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 책가도의 해석을 통한 현대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다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책가도는 쌓아놓은 책 더미와 서재의 일상용품을 적절히 어울리게 배치해 놓은 그림으로 책거리 혹은 서가도(書架圖), 문방도(文房圖)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책장의 형태를 가진 것을 책가도, 책장의 형태가 아닌 것을 책거리 그림이라 부르기도 한다. 책가도는 원래 책 읽기를 즐기고 학문의 길을 추구하던 선비의 방을 장식하고, 책을 아끼고 늘 가까이하겠다는 그들의 마음을 반영한 그림이었다. 하지만 조선 후기 민화의 주제 중 하나로 등장하면서 서적의 수량이 줄고 서민들의 소박한 소망에서부터 부귀영화(富貴榮華)를 꿈꾸는 대중들에게까지 기복축사(起福逐邪)의 주술적(呪術的) 의미를 내포한 상징적인 그림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렇게 연구자의 작업 소재 ‘책가도’ 속에는 화려한 사치품에 대한 열망, 기복적 요소, 가치에 대한 ‘욕망’이 모두 담겨있다. 책가도에 진열된 물건들은 그 시대의 역사, 사상, 생활, 심지어는 사회의식까지 읽어낼 수 있는 수단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물건이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담겨 있는 풍속화로 볼 수도 있다. 그래서 조선 후기의 사회적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 역할을 하고 있다. 책가도의 표현기법은 수묵화의 담담함보다는 채색화의 화려함으로 채색되었다. 사물의 가치를 재인식함과 더불어 현실적인 욕망을 표현할 수 있는 채색화를 선택한 것이다. 화려한 색채는 현실을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꿈꾸는 미래의 세계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연구자의 작품에서 표준적으로 높은 채도의 짙은 원색이 사용되었고 이들의 대비 효과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연구자의 작품에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첫째 인간의 일대기에 따라 책가도의 형식을 재해석하였다. 순수함과 자유로움을 상징하는 영·유아기,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고자 하는 청소년기, 성인이 되어 성숙한 사랑과 이별의 아픔을 겪게 되는 대학생과 처음으로 사회라는 집단 속에 들어가 어려움에 부딪히는 사회 초년생, 마지막은 자신보다는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의 단계이다. 이와 같이 일대기를 총 5단계로 나누었고, 그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물들을 재배치하여 현대인들의 욕망과 소망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일상 속 소재를 통해 시대 상황을 나타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현실을 떠나고 싶은 마음을 여행 관련 책, 캐리어, 여권, 카메라 등의 사물을 사용해 상징화시켜 표현하였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변하지 않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을 담아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전통 책가도에 나타나는 예술성을 파악하고 각 시대와 문화를 상징하는 매개체를 선택하여 현대인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밖에도 책가도에 드러나는 조형적 요소와 전통 민화의 표현양식이 앞으로도 연구자의 작업 방향을 다방면으로 인도(引導)해 주고 이를 통한 구상적인 조형방법에 대해서 좀 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haekgado is a painting in which stacks of books and daily necessities in the study are properly arranged, and i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Chaekgeori, Seogado, and Moonbangdo. The one with the form of a Chaekgado is called a bookcase, and the one that is not in the form of a bookcase is also called a Chaekgeori painting. Chaekgado was originally a painting that decorated the room of scholars who enjoyed reading books and pursued the path of learning, and reflected their desire to cherish books and always be close to them. However, as it appeared as one of the subjects of folk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books decreased, and it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ic picture that contains shamanistic meanings from simple wishes of the common people to the public who dream of wealth and glory. In this way, the researcher's work material 'Chaekgado' contains all the desire for splendid luxury items, elements of ups and downs, and 'desire' for value. The objects on display in Chaekgado are a means to read the history, ideology, life, and even social consciousness of that era. It looks simple from the outside, but if you look inside, you can see it as a genre painting that contains people's lives. Therefore, it serves as a material for estimating the social aspec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aekgado's express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the splendor of colored paintings rather than the calmness of ink-and-wash paintings. In addition to re-recognizing the value of objects, they chose color painting that can express realistic desires. Flamboyant colors not only make reality stand out, but also play a role in transforming it into the future world of one's dreams. Therefore, primary colors with high chroma were used standard in the researcher's work, and their contrast effects were emphasized. These work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the researcher's works. First, the form of Chaekgado was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human life story. Infancy symbolizing innocence and freedom, adolescence trying to break free from social norms,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the pain of separation from love and separation as adults, newcomers entering society for the first time and encountering difficulties, and the final step is mother's life. In this way, the life cycle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and the desires and wishes of modern people were indirectly expressed by rearranging the objects that can confirm the period. Seco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was shown through daily subjects. The desire to leave reality due to the coronavirus was symbolized and expressed using objects such as travel-related books, carriers, passports, and cameras. It also tried to capture the social position and role of women who have not changed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is meaningful in forming a consensus among modern people by identifying the artistry shown in traditional Chaekgado and selecting a medium that symbolizes each era and culture. In addition, the formative elements revealed in Chaekgado and the expressive style of traditional folk painting guide the researcher's work direction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future, and more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on the figurative formative method through this.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서비스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박다현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경로를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에 위치한 16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9명의 이용 아동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5.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검정 및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검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등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Durbin-Watson 통계량과 VIF지수를 산출하여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였으며, 각 독립변인들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변인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각각의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잠재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주요변수에 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은 3.97점(5점 기준)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는 4.06점(5점 기준)과 자아탄력성은 3.83점(5점 기준) 등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부모의 직업이 있는 경우,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직업이 있는 경우, 생활수준과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부모직업 유무와 생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4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모델 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대응성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잠재변인의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신뢰도 및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과 경쟁모형인 완전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각각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간접적인 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며,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는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아동의 상황이나 특성 및 욕구에 맞는 보다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하위요인 중 대응성(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향상과 전문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에게 적합한 자아탄력성 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학년이 바뀌는 학기 초에 관련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즉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는 데 있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 증진뿐만 아니라 이들의 자아탄력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동시에 모색하여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지역아동센터, 학교생활적응,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자아탄력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satisfaction with local children’s centers’ services and resilience on their school adaptation. The study also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resilience between their servic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In order to meet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ervices from local children's centers(LCCs). A total of 239 questionnaires from 16 LCCs in Jeonnam Provin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both SPSS 25.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all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general trends among the subjects. T-tests and analysis of variance analysis(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roups by demographics. The Scheffe test was also carried out as a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es were followed to examine correlations among the service satisfaction of local children's centers, 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Regression models were tested by the fitness with Durbin-Watson statistics and VIF index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s of each variable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each measurement mode of service satisfaction with local children's centers, 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if they meet adequate goodness-of-fitness for their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Sev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 among major factors.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ervices provided by local children's centers. It was found that they scored 3.97 points out of 5 in school adaptation, which means that those who used service at a local children's center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chool adaptation. Also, they scored 4.06 and 3.83 out of 5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and resilience, respectively. Secondly,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local children's centers and it was found that their level of school adaptation was higher in case of parents with a job, high living standard, high school grades, and better peer relationships. They had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from a local children's center in case of parents with job, high living standard, and better peer relationshi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esilience by parent’s job and living standards. Thirdly, four-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variable’s relative influence on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using service at a local children's c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resili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nd the responsiveness, which is a sub-variable of local children's center servic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adaptation to their school life. Fourthly,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latent variables’ models such as children's service satisfaction, 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The results verified the fitne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measurement models.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 partial mediation model as a research model and a full mediation model as a competing model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children's servic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ren's service satisfaction at local children's centers had direct impacts on their school adaptation and indirect impacts on it via resilience as well. Based on the study’s results, some practical and policy proposals to improve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using service at a local children's center can be made as follows: Firstly, given the findings that children had overall great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and that their servic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chool adaptation, it may be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reflected on children's situations, characteristics, and need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local children's centers influencing their school adaptation. Secondly, the responsiveness(relationships with teach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one of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children’s service satisfaction with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heir school adaptation. Therefore, some administrative measures should be incorporated to enhance both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because they can influence on children’s positive relations with teach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Lastly, the study found that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had even greater in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aptation via resilience than they had direct effects on it.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and carry out children’s resilience programs. Given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adjustment to a new environment, it is needed to implement adequate programs actively at the beginning of a semester in a new school year. The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service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n their school adaptation at local children's centers. It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rvice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adaptation among children using service at local children's centers. In addition, it can b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school adaptation by seeking various ways to not only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but also enhance their resilience. Key: local children's center, school adaptation,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local children's center, resilience

      • 학교도서관 교육영역 연구동향 분석 : 2013〜2022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박다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도서관 교육영역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 주요 학회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서 발행한 학술논문 중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수집하여 출판연도, 연구주제,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자키워드를 기준으로 논문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 웹툰 저작권 불공정계약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 웹툰 저작권 계약 관련 규정 법제화를 중심으로

        박다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solutions against unfair copyright contracts in the webtoon industry. The causes of unfair contracts are as follows : Imbalance in contract status, imbalance caused by unpredictability of economic returns, and imbalance due to non-compliance with standard contracts, etc. In particular, it is relatively high likely to have problems with unfair copyright contracts in the webtoon industry because of the absence of substantial associations that can negotiate copyright contracts or fees and represent webtoon writers. Even though there are cartoonists associations, their actual power of negotiation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existence of the association does not necessarily ease the issue of unfair contracts, but its absence is one of causes of unfair contracts, which requires Webtoon writer to deal with contracts for themselves. In general, unfair contracts done, most of the views are that the imbalance in contract status between business operator and creators has disadvantaged creators. A representative case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is the "Cloud Bread" case. This is a case where the imbalance in contract status has become a problem due to the so-called "Lump sum contract", in which the publisher pays copyright fees to the author in a lump sum on the condition of the transfer of all copyright. In the wake of the "Cloud Bread" case, the unfairness issue has been raised concerning the transfer contract and lump sum payment, and arguments on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have been discusse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sh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is is necessarily for its absolute benefit. They took risk of investing a large amount to a new writer in the form of lump sum in spite of high profits not being predicted. Lump sum payment is one of so variable payments that it’s not unconditonally considered unfair. The court in the “Cloud Bread” case also concluded that the contract itself was transferred under the Civil Act, but it was un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an unfair contract if it hadn’t fallen under such an unfair contract under the Civil Act. In particular, there is no set standard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ice because judging the value of a work requires not simply pricing the work, but also judging the economic potential.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conflicts related to copyright contracts arise from differences in opin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copyright fees. And I think the way to narrow differences of opinion can be eased by legislating copyright contracts in copyright law. Korea's copyright law does not specifically stipulate copyright contracts. In Korea, webtoon copyright contracts are largely divided into transfer contracts and license contracts, and the current copyright law simply stipulates the definition of transfer and license contracts, but the contents of copyright contracts are left to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under civil law. Accordingly, when the issue of unfair copyright contracts arises, the interpretation of civil law is applied first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copyright law, s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urt is very important. However, Germany and France codified regulations related to copyright contracts so that both authors and users could avoid the ambiguity of copyright contracts. For example, Article 131-4 of the French Copyright Act provides proportional compensation in principle and exceptionally recognizes lump sum compensation, and Article 131-5 stipulates that in the case of transfer of use rights, the author may request modification of the price conditions of the contract if the author suffers more than 7/12 due to unpredictability of the proceeds. Through this regulation, users avoid unfair contracts by complying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 compensation, and authors are guaranteed appropriate compensation by receiving proportional compensation, and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if they suffer more than 7/12. However, in the case of the webtoon industry, research on the method of signing related contracts and paying copyright fees was insufficient,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 basis for requesting additional compensation. This sutdy is focused on finding ways to prevent unfair webtoon copyright contracts in advance and post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contract signing method and copyright fee payment method used in the webtoon industry. It is suggeested that as a ex ante measure, the provisions related to webtoon copyright contracts should be legislated in the Copyright Act. The reason why its legislation is needed is that not being a mandatory regula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tandard contracts that could only be recommended and could not be enforced by placing copyright contracts in the written law. In addition, it helps to form a more accurate copyright contract ecosystem by giving clear rights and obligations to webtoon companies as well as webtoon writers. As an ex post measure, it is suggested that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be presented. Copyright laws in continental law in Germany and France and so on, which protect authors more strongly, stipulate "right to request changes," so it provides a basis for introducing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in the webtoon industry by analyzing the laws of countries with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The copyright contracts could be the only means of living for a writer who is engaged in art activities and it could be critical to make a fair contract accomplishment itself. Thus making the copyright contract clear to the law and providing to relieve damage for author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copyright law (Article 1 of the Copyright Act). In conclusion, as in all content industries, contracts that are advantageous to either users or creators cannot be seen as fair contracts, so it is most important to find a balance between webtoon companies and webtoon writers. Although this study has not suggested all solutions to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current state of the webtoon industry's copyright contract method, copyright fee payment method, and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legislation. Therefore, finding a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author and the efficient use of the user will be a task to be continuously studied in legislating copyright contracts in the future. 【KET WORDS】Webtoon, Copyright contract, Standard contracts, unfair contract, Imbalance in benefits, Additional compensation, MG, copyright fee, legislation. 이 연구는 웹툰 산업의 저작권 불공정계약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불공정계약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계약상 지위의 불균형, 경제적 수익의 예측 불가능성으로 인한 불균형, 표준계약서 비준용으로 인한 불균형 등이 있다. 특히 웹툰 산업은 저작권 계약이나 저작권료에 대해 협상하고 작가들을 대변할 수 있는 협회가 없어 저작권 불공정계약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만화가협회 등이 있지만 실질적인 협상력은 타 산업의 협상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협회의 설립이 반드시 불공정 계약문제 완화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협회의 부재로 인해 법률적 지식이 부족한 저작자들이 스스로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부담을 져야 하는 현실도 불공정계약의 원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불공정계약이 발생했을 때, 계약 당사자인 사업자(출판사 등의 이용자)와 창작자(저작자) 사이의 계약상 지위의 불균형으로 인해 창작자에게 불리해졌다고 보는 관점이 대부분일 것이다. 저작물 계약 시, 계약 당사자들 사이의 지위 불균형으로 인해 불공정계약이 문제가 된 대표적인 사건으로 “구름빵” 사건을 들 수 있다. 이 사건은 저작권 전부 양도를 조건으로 출판사가 저작자에게 저작권료를 일괄지급하는, 소위 “매절 계약”으로 인해 계약상의 이익 관계 불균형이 문제가 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양도 계약과 매절 지급방식에 대한 불공정성이 제기되었고, 추가보상청구권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저작자의 계약상대방인 출판사의 입장에서 이 매절 계약을 바라보자면, 이가 반드시 그의 절대적인 이익만을 위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높은 수익을 예측할 수 없음에도 투자 위험을 감수하고 신인 작가에게 한 번에 큰 금액을 지급하는 매절 방식을 택한 것이고, 매절 방식은 다양한 지급방식 중 하나로 무조건 불공정하다고는 볼 수 없다. 구름빵 사건을 재판한 법원도 민법상 계약 자체가 양도되었기 때문에, 이 사건의 매절 계약은 불공정계약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보았는데, 이처럼 민법상 불공정계약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불공정계약이라고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특히 저작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단순히 저작물 계약 시 측정되는 저작자의 권리에 대한 금전적 가격을 매기는 것이 아니라 저작물이 현재 그리고 미래 시장에서 가지는 경제적인 잠재력까지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의 “적절성”에는 정해진 기준이 없다. 결론적으로 저작권 계약과 관련한 갈등은 저작권료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차이로부터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의견 차이를 좁히는 방안은 저작권 계약을 저작권법에 법제화함으로써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저작권법은 저작권 계약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웹툰 저작권 계약은 크게 양도 계약과 이용허락 계약으로 나뉘는데, 현행 저작권법에는 양도와 이용허락 계약에 대한 정의를 간단하게 규정하고 있을 뿐 저작권 계약의 내용은 민법상 계약 자유의 원칙에 따라 당사자의 합의에 맡기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 불공정계약 문제가 발생하면 저작권법상 해석보다는 민법상 해석을 우선적으로 준용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법원의 해석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 그러나 독일과 프랑스는 저작권 계약에 관련된 규정을 성문화함으로써 저작자와 저작자의 계약상대방 모두 저작권 계약의 예측 불가능성을 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 예로, 프랑스 저작권법 제L131조-4조에는 비례보상을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정액보상을 인정하고 있으며, 제L131조-5조에는 ‘이용권 양도의 경우에, 저작자가 불공정계약 또는 저작물의 수익에 대한 예측 불능으로 인하여 7/12(약 58.3%) 이상의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저작자는 계약의 가격조건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을 통해 이용자는 비례보상이라는 원칙을 지킴으로써 불공정계약을 피할 수 있고, 저작자는 비례보상을 받음으로써 적절한 보상을 보장받으면서도 7/12 이상의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또한 보장받게 된다. 그러나 웹툰 산업의 경우 관련 계약 체결방식과 저작권료 지급방식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여, 추가보상청구권을 요구할만한 근거를 마련하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는 웹툰 산업에서 사용하는 계약 체결방식과 저작권료 지급방식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웹툰 저작권 불공정계약을 사전적․ 사후적으로 방지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사전적인 방안으로는 웹툰 저작권 계약 관련 규정을 저작권법에 법제화하는 방안이다. 법제화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강행규정까지는 아니지만, 성문법에 저작권 계약 관련 규정을 둠으로써, 권고만 가능하고 강제할 수는 없었던 표준계약서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저작자인 웹툰 작가뿐만 아니라 웹툰 사에게도 확실하게 권리와 의무를 부여해줌으로써 보다 정확한 저작권 계약 생태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사후적 방안으로는 추가보상청구권을 제안한다. 저작자를 보다 강하게 보호하는 독일, 프랑스 등의 대륙법계의 저작권법에는 “변경요구권”이 규정되어 있는 바, 추가보상청구권 규정이 있는 나라의 법제를 분석함으로써 웹툰 산업에 추가보상청구권을 도입해야하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 계약은 예술 활동을 전업으로 종사하는 저작자에게 유일한 생계일 수 있고, 저작권 계약은 그의 경제적 생활에 극히 중요하다. 따라서 저작권 계약을 법령으로 명시하고, 저작자에 대한 피해 구제 창구를 마련하는 것은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하려는 저작권법의 목적(저작권법 제1조)과도 부합하며, 이는 중장기적 만화산업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의 방향성과도 일치한다. 결론적으로는 모든 콘텐츠 산업이 그러하듯, 사업자나 창작자 어느 한쪽에게만 유리한 계약은 공정한 계약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웹툰 사와 웹툰 작가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이 연구는 그간 제기되어왔던 추가보상청구권에 대해 모든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였으나, 웹툰 산업의 저작권 계약방식과 저작권료 지급방식 그리고 관련 국내외 법제 검토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제기하면서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저작자의 권리 보호와 이용자의 효율적인 이용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앞으로 저작권 계약을 법제화하는데 있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 가정의 문화적 자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다현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capital of the family on adaptation of school life on a adolescent is investigated.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was shown a difference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economy background same as scholastic achievement. Thus if cultural capital was considered a factor of influence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knowing influence of cultural capital could be came the first step of reducing social polarizati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urvey,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living in Gwang-ju, are targeted for, shows that the social economic influence background on cultural activities of adolescent. But the social economic influence background could not be influenced on the cultural taste. And the remark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on a adolescent is dependent on the social economy background but the cultural taste of adolescentr is independent on the social economy background. A recent studies showed that cultural capital influence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also this study shows same result.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ultural taste of adolescent is independent on the social economy background. Furthermore, the gap between students got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and does not is getting bigger and seems to be harder to overcome it. The adolescent of lower class on the aspect of social economic are hard to possess a cultural fund. So variety access opportunities of cultural activities and variety programs and policies for support are required to them for developing themselves.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문화적 자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했다. 학교적응이 학업성취와 마찬가지로 사회경제적 배경에 영향을 받아 계층별 차이가 난다면, 학교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경제적 배경 외의 변수로서 문화적 자본의 영향력을 알아내는 것은 양극화를 줄이는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적 자본이란 Bourdieu가 자본을 경제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으로 나눈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DiMaggio가 정리한 문화적 자본의 척도로 문화적 활동과 문화적 취향을 사용하였다. 광주 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이번 연구의 결과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문화적 활동에는 많은 영향을 주었다. 부모의 경제력이 많은 활동을 지원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문화적 취향은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배경으로부터 독립적인 문화적 취향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 이번 결과는 주목할 만한 점이다. 선행연구들을 보면 문화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도 문화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문화적 자본은 사회경제적 배경과 무관하기 어렵지만, 본 연구에서 문화적 취향은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문화적 자본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많은 학생들의 경우 그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고 벌어진 격차를 극복하기 힘들게 될 것이다. 사회경제적으로 하층 계급의 청소년은 문화적 자본을 보유하는데 경제적인 어려움이 따르므로, 다양한 문화적 활동의 기회를 주어 문화적 취향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여 건강한 발달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孤臺日錄』에 나타난 의병 정경운의 임진왜란기 인물평가

        박다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reviewed how Jeong Gyeong-woon from a provincial noble family of Hamyang assessed the figures he directly encountered in the extraordinary situation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was from a provincial noble family, a disciple of Jeong In-hong, the leader of Bukins, and a member of Bukin school influenced by the Nammyeonghak school. It was after the discovery of Godaeilrok that he started to attract attention from the academic circles. In the book he recorded the circumstances of Gyeongsangwoo Province around Hamyang during the war, the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during the invasion in 1592, his personal life an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regarding family and servants, the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s from the latter half of King Seonjo's reign to the early days of King Gwanghaegun's reign, the stories about Nammyeonghak school, and other things he experienced and heard. The book especially claims high value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to study the history of the times with its records about the invasion in 1592. The books depict hundreds of people during the war, and the number is reduced to approximately 183 after excluding the ones who only have their names mentioned. Those figures were categorized into people related to the royal court, royal forces,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friends and relatives, troops of the Ming Dynasty, and Japanese troops. Their assessment criteria and content were divided in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general interests. They were categorized into distinguished service in war, administrative abilities, helpers, victims of the invasion in 1592, troops of the Ming Dynasty, and Japanese troops in the extraordinary situation of the war. The criteria of assessment according to general interests include partisan colors and academic origin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relatives, personality and physical conditions, morality and learning, and remembrance. When assessing people, Jeong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changing perceptions according to personal situations and positions. He went through the war as a member of Bukin that inherited the ideologies of Nammyeonghak school and a member of the provincial noble family of Hamyang in Gyeongsangwoo Province. The members of Bukin would generally consider fellow Bukin members to be positive, those of Namin neutral, and those of Seoin negative, but he made more objective judgments of people that valued "justice" based on the ideologies of Nammyeonghak school and further practiced it during the war. He also thought highly of leader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that were members of Seoin for their spirit of raising an army during war regardless of interests among the parties, which was probably because he wanted to raise the status of literary figures of Nammyeonghak school, to which he belonged, by highly appreciating the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led by them. Being in the position of a provincial noble family, he made favorable assessments of people that were in close relationships with him in general or who offered assistance to him. Since Godaeilrok is not a collection of official records but a personal journal, being of huge help to understand the daily life of the provincial noble family during the war, it indicates that his assessment of people as a member of a provincial noble family demonstrated we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material called a "journal". Lastly, it is worth noticing that his perceptions of the same people changed over time. Such changes happened according to distinguished service in war, changing perceptions of harmful effects of war, and changing perceptions based o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objective situational judgments. The most prominent changes of all were attributed to distinguished service in war, which seems like an objective evaluation in the extraordinary situation of the 1592 invasio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his assessments of others were based on his taste according to hi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lso his expressions of social and cultural values. Furthermore, the extraordinary situation of a war could be a sufficient condition for his usual circumstances and values to change as much as he liked. The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by looking into his evaluations of people in his positions he was faced with, estimating how the extraordinary situation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ffected his personal perceptions, and thus figuring out the aspects of perceptions shared among the noble families of Gyeongsangwoo Province in those days.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항공화물 운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미국 L.A 및 유럽 프랑크푸르트 노선을 중심으로

        박다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scribes for modern people internet search is the common way to find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easily and quickly. Most people tend to search for related key words on the Internet at the first step not only in their daily lives, but also in the case of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making important decis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air transport industry, demand forecasting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fields. Therefore, extensive and diver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viation demand prediction. If we could strengthen the forecasting of the variability of air freight, it would be helpful as one of the ways for the people who would like to establish a plan for cost saving and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We collected newspaper articles from January 2015 to September 2021 and analyzed the data. And then, found out the topics that influence the prediction of air freight rate fluctuation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fares and quarterly key topic data for destination routes from Incheon to LA and Frankfurt. As a result, it was predicted that the LAX route had an effect on the "Oil price" and "Ocean transport" topics compared to domestic logistics, and the FRA route had an effect on the "Oil price" topic.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specific keywords and air freight rates at a specific time for online newspaper articles that affect the 'invisible psychology' of market participants using unstructured online news article text. Air freight rate forecas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for various people in the aviation industry. 현대인들에게 인터넷 검색은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는 방식으로 매우 대중화되어있다. 일상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 획득과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에 대부분 인터넷에서 관련된 키워드를 검색하는 경향이 있다. 항공운송산업의 특성 상 수요예측은 매우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공수요 예측에 대해 광범위하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항공 화물 운임 변동성에 대한 예측 강화는 비용절감과 함께 경쟁력 강화 관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공화물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 키워드를 확인하여 항공 화물 운임 변동 예측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의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데이터 분석 후 인천 출발 미국 LA,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착 노선을 대상으로 운임과 분기별 핵심 토픽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항공 화물 운임 변동 예측에 영향력을 미치는 토픽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그 결과 국내물류 대비 LAX 노선은 ‘유가’, ‘해운’토픽이 영향이 있다는 점을 예측하였고, FRA 노선은 ‘유가’ 토픽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형화되지 않은 온라인 뉴스기사 텍스트로부터 수집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장 참여자의 ‘보이지 않는 심리’에 영향을 주는 온라인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특정 키워드의 빈도와 특정 시기의 항공 화물 운임 사이의 동태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항공화물 운임 예측은 항공사와 항공 산업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conceptual framework of food literacy focu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ife course perspective

        박다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전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이를 실천하기 위한 식품정보이해력(Food literacy)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식품정보이해력의 현황을 파악하고 증진시키는데 기반이 되는 식품정보이해력의 개념 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표적집단면접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두 연구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식품정보이해력의 정의 및 개념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식품 정보’, ‘식품정보이해력' 및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식품정보이해력의 목적 및 정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식품정보이해력의 구성요소 및 의의를 탐색하기 위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이 때 생애주기 별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 집단을 아동 및 청소년, 성인, 고령자 집단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위의 두 연구 내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식품정보이해력의 모든 개념 영역을 포괄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식생활 목표 및 생애주기 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식품정보이해력 개념적 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정보이해력의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다양한 정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이들의 주요 의의를 통합할 수 있는 개념을 최종 확정하였다. 즉, 식품정보이해력을 ‘건강 증진 및 지속 가능한 식품 시스템 지원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다루고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표적집단면접을 통하여 식품정보이해력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지속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생산에서부터 폐기에까지 이르는 식품시스템의 단계에 따라 8개 영역으로 범주화 하였다. 각 생애주기 별로 식품정보이해력에 대한 동기, 관심 영역 등이 다르게 도출되었지만 모든 대상자들이 식품정보이해력의 의미 및 필요성에 대하여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셋째, 이론적 배경과 표적집단면접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품정보이해력의 개념적 틀을 구축하였다. 식품정보이해력의 개념적 틀은 식품 정보 체계와 정보 이해력 체계의 두 가지 차원을 포함한다. 식품정보체계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가능하도록 식품시스템 전반을 반영한 식품 생산, 가공, 유통, 계획 및 관리, 선택, 준비 및 조리, 섭취, 폐기의 8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보 이해력 체계는 기능적 정보 이해력, 상호적 정보 이해력, 비판적 정보 이해력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각 영역은 세부 구성요소들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품정보이해력의 정의와 개념적 틀에 기초한 식품정보이해력 평가 체계 및 활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식품정보이해력 증진 및 지속 가능한 식생활의 실천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다양한 집단에 대한 식품정보이해력 수준을 측정하고, 취약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또한 식품정보이해력을 실질적으로 증진시키는 교육 및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리빙랩 방법론 등과 같이 정부와 민간이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소통하는 유기적 연구 방법론들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식품정보이해력과 관련된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식품정보이해력 선행 요인, 특성, 결과 등을 발굴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식생활 실천 및 건강 증진과의 연관성 등 관계를 규명하고, 식품정보이해력 및 지속 가능 식생활 실천을 위한 체계적 접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s interest in sustainable diet grows around the world, the importance of food literacy is also being emphasized in order to practice sustainable di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food literacy, which is the basis for grasping and improving the status of food litera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search methodology. By integrating the two findings, the definition and conceptual framework of food literacy was established. Firs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food information', 'food literacy' and related 'literacy' were reviewe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finitions and components of food literacy. Nex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general public to explore the components and significance of food literacy. In this case,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children,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people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ife cycle. Finally, by integrating the above two studies, we have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food literacy that covers all the conceptual areas of food literacy and can reflect sustainable dietary goals and life cycl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rious definitions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food literacy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the final definition of food literacy was established to integrate their main meanings. That being so, food literac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form a good relationship by dealing wit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fo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moting health and supporting a sustainable food system'. Second, various components of food literacy were deriv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se components are categorized into eight areas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food system, from production to disposal. The advantage of food system classification is that it considered sustainability. Although the areas of interest and motivations for food literacy were derived differently for each life cycle, all subjects showed a common understanding for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food literacy. Third, a conceptual framework of food literacy was establish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This conceptual framework consists of two dimensions: the food information system and the information understanding system. The food information system consists of eight areas including food production, processing, distribution, plan and management, selection, preparation and cooking, intake, and disposal. This system can reflect the overall food system to enable sustainability consideration. The information understanding system consists of three areas: functional literacy, interactive literacy, critical literacy. Each area has detailed compon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od literacy measurement tool and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food literacy developed in this study. To improve food literacy and to promote sustainable dietary practice, the starting point is to measure food literacy levels for different groups and identify areas of vulnerability.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 and improvement that in effect promotes food literacy, it is also recommended to take organic research methodology such as the living lab approach in which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actively cooperate and communicate. Lastly, research on the factors related to food literacy is needed. By identifying the leading factors,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food literacy, the research will be able to identify its connection with sustainable dietary practices or health promotion. In addition, a systematic approach to promoting food literacy levels and sustainable eating practices can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