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aylis-Hillman 부가생성물로부터 다중 치환 방향족 화합물의 합성

        박다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는 MVK (methyl vinyl ketone)와 EVK (ethyl vinyl ketone)로부터 유도된 Baylis-Hillman 부가생성물로부터 3,4,5-trisubstituted pyridine 유도체를 효과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합성은 다음과 같은 연속적인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ⅰ) Baylis-Hillman 부가생성물의 primary 위치에 tosylamide의 도입, (ⅱ) DBU를 염기로 MVK나 EVK를 Michael acceptor로 이용한 1,4-addition, (ⅲ) 산 촉매에 의한 알돌 축합 반응, (ⅳ) Cs2CO3에 의한 p-toluenesulfinic acid 의 제거반응, 마지막으로 (ⅴ) 이중결합의 isomerization 과정을 거쳐서 합성된다. 우리는 Baylis-Hillman acetate와 dimethyl 1,3-acetonedicarboxylate (DMAD)를 포함한 몇 가지 1,3-dinucleophile을 사용하여 SN2' 반응, 알돌 축합 반응, 그리고 1,3-H 이동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하여 one-pot으로, 다중 치환된 페놀 유도체를 손쉽게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우리는 Baylis-Hillman acetate로부터 primary 위치에 nitroalkane을 도입한 후, TBAF에 의한 Michael addition, 알돌 축합 반응, nitrous acid의 제거반응, 마지막으로 aromatization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하여, 위치 선택적인 pentasubstituted benzene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본 연구를 하는 동안에, 여러 염기 조건에서 실험해 본 결과, Baylis-Hillman 부가생성물과 beta-치환된 Michael acceptor의 반응에서는 TBAF 존재 하에 Michael addition이 효과적으로 일어남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Baylis-Hillman acetate와 1,3-dinitroalkanes를 사용하여 SN2' 반응과 나이트로-알돌 반응, HNO2의 제거반응, 그리고 마지막으로 1,3-H 이동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하여 다중 치환된 nitrobenz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우리는 Baylis-Hillman acetate로부터 라디칼 고리화 반응을 통하여 3,3-disubstituted-2,3-dihydrobenzofurans를 좋은 수율로 합성하였다. 이 합성은 두 단계의 순차적인 과정에 의해 합성된다: (ⅰ) Baylis-Hillman 부가생성물의 primary 위치에 ortho-bromophenol을 도입, (ⅱ) n-Bu3SnH에 의한 라디칼 고리화 반응으로 합성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Baylis-Hillman 부가생성물로부터 벤젠, 페놀, 그리고 피리딘을 포함하는 다중치환 방향족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정원박람회 존치작품 실태 및 개선방향 : 경기정원문화박람회를 중심으로

        박다연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정원문화 확산과 노후 공간 재활성화의 방안으로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2010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를 시점으로 출품작을 노후공원에 존치함으로써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시민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정원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 사후관리 계획 부족으로 존치 작품의 유지관리에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 현장답사를 통해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사업 관련 주체의 존치 작품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도출해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정원박람회 사례와 현재 주요 문제점을 고찰하여 국내 정원박람회의 1차 발전방향을 제안하고, 존치 정원의 유지관리 평가를 위해 평가항목 및 기준을 도출하였다. 평가항목은 지형, 식재, 조경시설물, 조경 구조물, 포장으로 구분되며 평가 기준은 5가지 항목 별로 1-5점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국내 정원박람회의 보도 자료 등 이슈를 분석을 통해 연구 문제로 현재 주최 측 간 관리 상태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유지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주최 측 간 유지관리에 대한 의견 및 요구 사항은 무엇인지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문제에 기초하여 심층 인터뷰 항목을 외부요인과 내부요인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존치 작품을 현장답사 한 결과, 유지관리 상태는 성남>, 안산·시흥>, 안성>, 수원 순으로 관리가 양호했으며 성남의 유지관리 상태가 타 주최 측에 비해 매우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었다. 전체 유지관리 특징은 수경시설의 수질 및 관리문제의 미흡, 내구도 낮은 자재의 사용으로 시설물 및 구조물의 노후화, 보식의 부재로 정원 별 식재 획일화 문제, 정원 작가와의 동의 없이 원 작품과 매우 상이한 수준으로 설계 변경, 시민들이 일정 보상으로 농작물을 수확하여 관리하는 정원의 양호한 유지상태, 내구도 높은 포장재의 면적이 넓은 개소의 관리 용이성이 있다. 인터뷰 결과 주관 측에서 유지관리 종합 매뉴얼 조성을 고려 중이나, 현재 사후관리 조례 부재로 주최 측마다 상이하게 관리 중이며 공원관리 수준 이하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유지관리 주체의 전문성 부족으로 잘못된 제초작업 및 보식이 이루어진 경우가 있으며 유지관리 예산 역시 한 개소 당 연 25-30만 원이 투자되어 부족한 상황이다. 인터뷰 결과를 종합한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부요인 개선사항으로 사후 조례 마련이 필요하다. 공무원의 순환보직으로 인한 업무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 행정적 강제성을 부여해야 하며, 존치 작품의 원활한 관리를 위한 설계 변경 및 일부 작품 철거, 정원 유형 별 최상의 유지관리 비용 및 매뉴얼 작성, 주체 별 원활한 소통을 위한 전문 코디네이터 도입 등이 제안되었다. 다음으로 유지관리 주체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 주최 측 선정 시 정원 관련 사업 진행 여부 고려, 작품 선정 시 평가항목 중 유지관리 용이성의 책정 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내부요인 개선사항으로는 높은 빈도의 관리를 위해 상주 관리 인원 배치 필요, 정원 작가의 시공품질 평균화를 위한 시공업체 고용,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한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제안되며, 정원문화 확산과 동시에 정원 유지관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시민을 활용한 유지관리 프로그램 도입이 제안되었다. 종합하여 국내 정원박람회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외부요인 개선방향은 첫째, 충분한 준비기간을 통한 사후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둘째, 정원 작가와 유지관리 계약 체결을 통한 원활한 관리, 셋째, 상업적 수익 창출을 통한 유지관리 예산 확보, 넷째, 관리주체 전문성 증진을 위한 실무교육 진행, 다섯째, 개최지 별 차별성 있는 주제 선정, 여섯째, 관리 상태가 불량한 정원의 설계 변경 및 철거 시 참고할 지침서 마련이 있다. 내부요인 개선방향은 첫째, 정원 내부에 유지관리 시설 구축, 둘째, 작가의 전문성 및 역량을 고려한 작품 선정, 셋째, 새로운 형태의 정원 이용 및 유지관리 프로그램 도입, 넷째 관리가 어려운 수경시설 및 포장의 설계 변경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유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나 정원 작가 중 작가 정원을 조성한 전문가를 대상으로만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생 작가와 아마추어 작가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정원 답사의 경우 관리가 가장 미흡한 시기인 8월에 진행하여 관리가 불량한 모습에 집중이 된 것이 한계이다.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련 주체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더욱 효과적인 개선방향이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존치 작품, 유지관리, 유지관리 주체, 관리 실태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citizen's participation is rising as a means of spreading garden culture and revitalizing old age space, improving the park environment and providing a new type of garden to residents by holding the entries at Nohwoo Park at the 2010 Gyeonggi Garden Culture Fair it started. However, recently there is a problem in the maintenance of the work by the lack of post management plan. Therefore, this study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through the field survey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maintenance of the work related subject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y finding the cause of the problem. First of al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 reviewed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garden fairs and present major problems, propose the first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garden fairs, and derive the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for the maintenance evaluation of the garden. The evaluation items are divided into topography, planting material, landscape facilities, landscape architecture, and packaging. The evaluation criteria consist of 1-5 points for each of five items. Next, we analyzed the issues such as the press release of the domestic garden exposition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in the management status between the sponsor and the research institute, what factors affect the maintenance, What did you write? Next, based on research problems, in - depth interview items were divided into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As a result of the site survey, the maintenance status was good in Sungnam>, Ansan, Siheung>, Anseong> and Suwon, and the maintenance status of Sungnam was managed very well compared to other organizers. The rest of the organizers had insufficient food and pruning in the planting, and the original works were somewhat faded due to the water pollution of the hydroponic facilities, the aging and demolition of the facilities. As a primary suggestion to solve the problems discovered through on-site exploration, design changes for easy management of hydroponic facilities, development of a garden maintenance program using citizens, various garden scenes for each season, and garden works The seasonal division of the season, the maintenance of the poor design of the garden, the maintenance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garden writer, the preparation of the seasonal planting manual for the special booster between the garden, And the change of material of Masato and gravel packing which is difficult to manage due to high fluidit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 supervisor is considering the creation of a comprehensive manual for maintenance. Currently, the organizer is managing differently, and is proceeding below the park management level.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wrong weeding and fastenings are made, and maintenance budget is also insufficient due to investment of 25-30 million won per one place.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bylaws as improvement of external factors. Administrative enforcement should be given to compensate for the interruption of work due to the rotation of civil servants. Design changes and removal of some works for the smooth management of the works, the best maintenance cost and manual for each type of garden, And the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coordinator. Nex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maintenance subject, to consider the progress of the garden related business when selecting the organizer, and to improve the degree of ease of maintenance among evaluation items in selection of works. As internal factors improvement, it is proposed to arrange resident management personnel for high frequency management, to hire contractors to average construction quality of garden writers, and to design for easy maintenance, The introduction of a maintenance program based on citizens was proposed to enable maintenanc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domestic garden exposition is as follows. Thirdly, it is necessary to secure maintenance budget through commercial profit cre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anagement system through professional management specialist (5) selection of different themes by venue; (6) design guidelines for changing the design of poor gardens and dismantling. The direction of internal factor improvement is as follows: First, the maintenance facility is built in the garden, the works are selected considering the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of the artist, the introduction of new type of garden utilization and maintenance program, and the design of hydroponic facilities and packaging There is a need to change.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nalysis and improvement factors affecting maintenance. However, we interviewed only the experts who created the garden of the authors, There is no room for suggestions. In the case of garden explorations, it is the limit that the management is poor and the management is poor in Augus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ore effective improvement direction that is not shifted to one side by proceeding to various related subjects. Key words: Competition Garden Cultural Expo, Performance, Maintenance, Maintainer,, Management status

      • 김유정과 성석제의 소설에 나타난 바보 인물 비교 연구

        박다연 경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to study fool character appeared in Kim Yujeong and Seong Seokje’s novel. On the contrary to Western comedy designated fool, the character in Korean narrative literature not only gives reader a laugh but also carries their own stories and life. Therefore the public not only gained laugh by watching fool character, also learned a lesson but also criticized someone. The fool character in Korean narrative literature carries deep history range starting with folktale to Pansori, and even to modern novels. Fool character in folktale appears in both upper and lower ranks, but it shows the aspect of character winning in lower ranks whereas upper ranks fool character tends to lose or being laughed at. This is the heart of public to criticize and ridicule noble ranks throughout fool character in this strict feudal society. The fool character appears in Pansori and Pansori areas a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is. However, the fool character starts to have different aspect by arriving into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extreme poverty and twisted society reality facing after passing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created the aspect of fool character belonging in lower ranks always losing. Meanwhile, Kim Yujeong and Seong Seokje are considered as top writers forming the fool character accorded with modern novels. Also the both writers are known to use similar method to reveal the personality of fool character. Kim Yujeong and Seong Seokje utilized nomenclature to effectively visualize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the fool character and appropriately embodied the personality of the fool character through aspect of conflict with surrounding characters. However, the fool character in both writers work was different. The fool character in Kim Yujeong’s taken a role of a bridge retaining and also maintained her color. It was a naive fool character where appearance and intellectual capacity are same as others but revealed the charm of fool character through conflict with surrounding characters and young and naive personality. On the contrary, the fool character in Seong Seokje is a fool with unique characteristics. In strict meaning, the character may not look like a foo which makes the meaning of fool vague. Also not like fool characters so far, the fool character in his works rather arouse the feeling of awe and fear to surrounding characters. Also in contrast with Kim Yujeong’s fool character, the character reveals its own individual tendency, the intellectual capacity, language ability, in other words, even with poor recognition ability, it shows what influence is given to surrounding characters if one has its own special skills. And not like a passive fool character putting a purpose of living day by day, throughout active fool pioneering one’s own life along with their survivor conscious, it gives a lesson of how we have been carrying narrow minded prejudice towards the character with ‘fool’ meaning. Like this, Kim Yujeong and Seong Seokje effectively visualize the personality and behavior of the fool character in same method, but the character two writers draw were somewhat different. This should have intimate relation with the flow of urbanizing into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out of oppressive and extreme twisted ranked society. If the fool character in Kim Yujeong is corrupted fool due to twisted society, the fool character in Seong Seokje will be a new born fool in materialism society. Therefore, the surrounding character’s perspective of two fools must be different. Despite this difference, the readers gain not only a laugh but impression and a lesson and even beyond through two fools drawn by two writers. This should be the ultimate aim and reason for both writers to create a fool character. The fool character always exists in out literature and a foo character associated with present society is continuously being born. More active study and discussion of fool characters other than this manuscript is expected. 본 논문은 김유정과 성석제의 소설에 나타난 바보 인물을 비교 및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다. 한국 서사 문학 속 바보 인물은 서양의 희극에서 명명하는 바보와 달리 단순히 독자에게 웃음을 주는 인물에서 더 나아가 그들만의 이야기가 있고 삶이 있었다. 때문에 민중은 바보 인물을 바라보며 웃음을 얻었고 교훈을 얻었으며 때론 누군가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한국 서사 문학의 바보 인물의 범위는 민담에서부터 판소리계, 현대 소설 까지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민담의 바보 인물은 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 모두에게서 등장하지만 하위 계층의 바보 인물이 승리하는 반면 상위 계층의 바보 인물은 패배하거나 웃음거리를 당하는 양상을 띤다. 이는 엄격한 신분 사회에서 바보 인물을 통하여 양반층을 비판하고 조롱하고자 하는 민중들의 마음인 것이다.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에서 드러나는 바보 인물의 양상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바보 인물은 근대 사회로 도래하며 달라진 양상을 갖추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 시대를 거치면서 마주하게 되는 극한의 가난과 뒤틀린 사회 현실은 지난 민담과 판소리계에서 나오지 않던 하위 계층에 속해 있으면서 늘 패배하게 되는 바보 인물 유형을 낳게 된다. 한편 김유정과 성석제는 현대 소설 속 바보 인물 유형과 가장 부합하는 바보 인물 유형을 그린 작가로서 손꼽히고 있다. 또한 두 작가는 바보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방법도 닮았다. 김유정과 성석제는 명명법을 활용하여 바보 인물의 행동 및 성격을 효과적으로 이미지화 하였고, 바보 인물과 주변 인물의 대립 양상을 통하여서도 바보 인물의 성격을 적절하게 형상화하였다. 그러나 두 작가가 작품 속에서 그리는 바보 인물은 달랐다. 김유정의 바보 인물은 민담과 판소리계의 바보 인물의 명맥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면서도 김유정만의 색을 잃지 않았다. 김유정의 바보 인물은 순박한 바보 인물로서 외양이나 지적능력은 남들과 다름없으나 어리숙하면서 순진한 자신의 성격과 주변 인물과의 대립관계를 통하여 해당 바보 인물만의 매력을 드러냈다. 그에 반하여 성석제의 작품 속 바보 인물은 남다른 특징이 있는 바보 인물이다. 이는 엄격한 의미에서는 바보로 보이지 않을 수 있어 바보 인물의 의미를 모호하게 만든다. 또한 지금까지의 바보 인물과 달리 성석제의 작품 속 바보 인물은 오히려 주위 인물들에게 두려움과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단편적인 성향을 갖추고 있는 김유정의 바보 인물과 달리 성석제의 바보 인물은 남들과 달리 자신만의 개성적인 성향을 드러내며 지적 능력이나 언어적 능력, 즉 정상적인 인지 능력이 떨어지더라도 자신만의 특별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 주변 인물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지 보여준다. 그리고 현실에서 안주하며 하루하루 사는 것에 목적을 두는 수동적인 바보 인물을 그려내는 김유정의 바보 인물과 달리 자신만의 인생을 개척하려는 능동적인 바보 인물을 통하여 그들의 생존의식과 함께 지금까지 ‘바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인물에게 우리가 얼마나 편협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준다. 이처럼 김유정과 성석제는 같은 방법으로 바보 인물의 성격 및 행동을 효과적으로 이미지화하지만 두 작가가 그리는 바보 인물은 조금 달랐다. 이는 억압적이고 극단적으로 뒤틀린 계급주의 사회를 벗어나 개인주의고 물질 만능주의로 변해가는 도시화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김유정의 바보 인물이 뒤틀린 사회로 인하여 변질된 바보 인물이라면 성석제의 바보 인물은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새롭게 태어난 바보 인물이다. 그렇기에 두 바보 인물을 바라보는 주변 인물의 시선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가 그리는 바보 인물을 통하여 독자는 단순한 웃음뿐만 아니라 감동과 교훈 그리고 그 이상을 얻는다. 이는 김유정과 성석제가 바보 인물을 만들어 내는 가장 큰 목적이자 이유일 것이다. 바보 인물은 늘 우리 문학에서 존재하고 있으며 현 사회에 걸맞은 바보 인물이 계속해서 탄생하고 있다. 본고 이외에도 바보 인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및 논의가 더 많아지길 기대해 본다.

      • Virus-mediated gRNA Delivery and Genome Editing in Nicotiana benthamiana

        박다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argeted modification of plant genome using the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associated protein-9 (Cas9) system enables precise modification of target genes. For genome editing, Cas9 protein and guide RNA (gRNA) need to be delivered into target cells effectively. However, genome editing has been hindered by lack of efficient delivery of CRISPR/Cas9 reagents or difficulty in efficient transformation in some plant species. Here, I tested feasibility of using viral vectors including Tobacco rattle virus (TRV), Cucumber mosaic virus (CMV), Tobacco mosaic virus (TMV) and Potato virus X (PVX) for delivering gRNA. When virus accumulation was evaluated by fluorescent protein tagged four viral vectors, fluorescence signal was detected in upper un-inoculated leaves and flowers. After confirming virus spreading, I used TRV-mediated genome editing as a case study for genome editing. N. benthamiana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the Cas9 gene driven by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or maize ubiquitin promoter (Ubi) promot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ir differences in efficiency of genome editing. TRV-vector carrying gRNA targeting the phytoene desaturase (PDS) gene were delivered by Agrobacterium infiltration to transgenic N. benthamiana plants. The target specific mutations were tested at 20 days post inoculation with surveyor assays in both infiltrated and systemic leaves. Moreover, sequence modification were confirmed by Sanger sequencing of PDS. Systemic leaves of plant treated with TRV mediated genome editing showed 4 to 5 bp deletion upstream of protospacer adjacent motif (PAM) sit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RV-mediated gRNA delivery can generate target specific mutations in Cas9 transgenic N. benthamiana.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기술은 목표 유전자의 정확한 변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CRISPR/Cas9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as9 단백질과 guide RNA (gRNA)가 목표하고자 하는 세포에 전달되어야 하지만 몇 작물에서는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 방법이 확보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유전자 편집기술을 위해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식물체로 gRNA의 전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Tobacco rattle virus (TRV), Cucumber mosaic virus (CMV), Tobacco mosaic virus (TMV), Potato virus X (PVX) 네 가지의 형광 단백질이 부착된 바이러스를 담배 (Nicotiana benthamiana)에 접종하였고 바이러스 별 전이 비교를 통해 TRV를 이용한 gRNA 전달 및 유전자 편집기술을 시행하였다. TRV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기술은 카로티노이드 합성에 관여하는 Phytoene desaturase (PDS) 를 목표로 하여 아그로박테리아를 통한 잎 접종방식을 통해 TRV-gRNA 를 Cas9 형질전환 담배에 전달하였다. 돌연변이의 확인을 위해 접종 20일 후 식물체의 접종엽 및 미 접종 상엽에서 Surveyor assay 진행되었으며 미 접종 상엽의 DNA를 Sanger sequencing하여 염기서열 변이를 확인한 결과 목표 염기서열 구간에서의 4-5 개의 결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TRV를 이용한 Cas9형질전환체로의 gRNA 전달이 CRISPR/Cas9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 도덕교육, 그리고 덕 윤리의 중요성 : 매킨타이어의 입장을 중심으로

        박다연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급속한 변화로 인해 복잡하고 다양한 생활 방식들이 존재한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각자가 추구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지만,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가치 갈등의 문제 상황은 우리들을 매우 혼란스럽게 만든다. 어떤 기준이 우리들을 올바른 도덕 판단에 이르게 하며, 도덕적 행위를 선택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매킨타이어는 현대 사회의 도덕이 도덕성을 상실하게 된 원인으로 계몽주의 도덕기획의 실패에 따른 결과라고 지적한다. 그들의 기획은 인간 본성에 전제를 두어 도덕적 행위를 정당화시키려고 했으나, 여기에는 인간이 추구하는 목적을 배제하면서 도덕은 그 방향성을 잃게 된다. 즉, 사실과 가치를 연결시켜 주는 것이 도덕인데 근대 과학의 발달과 도구적 이성의 결합은 사실의 영역에서 가치를 제외시킨다. 도덕도 마찬가지로 시대적 흐름에 영향을 받아 가치를 배제한 채, 사실적이고 외면적으로 확인 가능한 행위만을 가지고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러나 행위자의 내면적인 감정이 무시되면서 우리들은 불완전한 인격체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매킨타이어는 거부되었던 목적론을 회복하고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을 받아들인다. 덕목은 인간의 정서적인 부분과 이성적인 부분을 조화롭게 발달시켜 줄 뿐만 아니라, 우리들을 온전한 도덕적 인격체로 성장시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은 상대적이고 현대 사회 구조에 맞지 않아서 매킨타이어는 덕의 개념을 재구성한다. 덕의 보편적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실천․인간 삶의 통일성․전통의 세 단계를 요청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지만, 덕 윤리가 지니고 있는 한계점들이 지적되면서 기존의 윤리학을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못한다. 도덕의 기능이 잘 수행되기 위해서는 의무주의와 덕 윤리가 상보적인 관계로 발전되어야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덕 윤리가 부각됨에 따라 도덕교육에 있어서 덕 교육이 필요하게 되며, 교육의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초등교육은 덕목을 중심으로 기본 소양을 습득하는 교육과정이고, 중등교육은 덕목을 바탕으로 하여 주제 중심으로 나아가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인격체를 완성해가는 교육과정이다. 덕목이 실제 학교 수업에서 잘 활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습방법은 매킨타이어가 강조했던 부분과 맞물리게 된다. 바로 이야기접근의 교육과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협동학습, 봉사활동 학습 그리고 전통을 학습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도덕적 판단의 기본이 되는 덕목을 습득하는 방법과 덕과 이성의 조화로운 관계가 핵심적인 부분이며, 덕 교육은 도덕교육에 있어서 기초 배경이 되는 역할로서 그 중요성을 가진다.

      • ACOAs의 부모음주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박다연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음주가 대학생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가족지지를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임의로 표집하여 총 9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주요변수인 부모문제음주정도, 대학생활 적응, 가족지지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로 부모의 문제음주정도를 선별할 수 있는 CAST-6, 대학생활 적응, 가족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 매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부모음주가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지지는 부모의 문제음주정도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부모문제음주정도를 독립변수로, 대학생활 적응을 종속변수로 하여 가족지지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는 가족지지였으며, 성별, 연령, 가구총소득, 부모의 문제음주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더불어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적 적응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 또한 가족지지였으며, 성별, 연령, 부모의 문제음주, 가구총소득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지지의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모형회귀식이 성립되지 않았고, 가족지지가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에 완충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부모에게 음주문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학생활 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지지를 향상시켜야 하며, 특히 대학생 중 ACOAs를 파악하여 전문적인 개입이 우선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ACOAs의 개인-심리적 적응 향상에는 가족지지가 중요한 요인이므로 가족지지의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임의표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향후 전국 수준의 확률 표집과 연구결과가 축적된다면 더 적합하고 실효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대학생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한 포괄적인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parental drinking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who are undergraduates and verifies them by using family supports as mediating and moderating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from some universities located at Gyeonggi-do and Jeonnam areas by selecting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enrolled at the universities. A total of 938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around the relationship among main variables such as degree of parental alcoholism (alcoholic problem),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family support. University life adjustment, CAST-6 family support scales were used as the study tools.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mediating regression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The principl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parental drinking has a nega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In particular, the family support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and their sub-factor, the individual-emotional adjustment. From th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of ACOAs,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 which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was family support, followed by gender, age, parental alcoholism and the households gross income. in order of effect. The results of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of ACOAs showed that moderating model regression equation was not established, and that the family support could not serve as a buffer for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may indicate that family support should be increased to enh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undergraduates whose parents had alcoholism, and especially professional intervention must be empathized and an understanding of ACOAs among undergraduates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family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individual-psychological adjustments, so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mily function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support. Sinc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through random sampling, it has a limitation of overgeneralization. Thus, if results of studies and nationwide probability sampling of ACOAs were collected in the future, more appropriate and effective results would be provided. Furthermore, a comprehensive study considering diverse variables to enh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who are undergraduates is necessary.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garase from the novel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hodoensis sp. nov.

        박다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gar-hydrolyzing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hodoensis was isolated from seawater collected from coast of Daecheon, Korea. It was a gram-negative, aerobic, and non-pigmented bacterium with single polar flagellum. 16S rRNA gene similarity search of strain H7 revealed high similarity to the type strains in genus Pseudoalteromonas. The DNA-DNA hybridization values between strain H7 and its phylogenetically closest type strains such as P. atlantica IAM 12927T, P. espejiana NCIMB 2127T, and P. carrageenovora ATCC 12662T were 55.42%, 40.27%, and 34.67%, respectively. Based on phenotypic and genetic characteristics, Pseudoalteromonas hodoensis is considered as a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Pseudoalteromonas, for which the name Pseudo-alteromonas hodoensis. sp. nov. (=KCTC23887) is proposed. From P. hodoensis, an agarase encoding gene was cloned, which revealed that the agarase was composed of 290 amino acid residues with a deduced molecular weight of 30.49 kDa. It had a maximal agarase activity at 45 °C and pH 6.0 and was stable over pH 5.0~9.0 and at temperatures 45~50°C. The Km and Vmax for agarose were 28.33mg/ml and 88.25µmol/min, respectively. The purified Agarase showed endolytic activity on agarose degradation, yielding neoagaro- hexaose,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biose as the end products. 아가를 분해하는 균주인 Pseudoalteromonas hodoensis는 한국의 대천 바닷가 연안으로부터 동정되었다. 이 균주는 그람음성, 호기성, 색소를 내지 않으며 각 균체에 하나의 flagellum을 가지고 있다. 호도 연안해에서 동정한 균주의 16S rRNA 비교를 통하여 이 동정한 균주가 Pseudoalteromonas 속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정된 균주와 계통발생적으로 가장 가까운 P. atlantica IAM 12927T, P. espejiana NCIMB 2127T, and P. carrageenovora ATCC 12662T 세종류의 균주와 DNA-DNA hybridization 을 실행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는 55.42%, 40.27%, and 34.67% 으로 나왔으며, 이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서 호도 연안해에서 동정된 균주는 새로운 균주로써 Pseudoalteromonas hodoensis로 명명하였고 또한 Pseudo-alteromonas hodoensis. sp. nov. (=KCTC23887) 로 등록되었다. P. hodoensis 가 암호화 하고 있는 아가레이즈 유전자는 라이브러리 제작을 통하여 그 서열을 알아 낼 수 있었고, 또한 유전자클로닝을 통하여 대장균에서 단백질을 발현 시켰다. 이를 통하여 아가레이즈 단백질이 총 29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무게는 약 30.49kDa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 아가레이즈의 활성은 45°C, pH 6.0 에서 최대로 나타나며, 또한 pH 5.0~9.0에서 안 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에서는 45~50°C에서 안정적이며 그 외에 온도에서는 급격히 활성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가레이즈의 Km값과 Vmax값은 각각 28.33mg/ml 과 88.25µmol/min로 측정되었다. 정제된 아가레이즈 단백질은 아가로오즈를 안쪽에서부터 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효소의 최종산물은neoagarohexaose, neoagarotetraose, 그리고 neoagarobiose 이다.

      • Fabrication of hydrogel-based platforms to control cancer cells

        박다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학위 논문에서는 암세포를 제어하기 위한 하이드로젤 기반의 마이크로웰과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제작에 대해 저술하였다. 이 두 가지 플랫폼은 3차원 암세포의 광열치료와 혈관 내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통해 암세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저자는 학위과정을 통하여 아래 2가지의 플랫폼을 제작하였다. 첫 번째로, 본 저자는 균일한 크기의 다중세포 종양 스페로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하이드로젤 마이크로웰 어레이의 개발하였다. 생체 외 공동배양 종양 스페로이드 모델이 약물 후보 물질을 스크리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복잡한 3차원 공동배양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신뢰성 있고 높은 처리량의 방법이 없기 때문에 현재 다양한 응용이 제한적이다. 본 저자가 개발한 다중세포 종양 스페로이드는 구조적으로 다중세포 3차원 구형 구조를 유지하면서 널리 사용되는 2차원 배양 기판으로 옮길 수 있다. 효과적인 항암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산화된 그래핀으로 코팅된 금나노입자 (Au@GO) 기반의 암 치료법을 다중세포 종양 스페로이드 공동배양 시스템과 접목시켰다. 다중세포 3차원 구형 구조를 유지하면서 2차원 배양 기판으로 옮겨 산화된 그래핀으로 코팅된 금나노입자의 광열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HeLa/Ovarian (자궁경부암/난소암) 및 HeLa/HUVEC (자궁경부암/인간 제대혈 정맥 내피 세포) 공동배양 스페로이드 모델에서 빠른 세포 분열을 하는 HeLa세포에서 Au@GO 나노입자에 대한 선택성을 보였지만 2차원 배양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균일한 크기의 다중세포 종양 스페로이드는 항암제 약물 스크리닝 응용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본 저자는 전단응력이 세포 및 암세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하이드로젤 기반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인간 제대혈 정맥 내피 세포 (HUVECs)를 배양하기 위해 Gelatin methacrylate (GelMA) 하이드로젤을 주입한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를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의 전단 응력 구배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시뮬레이션 하였다. 원형 모양의 마이크로채널에서 HUVEC에 전단 응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원형 모양의 마이크로채널에서 2일 동안 전단 응력에 노출 된 HUVEC이 길게 늘어나고 유체 방향에 준하여 정렬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방암 세포주 (MDA-MB-231)가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를 함유한 GelMA 하이드로젤로 이동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하이드로젤 기반의 마이크로플루이딕 디바이스는 전단 응력 및 암세포 이동 연구의 응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is thesis relates to the fabrication of the microwell array and the microfluidic device, both of them are hydrogel-based platforms to control cancer cells. These two platforms are tools that have the potential to observe drug screening of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and tumor migration through the intravascular microfluidic device. In this thesis the following two platforms were developed. Firstly, even though in vitro co-culture tumor spheroid models play an important role in screening drug candidates, its wide applications are currently limited due to the lack of reliability and high throughput methods for generating well-defined and 3D complex co-culture structures. Herein,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hydrogel microwell array to generate uniform-sized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The structure of the developed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is well defined. Further the spheroids are robust and can easily be transferred into widely used 2D culture substrates while maintaining their 3D characteristics. Moreover, to develop effective anti-cancer therapeutics we integrated gold-graphene hybrid nanomaterial (Au@GO)-based photothermal cancer therapy into a series of multicellular tumor spheroid co-culture system. The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were harvested onto a two-dimensional (2D) substrate, under preservation of their three-dimensional (3D) structure, to evaluate the photothermal therapy effectiveness of graphene oxide (GO)-wrapped gold nanoparticles (Au@G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wo different co-culture models, HeLa/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and Hela/Ovarian Cancer. It was observed that Au@GO nanoparticles displayed selectivity towards the fast-dividing HeLa cells, which could not be observed to this extent in 2D cultures. Overall, our developed uniform-sized 3D multicellular tumor spheroid could be a powerful tool for anticancer drug screening applications. Secondly, we present the development of a three-dimensional (3D) hydrogel-based microfluidic device for studying the effect of shear stress on cell and tumor migration. We used Gelatin methacrylate (GelMA) hydrogel in which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can be cultured in a 3D microfluidic device. The shear stress gradient in the circular-shaped microfluidic device was simulated in computer simulations prior to experiments. In subsequent experiments, the effect of the shear stress gradient on HUVEC cell morphology, elongation, and alignment inside of the microchannel was investigated. We further observed the migration of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into the GelMA hydrogel contain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herefore, the circular, 3D hydrogel microfluidic device presented here is a powerful tool for studying the effects of shear stress as well as tumor migration.

      • 차량 간 통신 및 레이더 센서 퓨전을 통한 협력적 차량 위치 인식 시스템

        박다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 Onboard 센서(Radar, Laser/Lidar, Video camera, Infrared camera, Ultrasonic, V2X communication, GPS receiver 등) 기반의 단일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차는 주변 차량 및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인지범위의 한계와 차량 간 협력 부재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 간에 센싱된 대규모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센싱 범위를 증가시키는 협력형 자율주행(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adar를 이용하여 가까운 이웃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고, V2V 통신을 통해 통신 범위 내 차량들과 이웃 차량 위치 정보를 교환하여 인식 범위를 확장시킨 협력적 차량 위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