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로시설 거주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대한 집단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박연근 순천대학교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양로시설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현장에서 실시한 여가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집단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효과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통제군 전후설계이며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로서 신체가 건강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 등 총 1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9월 24일부터 2016월 1월 18일까지였으며 연구 절차는 사회복지사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변화에 관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에 집단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그 후 사전조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활동 프로그램은 주 1회 씩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14회기를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활동 소요시간은 60분 정도로 미술치료사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연구자인 사회복지사가 진행을 보조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관찰하였다. 집단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Schelein과 Guerney(1977)가 개발한 대인관계변화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로 실험-통제 집단의 비교분석은 비모수적 검증인 Mann-Whitney의 U검정을 사용하였고, 사전 사후 비교분석은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인 유의수준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 수준은 0.05을 기준으로 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하여 모든 회기를 관찰일지에 기록하고 분석하여 집단원들의 변화과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활동프로그램에 참여 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았던 통제집단보다 사전·사후 비교결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활동프로그램에 참여 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보다 사전·사후 비교결과 대인관계변화 점수가 향상되었고 그 하위요인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activity program as a part of leisure program in elderly people living in nursing homes and the effect on changes of self-esteem and relationship of elderly people. The research was designed for the non-equality pre-post control group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ealthy elderly people living in nursing homes as the beneficiaries of basic living allowance over 65 years old. A total of 16 elderly people composed of 8 in experimental group and 8 in control group.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24, 2015 to January 18, 2016.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by the social worker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o conduct a preliminary survey on the change of the self - 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 group art activity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n the post - 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same contents as the previous survey. A total of 14 sessions were held, including pre- and post-tests, once a week for each group art activity program. The art therapist conducted a program for each session and proceeded 60 minutes. The social worker, a researcher, observed the sessions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osenberg's(1965)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scale developed by Schelein and Guerney (1977) were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activity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Based on collected research data, pre-and post-response sample-t test was conducted for change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old people living in nursing homes for each area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ll sessions were recorded and analyzed in observation journal to confirm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group member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activity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 - 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Second,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activity program showed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s than the non - participating control group and the sub-factors also showed meaningfu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