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lioquinol induces autophagy in cultured astrocytes and neurons by acting as a zinc ionophore

        박미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Clioquinol has been reported to be protective against Alzheimer’s disease (AD) by acting as a zinc chelator. A recently published paper has reported that accumulation of labile zinc in the cytosol under oxidative stress induces autophagy in astrocytes. Though clioquinol has been recognized as a metal chelator due to its zinc binding affinity,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it is more effective as an ionophore.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clioquinol induces autophagy by acting as a zinc ionophore in cultured neurons and astrocytes in a zinc-dependent manner. Cortical neurons treated with clioquinol increased the level of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LC3) II. Confocal live cell imaging of RFP-LC3-transfected astrocytes induced formation of LC3 (+) autophagic vacuoles (AVs) in the cytosol. Addition of either 3-methyladenin (3MA), an autophagy inhibitor, or small interfering RNA targeted towards ATG6, reduced the LC3 II level and autophagic vacuoles in the cytosol. Under Fluozin-3 fluorescence microscopy, clioquinol was seen toincrease the level of cytosolic labile zinc and autophagic vacuoles. Zinc chelation with N,N,N',N'-tetrakis-(2-pyridylmethyl) ethylenediamin (TPEN) decreased this phenomenon and addition of small amount of zinc potentiated the level of LC3 II and LC3 (+) puncta, indicating that clioquinol acts as a zinc ionophore and zinc flux modulates autophagy. When astrocytes and SH-SY5Y expressing mutant huntingtin (mHttQ74) were exposed to clioquinol, the number of aggregate-positive cells, as well as the aggregate size, was decreased. This effect of clioquinol was reversed by the addition of TPEN. And when cortical neurons and astrocytes were treated with high dose of clioquinol, it caused autophagic cell death in a zinc-dependent manner,and neuronal cell death is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3MA or TPE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lioquinol induces autophagy in a zinc-dependent manner and participates in the clearance of aggregated protein in astrocytes and neurons. Based on these results, zinc ionophores can be considered an applicable treatment for Alzheimer’s disease or other neurodegenerative disease with proteinopathy, suggesting a new possible therapeutic target.

      • cAMP-dependent kinase A가 6-hydroxydopamine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영향

        박미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파킨슨 증후군은 퇴행성 신경 질환중의 하나로 중뇌의 도파민계 신경 세포가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병리 현상을 수반한다. 파킨슨 증후군에서의 도파민계 신경세포의 사멸이 apoptosis 과정을 통하여 일어난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아직도 발병 원인인자 및 이에 관련된 기전은 정확하게 밝혀지고 있지 않다. 6-hydroxydopamine (6-OHDA)과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는 이 병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약물로 파킨슨 질환 연구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인산화 효소는 세포내 신호전달, 조절, 증식에 관련되어 주된 기능을 하고 있으며 세포 사멸이라는 현상을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도파민계 신경 세포 사멸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단백질 인산화 효소에 대한 연구가 아주 미미한 상태이고 이런 인산화 효소의 조절 기작을 이해하는 것이 파킨슨 증후군의 병리 현상을 이해하고 호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파민계 신경세포인 MN9D에 100uM 6-OHDA를 처리하여 세포 사멸을 유도한 다음 여기에 관여하는 인산화 효소를 알아 본 결과 cAMP-denendent kinase A(PKA)가 관여함을 알게 되었다. PKA의 단백질 발현양에는 변화가 없으나 활성이 줄어드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PKA활성을 억제하였을 때 세포 사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PKA의 특이적 활성 억제제인, KT-5720을 처리하여 본 결과 세포 사멸이 약 20%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는 caspase 3 활성화를 앞당기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는 PKA활성 억제에 의한 세포사멸의 증가는 caspase 3를 통하여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신경 독소인 50uM MPP+에 의해서 유도되는 세포 사멸에서 PKA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PKA 단백질 발현양은 점차 줄어들고 활성도 역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활성 억제제인 KT-5720을 처리한 결과 세포 사멸이 늦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6-OHDA에 의해 유도된 MN9D라는 도파민계 신경세포의 사멸에 cAMP dependent kinase A(PKA)가 관여함을 밝히고 이들이 세포 사멸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또 다른 세포 사멸의 형태를 나타내는 MPP+에서는 다른 작용을 나타냄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동일한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상이한 세포사멸 기작에 대하여 비교, 고찰함으로써 파킨슨 증후군을 비롯한 신경퇴행성질환의 방지 및 치료의 가능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Parkinson's disease is a chronic and progres sive disorder in which parkinsonism occurs without recognizable cause or evidence of more widespread neurologic involvement. 6-hydroxydopamine (6-OHDA) and 1-methyl-4-phenyl-1,2,3,6 tetrahydropyridine(MPP+) have been used to establish the experimental model of Parkinson's disease. Protein kinase represent one of the largest protein families and are the central switches controlling intracellular communication, regulation, and signal transduction. Pathologies and therapies of Parkinson's disease are increasingly recognized to involve protein kinase. To investigate the involvement of kinase in the dopaminergic cell death, induced by 6-OHDA and MPP+, we preformed the kinase assay in the immunoblot. We identified the involvement of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A(PKA). Furthermore, we explored the involvement of PKA 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6-OHDA-induced cell death. Pretreatment of MN9D cells with KT-5720, a well-known PKA inhibitor, accelerates the 6-OHDA-induced cell death and the proteolytic cleavage of caspase 3. By contrast, PKA expression was decreased and inhibition of PKA attenuates MPP-induced cell death.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s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PKA to drug-induced dopaminergic neuronal death.

      •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character strength is a variable that affect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and congruence of the Satir's model during the process.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410 Christians who attend church.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8.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1986)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congruence(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 strength(courage, temperance, justice), self-esteem, congruence and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age; in every variable except character strength(humanity) and congruence (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self-esteem and congruence(intra-psychic dimension, total congruenc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 according to the belief characteristics of Christian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character strength(transcendence), congruence (intra-psychic dimension, spiritual dimension, total congruence),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spiritual training; character strength(justice, transcendence), congruence(spiritual dimension, total congruence), religious well-being and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worship service attendance; in every variable except character strength(temperance) and congruence(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religious activities; and in every variable according to prayer time.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 strength and self-esteem, congruence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op, middle and bottom groups in every variable. Fourth,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every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strength, self-esteem, congruence and spiritual well-being. Character strength, self-esteem and congruence had meaningful effects on religious well-being, and it was explaining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transcendence, spiritual dimension, wisdom and temperance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45%.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57% with the explanation in the order of self-esteem, spiritual dimension, wisdom, transcendence and interpersonal dimen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piritual well-being was 54% with the explanation in the order of transcendence, spiritual dimension, wisdom,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dimension. Fif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ening effect of self-esteem and congr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 and spiritual well-being showed that self-esteem had complete intervening effect on wisdom, and partial intervening effect on humanity, courage, temperance, justice and transcendence. In congruence,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had complete intervening effects on wisdom and temperance, and interpersonal dimension had partial intervening effects. In humanity, courage, justice and transcendence, every sub area of congruence had partial intervening effects.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although character strength had direct effects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its influence and spiritual well-being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self-esteem and congruence. Accordingly, this study contributed to scientific happiness study of Christia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 new resource of character strength in enhancing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In addition, its significance is in the fact that it scientifically verified the basis of intervention of self-esteem and congruence to maximize character strength in order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on preparing a foundation for developing happiness and growth program of Christians.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Satir 성장모델의 자존감과 일치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회에 출석하는 기독교인 41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일치성(대인간 차원), 연령은 성격강점(용기, 절제, 정의), 자존감, 일치성, 영적 안녕감, 학력은 성격강점(자애)과 일치성(대인간 차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월 소득은 자존감과 일치성(심리내적 차원, 일치성 전체)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독교인의 신앙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앙연수는 성격강점(초월), 일치성(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 일치성 전체), 영적 안녕감, 예배참석은 성격강점(정의, 초월), 일치성(영성 차원, 일치성 전체), 종교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종교 활동은 성격강점(절제)과 일치성(대인간 차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개인 기도시간은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 수준에 따른 영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상, 중, 하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 영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은 종교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설명력은 45%로 초월, 영성 차원 지혜, 절제 순으로 종속변인을 설명하고 있었다. 실존적 안녕감의 설명력은 57%였고, 자존감, 영성 차원, 지혜, 초월, 대인간 차원 순이었다. 영적 안녕감은 54%의 설명력으로 초월, 영성 차원, 지혜, 자존감, 대인간 차원 순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다섯째,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지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자애, 용기, 절제, 정의, 초월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일치성은 지혜와 절제에서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대인간 차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자애, 용기, 정의, 초월에서는 일치성의 모든 하위영역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변인에 의해 그 영향력을 증가시키고 영적 안녕감을 더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성격강점이라는 새로운 자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기독교인의 과학적인 행복연구에 기여하였다. 또한 성격강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자존감과 일치성의 개입에 대한 근거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기독교인의 행복 및 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敍事文學에 受容된 鬼神 表出樣相과 意味硏究 : 說話와 初期小說을 中心

        박미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설화와 초기 전기소설에 수용된 귀신의 표출양상과 의미를 穿鑿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그리하여 『三國遺事』에 수록된 네 작품과 初期 傳奇小說의 다섯 작품을 대상으로 귀신의 행동과 형상의 양상이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대상화된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敍事文學에서 鬼神은 인간의 凡常치 못한 삶 속에 출현하여 인간이 가진 缺乏을 解消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고, 鬼神 자신의 解寃을 하거나 또는 악행을 저질러 인간에게 해를 끼치기도 하는 다양한 양상으로 인간과 관계를 맺는다. 이에 귀신의 표출양상이 어떠한 형상으로 표출되는지를 살펴보면, 설화에서는 동·식물의 형상으로 표출되었고, 소설에서는 인간의 형상으로 표출되었다. 설화와 소설에 등장하는 귀신들은 형상표출에 있어서 상위개념으로는 전체적인 공통점을 지니지만 귀신의 유형과 형상화 방법에 있어서는 개별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설화에 등장하는 귀신은 동·식물화로 표출양상을 보인다는 공통점을 기반으로 개별적 유형을 살피면, <도화녀와 비형랑>은 人鬼, <김유신>의 寃鬼와 <미추왕과 죽엽군>의 祖上神, 그리고 <밀본최사>는 邪鬼, <혜통항룡>은 寃鬼로 귀신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귀신은 인간형상으로 표출되지만, 각기 구분되는 유형에 따라 <崔致遠>의 자살귀신, <萬福寺樗蒲記>,<李生窺墻傳>의 정절 귀신 그리고 『薛公瓚傳』의 내린 귀신, <何生奇遇傳>의 부활 귀신으로 살펴보았다. 이처럼 설화와 소설의 귀신표출양상에 대한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도화녀와 비형랑>조와 <이생규장전>의 귀신은 생전의 모습으로 형상을 표출하고, 일정기간의 머무름이 있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김유신>의 추남과 <혜통항룡>의 신충, 그리고 『薛公瓚傳』의 설공찬은 寃鬼라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해원의 방법에 있어서 적국의 장군, 등창, 빙의의 유형으로 표출한다는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문학에 등장하는 귀신의 형상과 표출양상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설화와 소설에 나타나는 귀신의 유형, 형상과 행동표출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개별적 특성과 의미를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expressive modality and meaning of ghosts presented in domestic tales and earlier fictional biographies. For this, four works in <Samgukyusa> and five earlier fictional biographies were sampled and the expressive ways of ghost’s behavior and the modality of images were looked into,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embodiment. Ghosts in the epic literature establish relations with human beings in a variety of modalities, such as appearing in unusual life and then helping people settle their deficiency, venting their spite, or doing evil things, thus causing injury to human beings. As for the modality of image of ghosts, they appear with the image of animals and plants in tales and the image of human beings in novels. From the upper conception of appearing images of ghosts in tales and novels, they have common points in general, but they ha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types and embodying methods. Based on ghost’s common points of expressive modalities of animalization or vegetalization, their individual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A human ghost for <Dohwanyeo and Bihyeongrang>, a spiteful ghost for <Kim Yu-sin>, an ancestor ghost for <Michuwang and Jukyeopgun>, a demon for <Milbonchoesa>, and a revengeful ghost for <Hyetonghangryong>. Ghosts in novels appear with the image of human beings, but they can be classified by types: A suicide ghost of <Choe Chi-won>, a chaste ghost of <Manboksajeopogi> and <Isaenggyujangjeon>, a descended ghost of <Seolgongchanjeon>, and a resurrected ghost of <Hasaenggiuje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modality of ghosts in tales and novels were comparatively examined. Ghosts of <Dohwanyeo and Bihyeongrang> and <Isaenggyujangjeon>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present themselves as the image they had before dying, and sta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Chunam of <Kim Yu-sin>, Sinchung of <Hyetonghangryong> and Seolgongchan of <Seolgongchanjeon> have a common point of a revengeful ghost, but their method of venting their spite is different by appearing as a general of the enemy, a tumor on the back, or possession. Via a comparative examination on the image and expressive modality of ghosts in the epic literature, it was possible to find out common and different points in ghost types, images and expressive modalities of behavior, together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