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政黨의 公薦에 관한 比較法的 考察

        박성주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현대의 정당민주주의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정당의 공천에 대한 올바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정당은 그 발생기에 있어 적대시되던 상태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사실상 모든 정치영역의 주도권을 행사함에 이르렀다. 이러한 정당은 정치적 지도자를 선발하여 선거에 참여함으로써 '전도관' 이라 불리우는 국민과 국가 사이의 중개적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 전제가 되는 공직선거에서 후보자 공천이 비민주화 된다면 민주주의 자체가 비민주화된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정당의 공천제도를 고찰함은 현대 민주정치에서 정당의 지위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의미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의도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점에 중점을 두어 법학적 관점은 물론 사회학·정치적 측면에서 구성되었다. ① 정당이란 무엇이며 현대민주주의에서 어떠한 기능을 행사하고 있는가. ② 공천제도에 관해 서구의 국가 특히 미국은 그것을 어떻게 규율하고 있는가. ③ 한국 정당의 구조적 특징과 정당정치의 문제점 등은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하는가. 본 논문을 통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한국의 정당은 중앙당의 의사에 의해서 창설되고 운영되는 권위주의적이고 비능률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공천에 있어서는 그 문제점이 극에 달해있다. 그에 대한 개선책으로 후보자 공천에 있어서 중앙당의 권한을 약화하는 것, 정당 내에서 공천권을 갖는 기관을 당원총회 내지는 일반 당원의 의사에 비례하는 대의원회로 구성하는 것, 공천과정을 구체적 입법화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관한 외국의 입법예를 보자면 미국의 예선제도와 독일연방선거법 규정이 주목할 만한데, 미국의 경우 자의적인 후보자 지명을 방지하기 위한 예비선거제도(primary election)를 두어 공직선거의 후보자 지명에 있어서 당원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상향식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민주적 내부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제도는 공직의 취임자 결정을 위한 국민의 선거는 어느정도 민중의 지지를 받는 인사에 대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에 입각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독일의 경우 연방선거법에서 정당입후보자의 선출이 소선거구 내에서 선거권 있는 당원대회나 그들의 당대의원 대회에서의 비밀투표에 의하도록 하고 있어 그 민주성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단지 정당법에서 그 과정을 당헌에만 일임함으로써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법적 규제는 그 자체로 한계가 내재하므로 정당의 민주적인 내부질서 유지와 민주적 정치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민의 정치의식이 고양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당원의 자질과 지적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정당지도층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하게하여 민주적인 공천절차, 그리고 정당의 민주적인 내부질서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the aim of political party is to take political power ,and it is the function and role of political party that it gathers people's political opinions and makes them reflect in politics. In fact, modern politics is under the control of the party in power. Therefore, if the political party were not democratic, the nation itself would be undemocratic. In particular, as organizational democracym in political party base upon candidates selecting procedure of political party, its importance becomes gradually serios. But, practically, it is not easy to democratize organization and nominating(candidates selecting) process of political party because it tends to be oligarchial. The politics of political party in Korea is extremely undemocratic, so democratization of nominating process in political party is indispensible. So, in this treaties, concentrated on election of America, candidates selecting procedure in political party is studied in realtion to the actual of Korea. In chapter Ⅱ, not only concept of political party, but also the function and status of political party in constitution. In chapter Ⅲ, candidates selecting procedure of foreign countries, for example Japan, Germany, England, America, is studied. In chapter Ⅳ, refering to what in chapter Ⅲ is considered, candidates selecting procedure of political party in Korea is studied, so that may get a reform measure of it. As a result of this treatise, considered that nominating process of political party in Korea has characteristics which is undemocratic and inefficient. In order to solving this problem, above all such a legislation of nominating process in political as primary election of America is necessary; so that the candidate who is supported by the people could select. But, first of all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ich will improve and observe democratic politics is most important.

      • 음악 감상수업이 고등학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박성주 강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음악 감상수업이 청소년기 학생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심리적 변화와 기복이 심한 청소년기 학생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음악 감상수업이 도움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0명을 구성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음악 감상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음악 감상수업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두 그룹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Beck의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와 Beck의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음악 감상수업은 10월과 11월에 주당 2시간씩 8차시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음악 감상수업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음악 감상수업이 청소년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실험집단에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경우 우울과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 감상수업이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우울과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 감상수업의 전후를 비교했을 때, 학생들은 음악을 듣고 감상하는 활동을 좋아했고 이후의 음악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많은 도움을 주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생의 음악 감상수업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푸른 유치원 만 4세 유아의 또래간 사회적 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박성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물리적, 심리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영향력인 사회적 힘의 양상 중 또래간에 나타나는 부정적 힘 사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해 또래간에 나타나는 사회적 힘의 양상 중 부정적인 힘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푸른 유치원 다람반 학급에서 또래간 사회적 힘의 부정적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1-1. 개인의 사회적 힘의 부정적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1-2. 집단의 사회적 힘의 부정적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2. 푸른 유치원 다람반 학급에서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S구에 위치하고 있는 B교회 부설 부속유치원 만 4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유아 40명과 교사 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관찰은 8월 28일부터 9월 25일까지 만 5세 반에서 두 번의 면담과 매일의 참여관찰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만 4세반에서 9월 26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31회의 참여관찰과 형식적 면담 4회, 비형식적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현장 약기(field jotting)와 녹음, 비디오 촬영을 하였고 이를 기초로 현장기록(field records)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면담내용 역시 현장기록을 만들어서 자료화하였다. 학급 운영에 관련된 문서 수집과 관련 신문기사 자료 수집은 관찰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수집된 사례들은 Bogdan과 Biklen(199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사회적 힘의 부정적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뺏기, 상대 낮추기, 속이기, 거부하기, 위협하기처럼 비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났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나 지배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황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서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했다. 사회적 힘에 의한 피해아들은 자신보다 사회적 힘이 센 유아나 교사의 권위에 의존하기도 했으나 대부분 대응을 잘 하지 못하거나, 울기, 자진해서 포기하기를 하였다. 한편, 피해아들은 외로움, 열등감, 적대심, 좌절감을 나타내었다. 둘째, 집단의 사회적 힘의 부정적 사용 양상은 낙인 되기, 거짓 소문 내기, 집단 거부하기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기 아동의 '집단 따돌림'의 양상처럼 집단의 문화에 이질적인 행동을 한 유아를 몇 명의 유아가 지속적으로 거부하고 집단이 그 거부에 동조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학령기의 '집단 따돌림'이 은근히 따돌려지는 것도 포함하고 있는 반면에 다람반 유아들이 보인 '집단 거부'는 거부아에게 직선적이고 노골적으로 표현되는 차이가 있었다. 계속적인 집단 거부는 거부아가 다람반 규칙에 적응하기를 포기하고 부정적인 자아감을 갖게 했으며, 자신을 거부하는 또래들에 대한 적개심은 다시 비사회적 행동을 또래들에게 사용하게 함으로써 다시 또래들에게 거부되는 순환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셋째, 다람반 학급에서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두 부류로 나뉘었다. 즉 지배적인 위치에서 인기를 얻는 유아들도 있었고, 지배아들에게 종속되어 있는 유아들이었다.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물리적 힘이나 운동력 같은 신체적 힘이 좋았다. 그리고, 자기 과시적, 경쟁심, 공격성, 편견 성향이 있었다. 한편,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조리 있게 설명을 하며 상대를 설득시킬 수 있는 언어표현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유아기의 자기 중심적 사고로 인해 또래의 관점에서 이해하지 못한 채 행동함으로써 본의 아니게 또래에게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은 사회적 지식이 풍부하였다. 특히 풍부한 사회적 지식을 놀이에 활용하는 유아들은 또래에게 인기를 얻었고 또래들은 이들에게 신뢰감을 나타냈다. 이것은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들이 다른 또래들 보다 높은 위치에 설 수 있게 해 주었다. 한편, 사회적 지식은 적절한 상황에서 정보를 인출하는 기억력과 연관되어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children's use of social power, which can cau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 to other children. This study employ ethnographic approach,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pth-interview, to investigate the negative aspect of social power among four-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For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1. How the social power is negatively being used among peer children in Daram class? 1-1. How the social power of individual child is negatively being used? 1-2. How the social power of a group of children is negatively being used? 2. What 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ho use his/her social power negatively in Daram class? The 4-year-old class at B Kindergarten in Seoul was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The teacher and helper as well as 40 preschoole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preliminary study has been conducted during August 28 to September 25, 2000, with two interviews and daily participant observation in five-year-old class. The main data collected during September 26 to December 18, 2000, with 31 participant observation, four formal interviews, and several informal interviews. The author used field jotting, recorder and video camera while collecting data. Based on these materials, the author made file records and transcripts. Additional informations, such as newspaper articles on classroom management, were collected throughout observation period.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by each case, as Bogdan and Biklen(1992) sugges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use of social power by individual child has been observed as the form of anti-social behaviors, such as taking possession of playthings, putting others down, cheating, rejecting, and threatening. Children abused their social power to maintain their dominant influence, or to make situation beneficial to their own interests. The victims were sometimes dependent upon the authority of socially powerful peer or teacher. Often, they did not respond to the abuse by peers well, or cried and gave themselves up responding. They show loneliness, low-self esteem, hostility, depression. Second, the negative use of social power by a group of children appeared as form of labeling, spread false rumor about a child and rejected that child in the class, the rest of children followed the rejection. The rejected child showed heterogeneous behavior against group culture. A one of the distinguishing feature which appeared in Daram class' group rejection is straightforward, obvious rejection unlike group rejection by schoolers. The rejection from peers has made the rejected child more aggressive and has formed negative self-esteem. Third, many of the children who abuse their social power are physically superior to peer children. They have showing-off, competitive, aggressive, and biased tendency.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abuse social power have verbal communication skills can convince others by appropriate explanation. The children who abuse social power seems to hurt peers not on purpose but due to their self-centered perspective. In addition, They have rich social knowledge. Especially, some of them got popularity by utilizing their rich social knowledge to the play. Peer children showed high reliance on them. Social knowledge provided them with higher status and associated with capability of extracting appropriate information from memory in specific context.

      •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미혼 남녀를 중심으로

        박성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국거주 한국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을 파악함으로써 유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중국 북경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미혼 남녀 16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1년 9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연구보조원이 현지에서 직접면담을 통하여 수집,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는 Lowston 등(1982)의 건강상태자가평가 도구, Sherer 등(1982)의 일반적 자기효능척도 도구, Cohen & Hoberman(1983)의 사회적 지지 도구,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도구, Walker 등(1987)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제 변인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의 관계는 t-test,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제 변인들의 건강증진행위실천정도에 대한 설명력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의 범위는 최소 52점, 최대 179점으로 평균 112.2점, 문항별 평균은 2.3점이었다. 영역별 건강증진행위 수행의 문항별평균은 자아실현영역(2.9점)이 가장 높은 경향이었고, 건강책임영역(1.7점)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건강상태지각(r=.17, p=.025)과 낮은 순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효능(r=.41, p=.0001)과 사회적 지지(r=.29, p=.0001)와는 각각 중정도의 순상관을 나타냈다. 3. 제 변인들과 영역별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의 관계는 자아실현영역이 건강상태지각, 자기효능 및 사회적 지지와 각각 순상관을 나타냈다.운동 및 휴식영역은 자기효능과, 영양영역은 건강상태지각이나 자기효능과, 대인관계 지지와 스트레스관리 영역 모두에서는 자기효능이나 사회적 지지와 각각 순상관을 보였다. 4. 건강증진행위 수행의 유의한 예측변인은 자기효능과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고, 자기효능이 17.0%(F=32.56, p=.0001)의 설명력을 가졌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가 2.2%(F=4.11, p=.044)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두 변인에 의해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 총 변량의 19.2%가 설명되었다. 5. 영역별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정도의 예측변인을 보면, 자아실현영역은 자기효능과 사회적 지지가 34.7%를 설명하였으며, 운동 및 휴식영역은 성별과 자기효능이 12.7%를 설명하였다. 영양영역은 자기효능이 7.0%를, 대인관계 지지영역은 사회적 지지가 14.1%를, 스트레스관리영역은 자기효능이 10.1%를 각각 설명하였다. 자기효능은 건강책임영역과 대인관계 지지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주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유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의 주요한 예측요인이 자기효능과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므로 이들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s of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redi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korean students in China on the basis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60 korean students who have lived in Beijing, China.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0 to Nov. 30, 2001.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HPLP) by Walker et al.(1987), Perceived Health Status by Lowston et al.(1982), Self-Efficacy by Sherer et al.(1982), Social Support by Cohen and Hoberman(1983), Self-Esteem by Rosenberg(1965).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ange of total performance scor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from 52 to 179 and the mean score of that was 112.2. In comparison of mean score depending on each item of six dimensions, self-actualization dimension tended to show the highest score(2.9) and responsibility for health dimension, the lowest score(1.7). 2.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ealth status(r=.17, p=.025), social support(r=.29, p=.0001), self-efficacy(r=.41, p=.0001). 3.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ere self-efficacy 17.0%(F=32.56, p=.0001) and social support 2.2%(F=4.11, p=.044). This variables made it possible to explain 19.2% of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score. In conclu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korean students in China. These result findings showed that we need to develop the nursing strategy to promot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for korean students in China.

      •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 단기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박성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blem 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one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other for examining its effectivenes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two major processes were followed. First, a pilot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research and having a consultation meeting of 12 professionals. Most of the content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delivering the contents ets. were determined at the meeting. Second, the pilot program was implemented using 5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final program was determined at the meeting based upon their feedback. The program was composed of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of Problem Solving Theory, that is, attitude, define, alternatives, predict, try out the skills related to these concepts. The program consisted of 6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9 hours. The program involv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program was based upon Problem Solving Theory and Brief Counseling Therapy, which have been empirically supported by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Second, the program systematically wa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basic concepts. Third, with regard to the methods delivering the contents they were consistent with Problem Solving Therapy and Brief Counseling Therapy. Fourth, the program emphasized participant' application of what they learned at the counseling to their real life. For the second part of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methodology utilized was as following. The research design used was pretest-posttest-follow-through 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0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wer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cale, Intention of Divorce Scale, Dissatisfaction of Marriage Scale, Practical Divorce Rate Scale. Some other instruments to measure the participants'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also used. The results of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blem 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had a significant effect upon enhancing the participants' score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cale and decreasing the scores of the Intention of Divorce Scale, the Dissatisfaction of Marriage Scale, and the Practical Divorce Rate Scale. Also, it was indicated that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the program was appropriat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ogram. It is implied that the program of the study could be used for the couples in the process of divorce who are forced to wait for at least one month to get divorced by law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 단기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크게 2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기존의 문제해결이론에 관한 문헌의 검토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및 진행방법을 결정한 후 예비프로그램 및 지침서를 개발하였으며, 다음으로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자의 피드백 분석 그리고 다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수정 보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문제해결이론의 주요 개념인 태도, 정의, 대안, 예측, 실행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회기 당 90분씩 6회기, 총 9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많은 연구가들에 의해 그 효과가 검증된 문제해결이론과 단기상담치료에 기초하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 차원에서, 문제해결이론과 단기상담치료의 핵심적인 개념들이 위계적이며 체계적으로 조직되고 통합되어 있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 방법 차원에서, 문제해결이론과 단기상담치료의 핵심 내용이나 주장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넷째, 배우고 익힌 내용을 즉시 현재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여 참여자의 적용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효과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추후(1개월 후) 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이다. 그리고 참여자는 이혼위기의 부부로 40쌍(실험집단 20쌍, 통제집단 20쌍)이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매주 2회, 매 회기 90분간, 총 6회기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검사 도구는 사회적 문제해결력, 이혼의향도, 결혼불만족도, 실제이혼율이었으며,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 결과, 실험집단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이혼의향도, 결혼불만족도, 실제이혼율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이혼위기 부부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고 이혼위기 부부들을 문제해결을 돕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숙려기간의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단기상담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성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산업화에 따른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노령화 사회가 확산되어가는 한 시점에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노인문제는 빈곤, 건강, 고독, 역할상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사회적 은퇴로부터 시작되는 역할상실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이것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이냐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결과적으로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에 의거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노인들의 인구통계학적 속성과 일반적인 사항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 및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17.0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녀간에는 별 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은 여가생활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육정도는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에서 차이를 보였고, 교육정도는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는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와 수입정도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가활동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여가활동을 많이 하는 노인이 자아존중감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노인들이 느끼는 자아존중감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노인의 특성을 변화시켜 주는 대책이 필요하고, 노년기에 있거나 노년기를 앞두고 있는 노인들에게 여가활동 고취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노후의 경제적 준비 뿐 아니라 노후 여가활동을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데 정부나 노인복지시설 등에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호텔산업에서의 장애인 서비스품질 개선방안 연구

        박성주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Facilities for the disabled have been improved in a way to be utilized without any discrimination with many institutional strategies and social changes for the weak of society like women, children, elderly and disabled. Although not everyone in disadvantaged social class met the level of whole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full integration of social well-being, in recent years, attention and changes of awareness have been observed. Today, the target ranges to be equipped with these facilities are expanded to all basic social and common places such as public buildings, road, school and etc.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not only the disabled, but also all members of society can use comfortably. This way of advancement shall improve the quality of everyone’s life equally, promote everyone’s social participation, and help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In this context, at this point of rapid development of tourist business recently, a general elucidation of accommodation service quality for the disabled has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Hotel concentrates great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disabled, but still there are many cases for discomfort. In line with that, an improvement direction of service quality toward the disabled has been suggest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connection facility, fixture, hygiene, guidance service, etc facility, institution and regul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problems and issues for all the disabled using a hotel; and I hope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toward the disabled in hotel business. 장애인 편의시설은 모든 사람들이 차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여성과 아동, 노약자 그리고 장애인과 같은 사회약자 계층을 위한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 와 제도적인 장치 마련으로 발전 되어가고 있다. 완전한 사회 통합 복지 증진이라는 틀 안에서 소외 계층들이 모든 인간적인 삶을 전부 만족하지는 못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많은 의식 변화와 관심을 보이기 시작 되었다. 오늘날 이러한 편의시설 설치 대상은 기본적인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공공건물, 도로, 학교 등 모든 곳에 범위가 확대 되었다. 장애인 시설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물로서 발전해 나아가야 대등하게 삶의 질을 높이고, 자유로운 사회 참여를 할 수 있게 하여 모든 사람들이 통합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관광업이 급속도로 발전되어가는 시점에서 관광활성화를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숙박업에 대해 장애인 서비스품질에 대해 전체적인 조명을 시도하였다. 호텔에서의 장애인 서비스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장애인들이 호텔을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호텔의 장애인 서비스 품질에 대해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 제도·법규적 측면으로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을 이용하는 모든 장애인 고객을 위해 문제점 들을 살펴보고 앞으로 호텔 산업에서의 장애인 서비스품질이 개선 될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 연구계획과 연구흐름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호텔산업의 개념과 분류 및 현황, 장애인의 개념과 분류 및 현황, 호텔의 장애인 서비스 품질 기준 및 현황, 국·내외 사례에 대해 조사 하였다. 제3장에서는 호텔을 이용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만족도와, 요구도를 분석하고 장애인 서비스품질에 문제점 및 현황을 조사 하였다. 제4장에서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 제도·법규적 측면으로 개선방안을 제안 하였다. 제5장에서는 종합적인 내용을 정리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