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의회 사무기구 활성화 방안 : 부산광역시의회를 중심으로

        박상흠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자치가 30여년 만에 부활되고 16년의 연륜을 쌓기까지 지방자치는 매우 제한적인 성과만을 거두고 있는데, 이는 집행부 우월적 전통이 뿌리 깊은 우리나라의 경우 집행부가 의회를 압도하여 의회가 소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지방의회는 지방 주민들의 영향력을 확대시키고 지역발전과 주민들의 복리증진을 추구하는 민주적 정치·행정 과정이라는 지방자치의 보편적 정의 아래 지방자치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의회의 의정활동 보좌기능을 강화시키고 지방자치 본질의 범위 내에서 자율성과 운영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의회 사무기구의 효율적 운영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의회의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있어서 이를 보좌하는 의회 내 조직 및 사무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회를 중심으로 지방의회사무기구의 의정보좌 기능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지방의회 사무기구가 보다 효과적인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을 요약하면 제2장에서는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의의와 구성, 사무기구의 직원 등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였으며 일본 후쿠오카시의회 사무기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부산광역시의회 사무처의 현황 및 운영 실태와 문제점 파악을 위해 의회의원, 사무처 직원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무처 보좌기능의 효율성, 연구기능 및 입법 활동보좌, 직원의 전문성, 의회의 자율 조직권 등에 대해 분석하면서 아울러 6개 광역시의회와 비교해 보았다. 끝으로 제4장에서는 제3장의 실태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광역의회 조직 및 사무기구의 효율적 개선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의회의 위상제고를 위한 홍보기능 강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통신 조직의 보강, 자치단체 규모를 고려한 정원 책정 등 인력 보강,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독자적 운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의회직렬의 신설, 상임위원회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위원 직위제도 도입의 다각화 등을 통해 의정보좌 기능을 향상 시켜 의정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As many as 16 years have passed since local autonomy system was revived 30 years after its abolition. But the system has made limited progress mainly because of the deep-rooted dominance of Korea's executive organizations: the executives have long enjoyed a predominant position, making it difficult for local council to play its role. In fact, local council is a key element of local autonomy, whose universal definition is that it is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rocess of enhancing the rights and welfare of local residents and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local council is supposed to bolster the assistant function of council activities and achieve autonomy,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secretariat office of local council because assistant function of secretariat office is crucial in intensifying the role of local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local council's secretariat offices by studying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ouncil and then presents several methods for the secretariat to support the council activities in a more efficient way. In this regard, Chapter two looks at previous theories regarding definition, formation, and personnels of local council's secretariat office, and also studies how the Fukuoka Council's secretariat office is operated. Chapter three shows surveys of councilors and secretariat officials aiming at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the operation, and problems of the secretariat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ouncil to analyse efficiency, research and assistant func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secretariat office, and the council's right to organize, and then compares with six other metropolitan councils. Lastly,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Chapter three, Chapter four comes up with policies to improve the organization and the secretariat office of local council. The policies include strengthened public relations function of local council to enhance its position, reinfor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ganization capable of meeting the demands of the information society, personnel realignment based on the size of local autonomy, designation of posts to achiev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in operating the secretariat office of local council, diversified expert posts of councilors to boost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nding committee, etc. All these policies aim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council activities by bolstering the assistant role of local council.

      • 폐기물 매립지에서 분해 가능한 유기탄소(DOC), 유기탄소분율(DOCf) 및 메탄발생속도상수(k) 산정과 LandGEM 모델을 이용한 발생량 예측 및 비교

        박상흠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bnormal climatic conditions are observed around the world due to global warm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knowledged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and adopted the Kyoto Protocol, which obligates developed countries t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ollowed by the Paris Agreement, which involves developed as well as developing countries, to resolve the issu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by 2050 is warranted to curb global temperature rise ; accordingly, emission reduction targets have been set for each sector in South Korea.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landfills can be determined by emission prediction models, and the IPCC guidelines recommend that the parameters used in these models, should be based on field measure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arameters DOC, DOCf, k and Lo required for the US EPA LandGEM model were calculated from the data of waste landfill activities, IPCC guidelines and existing literature.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emphasize importance of using the parameters calculated based on field measurements. The waste landfill for this study is the Sudokwon landfill, the largest landfill in Korea, and the Sudokwon 2nd landfill in Sudokwon landfill, which was recently completed, was selected. The DOC of he target waste landfill was calculated by categorizing it into scenarios 1 and with scenario 1 being the DOC suggested by the 2006 IPCC guidelines and scenario 2 being the DOC calculated by Jeon et al. (2007) based on field measurements. The total DOC of the landfill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ature of the waste landfill activity data and the DOC by nature according to the scenario ; the total DOC was 9,462,493.1 tons for scenario 1 and 15,325,777.7 tons for scenario 2. The DOC in scenario 2 is 1.62 times higher than in scenario 1 due to the higher DOC from food, paper, wood, fiber and sludge in scenario 2. Through the data of the target waste landfill activities, the amount landfill gas generation and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from 2000 to 2021 were calculated and the DOC generated from the landfill gas by 2068 was calculated. In addition, DOC generation from leachate was estimated up to the year 2068. By 2068, the DOC generated from the landfill gas would be 3,824,793.9 tons and the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is calculated to be 0.060/yr. The DOC generated by leachate would be 31,059.1 ton (0.3%), which is less than the 2% value suggested by the IPCC guidelines. The DOC for each scenario was calculated using the DOC landfill volume and generation volume calculated based on the activity data of the target waste landfill and it was calculated to be 0.404 for scenario 1 and 0.250 for scenario 2. Lo was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Lo=DOCxDOCfxFxMCFx 16/12” and found to be 30.6 kg-CH4/ton-waste for both the scenarios. This is beca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C and DOCf, the DOC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cenario is discarded, resulting in the calculation of “DOC generated per waste landfill”. Finally, the calculated parameters were used in the LandGEM model to compare the predicted future methane generation and the field measurements. In was found that from 2000 to 2021, the calculated amount of methane gas generated by field measurement was 1,863,917.8 tons and that by the LandGEM model was 1,223,408.1 tons. Further, it was found that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calculated through field measurements did not refl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arget waste landfill ; hence, it was recalculated by the NRMSE method. The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calculated by the NRMSE method is 0.144/yr and the methane gas generation amount predicted by the LandGEM model with these parameters is 1,865,558.3 tons, which is similar to the value obtained by the field measur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because the calculation of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by field measurements may not effectively reflect the environment of a landfill, DOC should be calculated by waste composition for incoming waste.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상기후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해결을 위해 선진국에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여하는 교토의정서 채택에 이어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파리협정을 채택하였다. 지구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2050년도까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며,국내에서는 부문별로 감축목표를 설정하였다. 매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배출량 예측 모델에 의해 산정이 가능하며, IPCC 가이드라인은 현장측정에 기초하여 모델에 적용되는 매개변수 산정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매립지 활동 자료와 IPCC 가이드라인 및 기존 문헌을 통해 미국 EPA LandGEM 모델에 필요한 매개변수 DOC, DOCf, k 및 Lo를 산정하였으며,현장측정에 기초하여 산정된 매개변수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폐기물 매립지는 우리나라 최대 매립지인 수도권매립지이며,수도권매립지 중 가장 최근에 매립이 종료된 수도권제2매립지를 선정하였다. 대상 폐기물 매립지의 DOC는 시나리오 1, 2로 나누어 산정하였으며,시나리오 1은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DOC, 시나리오 2는 전 등(2007)이 현장측정에 의해 산정한 DOC를 적용하였다. 해당 폐기물 매립지 활동 자료의 성상과 시나리오에 따른 성상별 DOC를 곱하여 매립된 총 DOC를 산정하였으며,산정결과 시나리오 1은 9,462,493.1ton,시나리오 2 는 15,325,777.7ton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2가 시나리오 1 대비 1.62배 높게 나타났으며,이는 시나리오 2에 해당하는 음식물,종이,목재,섬유,오니류의 성상 DOC를 높게 산정하였기 때문이다. 대상 폐기물 매립지 활동 자료를 통해 2000년부터 2021년도까지 매립 가스 발생량 및 메탄발생속도상수(k)를 산정하였으며,향후 2068년까지 매립가스로 발생되는 DOC를 산정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2068년까지 침출수로 인한 DOC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2068년까지 매립가스로 발생되는 DOC는 3,824,793.9ton이고 메탄발생속도상수(k)는 0.060/yr로 산정되었다. 침출수로 발생되는 DOC는 31,059.1ton(0.3%)으로 나타났으며,이는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2% 미만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대상 폐기물 매립지 활동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DOC 매립량 및 발생량을 통해 시나리오별 DOCf를 산정한 결과 시나리오 1은 0.404, 시나리오 2는 0.250으로 산정되었으며,'Lo=DOCxDOCfxFxMCFx16/12' 방정식을 이용하여 Lo를 산정한 결과 시나리오 1, 2 모두 30.6kg-CH4/ton-waste로 산정되었다. 이는 DOC 와 DOCf 사이 관계에서 시나리오에 따라 산정된 DOC 값이 소거되어 결과적으로 ‘DOC 발생량/폐기물 매립량’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처럼 산정된 매개변수를 LandGEM 모델에 적용하여 향후 메탄가스 발생 예측량과 현장측정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2000년부터 2021년까지 현장측정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량은 1,863,917.8ton,LandGEM 모델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량은 1,223,408.1 ton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장측정에 의한 메탄발생속도상수(k) 값이 대상 폐기물 매립지의 주변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다고 판단되어 NRMSE 방법을 통해 메탄발생속도상수(k)를 다시 산정하였다. NRMSE 방법으로 산정된 메탄발생속도상수(k)는 0.144/yr이며,이와 같은 매개변수로 LandGEM 모델을 통해 메탄가스 발생량을 예측한 결과 1,865,558.3ton으로 현장측정에 의한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측정에 의한 메탄발생속도(k) 산정이 폐기물 매립지의 환경을 절대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있어 폐기물 성상별 DOC 산정도 반입되는 폐기물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