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일본의 계모설화(繼母設話) 비교 연구

        박연숙 계명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literature dealing with the troubles between stepmothers and their stepchildren. However, oral tales, the spiritual product of the lower classes,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more detailed study of what kinds of oral literature exist and how it has been handed down has not begun in earnest. Also collecting materials and classifying them by types are urgent, as well as identifying rel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Korea has exchanged a lot of culture. In this study, Korean folktales about stepmothers handed down orally were classified, similar types to Japanese folktales were sorted out, and then similarity and differences by motifs were compared. In the review of folktale types, the position of Korean and Japanese tales were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was forecasted by comparing folktal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n Korea and Japan, when and how stepmother folktales in the two countries were formed and what the background of their being handed down for a long time is were examined. In ancient times, family systems in Korea and Japan were dominated by the paternal line. In the marriage system, however, the son-in-law stayed in the house of his wife's parents for a long time, and then returned after a designated period to his own family's home. Due to this circumstance, stepmothers and their stepchildren did have much time to stay together so that the probability of troubles was very low. The fact that documentary literature dealing with troubles between stepmother and stepchild remained in spite of the circumstances at that time tells us that tales of stepmothers had already been formulated. In the formation of stepmother tales in both countries, the story of maltreatment of the stepmother in the tales of filial devotion, Buddhism, and the virtuous woman from China, was significant. That stepmother tales have been continuously handed down to the present time might be derived from both cultural exchange as an external factor and the prevalence of documentary literature dealing with stepmothers as an internal fact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a change in the family system of patrilocal residence (夫處居住制) producing troubles with stepmothers, and a class of female readers enjoying stepmother stories emerged. Domestic moral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due to the emphasis of Confucian ideas by the reinforcement of Sung Confucianism. These social factors produced novels about stepmothers and made them popular. Also, in Japan a class of female readers existed in the Muromachi Period connected from the Heian Period, and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marriage system of paralegal residence. In addition, stepmother-type documentary literature, which deals with retributive justice and miracles from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ccording to the prevalence of Buddhism by taking advantage of the confused era caused by war, became widespread. Documentary literature contributed to the tradition by producing new tales about stepmothers as well as maintaining the previous oral tradition. 2. Collected tales about stepmothers were classified by motifs, and examined in regard to correspondence relation with types of Japanese folktales. The results are as below. The 151 pieces of stepmother tales were selected from Compendium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82 volumes and Korea Oral Tales of Im, Seok- Jae in 12 volumes. Most stepmother tales were developed by stepmothers who have hostile relationship with their stepchildren. In other words, (1) stepmothers joined a family member due to biological mothers’ death, (2) stepchildren were maltreated by stepmothers and (3) overcame the crisis due to the help of supporters, (4) stepchildren had happy marriage, and (5) stepmothers were punished. These organic compositions of tales showed the main theme of overcoming hardship miraculously. For 151 pieces of stepmother tales, they were classified by motifs and the orders of story arrangements so that 21 types of tales were found. Among the 21 types of oral tales, 10 types of oral tales corresponded to Japanese folktales registered in Inada Kouji’s A type index of folktales in General Survey and Analysis of Japanese Folktales Vol.28 (Dohosha, 1988) (hereafter referred to as ‘IT’); -01 “Kongjwi-Patjwi” (IT 174 “Komehuku Awahuku”), 02 “Yeoni and Willow Bachelor” (IT 192 “Stepchild’s Finding Strawberry”), 06 “Girl With No Hands” (IT 178 “Maiden Without Hands”), 07A “Medicine Liver” (IT 180 “Taking Liver Out from Stepchild”), 08 “U- mong-nang-sang” (寓目囊箱) (IT 189 “ShunTokumaru” (俊德丸)), 14 “Making Stepchild Fall into a Well” (IT 182 “Stepchild’s Digging a Well”), 15 “Head of Fish” (IT 626 “Stepchild and Fish”), 17 “Friendly Sisters by Different Mothers” (IT 188 “Ogin gogin”ㆍIT 185 “Leave Stepchild”), 18 “Fried Hempseed” (IT 193 “Stepchild and Fried Beans”), 19 “Changing a Sleeping Place” (IT 187 “Replacing with a Doll”). 3. The corresponding folktales were compared with their composition of motifs and elements, and verifi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as below. In ten corresponding types, main motifs making up each story were matched in several cases, and the arrangement can roughly be considered as the same type. On the contrary, even in the same type of folktales, detailed composition elements showed distinct differences in aspects such as social position of the hero, a supporter, success and marriage (realization of happiness), and punishment of the stepmother. The Korean tales generally consist of elements with strong Confucianism based on the society of the Yangban, the two upper classes of old Korea. Japanese tales consist of elements reflecting strong Buddhist beliefs based on that society. In the Korean type, sons or unmarried daughters of a Yangban family are the heroes or heroines, and there are many instances of help from the late mother to overcome difficulties caused by the cruel stepmother. In marriage, a hero or heroine marries a daughter or son of a Yangban family so that he or she recovers his or her social position and achieves happiness. Many heroes pass the state examination and gain fame, and also there are cases of a hero becoming successful through personal qualities. Also, strict punishment is inflicted on the evil stepmother. With these plots, Korean tales clarify ethics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show the values of perseverance, filial piety and human quality, justice, humanity, and the value of more than gaining fame. In the Japanese type, a hero or heroine is usually a son or daughter of a rich family and has divine protection in overcoming difficulties. A hero or heroine marries a daughter or son of a rich family, and then he or she becomes happy by recovering his or her social position and acquiring wealth. A stepmother is transformed into a plant or animal, goes blind or becomes a beggar, or is punished with death. Japanese tales display remarkable ethics of retributive justice and show faith in the gods or Buddha. As in the Korean type, Japanese tales are based on the value of perseverance and show values of wishes for wealth and cleverness to succeed. The reasons of having similarities in the same types of folktale from two countries, and differences in composition elements can be examined as below. The reason why the same types of folktales can be shared in both countries is that they had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mported similar types from abroad, respectively. More cases were found in the latter, and China accounted for the most of any other foreign country. This was possible because both countries were in a position to accept advanced Chinese culture. “Girl with No Hands” and “Friendly Sisters by Different Mothers” were the results of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n “Girl with No Hands”, Korea influenced Japan, and in “Friendly Sisters by Different Mothers”, Japan influenced Korea. Four types, “Kongjwi-Patjwi”(IT 174), “Head of Fish” (IT 626), “Fried Hempseed”(IT 193), and “Changing a Sleeping Place” (IT187), need more review to discover how the different countries influenced the tales. The first three types are similar to folktales found in China. There was a similar taste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hanging a Sleeping Place”, so it cannot be ruled out in regard to the oral tradition of literature. Three tales, “U-mong-nang-sang (寓目囊箱)”(IT 189), “Medicine Liver”(IT 180) and “Making Stepchild Fall Into a Well”(IT 182), were imported from China. With regard to “Yeoni and Willow Bachelor”(IT 192), Korea received it from China and localized it, and Japan accepted it from Europe during the country’s modernization period and localized it. Therefore the reason the two countries display differences in detail, not similarities in types, is that they placed relative importance on different cultural aspects at different times although they shared Confucian and Buddhist cultures. Different social structures, such as whether a state examination exists, changed the idea of pursuing happiness and moral consciousness against external violence. As Korea entered the period of Dynasty, Confucian culture was widespread in its society. On the other hand, in the Edo Period of Japan,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ruled the spirit of the populace. In addition to the prominence of Buddhism in the Japanese stepmother folktales, the “ShunTokumaru (俊德丸)” and “Taking Liver Out from Stepchild” types display splendid heroic action as a condition of marriage or affectionate emotion between man and woman. However, the Korean tale “Medicine Liver” shows confront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While the Japanese valued natural human feelings, Koreans, due to Confucian culture, reflected a matured consciousness of criticism in the face of confrontation instead of revealing natural emotions. 4.The position of Korean and Japanese tales were diagnosed through reviewing similar types of tales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 It was already known that the stories of “Kongjwi-Patjwi” and “Girl With No Hands” were internationally distributed. In this study, the types of Yeoni and Willow Bachelor” and “Changing a Sleeping Place” were newly revealed as being handed down in the West. “Friendly Sisters by Different Mothers” needs further review as to whether or not it was transmitted from China; however, all types except this were verified as being shared with China. Even with the exception of the Japanese “Yeoni and Willow Bachelor”, transmitted from Europe, East Asian countries have in distinctive commonality in folktales from the Confucian and Buddhist cultural areas compared to similarity to Western tales. It was assumed that the transmission route was mostly from China to Korea or Japan. Therefor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Japan formed the area of stepmother folktales so that comparative research becomes an urgentissue. As stated above, this comparative research classified Korean stepmother folktales and revealed the correspondence to Japanese tales. Also, it brought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to the fore by clarif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ame types and explaining the reasons. In addition, this comparative study can be regarded as meaningful by proposing dire needs of expanding comparative researches through excavating abundant resources of surrounding countries, such as China, Mongolia, Taiwan and so on, and diagnosing the position of Korean and Japanese stepmother folktales in the East Asia. 혈연이 아니라 의로서 맺어진 전실자녀와 계모간의 갈등을 다룬 기록문학은 상당히 전해져 이 방면의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저층의 정신적 산물인 구비문학은 소홀히 하여왔던 것이 사실이다. 어떤 내용이 얼마나 전승되고 있는지 본격적으로 개척되지 않았다. 자료를 수집하여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 시급하고, 문화교류가 많았던 인접 나라와의 관계를 따지는 것이 절실하다. 본고에서는 한국에 구전되는 계모설화를 분류하고, 일본과 유사한 유형들을 가려내어 모티프 분석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들을 검토함에 있어서는 동서양 유사설화와의 관계를 함께 다루어 한일 계모설화의 위상을 살피고 앞으로의 연구 향방을 전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과 일본에서 계모설화가 언제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유구한 세월동안 전승되어온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했다. 한국과 일본 고대의 가족제도는 부계족 원리가 우세하였으나, 혼인제도는 사위가 장기간 처갓집에 머물다가 일정한 시기가 되면 가족을 데리고 귀가하는 형태였다. 때문에 계모와 의붓자식이 함께 거주할 기회가 적었고 갈등이 생길 개연성이 매우 낮았다. 그럼에도 이를 다룬 기록문학이 남아있는 것은 당시에 이미 계모설화가 형성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계모설화의 형성에는 두 나라 모두 중국에서 유입된 효행설화ㆍ불교설화ㆍ열녀설화에 내재된 계모학대담이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한편 계모설화가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승되어온 배경으로는 문화교류의 외적 요인도 있었을 것이고, 내적 요인으로는 계모 이야기를 다룬 기록문학의 성행이 있었다. 조선시대 후반은 계모 이야기를 향유하는 여성독자층이 대두하였고, 계모와의 갈등을 생산하는 부처거주제(夫處居住制)의 혼인제도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성리학의 강화로 유교적 이념이 강조됨으로써 가정윤리가 무엇보다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인들이 계모형 고소설을 낳고 유행시켰다. 일본도 무로마치시대 즈음에 헤이안시대에 이은 여성독자층이 존재했으며, 취가혼(娶嫁婚)의 혼인제도의 변화가 있었다. 아울러 전쟁의 혼란기를 틈타 불교가 성행함에 따라 관음의 영험과 인과응보의 이법을 다룬 계모형 기록문학이 성행하였다. 기록문학은 이전의 구전을 유지시키는 한편 새로운 계모설화를 낳기도 하며 전승에 공헌을 한 것이다. 2. 수집된 계모설화를 분류하고 일본 유형과의 대응관계를 살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구비문학대계>(전82권)와 <임석재전집 한국구전설화>(전12권)에서 추려낸 계모설화는 151편이다. 이들 계모설화는 대부분 주인공이 되는 의붓자식과 적대 관계에 있는 계모를 주축으로 하여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1)의붓자식이 친모를 잃고 계모가 영입됨으로써 (2)계모의 학대를 당하고 그러는 중에 (3)원조자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하여 (4)성공하거나 행복한 혼인에 이르고 (5)계모는 처벌된다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유기적인 구성으로 의붓자식의 기적적인 고난극복의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자료 151편을 대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는 주요 모티프와 그 배열 순서를 기준삼아 유형을 분류하니, 21개의 유형이 검출되었다. 유형 21개는 田浩二의 <日本昔話通觀> 제28권 昔話타이프-인덱스(이하 IT로 약칭한다)에 등재된 일본의 설화유형과 대비하자, 유형 10개가 대응하였다. -01 콩쥐 팥쥐(IT 174 고메후쿠 아와후쿠), 02 연이와 버들도령(IT 192 의붓자식의 딸기 구해 오기), 06 손 없는 색시(IT 178 손 없는 처녀), 07A 약 되는 간(IT 180 의붓자식의 간 내기), 08 우목낭상(IT 189 순토쿠마루), 14 의붓자식을 우물에 빠트리기(IT 182 의붓자식의 우물 파기), 15 생선 머리(IT 626 의붓자식과 생선), 17 의좋은 이복 자매(IT 188 오긴 고긴ㆍIT 185 의붓자식 내다버리기), 18 볶은 삼씨(IT 193 의붓자식과 볶은 콩), 19 잠자리 바꾸기(IT 187 인형으로 바꿔치기) 3. 대응하는 각 유형들의 모티프 구성과 구성 요소를 검토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이 생긴 이유를 따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개의 각 대응유형은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모티프 여러 개가 서로 일치하고 그 배열 순서도 대체로 유사하여 동일 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 유형이라도 그 세부 구성 요소-주인공의 신분ㆍ원조자ㆍ성공과 혼인(행복성취)의 양상ㆍ계모의 징벌-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한국형은 대체로 양반사회를 배경으로 한 유교성이 짙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형은 민중사회를 배경으로 한 불교성이 짙은 요소들로 이루어져있다. 한국형의 주인공은 양반집의 자제나 규수가 되며, 악랄한 계모로 인해 겪는 역경을 극복하는 데는 죽은 어머니의 도움이 많다. 혼인은 양반집의 자제나 규수와 하여 하락한 신분을 회복하고 행복을 성취한다. 남주인공의 성공은 과거로 입신양명하는 일이 많고 인간적 자질로 성공하는 경우도 있다. 악질의 계모는 인위적 형벌로 엄중히 처단된다. 이러한 짜임으로 권선징악의 윤리관을 분명히 하고, 인내의 의지나 효성, 인간적 자질, 인간의 도리, 인간애, 그리고 입신양명의 이상 등의 가치관을 드러내고 있다. 일본형은 일반적으로 주인공은 부잣집의 자제나 규수이다. 역경의 극복에 있어서는 신불의 가호가 많고, 부잣집의 자제나 규수와 혼인하여 신분을 회복하고 부를 획득하는 것으로 행복의 성취가 달성된다. 계모는 동식물로 변하거나 실명하고, 혹은 걸인이 되거나 죽게 되는 징벌을 받는다. 죄 값에 대한 인과응보의 윤리관이 현저하며, 신불신앙의 종교관이 드러난다. 그리고 한국형과 마찬가지로 인내의 의지를 바탕에 깔면서 부에 대한 소망, 성공을 위한 기지 등의 가치관이 나타난다. 이렇듯 동일 유형을 공유할 수 있었던 공통점과 구성 요소의 차이점을 낳은 이유는 다음과 같이 보아진다. 동일 유형을 공유할 수 있었던 것은 한일 간의 직접적 접촉과 각자 외국에서 동일 유형을 수입한 것에 의한다. 후자의 경우가 많고, 외국은 중국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양측이 모두 선진된 중국문화를 수용하는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손 없는 색시>와 <의 좋은 이복자매>는 한일 간의 교류에 의한 것이다. 앞의 것은 한국에서 일본으로, 뒤의 것은 일본에서 한국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콩쥐 팥쥐>(IT 174), <생선 머리>(IT 626), <볶은 삼씨>(IT 193), <잠자리 바꾸기>(IT 187) 네 유형의 수수관계는 좀 더 검토될 필요가 있는데, 앞의 세 유형은 중국에 유화가 발견되며, <잠자리 바꾸기>는 중국 고전에 유사한 취향이 있어 문헌의 구전화를 배제할 수 없다. <우목낭상>(IT 189), <약 되는 간>(IT 180), <의붓자식을 우물에 빠트리기>(IT 182) 세 유형은 중국에서 각기 수입된 것이다. <연이와 버들도령>(IT 192)은 한국은 중국에서, 일본은 근대에 접어드는 시기에 문헌을 통해 유럽에서 수용한 것이다. 유형의 유사와 달리 구성 요소에 차이가 난 것은, 유교불교문화를 공유하던 두 나라가 시대의 이동에 따라서 그 경중의 쏠림이 있었고, 과거제도가 있고 없는 사회구조의 차이로 행복추구의 이상이나 외적 횡포에 대한 도덕의식 등에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유교문화가 사회전반에 미쳤던 반면, 일본의 에도시대는 전통적 불교문화가 신도와 융합하며 여전히 민중의 정신을 지배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계모설화에 불교성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순토쿠마루>나<의붓자식의 간 내기> 같은 유형에서는 혼인 조건으로서의 주인공의 화려한 활약이나 남녀 간의 애정적 감정이 노출되는데, 한국의 <약 되는 간>에서는 상하계급의 대립이 나타난다. 일본 민족이 비교적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중요시하였다면, 한국 민족은 유교문화로 그러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은 대신에 대결비판의 의식이 성숙한 반영의 차이로 해석된다. 4. 동서양 유사설화의 검토를 통해 한일 계모설화의 위치를 진단하고 연구의 향방을 살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콩쥐 팥쥐>와 <손 없는 색시>가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설화임은 이미 알려진 바인데, 이번 연구를 통해 <연이와 버들도령>, <잠자리 바꾸기> 같은 유형도 서구에 전승되는 세계적 유형임이 새로이 밝혀졌다. <의좋은 이복 자매> 유형이 중국에 전승되는지는 검토의 여지가 남아 있는데, 그 나머지 유형들은 모두 중국과 공유한다. <연이와 버들도령>의 일본형이 유럽에서 받아들인 예외는 있어도, 한일의 계모설화는 서구의 유사 유형에 비해 유교불교문화권인 동아시아 나라의 설화와 공통성이 현저하다. 전파 경로도 대부분 중국→한국ㆍ일본이 추정된다. 따라서 한일을 위시한 동아시아 계모설화권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비교연구의 시급함이 드러났다. 이상과 같이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계모설화를 분류하여 일본 유형과의 대응관계를 드러냈고, 공유한 유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그 이유를 종합적으로 해명함으로써 문화적 동질성과 이질성을 분명하게 부각시킨 성과를 이루었다. 그리고 동아시아에서의 한일계모설화의 위상을 진단해 봄으로써 중국을 비롯한 몽골ㆍ대만 등 주변 나라의 자료를 풍부히 발굴하여 비교를 확장해나가는 것이 절실히 요망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를 제시하는 데 있다.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장 구성 교육 방안 연구

        박연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communication centered speaking education becomes importa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ducation on sentence patterns to improve writing ability is being overlooked. Writing is an important domain that brings learners’ scholastic ability up, and learners’ ability to compose a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write correctly. This study states that Korean sentences should be structuralized and the education of sentence pattern should present necessary arguments that predicates are in need of along with case particles to develop learner’s sentence composing ability. Especially in the case of foreign learners of Korean such as Vietnam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has a different sentence structure from Korean, the education of sentence pattern that explicitly presents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a learner to speedily compose a correct sentenc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ing categorized sentence pattern and to suggest a pedagogical plan in the education of sentence composing to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Chapter 1 discusses the direction of this study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Chapter 2 analyzes Korean textbooks and found out that the education of sentence composing is not being taught systemically. Also, the education of sentence structure is being taught insufficiently, for the presentation of a case particle is focused on the meaning or the form of a particle itself. Chapter 3 contrasts Korean and Vietnamese and thereby examines Korean sentence pattern that Vietnam learners of Korean can easily confuse because of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This chapter also investigates Vietnamese prepositions which play a similar role with Korean adverbial case particles, and discovered possibilities to use in the education of sentence pattern for Vietnam learners of Korean. Chapter 4 categorizes sentence patterns for Korean education through what the previous chapters dealt with and then suggests a sentence pattern in a form of case frame which includes necessary arguments and case particles. This chapter also classified predicates that are frequently used at the beginning with semantic roles for each sentence pattern. Chapter 5 suggests a pedagogical plan in grammar items and vocabulary items with existing textbooks since compiling new textbooks are practically difficult. Lastly, this chapter describes the result of an experiment: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f sentence patterns in the education of sentence composing. This chapter analyzes compositions of 13 students who took a class which presents basic sentence patterns and different case frames for each predicate explicitly for 8 weeks(experimental group) and 13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sentence pattern education(control group). Analysis result shows that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composed more sentences and had lower error rates in using case particles than their counterparts. Also, necessary arguments ellipsis errors and case particles usage errors only occurred to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his result has the limitation of not having a lot of analysis data, but it is meaningful on the other hand for it proves that teaching categorized sentence pattern is effective in the education of sentence composing. This study expects the education of sentence pattern presented with case frames to aid Vietnam learners of Korean to improve both sentence compos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 말하기 교육이 중요시 되면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형이나 문장 교육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쓰기는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대학 수학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고 올바른 글쓰기를 위해서는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자의 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습자의 문장 구성 능력을 키우기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문장을 유형화하여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필수 논항과 격조사를 함께 제시하는 문형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베트남 출신 한국어 학습자처럼 한국어와 상이한 문장 구조를 갖는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명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문형 교육이 학습자가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문장을 생성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고 본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대부분 성인 학습자이기 때문에 한국어의 구조를 규칙으로 제시할 때 모국어와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인지하여 장기 기억할 수 있으며 오류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술어와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필수 논항을 격조사와 함께 제시하는 문형 교육은 베트남 학생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격조사 오류나 성분 사용 오류, 어휘 오류 등을 줄일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고 효과적인 한국어 문장 유형 교육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베트남 출신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장 구성 교육 방안으로 유형화 한 문형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문장 구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베트남 출신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형화 한 문형 교육이 왜 필요한지를 논하였다. 또한 기존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문장 구성 교육으로서의 기본 문형 교육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널리 쓰이는 한국어 교재 5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의 기본 문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재는 없었으며 문법 항목과 어휘 항목에서 일부 서술어 중심 기본 문형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격조사의 제시에서도 조사 자체의 의미나 형태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문장 구조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를 통해 모국어 간섭으로 인해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가 혼동하기 쉬운 한국어 문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N이 아니다’, ‘N이 N에 있다/없다’, ‘N이 N에 가다’, ‘N이 N으로 가다’문형은 별도의 기본 문형으로 제시해야 함을 밝혔다. 또한 한국어의 부사격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베트남어의 전치사를 알아보고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문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형을 유형화하였다. 먼저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가시적인 형태로 제시하기 위해 서술어 중심으로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논항의 수를 문형 설정의 첫 번째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초급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앞서 분석한 5종의 교재에서 모두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어 문장 구조를 명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문형을 선별하였다. 아울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문형 대조를 통해 학습자가 혼동하기 쉬운 문형은 별도의 문형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문형을 설정하고 필수 논항과 격조사를 포함한 격틀의 형식으로 문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형별로 초급에서 많이 쓰이는 서술어를 의미역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문형 교육을 위해 새로운 교재를 편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현행 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문형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어 교재에서 문형을 제시하고 있는 문법 항목에서의 문장 구성 교육 방안과 어휘 항목에서의 문장 구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장 구성 교육 방안으로서의 문형 교육 효과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기본 문형과 개별 서술어 문형을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수업을 8주간 실시한 실험군 학생 13명이 작성한 작문과 문형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학생 13명이 작성한 작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의 학생이 대조군의 학생보다 생성한 문장 수가 24% 더 많았으며 격조사 오류율은 실험군이 5.7%, 대조군이 8.9%로 실험군 학생의 격조사 오류율이 더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필수 논항을 생략하거나 잘못 사용한 문장 오류는 대조군 학생에서만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문형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본고에서의 교육 실험은 실험에 참여한 학생 수가 적었고 학생 개개인의 학습 능력에 대한 분석이 없었으며 분석한 작문 자료가 많지 않아 모든 베트남 출신 초급 학습자에게 문장 구성 교육으로서 문형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일반화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문형 교육 효과를 제시한 선행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고의 실험이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한국어의 문형을 유형화하여 교육하는 것이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교육에 효과적이라는 교육 실험 결과가 더 많이 나오기를 희망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정확한 글쓰기 문장을 생성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체계적인 문형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박연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방식의 서구화에 따른 심장질환의 증가와 급속한 노령화로 심정지 발생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중 심장혈관질환의 사망률은 1997년 인구 10만 명 당 13.7명에서 2007년 29.5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고 급사(급성 심정지)의 발생률도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심정지는 집, 학교, 공공장소 등 대부분 병원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하고, 최초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2.5배정도의 높은 생존율을 보이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그 중에서도 전체 인구의 25%이상을 차지하는 학교인구에 대한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은 어떤 연령층 보다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과 태도, 기술에 미치는 효과와 그 지속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시차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의 1개 중학교 1, 2, 3학년 전체 3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4월 8일부터 6월 1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권용선(2005)의 지식도구, 김희정(2007)의 태도측정 도구와 박정미(2006)의 기술 측정도구를 공용심폐소생술 프로토콜(대한심폐소생협회, 2006)을 참고하여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²-test, t-test, ANOVA 및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으며, 태도와 기술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값을, 지식측정도구는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지식은 심폐소생술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10.66, p = .001). 2. 제2가설: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지식은 2개월이 경과해도 유지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 = 91.74, p = .001). 3. 제3가설: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태도는 심폐소생술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7.41, p = .001). 4. 제4가설: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태도는 2개월이 경과해도 유지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 = 16.66, p = .001). 5. 제5가설: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기술은 2개월이 경과해도 유지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3.36, p = .002). 결론적으로,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은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및 기술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교육 후 2개월까지 지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를 확대한 반복 내지는 심층연구가 필요하며, 심정지시 보다 빠르고 안전한 생명보존을 위해서 학교 기본교육과정 속에서 기본심폐소생술을 교육은 물론, 일정 기간을 둔 재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주 용어: 기본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기술, 중학생

      • 吳昌碩, 薺白石 硏究

        박연숙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論文은 中國의 近代 文人畵家 吳昌碩(1844∼1927), 齊白石(1862∼1957)의 작품 세계를 연구하여 韓國의 近代 文人畵에 끼친 影響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淸初의 石濤와 八大山人등의 獨創的인 畵法을 나타낸 個性主義를 이어받은 楊州八怪의 影響속에서 생겨났으며, 篆刻의 章法과 篆書의 筆法을 繪畵에 도입하여 胸中의 氣韻을 大寫意的 方法으로 그려낸 오창석의 新文人畵는 제백석에 이르러 소재가 다양화되고 근대성을 지닌 범주가 광대해졌다. 오창석과 제백석은 篆刻이나 繪畵, 詩, 書 모두에 능통하였는데 특히 오창석은 전각에 천재적인 재능을 지니고 있어, 중국에 망명하여 예술 활동을 한 민영익에게 300여방에 이르는 전각을 새겨 깊은 교분을 갖게 된다. 오창석은 齊白石에게 영향을 주었고, 제백석과 오창석은 중국 근대화단의 두 기둥에 해당하는 인물로, 동양화의 현대화에 뿌리가 되며 큰 가능성을 내포한 作家이다. 近代 韓國 政界의 閔氏 外戚 勢力의 中心에 섰던 閔泳翊은 政治的 꿈을 이루지 못하고 中國 上海로 亡命하여 輸墨을 통해 마음을 달래고 作家들과 交遊하면서 자신의 藝術 世界를 펼쳤으나 끝내 돌아오지 못한 채 世上을 떠나게 된다. 민영익의 死後 후손에 의해 오창석의 전각이 국내로 유입되었고, 오창석의 門人이며 제백석과도 교류가 있었던 方 이 내한하여 오창석과 제백석의 화풍을 국내에 전하게 되어 중국의 근대 문인화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또한 당시 대륙으로 留學을 다녀온 자들에 의해서나 韓國에서 열리는 中國作家들의 展示會를 통해 다른 作家들과 더불어 오창석이나 제백석의 畵風이 韓國으로 流入되기도 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은 아무래도 민영익의 영향이 크다. 그리고 吳昌碩의 弟子인 방명은 특히 한국 근대 문인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그 영향을 받은 작가(本 論文은 中國의 近代 文人畵家 吳昌碩(1844∼1927), 齊白石(1862∼1957)의 작품 세계를 연구하여 韓國의 近代 文人畵에 끼친 影響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淸初의 石濤와 八大山人등의 獨創的인 畵法을 나타낸 個性主義를 이어받은 楊州八怪의 影響속에서 생겨났으며, 篆刻의 章法과 篆書의 筆法을 繪畵에 도입하여 胸中의 氣韻을 大寫意的 方法으로 그려낸 오창석의 新文人畵는 제백석에 이르러 소재가 다양화되고 근대성을 지닌 범주가 광대해졌다. 오창석과 제백석은 篆刻이나 繪畵, 詩, 書 모두에 능통하였는데 특히 오창석은 전각에 천재적인 재능을 지니고 있어, 중국에 망명하여 예술 활동을 한 민영익에게 300여방에 이르는 전각을 새겨 깊은 교분을 갖게 된다. 오창석은 齊白石에게 영향을 주었고, 제백석과 오창석은 중국 근대화단의 두 기둥에 해당하는 인물로, 동양화의 현대화에 뿌리가 되며 큰 가능성을 내포한 作家이다. 近代 韓國 政界의 閔氏 外戚 勢力의 中心에 섰던 閔泳翊은 政治的 꿈을 이루지 못하고 中國 上海로 亡命하여 輸墨을 통해 마음을 달래고 作家들과 交遊하면서 자신의 藝術 世界를 펼쳤으나 끝내 돌아오지 못한 채 世上을 떠나게 된다. 민영익의 死後 후손에 의해 오창석의 전각이 국내로 유입되었고, 오창석의 門人이며 제백석과도 교류가 있었던 方 이 내한하여 오창석과 제백석의 화풍을 국내에 전하게 되어 중국의 근대 문인화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또한 당시 대륙으로 留學을 다녀온 자들에 의해서나 韓國에서 열리는 中國作家들의 展示會를 통해 다른 作家들과 더불어 오창석이나 제백석의 畵風이 韓國으로 流入되기도 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은 아무래도 민영익의 영향이 크다. 그리고 吳昌碩의 弟子인 방명은 특히 한국 근대 문인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그 영향을 받은 작가(金容鎭, 張遇聖 등)를 연구한 자와 門下의 弟子들 또한 이러한 영향을 받았을 것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光復 바로 이듬해인 1946년, 우리나라 最初의 美術大學인 서울대의 東洋 畵科 교수진으로 있던 月田 張遇聖은 吳昌碩의 畵風을 獨學으로 공부하여 日帝治下에 日本의 彩色 畵風으로 그렸던 잔재를 다시 韓國的 線描와 感性을 표현하는 文人畵로 발전시켰다. 오창석에 이어 齊白石이 새롭게 創出한 新文人畵風은 明代 徐謂의 藝術에서 출발하여 明末·淸初의 石濤나 八大山人 淸 中期의 揚州畵派를 거쳐 趙之謙, 任伯年, 吳昌碩에 이르는 系譜에서 그 根源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여기서 齊白石은 기존의 逸格의 文人의 超脫性을 表現하는 文人畵를 現實에 충실하는 民衆性에 接木시키면서 文人畵의 大衆性을 이룩하였다. 또한 齊白石은 中國畵가 近·現代로 접어드는 큰 思潮의 橋梁的인 役割을 하였으며 後世 사람들에게 傳統을 繼承하고 保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제백석의 화풍과 예술관은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그의 회화가 전래되어 金永基, 金容鎭, 許百鍊, 裵濂 등의 畵家들에게 受容되고 새롭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文人畵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哲學보다 봉건적이고 닫힌 形式의 踏襲이 이루어지고 있어 오늘의 文人畵家들은 '열린 사고'로 문인화가 지닌 높은 정신성과 조형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성과 철학, 미술이 결합한 문인화로서 正休性이 수반된 국제적 보편성과 민족의 자존성과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절실한 當面課題라 할 것이다. 金容鎭, 張遇聖 등)를 연구한 자와 門下의 弟子들 또한 이러한 영향을 받았을 것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光復 바로 이듬해인 1946년, 우리나라 最初의 美術大學인 서울대의 東洋 畵科 교수진으로 있던 月田 張遇聖은 吳昌碩의 畵風을 獨學으로 공부하여 日帝治下에 日本의 彩色 畵風으로 그렸던 잔재를 다시 韓國的 線描와 感性을 표현하는 文人畵로 발전시켰다. 오창석에 이어 齊白石이 새롭게 創出한 新文人畵風은 明代 徐謂의 藝術에서 출발하여 明末·淸初의 石濤나 八大山人 淸 中期의 揚州畵派를 거쳐 趙之謙, 任伯年, 吳昌碩에 이르는 系譜에서 그 根源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여기서 齊白石은 기존의 逸格의 文人의 超脫性을 表現하는 文人畵를 現實에 충실하는 民衆性에 接木시키면서 文人畵의 大衆性을 이룩하였다. 또한 齊白石은 中國畵가 近·現代로 접어드는 큰 思潮의 橋梁的인 役割을 하였으며 後世 사람들에게 傳統을 繼承하고 保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제백석의 화풍과 예술관은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그의 회화가 전래되어 金永基, 金容鎭, 許百鍊, 裵濂 등의 畵家들에게 受容되고 새롭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文人畵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哲學보다 봉건적이고 닫힌 形式의 踏襲이 이루어지고 있어 오늘의 文人畵家들은 '열린 사고'로 문인화가 지닌 높은 정신성과 조형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성과 철학, 미술이 결합한 문인화로서 正休性이 수반된 국제적 보편성과 민족의 자존성과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절실한 當面課題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aimed at studying the effects that O Chang-suk (1844-1927), Je Baek-suk (1862∼1957), who are Chinese modern painter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had on Korean modern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 Chang-suk's new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which was born in the impacts of a group of artists achieving a new brushwork of Yangju painting circles inheriting individualism showing the original painting techniques of Shi-tao, Paldaesanin and so on in the beginning of Chong and which painted the grace in one's bosom in the way of greatly describing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s of things by introducing into painting the composition of seal engraving and the technique of calligraphy by Junseo (a kind of Chinese letter font) was diversified in its materials and widened in the category with modernity by Je Baek-suk. O Chang-suk and Je Baek-suk were proficient in all of seal engraving or painting, poems and writings. In particular, the former has genius talents for seal engraving and so has friendly relations with Min Young-ik in such a way as engraving 300-odd seals for him who exiled himself to China and who was artistically active. O Chang-suk affected Je Baek-suk, Je Baek-suk and O Chang-suk, the figures corresponding to the two columns of Chinese modern painting circles, become the roots of modernizing Oriental painting and are the artists of connoting great possibilities. Min Young-ik who stood at the center of the forces of Mrs. Min's maternal relative in Korean modern political circles could not realize his political dreams, exiled himself to Shanghai, China, soothed his heart through Han Muk, kept company with artists, developed his own world of art, and finally came to pass away not going home. O Chang-suk's seals were flowed in to Korea by the descendants after his death. Bang Myung who was a disciple of O Chang-suk and who also exchanged with Je Baek-suk visited Korea and came to introduce to Korea the brushwork of O Chang-suk and Je Baek-suk. And Chinese modern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began to establish itself. The brushwork of O Chang-suk and Je Baek-suk also flowed in to Korea together with other artists by those who returned after studying in the continent at that time or through the exhibitions of Chinese artists held in Korea, and it is Min Young-ik who positively affected Korea. And Bang Myung, a disciple of O Chang-suk, greatly affected, especially, Korean modern painter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nd I can easily guess that those who researched the artists affected by it (Kim, Yong-jin, Jang Woo-sung, etc.) and their disciples would also have been affected in this way. In 1946, the next year just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Day in 1945, Woljun Jang Woo-sung who was in the faculty of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irst college of fine art in Korea, developed into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expressing Korean line drawing and sensibility again the traces of having painted with Japanese coloring brushwork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studying O Chang-suk's brushwork by himself. The source of a new brushwork of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which Je Baek-suk newly created following O Chang-suk can be found out in the pedigree from Seo Wi's art in the Myung dynasty through Shi-tao or Paldaesanin at the end of Myung and in the beginning of Cheong and the Yangju school in the middle of Cheong to Jo Ji-gyeom, Im Baek-nyeon and O Chang-seok. Je Baek-seok, here, achieved the popularity of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by grafting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expressing the transcendence of the existing excellent literary men into the popularity of being faithful to reality. Also, Je Baek-suk played the bridge role of the great trend of thought in which Chinese painting came over into the modern times and provided posterity with the motive of succeeding and preserving tradition. Je Baek-suk's paintings in his brushwork and view of art were introduced into Korea as well as into China and accepted and newly developed by the artists such as Kim Young-gi, Kim Yong-jin, Huh Baek-ryun, Bae Ryum and so on. But the following in feudal and closed forms is being done rather than philosophy that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ttaches the most importance to. And it will be said that today's painter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have the fervent current task of having to form the marvelous harmony between national self-esteem and international universality accompanied by the identity as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combining intellectuality, philosophy and fine art through studying the high spirituality and plasticity intrinsic to the painting with 'open thought'.

      • 기독교적 환대에 기초한 호스피스 사역

        박연숙 서울신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독교적 공동체의 사역은 하나님의 사랑을 그 사역의 정체성으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매우 넓은 범위의 다양한 신념들이 넘쳐나고 있고 이를 설득하지 못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은 오히려 사회에 융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 속에서 본 연구자는 그리스도인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의 교회됨의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시점에서 위대한 신앙의 조상들이 실행했던 종교개혁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는 호스피스 사역의 한 개념어인 ‘환대’의 철학적, 성경적, 신학적 이해를 고찰함으로써 그 실천적 이론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목적은 사역현장에서 신자와 비신자에게 나타나는 성령론적 현상들을 사례를 통해 신학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그동안 환대에 대한 논의들이 늘 있어왔을 뿐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타자 중심의 철학 가운데 일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들에서 길을 잃어버린 환대에 대한 논의를 성경에서 부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환대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을 연구해보겠다. 그리고 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기독교적 환대와 그 실천적 적용으로서의 호스피스 사역의 신학적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호스피스는 고대와 중세의 순례자를 위한 보호소 시대를 지나 근대의 봉사적 형태의 호스피스가 태동했다. 그리고 19세기 말 이후 그리고 19세기 초부터 다양한 학문의 발전과 맞물려 보다 현재적 의미의 호스피스 운동이 일어났고 최근에는 보다 전문적인 호스피스 환화의료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기독교적 호스피스 사역의 이론적, 성서적 개념들을 고찰하여 돌봄의 주체 또는 환자들이 각각 치열한 영적 전투의 최전방에서 승리하기 위한 철학적, 성서적 증거들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사역의 기초적 이론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하는 바람을 가진다.

      • 현길언 역사동화 연구

        박연숙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동화는 성인들의 기술적 가치체계인 역사를 어린이의 시선에서 포착하고자 하는 문학 양식이다. 본 연구는 보기 드물게 우리 최근세사를 다루고 있는 현길언의 3부작 역사동화의 분석을 통해 우리 역사동화의 현주소를 파악함으로써 우리 아동문학 창작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동화의 개념과 현길언 역사동화의 성립배경을 살펴본 후, 그의 3부작 역사동화 『전쟁놀이』,『그 때 나는 열한 살이었다』,『못자국』에 나타난 구체적 양상을 시대적·작가적 배경 및 주제, 줄거리, 인물의 성격, 기법 등과 연계해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역사동화의 개념을 역사소설에서 의탁해 유추하면, 역사동화는 아동의 눈높이에 맞춰 현재적 삶과 관계되는 작가의 역사의식이 투영된 동화로, 단순한 역사나 과거의 재현에 그치지 않고 당대의 삶을 통해 현재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으로 규정할 수 있겠다. 소설가 현길언이 역사동화를 쓰게 된 것은 어릴 적부터 험한 시국의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척박하고 모진 역사를 가진 제주도의 비원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고픈 소망을 품어왔기 때문이다. 특히 그가 9살(1948) 되던 해 발발한 4·3사건으로 인해 그는 부채의식에 시달리게 된다. 일제하에서 해방을 거쳐 6·25동란에 이르도록, 그는 역사의 뒤안길에서 영원히 묻혀 버릴 것 같은 그 많은 이야기를 그냥 외면해 버릴 수 없었다. 『전쟁놀이』는 해방직전과 직후의 제주를 배경으로 7 ~ 8세 소년 세철의 미숙한 자아가 격동의 세월 속에 부대끼는 과정을 보여준다. 당대의 철없는 소년이 바라보는 역사의 피안을 통해 일제 강점기의 우리 근대사를 곡진하게 조감하고 있는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개인사가 고스란히 묻어있는 자전적 성장소설의 형식을 취한다. 8살 어린 소년의 눈에는 미국과 일본의 전쟁은 언제나 항상 일본이 이겨야 하고 전쟁터에 나가서 죽은 삼촌이 그렇게 자랑스러울 수가 없었다. 이러한 아이러니적 설정은 세철의 미혹한 자아를 비판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일조하고, 나아가 지나간 역사에 대한 바른 인식체계를 수립하는 데 역설적으로 기능하게 한다. 독자나 관객으로 하여금 우월한 해석자의 입장에 서게 하고 비판적 인식을 얻게 하는 한편, 통쾌함을 느끼게 하는 ‘아이러니’는 아동의 눈높이에 맞는 역사의식을 투영시키려는 역사동화의 효과적인 구현 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때 나는 열한 살이었다』는 해방 직후 제주도를 배경으로 해방 정국의 큰 혼란을 열한 살 어린이의 눈으로 바라본다. 제주 4·3사건에 얽힌 이야기를 가족사의 테두리 안에서 재구성한 이 작품은 인물간의 대립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 책의 부제는 ‘뿔 달린 아이들’이다. 4·3사건의 와중에 삼촌의 죽음과 형의 부재, 그리고 감당키 어려운 낯선 학교생활을 경험하게 된 세철이와 명환이에겐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을 지켜줄 절대적 방어벽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동족간의 이데올로기 갈등이 피를 부르는 파국으로 치닫는 사이, 어린 세철과 명환의 가슴엔 돌이킬 수 없는 응어리가 자리 잡게 되고 그것이 뿔로 형상화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어른들의 이데올로기 격전장에서 씻을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입고 자신을 스스로 지키기 위한 방어기제를 탑재하려는 어린 소년의 뇌리에 심어진 뿔은 다분히 다의적 속성을 지향한다. 그것이 본질적으로 짐승의 뿔에서 유추되는 바처럼 자기방어적 공격성을 의미하긴 하지만 도깨비 뿔에서 연상되는 흉물성과 탐욕성을 위시해 반발감, 반항심, 이질감, 공포감, 도피심리, 이탈감, 응징성, 폭력성, 경직성 등 갖가지 비인간적이고 비순리적인 의미와 감정을 내포하고 있음이 텍스트 전체의 유기적 맥락에서 읽혀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그 때 나는 열한 살이었다』는 뿔의 다의적 상징성을 통해 해방에서 분단으로 이어지는 역사의 과도기에서 어린 소년이 겪게 되는 복잡다단한 성장통을 역동감 있게 그리게 되는 것이다. 『못자국』 은 6·25동란의 와중에 성큼 자라버린 13세 소년 세철의 자아 성찰적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다. 어린 소년이 감당하기 어려운 가치관의 전도(顚倒)와 혹독한 시련은 스스로 자신을 통어(通御)하는 방패막이를 요구하기 마련이다. 그리하여 거짓말과 도둑질까지 하게 된 세철에게 형은 잘못을 저지를 때마다 기둥에 못을 박도록 시킨다. 여기서 못자국은 어린 소년의 가슴에 자리한 죄책감이자 마음의 상처를 의미한다. 못을 빼거나 자귀질을 하더라도 남는 못자국은 한 번 가슴에 멍울진 상처나 심리적 타격이 쉽사리 아물 수 없음을 은유하고 있다. 적절한 연상 작용을 유도해 어떤 개념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비유양식인 은유(메타포; metaphor)는 이미지를 받는 말과 이미지를 주는 말이 상호작용에 의해 의미의 질적 전환을 일으킨다. 이때 두 대상 사이엔 인과성이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못은 상처를 내는 행위 (거짓말, 도둑질, 증오심 등) 자체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한번 상처를 내는 행위를 하게 되면 그 행위(못)가 종료된 뒤(못을 뻰 뒤)에도 상흔(못자국)이 남게 된다는 Historical story is a literary style that tries to catch the history, an adults' descriptive system of value, from the children'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new alternate of domestic cre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by grasp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historical story through analyzing the Gil-Eon Hyeon's 3-part historical story that treats the history of modern Korea that has been rarely tried. For that, first of all, the concept of historical story and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f Gil-Eon Hyeon's historical story were reviewed, and then the concrete aspects of the 3-part historical stories,『War play』,『I was 11 years old then』 and 『Mark of nail』 were analyzed in 3-dimension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period and writer, theme, plot, character and technique. The reason novelist Gil-Eon Hyeon came to write the historical story is because he wanted to write about the earnest prayer of Jejudo with barren and cruel history as he was raised in his childhood hearing the tough situation. Especially the 4·3 accident outbroken when he was 9 years old(1948) afflicted him with a sense of debt. From Japanese colony through liberation to Korean war, he couldn't disregard such many stories that seemed to fade into the mists of history. 『War play』 shows the process that 7~8 years old boy Secheol and his unmatured ego was suffering from the period of turbulence with the background of Jejudo right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This work that has a bird's-eye view over the modern history of Japanese colony in detail through the other side of history looked by a mere child takes the form of autobiographical Bildungsroman that contains writer's personal history. Also the ironical setting up is helpful to critical embodiment of Secheol' confused ego and furthermore, works paradoxically in establishing a correct system of recognition of the past history. 『I was 11 years old then』 shows the big turbulence of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background of Jejudo right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11 years old child. The work that reconstituted the story involved with Jejudo 4·3 accident within the family history reveals theme through conflict among characters. While the ideological conflict among the same people in local community rushed up to the catastrophe of blood, it left Secheol and Myeonghwan with a lot of irrevocable hard feelings and the feelings came to appear as a horn. The horn planted in the brain of the young boy to load a defense mechanism for self-defense aims at polysemy for the most part. For it is read in the organic context of the whole text that the horn contains various inhuman and unethical meaning and emotion including hideous thing, grievance, resistance, protest, heterogeneity, horror, avoidance, breakaway, punishment, violence and inflexibility that are associated with goblin's horn. Ac such, the complicated growing pains the boy went through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y from liberation to division are depicted dynamically through the symbolic polysemy of horn. 『Mark of nail』 presents the self-reflective outlook on the world by the 13 years old boy Secheol who grew a lot during the Korean war. The inversion of values and the severe ordeal that was too much for a little child are bound to demand a shield to control himself. Therefore his elder brother had Secheol, who came to lie and even thieve, to hammer a nail to pillar every time he made a mistake. Here the mark of nail symbolizes the sense of guilt and the scar in heart that are settled in the little boy. The mark of nail still left even after pulling it out or wielding an adze expresses metaphorically that it is not easy to heal the psychological scar or blow once grudged. Metaphor, a figure of speech that delivers a concept or information by inducing proper suggestion, brings about a qualitative turnover of meaning by interaction of words that receive image and words that give image. Of course, in this case, the cause-effect should be premised between the two objects. It is identified that 『Mark of nail』 scrutinizing through metaphor owes to the style of Bildungsroman that traces the growing process of juvenile hero through ordeal. As such, Gil-Eon Hyeon's 3-part historical story applies various styles of novel in mixture to dock with the history efficiently at the level of children's eyes. The fact that he drew various discourses of novel including series novel, Bildungsroman and autobiographical novel by combining them in three dimensions into the extreme procedure of composition of historical story opened a new horizon to the compositional customs of Korean historical story. It is likely to have a great significance. Taking Gil-Eon Hyeon's 3-part historical story, which embodied the pure innocence of a child that grows in the yoke of painful modern history on the historical layer, as the starting point, it is expected that our historical story will prevail on full-scale.

      • 주가의 부의 효과(wealth effect)에 대한 실증분석 : 환율과 사치재 소비품목을 중심으로

        박연숙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andard textbook treatment of aggregate consumption holds that consumption depends on labor income and financial wealth.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out of wealth is typically taken to be approximately 0.04-.0.05 per year. In this framework, the wealth effect of a stock marker change should have an important stimulative effect on consumption. Although this view neglects some potentially important factors that might also affect consumption directly many economic forecasters embrace the textbook view. For Example, a recent Wall Street research report explains that "as long as asset price are rising, the risk of a significant drop in consumer spending is small" and notes that the rising number of stock holders has "made real economic activity more tried to the performance of financial assets than ever before" So this paper presents another evi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hare price movements and consumption. In summarizes the changes in consumption that have typically followed substantial changes in stock market value, and presents several tests directed at solving the leading indicator and wealth effect views. This paper docu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market and consumption in Korea using of Johansen's cointegration analysis followed by vector error correction(VECM)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s. I find clear evidence that changes in real exchange rate affect growth in consumer spending, and particularly large growth in outlays on consumer durables. I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ck returns on the share of consumption that is devoted to luxury goods, I do not find any pronounced effects of stock price fluctuations on the luxury goods consumption. This evidence cases doubt on the short-run importance of w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stock price movement. In conclusion, I don't find any evid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market fluctuations and consumption.

      • 자녀양육형태가 여성의 취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연숙 慶尙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로 취업모들이 증가하고 있다. 즉,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9.5%에 이르렀으며 여성 취업자의 77.9%가 기혼 여성이며 그 중 60%이상이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지난 10여년간의 위탁보육사업은 많은 성장과 발전이 있었다. 특히 참여정부 이후에 정책적의지에 힘입어 보육은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되었고 보육예산도 증가하여 2005년 국비 6,001억원과 지방비 7,354억원을 합하여 1조 3,335억원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자녀 양육지원제도가 잘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여성이 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저렴하며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은 취업여성들의 취업을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뿐만 아니라 차세대를 담당할 아이들의 정상적인 교육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자녀양육 실태를 조사하고 취업모의 직장보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보육형태에 따라서 여성의 취업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 및 확대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J시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만 7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자녀양육형태, 비용, 자녀양육과 취업유지와의 관계, 병원위탁 보육시설의 만족도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SPSS 10.0 통계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기법은 각 문항별 빈도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탁아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교차 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 수준은 α=.05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양육 형태는 자기집탁아, 가정집 탁아, 보육시설 탁아 39명, 병원위탁보육시설 탁아는 15명으로 가정집 탁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보육비용은 60만원 이상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보육시설에 지불하는 평균보육비는 11-20만원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생활수준에 비추어서 보육료가 부담이 된다는 경우가 많았다. 자녀양육과 취업유지와의 관계에서는 취업의 주된 욕구는 경제적인 이유가 73.4%로 나타났다. 자녀양육이 직장생활에 지장이 있다는 의견은 85.3%이다. 자녀양육 문제로 직장포기 의사는 전체 대상자의 68.8%가 육아문제로 직장을 포기하고자 하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기 이유는 아이의 정서, 교육문제가 걱정이 되어서 포기하고자 한 경우가 70.7%이다. 병원 위탁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스러운 경향이었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자녀를 병원위탁보육시설에 보낸다고 한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취업모의 영유아보육 정책에 조그마한 영향을 줄 것을 기대한다. 보육의 대상이 되는 영유아는 한 가정의 자녀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다음 세대로서 그들에 대한 바람직한 보육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직장을 갖고 있거나 갖기를 원하는 여성 뿐만 아니라 일반 여성들 에게도 그들의 자녀를 안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맡길 수 있도록 한다면 여성의 사회 참여증가 뿐만 아니라 저 출산에도 영향을 미칠것이라 기대한다. The number of working mother is increasing due to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ate of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reached 49.5%, where 77.9% of women employees were married women, and it is found that 60% of them had preschool children. There has been so much growth and developments in Childcare business for the past 10 years. In particular, childcare was adopted as a main task of administration indebted to policy since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the budget for childcare was increased up to 1,333.5 billion won including 600.1billion won of public funds and 735.4 billion won of local funds. However, many women face the limitation on child care since supporting system for bringing up children is not established clearly. Childcare should not require much cost, but it should be good in quality so as to maintain women employment stabilized. And it is more important for regular education of children who will take charge of the next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diversified childcare services and data for extension by examining the actual nursing conditions of the working mothers, the needs for childcare center at work, and how it affects women's employ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care.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nursing children, cost,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and maintenance of being employed, and the satisf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in hospital on working mo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7,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the city of J and then, we analyzed them with using SPSS 10.0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 calculated percentage of frequency by each question, then we examined the general nature of the objects an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nursing types through Cross tabulation and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significance in every analysis was α=.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Nursing types, nursing in own house, nursing in neighborhood, public nursery were picked by 39 people, and hospital childcare was picked by 15 people, the neighborhood nursing was the most picked one. inthe case of cost, 600 thousand won was the most picked, and in the case of average nursing cost for childcare center, 110-200 thousand won was mainly chosen. It is mostly said that the cost was a burden compared to a level of life. With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and maintenance of being employed, 73.4% of people answered that the main reason of desiring to be employed was for financial matters. 85%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have trouble in working as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 the case of intention to throw up work, 68.8% of respondents has experienced in intending to throw up due to nursing problem, and 70.7% had intended to throw up because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al or educational matters. In the case of satisf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in hospital, most respond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They leave their children at childcare center in hospital since it is cheap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our study may slightly affect childcare policy for working mothers. The child who is the object of nursing is not only a precious son or daughter of a certain family, but also a member of the next generation, for this, it is very much important that we have to take care of them properly. We suggest that if working mothers or ordinary women can leave their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with a sense of security, it will increase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as well as a low birth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