과목으로 운영 중이었다. 그중에서도 세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은 21세기 멀티 무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따라 개성과 특성이 보이는 다양한 전공 심화를 운영 중이었다. 그러나, 4개 기관의 전공 심화 과정 모두 실기수업으로 이론 수업이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연주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심부전을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저염식 이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A병원 심장내과 외래에 내원한 19세 이상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2020년 3월부터 2021년 4월까지 120명에게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4.0 for Windows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부전 환자의 저염식 이행도는 전체 평균 3.56±0.57점(5점 만점) 이었다. 저염식에 대한 지식 수준은 평균 정답률 5.78±1.90점(10점 만점), 가족의 지지는 전체 평균 3.71±0.76점(5점 만점) 이었고, 최근 한 달 동안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17.68±4.84점 이었다. 2. 저염식에 대한 지식은 직업이 있는 대상자(t=-2.029, p=.045)와 식이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t=-2.106, p=.037)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저염식에 대한 가족지지는 기혼인 대상자(t=-2.144, p=.034), 배우자가 식이 준비를 하는 대상자(t=4.065, p=.020)에서 높았다. 또한 Charlson Comorbidity Index가 2점 이상인 대상자(t=-2.138, p=.036)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 스트레스는 경제적 상태가 중간 혹은 그 이상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낮다고 응답한 대상자에서 높았다(t=-3.129, p=.002). 5. 저염식 이행은 음주보다는 금주하는 대상자(t=2.317, p=.022)에서, B-type Natriuretic Peptide 100pg/mL 또는 N-terminal pro B-type Natriuretic Peptide 162pmol/L 이상인 대상자(t=-2.892, p=.005)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6. 식이 관련 특성은 스트레스와 연관이 없었고, 저염식에 대한 지식 수준은 저염식 이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대상자(t=-2.424, p=.017)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저염식 이행에 대한 가족지지는 심부전 진단 이전 식습관이 싱겁게 먹고(t=3.281, p=.041), 저염식 이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대상자(t=-2.629, p=.010), 저염식을 지키는 대상자(t=-3.305, p=.001)에서 높게 나타났다. 저염식 이행은 식이 관련 특성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저염식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ß=.476, p<.001), 저염식 이행도를 자가 평가 시 저염식을 지키는 편이라고 응답한 대상자(ß=.221, p=.002), 심부전 진단 이전 식습관 중 싱겁게 먹었다고 응답한 대상자(ß=.178, p=.007)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53.0%이다. 결론적으로 저염식 이행에는 가족지지가 가장 큰 변인으로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환경 개선 및 스트레스 관리, 저염식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저염식 이행 수준이 높음을 고려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study of self-deprecating bias towards own bodies in individuals with body dissatisfa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women with high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BD) have a self-deprecating bias towards bodies when evaluating bodies presented with their own or other woman’s faces. A total of 382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body dissatisfaction subscale of Eating Disorder Inventory-2.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15th percentil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igh BD (N = 26) and low BD (N = 27). The participants were shown the pictures showing characteristics of own, thin, average, fat, and muscular bodies with their own faces and with the face of another woman. Using an eye-tracking system, gaze duration was measured. In addition,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body attractiveness, emotional arousal, valence, body fat, and muscle mass on the bodies using PsychoP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participants gazed their own and thin bodies longer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ir own face was presented on them rather than with the other woman’s face. Especially, the high BD group rated their own bodies as less attractive, while they rated thin bodes as higher on attractivenes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high BD has thin idealization by gazing at thin bodies for a long time, with an attractive evaluation, and have a self-deprecating bias for their own bodies by looking at it for a long time, with a less attractive evaluation. It suggests that high BD has a self-deprecating bias towards their own bodies because of double standards applied to themselves and others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body. 신체불만족자는 이상적이라 여겨지는 마른 신체와 그렇지 않은 자신의 신체와의 지속적인 상향 비교를 통해 신체불만족 수준을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불만족자가 자신이나 타인의 얼굴과 함께 제시되는 신체를 평가할 때 자기 비난적 편향으로 인해 자신은 마른 신체여야 한다는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참가자는382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섭식장애질문지의 신체불만족 척도를 실시하여 상, 하위 15%에 해당되는 높은 신체불만족 집단(26명)과 낮은 신체불만족 집단(27명)으로 나누어, 5가지 종류의 신체(자신과 유사한, 마른, 평균 체중의, 뚱뚱한, 근육질의)에 대한 주의편향과 5가지 평정가(신체 매력도, 정서적 각성가, 정서가, 지방량, 근육량)를 측정하였다. 주의 편향을 알아보기 위해 5가지 종류의 신체를 자신 또는 타인의 얼굴과 제시한 후 안구추적장비를 이용하여 응시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각 신체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싸이코파이를 이용하여 5가지 평정가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참가자는 타인의 얼굴보다 자신의 얼굴과 함께 제시된 마른 신체 및 자신과 유사한 신체를 오래 응시하였으나, 높은 신체 불만족 집단은 마른 신체에 대해서 통제 집단에 비해 매력적이라고 보고한 반면, 자신과 유사한 신체에 대해서는 덜 매력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높은 신체 불만족 집단은 마른 신체를 매력적으로 평가하며 오래 응시함으로써 마른 신체에 대해 이상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자신과 유사한 신체를 덜 매력적으로 평가하며 오래 응시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에 대해 비난적인 편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신체불만족자가 신체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자신에 대한 이중기준으로 인해 자기 비난적인 특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 관광객의 한국 스파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박연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lection standard of spas user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nd regional satisfaction of using spas by conducting surveys for 148 spa user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rom 1st to 16th October in 2014 at the 'dayspas' in Seoul. This survey indicated users of three countries found information about spas from the Internet and the Japanese spa users who revisited the spas more than 5times were ranked the highest level of return visitors, which were 33 responders (55.9%). An importance of selection of spas for Korean and Chinese was the outstanding technique of therapy and for Japanese the quality of service. The image of the spas for Korean was luxurious skin care shop and fitness center, which 34 responders (33.0%) chose, for Chinese was Korean dry sauna and sauna, which 14 responders (42.2%) chose, for Japanese was luxurious skin care shop and fitness center, which 37 responders (38.1%) chose. It indicated that Korean preferred the Urban Spa, Chinese preferred the Medical Spa and Japanese preferred the Skin care shop in the hotel or resort. In the part of the awareness of the types of the spas, 84 responders (8.52%) answered Thai Massage, which was ranked the highest, 80 responders (8.11%) answered Head Spa and 76 responders (7.71%) answered Foot reflexology Massage. The purpose of visiting spa was that all three countries of spa users visited spas when they were tired. All three countries said mostly 'yes' on the recommendation of Spa Therapy and the inclination of Spa Therapy as the gifts.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gift cards of Spa Therapy which can give as the gifts to the other people. As the improvement for the future of the spa, all three countries needed the relaxing places after caring. Chinese felt inconvenient when they consulted programs and the satisfaction of overall communication with staffs, locations, products, facilities in the spas and specialized knowledge showed average 4points which was in high opinion. We hope that interest in study on beauty tourists of Chinese increase more.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스파 이용객의 한국스파 선택 기준과 스파 이용실태 및 국가별 만족도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데이스파 4곳에방문한 한국, 중국, 일본 스파 방문자들 148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01일부터 10월 19일 까지 스파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국가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파 이용 정보는 세나라 모두 ‘인터넷’으로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 스파 방문자들이 ‘5회이상’이 33명(55.9%)로 재방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선택시 중요도는 한국, 중국은 ‘뛰어난 테라피 기술’을 꼽았고 일본은 ‘서비스’를 꼽아 관점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이미지는 한국은 ‘고급 피부 관리실, 체형관리실’ 34명(33.0%), 중국은 ‘찜질방, 사우나’ 14명(42.4%) 일본은 ‘고급 피부 관리실, 체형관리실’ 37명(38.1%)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스파는 한국은 ‘도심형 스파’ 중국은 ‘메디컬 스파’ 일본은 ‘호텔, 리조트 내 피부 관리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종류 인지도에서는 ‘타이마사지’ 84명(8.52%)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헤드스파’ 80명(8.11%), ‘발반사 요법’76명(7.71%) 순으로 많이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방문 목적으로 세나라 모두 ‘몸이 피곤할 때’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테라피 권유와, 선물 의향에서도 세나라 모두 ‘그렇다’는 대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테라피를 선물 할 수 있는 ‘상품권’ 형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 향후 개선 방향에서 보완점으로 세나라 모두 ‘관리 후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 일본, 중국의 스파 방문자들의 스파를 선택하는데 있어 국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국가별 고객들의 스파 만족도를 높이는 마케팅이 활성화되어 스파 재방문율이 올라가고 일본에 비해 중국 스파 방문자가 적어 중국뷰티 관광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길 바라는 바람이다.
서양애기장대 내 Brassinosteroids 전사인자 BZR1에 의한 병 저항성 조절 기작
식물 호르몬은 미량으로 식물의 생장과 발달을 조절하는 물질이며 다양한 종류의 호르몬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식물의 유일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Brassinosteroids (BRs)의 신호전달 과정이 다른 식물호르몬들의 함량을 조절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BR 신호전달 과정에서 전사인자 중 하나인 BZR1을 중심으로 Salicylic acid (SA) 함량 조절과 이를 바탕으로 한 서양애기장대 내 면역 반응 조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병원균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을 관찰하여 BZR1 기능을 획득할 경우 식물체의 병 저항성 증가가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terial population을 비교한 실험에서도 Col-0에 비해 bzr1-1D의 잎에서 병원균이 잘 살아남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 SA 축적은 중요한 면역신호이기 때문에 병원균 Pst DC3000 감염 전후로 Col-0와 bzr1-1D 기능획득 돌연변이체에서의 내생 SA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병 감염 전에는 Col-0와 bzr1-1D 돌연변이체에서 내생 SA함량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감염 후에는 Col-0에 비해 bzr1-1D 돌연변이체에서 내생 SA 함량이 훨씬 많았다. 이를 통해 BZR1 기능획득이 서양애기장대 내의 병 저항성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bzr1-1D에서 병 감염 시 SA 내생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BZR1이 SA 생합성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지 확인하고자 했다. qRT-PCR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분석을 수행하였고 Col-0에 비해 bzr1-1D 돌연변이체에서 10배가량 높은 ICS1 유전자 발현량이 나타났다. SA 생합성 유전자 ICS1의 프로모터와 BZR1의 결합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확인하기 위해 Electrophoresis Mobility Shift Assay (EMSA)와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 (ChIP)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BZR1이 pICS1의 cis-element에서 BRRE 서열이 포함된 probe에 직접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후 병 감염 시 BZR1에 의해 SAR를 유도하기 위해 일어나는 NPR1과 PRs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했다. SA response 유전자인 PRs은 병원균 감염 시, Col-0보다 bzr1-1D에서 높은 발현량을 보였지만, NPR1의 경우에는 반대의 양상을 보이며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BZR1에 의한 NPR1-independent 경로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했다. SA 처리 시 BZR1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NPR1-independent 경로의 존재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동시에, SA에 의해 BZR1의 전사가 활성되면 SAR를 유도하는 면역경로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ZR1이 PR 유전자와의 직접적인 결합으로 NPR1-independent 경로를 거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EMSA와 ChIP-qPCR을 수행했다. 그 결과 BZR1은 PR5의 BRRE site에 결합하는 것을 알았다. SA 전사인자이자 PR1의 전사인자인 TGA가 BZR1에 의해 일어나는 면역 반응에서도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Col-0와 bzr1-1D에서 TGA1의 발현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병원균 감염 전후로 발현량과 발현 증가 비율이 Col-0와 bzr1-1D에서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했다. In vitro pull down assay를 수행하여 BZR1과 TGA의 결합을 확인했다. 따라서 BZR1은 TGA1과 결합한 상태로 PR5 프로모터에 직접 결합하여 SAR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BR 특이적 전사인자인 BZR1이 SA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경로와 SA response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경로를 통해 서양애기장대 내 병 저항성을 조절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kinds of plant hormone and they regulate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by small amount. Recently, possibility that Brassinosteroids (BRs), steroidal hormone in plants, can regulate biosynthesis of other plant hormones was confirmed.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studied that regulation of endogenous salicylic acid content and plant immune response by BR signal, especially a BR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BZR1. Observing disease symptom after pathogen inoculation showed that bzr1-1D has higher resistance than Col-0. In bacterial population counting, bzr1-1D showed less colony formation than that in Col-0. SA accumulation in infected bzr1-1D was much higher than Col-0 bu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intact plant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BZR1 has a function in plant immunity. To establish whether BZR1 affects the expression of SA biosynthetic genes analysis of qRT-PCR was performed. Bacteria infected bzr1-1D showed 8 times higher expression level of ICS1 than that in infected Col-0. Electrophoresis Mobility Shift Assay (EMSA) an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 (ChIP) results showed that BZR1 directly binds to the promoter region of ICS1. Next, qRT-PCR was performed to analysis expression level of NPR1 and PRs. When plants were infected by pathogen, SA response gene PR1 and PR5 expressed 5 times higher in bzr1-1D than that in Col-0. But NPR1 expression level showed opposite tendency with the result of PRs expression level. BZR1 expression level in SA treated Col-0 also showed that BZR1 can be induced by SA. Binding assay with EMSA and ChIP-qPCR was performed. These results showed BZR1 binds to PR5 directly and additionally demonstrated possibility of NPR1-independent pathway. Analysis of expression level of TGA1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PR1 transcription factor TGA1 works in the immune response by BZR1. As a result, the expression level and the increase rate of gene expression were similar in Col-0 and in bzr1-1D before and after pathogen infection. And then, BZR1 binding to TGA1 was proved by In vitro Pull Down Assa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thought that a BRs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BZR1 induces plant immune response against biotic stress by 2 pathways in Arabidopsis thaliana. The first pathway can be that BZR1 activates SA biosynthesis gene ICS1. And the second is considered to be an NPR1-independent pathway that BZR1 directly regulates SA response gene PR5.
한국영화제작산업 내에서 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라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상이한 환경특성을 가지고 있던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동한 한국영화 제작사를 대상으로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대표적인 적응행동이라 할 수 있는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이 두 기간 동안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실증하였다. 환경 구분은 한국영화제작산업의 근본적인 환경변화를 유발한 사건들을 조사하여, 1980년대를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은 T1 시기, 1990년대를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T2 시기로 구분하였다. 환경은 조직의 전략 선택에 영향을 주고, 조직은 처해있는 환경에 전략을 적합 시켜야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략적 상황이론 관점의 연구들과 영화제작산업 내에서 환경의 특성에 따른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T2)에는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T1)보다 영화제작사의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이 더 클 것이며, 환경의 불확실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영화제작사의 장르의 다양성과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은 성과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와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인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불확실성이 낮은 시기인 1980년대에 장르의 다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원 활용패턴에 있어서는 두 기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환경의 불확실성 정도가 높을수록 장르의 다양성이 성과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인적자원 활용의 다양성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조직은 환경과 적합한 전략 실행을 통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경쟁우위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시도하는 것은 환경과의 적합을 통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 직면한 국내영화산업 내에서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장르의 다양화를 통해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