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베렐린 반응 전사인자 애기장대 AtSAT32 유전자의 염해 내성에 대한 연구

        박민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During a genetic yeast screening to identify salt tolerance (SAT) genes in a maize kernel cDNA library, we identified a maize clone, designated SAT32, that seemed to confer elevated salt tolerance in yeast cells.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of SAT32, the Arabidopsis homolog of SAT32, designated AtSAT32, was isolated. AtSAT32 is approximately 40% identical to SAT32 in amino acid sequence, and is 48 kDa in size. To further examine the roles of AtSAT32 in salinity tolerance in Arabidopsis, we functionally characterized AtSAT32 and found that salinity induced AtSAT32 expression. Constitutive expression of AtSAT32 in Arabidopsis led to elevated salt tolerance in transgenic lines. Interestingly, loss-of-function mutant of AtSAT32 exhibited insensitivity to gibberellin (GA). We propose that AtSAT32 is involved in salt stress tolerance as well as in mediating the control of plant root development by GA hormone.

      • 現代日本語の始動を表す複合動詞の意味と機能 : 「しはじめる」·「しだす」·「しかける」

        박민영 東京外國語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박사논문은 현대 일본어의 시동을 나타내는 복합동사의 의미 및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복합동사 중에서 [-hazimeru], [-dasu], [-kakeru]와 같이 시작의 의미를 나타내는 局面動詞는 文法範疇(aspect)와는 구별되어 語彙範疇(Aktionsart)로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복합동사를 시작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일시할 뿐 그 의미나 기능에 관해서는 언급된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러한 동사들이 결과적으로 시작이라는 공통적인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각각의 시동의 국면이 추출되는 과정은 話者가 어느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에 따라 제각기 다르며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의 동사들이 나타내는 의미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먼저 [-hazimeru]가 나타내는 시동의 단계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시작된 운동이 어느 정도 계속되리라는 암시가 내포된다. 이것은 [-hazimeru]에 의해서 표현되는 시동의 국면이 대상 운동이 가진 內的過程(「시작-중간-끝」)전체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내적과정의 일부분으로서 위치하기 때문에 [-hazimeru]가 나타내는 시동의 국면에는 계속적으로 다음 단계(「중간」)와의 관련이 암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hazimeru]의 의미를 본고에서는 <持續을 전제로 한 시동의 국면> 이라고 정의한다. 이와는 달리 [-dasu]가 나타내는 시동의 국면의 전제가 되는 것은 대상 운동의 존재방식의 변화 그 자체이다. 다시 말해서 특정 운동이 존재하지 않는 無의 상태에서 존재하는 有의 상태로 전환되는 그 순간에 초점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dasu]의 본동사가 가진 어휘적인 의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본동사 [dasu/出す]가 나타내는 [內 →外]라는 방향성이 복합동사 [-dasu]에서는 [無 →有]라는 상태 변화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dasu]의 의미를 <內發적인 발생, 出現> 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kakeru]의 경우에는 그 의미의 초점이 [-kakeru]와 접속하는 동사의 의미에 담긴 [限界]에 있으며 따라서 [-kakeru]는 <한계달성의 (직)전 단계> 를 지시한다. [-kakeru]가 나타내는 한계에는 [시작의 한계]와 [끝의 한계]의 두 가지 타입이 관련되어 있는데 동작동사와 결합한 경우 암시되는 [중지, 중단]의 의미도 이와 같은 [限界]와 관련지어서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kakeru]가 나타내는 의미는 <將現相(prospective Akionsart)> 이며 [-hazimeru]가 나타내는 <始動相(inchoative Akionsart)> 과는 구별해야 한다는 게 본고의 주장이다. 본 논문의 제2부에서는 [-hazimeru]를 중심으로 시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局面動詞의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局面動詞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두 가지 의미특성, [時間]과 [變化]라는 관점에 의거하여 그 기능을 검토하고 있는데 [時間]이라는 측면에서는 대상 운동의 [開始時間]과 대상 운동을 둘러싼 다른 운동과의 [時間關係]가 강조되는 점을 [變化]라는 측면에서는 대상 운동의 존재 방식으로서 [開始하는 운동] 자체가 강조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시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국면동사의 텍스트적인 기능은 특정 운동의 출현 그 자체를 부각시킴으로서 대상 운동이 이제까지의 문맥에 있어서 혹은 앞으로의 전개에 있어서 다른 운동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지시하고 그러한 관련성을 강조하는 데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초등 3-5학년 언어장애아동의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

        박민영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including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with written storie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irt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between Grade 3 and 5 and thir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on grade participated. All children with SLI obtained scores lower than -1.25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tive mean of the Language scales for School-aged children which is the standardized language test in Korea (LSSC; Lee, Heo, & Jang, 2015) and scored 80 or higher on the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2 (KCTONI-2; Park, 201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btained scores 80 or higher on the LSSC and KCTONI-2(Park, 2014). All of children with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ave no history of known hearing, visual, neurological,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Three narrative stories were created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Because familiarity would play important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all stories were created by investigators. All three stories have 27 sentences and contained grade-appropriate vocabularies. In order to assess comprehension monitoring, stories contained three different types of errors. The errors which embedded within stories consisted of nonsense words (i. e. lexical inconsistency), violation of prior knowledge (i. e. external inconsistency) and internal inconsistency within the text (Baker, 1984; Markman & Gorin, 1981). The number of each error type was 6, so total number of error was 18.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error evaluation and regulation. in the error detection task of comprehension monitorin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written stories, asked to read stories, and detect when something is wrong. After completing the error detection task, they were introduced same written stories but errors were underlined. Children were asked to read stories again and correct underlined errors to make sense stories.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 (1) Are there differences on performance of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typically children? (2) Are there differences on three types of error of the detection task between two groups? (3) Are there differences on three types of error of the correction task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SLI obtained mean scores of 4.39 on the error evaluation of the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hieved an average score of 11.85. Children with SLI obtained mean scores of 10.15 on the error regulation of the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ave an average score of 14.46.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children with SLI did demonstrat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problems when compared to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pecifically, children with SLI were more likely to have difficulty to detect problem in passages than to regulation problems in passages. The reason why children with SLI did show difficulty on error detection is that error detection is likely to related to high level of meta-cogntive process. Generally, error detection phase is related to metacognitive process while the error correction phase is related to general cognitive process (Pereia-Laird, 1997). Second, on the error detection task, children with SLI showed difficulties in all types of error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oth groups are most likely to detect external inconsistency errors than other errors. Both groups showed most difficulty to find internal inconsistency errors than othe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order to find internal inconsistency error, children need to storage previous information and process incoming information. Unlik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y to find even lexical inconsistency errors. Because children with SLI would be have deficits on vocabulary knowledge, they might have difficulty to find lexical inconsistency errors. Third, on the correction task, children with SLI showed difficulties in all types of error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both groups are most likely to correct external inconsistency error type because external inconsistency errors were relatively clear semantic properties and comparatively easy. As the error correction task, children showed most difficulty to correct internal inconsistency. In summary, children with SLI did show difficulty of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problems when compared to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eir poor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ability could be negatively influenced on their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Their poor performance of monitoring tasks could be explained by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and/or working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nitoring intervention would be initiated in an effort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LI.

      • 한국어 생략 유형별 복원 양상 연구 : 문맥 생략, 상황 생략, 개념 생략을 중심으로

        박민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n ellipsis and restoration during communication are considered an essential mechanism,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language users, content of restoration of omitted components, and range of restoration based on ellipsis types to present a basis of fundamental research on restor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ructural flow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mechanism of ellipsis and restoration is determined to operate directly for foreig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ed as observation of restoration patterns of the language learners to contribute to fundamental research related to ellipsis and restoration. While restoration is provided as a separate area of research, a literature review reveals that almost no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area of restor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type of ellipsis and restoration in terms of discourse and pragmatics ranging from ellipsis and restoration. As for methods of restoration, persons restore and supplement what is omitted on the basis of their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formation, and, despite the not-the-same properties in the patterns and scopes, the restoration is implemented within a certain range that does not harm the discoursal context. Chapter 3 describes how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tuitive perception and restoration patterns of language users according to ellipsis typ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60—Koreans who majored in language (n = 20), Koreans who did not major in language (n = 20), and Chinese who were learning Korean language (n = 20), undergoing a survey. A preliminary experiment was performed to refine the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was increas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questionnaire. In Chapter 4, the results by questions and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reveal tendencies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in restoration patterns. The Korean subjects, putting a premium on conveying meanings, felt awkward about discourses with ellipsis in which concrete expressions and precise description on topics were omitted. In particular, the Koreans restored what was omitted by using metapragmatic perception reactions and empathy when the information was omitted showing behavior, status, or property of discourse participants.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used a restoration method depending only on linguistic information, a method that restricted the range of restoration. Although they predicted several situations to restore what was omitted, their actual patterns of restoration did not exceed the linguistic information. It was expected that, when discourse participants had different background knowledge, their components of restoration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ssimilarities in reasoning situations. However, the restoration pattern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not wide-ranged and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s (depending only on linguistic information to restore what was omitted) even though they have stayed long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sufficient to signify that a clear contrast in restoration patterns is shown between Koreans and Chinese, but this study may be helpful when restoration is po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는 의사소통 과정 중 발생하는 생략과 복원을 필수 기제로 보고, 생략 유형에 따른 언어 사용자의 인식과 생략 성분 복원 내용 및 복원의 범위를 실험으로 관찰하여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복원 관련 기초 연구에 보탬이 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습득하는 데 생략과 복원 기제가 직접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언어 사용자들의 복원 양상을 관찰하여 생략과 복원 관련 기초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밝히며, 복원을 개별 영역으로 인정해야 함을 주장하며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지만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복원 연구는 전무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2장에서는 생략부터 복원의 범주까지 아우를 수 있는 담화‧화용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생략과 복원의 정의, 특성,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복원 방법에서는 개인의 언어적‧사회적‧문화적 배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략 성분을 복원‧보충해내므로 그 형태와 범위가 동일하지 않다는 성질을 지니고 있지만, 담화 맥락을 해치지 않는다는 일정 범위를 기준으로 복원된다 것을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생략 유형에 따른 언어 사용자의 직관적 인식과 복원 양상을 살피기 위한 실험 설계 과정을 밝혔다. 피험자 집단은 한국인 어학전공자 20명과 비전공자 20명,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20명으로 분류하여, 총 6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실험을 거쳐 질문을 세분화하고 문항의 수를 늘려 설문조사의 완성도를 높였다. 4장에서는 문항별, 집단별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경향을 보고 복원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한국인은 의미 전달을 중요하게 여겨 구체적인 표현과 정확한 화제 설명이 누락되었을 때 생략이 사용된 담화를 어색하게 받아들였다. 특히 담화참여자의 행동이나 상태‧성질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생략된 경우 상위화용적 지각 반응과 감정이입이 작용해 복원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언어 정보에만 의존해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로 인해 복원의 범위가 한정적이었다. 생략 성분을 복원하고자 다양한 상황을 예측하였지만, 실제 복원 형태는 언어 정보를 넘어서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담화참여자가 서로 다른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을 경우 상황을 추론하는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복원 성분이 다를 것이라 예상했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거주 기간이 오래되었다고 해도 언어 정보에만 기대어 생략 성분을 복원하기 때문에 복원의 범위가 넓지 않고, 한국인의 복원 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국인과 중국인의 뚜렷한 복원 대조 양상을 보인다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족하지만, 앞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복원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된다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철도차량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1차원 등가모델 연구

        박민영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열차의 충돌사고는 승객 및 열차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승객 안전도 확보를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국내 충돌안전 규정에서도 이러한 충돌 안전설계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충돌 동역학 1차원 모델을 이용해 길이방향의 충격력 및 압괴량 등을 통하여 충돌에너지 흡수량을 예측할 수 있고 설계단계에서 변형구간과 강체구간을 구분하고 설정하여 전체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설계 후 평가단계에서 3차원 모델의 후방 차량은 상대적으로 충돌의 영향을 덜 받음을 감안하여 1차원 모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차량은 한국형 고속전철이고 전체 차량 편성 20량 중에서 전방에 위치한 3량만을 3차원 유한요소로 모델링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계단계에서 사용하는 1차원 모델과 검증 및 평가 단계에서 사용하는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비교하여 모델간의 차이점을 최소로 하고 동일한 압괴 거동을 도출할 수 있는 1차원 모델링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3차원 모델을 이용해서 충돌해석을 할 경우 실제에 가까운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모델을 개발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3차원 모델의 경우 최종 설계의 검증단계에서 더욱 적합하다. 1차원 모델의 경우에는 설계단계에서 전체열차의 1차원 충돌동역학 해석을 통하여 충돌의 결과를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충돌안전설계를 위한 에너지 흡수 부품 및 구조의 압괴 특성 등을 수정하고 보완하는데 용이하다. 1차원 모델을 만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구간별로 정확한 하중-변형량 특성곡선을 도출하는 절차이다. 특성 곡선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방의 3량의 차량에 각 구간의 경계면에 차체단면(cross-section plane - Ls-Dyna의 option card)을 설정하여 경계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추출하였다. 여기서 도출되는 하중-변형량 곡선을 1차원 요소에 입력한 결과 3차원 모델과 매우 유사한 압괴 거동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두 모델간의 평균가속도를 비교한 결과 차체단면을 사용한 경우에 두 모델 간의 평균가속도 값이 유사하였다. 최대 가속도 역시 기존의 방법보다 차체단면을 사용한 방법이 대체적으로 차이가 더 작게 발생하였다. 최대 가속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구간별로 적절한 주파수를 선정하여 필터링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구간별 최대 충돌가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속도곡선 비교법을 통해 적절한 주파수를 선정하고 필터링하였다. 각 구간별로 각기 다른 주파수가 선정되었고 실제 거동과 유사한 3차원 모델의 결과에서 주파수를 선정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a new 1-D crash dynamic model made out of the each sectional 3-D crush characteristics of KHST(Korean High Speed Train). We compared the analysis results of 1-D model with them of 3-D model on a same condition. By solving these two models of KHST, differences such as crush data, accelerations of passenger sections are exist. We need to eliminate the differences of the numerical results by using analysis results of sectional crush characteristics in coupled 3-D model. We consider the collision reference scenarios for KHST, and then get crush characteristic data from each section parts of its carbody using 3-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suggested 1-D model made out of the 3-D crush characteristics is simulated under the collision scenarios, an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evaluated and discussed. In order to evaluate the acceleration of each sectional part, appropriate frequency was selected and filtered through the comparing method of velocity curve. Each segment was selected by the different filtering frequencies. Consequently, the acceleration of each section should be filtered by the filtering frequency selected appropriately.

      • NCS를 고려한 정보수준 기반의 표준 BIM설계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박민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 표현방식의 변화와 디자인의 발전, 기술의 발전, 에너지와 주변 환경에 대한 중요성 등으로 건축설계 방식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건축설계에서의 표현방식의 변화는 이러한 다양한 건축 관련 데이터(Data)를 최근 정보라는 개념으로 구축하고 이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의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건축분야의 변화에 따라 건축 교육기관에서도 이에 따른 교육의 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건축의 디지털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환경변화에 따라 국내의 공공기관 및 건축 설계사무소를 포함한 건축 현장에서 건축설계, 토목, 설비, 시공, 적산, 환경, 유지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BIM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 BIM도입에 있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데 그중 특히 BIM을 운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의 부족으로 BIM을 활용한 프로젝트의 수행에 있어 내실 있는 BIM활용 및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가에서는 BIM도입에 관한 필요성과 전문 인력 양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 및 강조하기 위하여 정부 3.0 핵심 국정과제중 하나로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산업부분별, 수준별로 체계화하여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서 건축설계 부분에 BIM학습모듈을 포함하여 이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의 현실은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대학교 건축학과를 포함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의 대부분의 BIM교육은 디지털 프로그램 학습 중심의 기능 위주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강사에 따라 목적, 목표 등 교육과정이 다양하고 실무와의 연관성이 부족하여서 BIM교육을 이수 한 뒤 실제 프로젝트에서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원인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나 각 업무과정에서 BIM을 도입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표준 BIM교육과정의 설정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정부의 국정과제인 NCS와 연계한 표준 교육과정 제시를 통하여 실무에서의 BIM업무를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현실적인 학교의 BIM교육과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대응하기 위하여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국내 대학 BIM교육과정을 제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BIM 특성에 적합한 LOI(Level of information, LOI)를 고려하여 BIM교육요소를 도출하고 NCS 건축설계 부분의 BIM 학습모듈에 적용 가능한 교육모델을 제안하며 이를 통하여 국내 건축대학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어 자료로써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 되었다. 이론 고찰을 통하여 BIM교육관련 연구의 흐름과 BIM설계 대학 교육의 현황을 통한 현 대학 BIM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실무 용 가능한 BIM교육과정을 제안하기 위해 건축 실무 프로세스와 BIM업무를 고찰하고 다음 건축정보수준의 고찰을 통하여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표준 BIM교육과정을 위한 교육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NCS의 구성과 수행준거를 분석한 후 NCS내의 BIM 학습모듈 분석을 통하여 각 능력단위별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LOI단계별 검토 가능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교육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별 예시 모델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교육요소를 토대로 국내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LOI기반의 표준 BIM교육과정을 제안하고 제안된 교육과정이 NCS의 수행준거에 충족되는지 확인하였다. 제안된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과 과제를 예시로서 작성하여 제안된 교육과정을 활용 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BIM교육이 단순하게 소프트웨어 훈련이 아닌 변화된 건축 프로세스의 패러다임을 교육해야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현 NCS내의 BIM학습모듈을 분석하여 NCS를 충족하기 위한 필요지식과 필요기술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건축정보수준을 기반으로 한 교육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BIM관련 가이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LOD가 생성된 결과물의 수준으로 정의되어 BIM의 과정을 충족하기 어렵다 판단하고 이를 정보의 생성 및 연계·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정의된 LOI를 건축 프로세스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BIM교육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앞선 내용의 분석과 교육요소 도출을 통하여 교육내용이 건축학뿐만 아니라 건축공학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에 건축학에서의 설계스튜디오뿐만 아니라 건축전반에 이르는 교육을 포함해야 실무에 적용 가능한 능력을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대학교육을 5수준으로 구분하여 BIM이론교육 및 BIM기능교육(1), BIM기능교육(2), 건축학&건축공학 연계프로젝트, BIM스튜디오학습과 같이 4가지 과목으로 BIM교육을 제안하였다. 앞서 제안한 교육 과목 중 BIM학습을 위한 구제적인 교육요소를 정보의 심화라는 측면에 맞추어 건축 요소별 단계설정을 하여 대지, 매스, 벽체, 창호 등 건축요소별 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활용한 BIM이론교육 & BIM기능교육(1)과 BIM기능교육(2)의 교과과정을 제안하고 주차별 교육과정으로 예시와 교수방법, 주차별 과제를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시된 교육과정모델의 교육을 통하여 국가직무능력을 수행하면서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BIM 인력의 양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rchitectural design method gets more complicated with the change i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method, the development in the design and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the energy and environment. Especially,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in the architectural design has led to the environment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which the various architectural data is constructed as information for sharing. Public Procurement Service of Korea announced in 2015 that starting in 2016, the contractors shall apply the BIM service of the level of planning and interim design stages to the works worth of less than 30 billion Won, the BIM service of the level of working design to works more than 30 billion Won and the BIM service of the level of working design along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specified to the project to the work worth of more than 50 billion Won Due to the change i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to the architectural digital information, the BIM is widely used by the businesses including the domestic public organizations and architectural design compan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al design, civil engineering, machine, construction, estim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maintenance. But there are still the various problems in the introduction of BIM in Korea. The biggest issue related to the BIM is the lack of personnel in the operation and use of BIM and the resulting difficulty in the use and application of BIM in the actual project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raining of personnel in the introduction and use of BIM, the Korean government has put BIM learning module in the architectural design category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hich is designe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knowledge, engineering and expertise requir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BIM in the industrial fields by industry or level as one of the Government 3.0 Core Tasks. But the actual educational infrastructure does not support this effort enough. Most of BIM educations performed by professors or lecturers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in colleges, vocational high school, and junior colleges focus on the study of the skill of BIM only and the education processes or goals are not consistent with each other. So, even after the students complete the class on BIM, they do not use them in the actual projects. To solve th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standard BIM educational process and apply it to the fields so that the actual training on BIM can be made. So,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realistic BIM educational course in the school in terms of the actual BIM work by proposing the standard educational courses in connection with NCS or the current government's policy. For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BIM education course for the domestic colleges which can be used in practices. For this purpose, the BIM educational factors would be derived considering the LOI (Level of Information) which is proper for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BIM and which can be applied to BIM learning module in the NCS architectural design. They would be used as the data fo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courses in the universities in Korea. I try to find any problem in the current BIM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flow of BIM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BIM design college eduction. Next, I check the architectural practical process and BIM work to suggest the practical BIM educational course and BIM work and find the necessity of the BIM through the study of the LOI. To get the educational factors for the standard BIM educational courses, I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NCS and its reference of implementation before getting the evaluation items for each capability unit through the analysis of BIM learning module inside NCS. In addition, I analyze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which can be obtained for each stage of LOI and get the educational factors to suggest the models for each factor. Based on the derived educational factor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n Korea, I suggest the standard BIM educational course based on LOI and check if the suggested educational course complies with the reference of NCS. I prepare the contents, method and task of education for the suggested educational course to use them as the data for the suggested educational courses. Through these processes, it was found out that the BIM education shall focus not on the simple software training but on the paradigm of the changed architectural process. By analyzing the BIM learning module in NCS, the knowledge and skill required for meeting NCS has been derived and analyzed. To get the education elements based on LOI, I analyzed the LOI which is defined as the generation, connection and use of the information and compared it with the architectural process because I have found out that it is hard for LOD suggested in the domestic BIM related guide to meet the requirement as it is defined as the level of the generated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contents and the derivation of the educational factors, I knew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need not only the architecture but also the knowledge on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So, I found out that it needs not only the design studio at the architecture but also the education on all fields of architecture. So, I classified the college education to five levels and suggested the four subjects of BIM education such as BIM theory education and BIM skill eduction (1), BiM function education (2),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linkage project and BIM studio learning. For the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for the BIM learning among the suggested educational subjects, I have suggested the method of using the information of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land, mass, wall and windows by setting the stage for each architectural elemen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depth information of architecture. So, I think that the educational course model would help people to enhance their job capability and also help to train the BIM personnel who would put BIM into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