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財務的 制約狀態에 따른 投資와 流動性에 관한 實證分析

        박기홍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몇 해 전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신청할 만큼 큰 국가적 유동성의 위기상황을 맞이 했었다. 당시 방만한 기업경영으로 일관해 오던 기업들은 잇달아 도산에 이르는 등, 그동안 이루어 놓은 국가경제의 기반이 흔들리는 위기일보 직전의 순간이었다. 이로인해 우리는 기업의 내부자금, 즉, 유동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뿐만아니라, 그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도 그 취지에 맞춰 기업의 유동성, 즉, 내부자금이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58년 MM에 의하면, 완전자본시장의 세계에서는 한 기업의 재무상태는 실제투자의사결정에 무관함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외부적 비용이 내부적 자금의 비용을 능가하는 불완전한 자본시장에서는 재무구조가 기업의 투자결정에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기존의 학자들은 자본시장에서 비대칭 정보문제(information asymmetric problem), 그리고, 대리인 비용문제(agency cost problem)와 같은 금융시장의 마찰요인이 기업으로 하여금 내부자금을 선호하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만약 그러하다면, 기업의 투자활동도 상당부분 유동성, 즉, 내부자금의 확보여부 및 규모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알려져 있던 투자와 유동성간의 유의한 관계를 재확인하고, 저배당기업 즉, 재무적 제약이 심한 기업일수록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유동성 제약을 더 받는다고 주장한 FHP88의 견해와 보다 적은 재무적 제약이 있는 기업일수록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기업의 내부자금의 의존도가 더 높을 것이라고 주장한 KZ97의 상반된 견해에서 우리 기업들의 실정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실증검증을 통해 살펴 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체의 기업을 30대 계열기업군에 속하는 기업집단의 기업군과 그외의 독립기업의 기업군으로 재편함으로써, 상호보증이나 금융기관의 보유로 인해 자기회사의 유동성의 정도와는 상관없이 투자의 원천이 공급될 수 있다는 기업집단내의 내부자본시장의 효과도 살펴 보기로 한다. 기업의 재무적 제약상태를 나타내 주는 지표로 배당증가율을 제시하고, 배당증가율이 일정한 비율을 기준으로 재무적 제약이 없는 기업(NFC : non financial consrained firm), 부분적으로 재무적 제약이 있는 기업(PFC : partially financial consrained firm), 재무적 제약이 있는 기업(FC : financial consrained firm)으로 구분하여 분류변수로 설정하고, 전통적인 재무비율을 독립변수로 구성한 판별분석 모형을 통해서 다시 기업을 NFC, PFC, FC의 기업군으로 분류하였다. 자료는 한국신용평가 KIS-LINE을 이용하여, 1992년에서 1997년까지 금융회사를 제외한 거래소에 상장된 제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5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총 2893개의 자료를 갖추었으며, 581개 기업은 다시 131개의 대규모 기업집단과 480개의 독립기업으로 구분하여 각각 696개와 2197개의 자료를 구성하였다. 배당증가율에 의해 구분된 기업군들은 전통적인 재무비율을 사용한 판별분석모형 적용시, 대략 52%의 적중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74%에 비해서 다소 낮은 적중률을 보이고 있지만, 배당의 감소 부분을 나타내는 FC의 기업군은 평균을 훨씬 웃도는 61%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배당증가율에 감소가 있는 기업들은 재무적으로 제약이 있는 기업으로 간주할 수 있으리라 추정된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 나라 기업들의 투자는 내부현금흐름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대성장지표로써, Qratio 대용으로 사용한 (시장가치/장부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왔으나,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성장률의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고 있어 우리 나라 기업들의 투자는 시장에서 기대하는 기업의 미래성장 가능성보다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의 규모에 의하여 많이 좌우됨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기업집단과 독립기업을 비교해 볼 때, 독립기업들이 기업집단보다 내부현금흐름에 더 제약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재무적 제약 상태에 따라 기업을 FC, PFC, NFC로 구분된 분석에서는 KZ97과 Sean Cleary의 연구(1999년)와 상반되는 것으로써, 재무적 제약이 있는 FC의 기업들이 투자의사결정에 대한 유동성의 제약을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집단과 독립기업을 다시 FC, PFC, NFC로 구분한 분석에서도 재무적 제약이 있는 FC의 기업들이 유동성에 더 큰 제약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그 계수의 비교를 통해, 기업집단에 비해 독립기업이 유동성에 더 큰 제약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투자지출에 대해서, 기업집단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자본시장의 존재의 효과로 판단된다. A few years ago Korea's economy went into a critical position to be under the help and control of IMF. Many ill-managed companies frustrated their on-going firms and led themselves to collapse. It was on the verge of a critical situation that pushes the fundamentals of entire Korea's economy onto the brink. That crisis, however, not only brought great attention to the internal funds (liquidity) of firms but it also makes Korean people open their eyes on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the liquidity. thesis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firm's liquidity on the firms' investment decisions. A firms financial status is irrelevant for real investment decisions in a world of perfect and complete capital markets, as has been demonstrated by Modigliani and Miller (1958). In imperfect capital markets, however, where the cost of external capital exceeds the cost of internal capital, financial structure may be related to the firms; investment decisions. Scholars keep asserting that the problems like Information Asymmetric Problem and Agency Cost Problem in the financial world make firms prefer the internal funds. In that sense, they say that the size and reserves of internal fund would influence on the investment of firms. We will look by empirical study into how the two different ideas, FHP88 and KZ97, can account for Korean firms cases. We will also look into the effect of the internal capital market within the big business groups with re-classification of the enterprises into the enterprises that belong to the big business group and other individual enterprises, which enables them to independently supply themselves investment funds with their mutual guarantee and ownership of banks with their groups. The dividend growth ratio is suggested as an indicator of financial constraints, and with the dividend growth ratio, those enterprises have been classified into NFC(non financial constrained firm),, PFC(partially financial constrained firm), FC(financial constrained firm), and it establishes three mutually exclusive groups, and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Model, those enterprises are re-classified into NFC, PFC, FC. I analyzed manufacturing firms that were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from 1992 to 1997 through KIS-LINE. I studied 2893 data about 581 companies that were divided into 696 data about 131 enterprises and 2197 data about 480 individual firms. When we apply the discriminant analysis model to the groups grouped by dividend growth ratio, the hitting ratio was about 52%. It is a little bit lower than the 74% of the USA but we can assume that the firms with decreasing dividend growth ratio are under financial constraints. The result of study says that Korean firms' investment is considerably dependent on internal cash flow. We also can see that the size of the possible investment fund influences the investment rather than the possibilities of firms growth. When we compare the groups of enterprises and individual firms, we know that the individual firms get more constraints of internal cash flown than enterprises do. Grouping firms as FC, PFC, NFC by financial constraints is against KZ97 and the study of Sean Cleary (1999) and shows that the group of FC is under constraints about investment decisions. Groping enterprises and individual firms as FC, PFC, and NFC also shows that FC is under more constraints of liquidity and that individual firms are under more constraints of liquidity than enterprises. That result is probably caused by the effect of the ownership of internal capital market of enterprises.

      • 대절토 도로사면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계측효과에 관한 연구

        박기홍 상지대학교 경영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의 발달로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 확충으로 기존도로 확장 및 신설도로 건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절개 사면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는 산악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 개설시 대절토부 사면은 필연적으로 발생 할 수밖에 없다. 예전에 건설된 도로의 경우 건설 당시의 경제적, 기술적인 문제등으로 인하여 절개 사면의 안정성을 저하 시키는 잠재적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과 더불어 해빙기나 집중강우 시의 자연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절토사면의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그로 인한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면의 붕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일어날 수 있으나 대체로 강성 활동 파괴체가 소성화된 지반에 따라 발생하고, 사면의 파괴 형상은 복잡한 지반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리적인 영향으로 연강수량 중 대부분이 여름철(6월~9월)에 장마, 게릴라성 집중강우 또는 태풍과 동반되어 집중됨으로 인해 강우에 의한 절취사면붕괴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절취사면 붕괴의원인은 해빙기의 지반이완의 원인도 있지만 대부분 강우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도로 개설시 절토 사면의 충분한 조사와 그에 따른 안정해석을 통하여 사면의 경사나 보강방법이 결정 되어야 하는데 상당수 사면이 보편 일률적으로 지반의 상태를 가정하여 사면의 경사가 정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설계 오차 요인이 작용하여 설계시와 다른 지반거동을 보이며 지반이 붕괴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설계된 대절토부 사면을 공사중에 계측을 실시하여 사면의 안정성 여부를 관리하고 사전에 사면의 거동여부를 파악하여 거동 발생시 그에 따른 사면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인 불연속면의 발달상황 및 단층대 유무를 파악하고 역해석을 통한 지반요소의 물성치를 추정하여 그에 따른 적정한 안정화 방안에 활용 하고자 하며 현장 계측을 통하여 사면 붕괴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대절토 사면의 붕괴이전에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하는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멀티미디어 신호처리를 위한 H.264/AVC의 효율적인 왜곡치 예측에 관한 연구

        박기홍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H.264/AVC는 ITU-T VCEG와 ISO/IEC의 MPEG의 공동 작업으로 제정된 최근의 동영상 부호화 국제 표준으로,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4 화소 단위의 움직임 추정, 움직임 보상, 다중 참조 프레임의 사용, 예측 및 루프 필터 등의 새로운 기술 요소들이 추가 되었다. H.264/AVC의 높은 압축 성능은 기존 영상 압축 부호화 표준에는 없었던 많은 예측 기법들로부터 기인되는 바, 압축률 향상을 위한 율-왜곡 최적화(RDO) 모드 결정 방식 등 이 좋은 예이다. 멀티미디어 신호처리의 성공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압축 성능은 유지시키면서 요구되는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RDO 모드 결정 방식은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계산된 움직임 비용으로 모드를 결정하지 않고 비트율과 왜곡치를 계산하여 율-왜곡 비용을 최소로 가지는 매크로블록의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된 RDO 모드 결정 방식으로는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 없이 양자화된 DCT 계수들로부터 비트율을 예측하는 방식과 계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DCT 영역에서 왜곡치를 예측하는 방식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압축률을 높이는 반면 복잡도 및 전체 계산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왜곡치 예측을 개선하기 위해 역양자화와 IDCT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간소화된 왜곡치 예측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역양자화된 DCT 계수를 양자화된 계수와 양자화 스텝 사이즈의 관계로 근사화하여 역양자화 단계를 생략하였고, DCT와 양자화 단계에서 계산되어진 값들로 왜곡치 계산을 수행 할 수 있었다. 제안한 왜곡치 예측은 기존 방식과의 평균 절대 차이 값으로 성능을 평가하였고, 참조 소프트웨어에 대한 PSNR과 비트율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PSNR과 비트율 성능이 거의 일치하면서 3~14%의 RDO 모드 결정 시간이 감소되었고, 1.5~4.4%의 전체 부호화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 신호처리의 기초 연구결과로서, 향후 멀티미디어 통신, 비디오 압축 등에 유용하게 응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을 이용한 본인확인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어권 보장을 중심으로

        박기홍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본인확인 서비스에 대해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어권을 보장하고 안전성으로 보장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기존 본인확인 서비스의 구성 및 전달 메시지를 분석하여 자체 문제점을 식별하였고, ISO 29115, NIST SP 800-63, EU eIDAS 등 국외 본인확인 서비스와 갭 분석을 통해 발전 방향에 대해 식별하였다. 문제점 식별 결과 이용자 관점에서는 본인확인정보 제공의 일관성 및 개인정보 메시지 전달 방식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제공 개인정보에 대한 선택권 및 온라인 서비스별 제공 개인정보에 대한 선택권이 제한되어 있었다. 온라인서비스 제공 사업자 입장에서는 수신 개인정보에 대한 선택권 및 부인방지 기능이 제한되어 있었다.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자 입장에서 본인확인 정보는 본인확인기관들이 일괄적으로 전송 제한하는 방안을, 개인정보 메시지는 백 채널 방식으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제공 개인정보는 필수 정보와 선택정보로 분류하고 선택정보는 이용자에게 제어권을 주는 방안을, 온라인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 제공되는 개인정보를 차등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온라인서비스 제공 사업자 입장에서는 수신 개인정보 요청 기능 개발 및 이용자의 부인방지 기능 개발을 제안하였다. 개선방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해 본인확인기관 지정 및 적합성 심사를 수행하는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본인확인 서비스의 문제점 인식 및 발전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guarantee users'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nd guarantee safety for personal identity proofing service using alternative method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he architecture and delivery messages of existing personal identity proofing servic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own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oints were identified through gap analysis with foreign personal identity proofing services, such as ISO 29115, NIST SP 800-63, and EU eIDAS. As a result of problem identification, the user's perspective lacked consistency in provi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relaying personal information messages, and users’ options were limited for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by onlin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online service providers, options and anti-denial functions for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were limi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identity verification information is restricted from being sent by all personal identity proofing agencies. Delivering personal information message is unified by back channel method, provided personal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essential information and optional information, and the optional information gives the user control, Differentiat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online serv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online service provider, I propose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request function and user's non-repudiation function.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improvement measures, a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a group of experts doing a designated and conformity aud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us to explore ways to recognize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personal identity proofing service using alternative method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 영상 처리와 패턴 인식 기법을 이용한 자동 골단판 추출

        박기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mand for the automatic bone age assessment has increased due to its usefulness. Since the shapes of epiphyses vary largely depending on a subject’s bone age, shapes of epiphyses are utilized as the significant feature in bone age assessment. However, existing epiphyseal extraction methods fail to extract epiphyses accurately, because an error occurs in the detection of the finger’s center axis. This thesis proposes more accurate extraction method that estimates the center axis which corresponds with the phalange's shape. The method entails analysis of a finger’s horizontal profile that detects the finger’s center axis, on and from which epiphyses are detected and extracted, respectively. The result of an experiment showed that this method accurately extracts epiphyses even from finger images for which the detection of the center axis is difficult, and offered the high success rate of 99.3% in epiphyseal extraction. 뼈 나이 평가는 그 유용함으로 인해 계속 수요가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뼈 나이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손 뼈의 구성요소 중 손가락 관절에 위치하는 골단판들은 성장 에 따라 변화가 뚜렷하기 때문에, 뼈 나이 평가 알고리즘에서는 골단판 영역을 검출하여 평가의 중요한 척도로 이용한다. 그러나 기존 알고리 즘들의 골단판 검출 방법은 손가락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 여 골단판을 추출하는 데 실패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손가 락 형태에 맞는 중심축을 검출하여 골단판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X-ray 영상에서 손가락 영상을 분할한 후, 손가락의 수평 축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손가락의 중심축을 검출한 뒤, 검출한 중심축 상에서 골단판을 정확하게 추출해 내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실험의 결과, 제안하는 골단판 추출 방법은 기존 알고리즘에서 중심축 검출이 어려워 골단판 추출에 실패한 손가락 영상에서도 정확하 게 골단판 영상을 추출하였으며, 99.3%의 높은 골단판 추출 성공률을 보였다.

      •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영상특성 기반의 강인한 워터마킹 알고리즘

        박기홍 목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digital watermarking technology is embedding in digital contents on owner information for copyright protection. Embedding watermark should robustness, unambiguity and inperceptibility from the attack for the identify the source of an image. In this paper, I proposed watermarking algorithm for copyright protection about multimedia data. Discrete wavelet transform is involved to calculate additive energy strength. Watermark is repeated through the entire image and adapted to the content of the image based on human visual system. Considering imperceptibility, after computing contrast and texture sensitivity in gray-level image, I inserted watermark with variable weight due to the feature of coefficient block. With this, it need to diminish image's distortion as soon as when it draw out watermark upgrading its hard, it focus on protecting digital contents. Consequently, applying human visual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atisfied the properties of robustness and imperceptibility that are the major conditions of watermarking.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은 저작권 보호에 필요한 정보를 콘텐츠에 삽입함으로써, 삽입된 워터마크 정보가 의도적/비의도적 공격에 대해서 제거되지 않도록 강인성, 비가시성 및 명확성이 필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할 수 있는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을 주파수 공간으로 변환시킨 후 효과적인 워터마크 삽입을 위해 인간의 감지능력이 떨어지는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였다. 워터마크가 인간 시각에 덜 민감한 영역에 더 큰 가중치를 가지고 삽입됨으로써, 강한 워터마킹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즉, 비가시성을 고려하여 고주파 영역을 블록킹하여 대조 감도와 텍스처 감도를 계산하고, 각 블록에 워터마크를 삽입 시 블록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였다. 이로써 시각적인 영상의 왜곡을 줄이고 동시에 워터마크 추출 시 견고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안전한 디지털 콘텐츠 보호에 중점을 두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워터마킹의 요구조건인 강인함과 비가시성을 만족시킴을 확인하였다.

      • 校內 自律奬學에 對한 初等敎師의 認識과 運營實態

        박기홍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교육현실에서 교육현장의 교내자율장학에 근거하여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각급 학교의 실정에 적합한 교내자율장학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자율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내자율장학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셋째, 교내자율장학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의 개선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20명을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는 2개영역 3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4단계의 선택형 문항과 리커르트(Likert)의 5단계 평정척으로 작성하였다. 표집된 통계의 처리와 분석은 SPSS/PC+ 9.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χ2검증과 빈도분석 및 집단간 평균비교를 하였고,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문헌분석을 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운영방법에 대하여는 경력이 적은 교사는 임상장학을, 경력이 많은 교사는 자기장학을 선호하고 있으며, 중견층에 해당되는 교사집단에서는 장학활동에 관심을 덜 보이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교내자율장학을 계획·실천하고 있으나 학교규모에 따라 계획과 실천의 빈도수에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24∼36학급의 규모에서 가장 활발한 자율장학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교내자율장학의 저해요인으로 시간의 부족과 시설의 낙후성 및 장학담당자의 수업지도 조언능력 부족과 교사들의 참여의욕 저조를 꼽고 있어 학교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넷째, 교내자율장학의 지향점을 교실수업개선에 두고 수업기술의 향상을 도모하는 측면에 맞추고 있으며, 장학의 방향도 교수-학습의 개선에 둠으로써 대부분의 학교들이 형식적·행정적 장학에서 탈피하여 실질적이고 본질적인 장학으로 접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경력이 적은 교사집단과 여교사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임상장학에 긍정적이었고, 수업의 질 향상과 시범수업의 참여에 적극적이었으며, 수업공개와 함께 동학년 혹은 교과서클 활동의 활성화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내자율장학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에 따른 개선방안을 위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자율장학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장학담당자와 교사간의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전제로 한 자율적인 장학을 선호하고 있으므로, 자율적 연수활동과 수업연구의 기회를 확대하여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장학활동에 대한 의도적인 계획으로 활성화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수업장학의 계획-실천-평가의 전 과정에 피드백 장치를 강화하여 얻어진 효과를 교육현장에 직접 적용하는 등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하는 전향적인 자세가 절실히 요구되며, 수업장학의 결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수업을 위해 연구하고 개발해 나아가려는 진취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셋째, 교내자율장학의 저해요인인 시간의 부족과 학교시설의 낙후성 및 장학담당자의 자질과 교사들의 참여의욕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수업개선 중심의 교실장학으로의 전환과 장학담당자의 부단한 자기연찬 및 교직원들의 적극적 참여의식 고취를 위한 물리적인 환경의 조성과 학교풍토의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method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which was appropriate to the real situation of each school by grasping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which was based on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in the real edu-cation fiel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s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 ool? Second, how's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managed? Third, what's the problem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and how will be possible to accomplish improvements of them? To accomplish the goal above, I surveyed 320 teachers work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ampled. A survey questionaire was consisted of 31 ques-tions in 2 fields, made out four-stage multiple-choice test and the fivestage Likert rating measurement. The processing and analyzing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tudy produced the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by using the SPSS/PC + 9.0 statistical package and x²-tests,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llective comparison of the mean values. And the conclusions through the data analysis to compensate some problems were as follows ; First, most teachers thinks importantly about the need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but in the method of management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That is, short-term career teachers preferred the clinical supervision, long-term career teachers preferred the clinical supervision, and mid-term career teachers was less interested in the activity of the supervision. Second, even though most schools planned and implemented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whatever the form of it was, the frequency of the planning and implementing have a great deal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school. Specially, on the scale of from 24 to 36 class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put into active operation. Third, the lack of time, outdated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insufficient coun-selling ability about instructional guidance of supervisor in charge were the inter-fering factor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It is necessarily required of the active interests of all members in school. Fourth, most schools are trying to change formal and administrative supervision into practical and substantial supervision, because the focu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is on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skills and the direction of supervision is lying in the impro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Fifth, the group of short-term career teachers and women teachers is very positive at the clinical supervision and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quality and partici-pation at the model teaching class, and they expected the activatization of the same-grade or same-subject group activities as well as a workshop clas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above, the conclusions for the improvement way of teacher's recognition and real management about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as most teachers have preference to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premised to the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teacher for acti-vating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it is needed that expand the opportu-nities of autonomous training activities and instructional study, provide the chance to enhance the instructional quality and actively change to the intentional plan about the supervising activities. Second, the converted attitude will be needed to manage effectively. That is, the required effect by enhancing the system of feedback during the thorough process of planning-implementing-assessing in the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directly applied and we need very progressive attitude, such as shar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supervison, study and develop for the new way of teaching. Third, the change into the classroom supervision centered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endless self-endeavor of supervisors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school atmosphere to stimulate for teachers to participate actively is needed to release the interfering factor such as the lack of time, outdated educational facilities, insuffi-cient ability of supervisors and decline of teachers' participatory enthusiasm.

      • CoCl₂/poly(dimethylsiloxane)膜의 製造와 氣體透過特性

        박기홍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속착체를 고정시킨 CoCl₂/PDMS막과 PDMS막을 제조하였다. 막에 있어서 수소, 헬륨,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의 투과계수와 확산계수를 용적법과 time-lag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체의 투과계수는 CoCl₂/PDMS막이 POMS막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투과계수비로 나타낸 질소에 대한 산소의 분리계수는 PDMS막에서 2인데 비해 CoCl₂/PDMS [ CoCl₂·6H₂O / POMS = 0.6 wt%]막에서는 3.3으로 금속착체에 의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oCl₂/PDMS막에 있어서 산소의 확산계수의 감소는 코발트 이온과 산소사이에 결합과 탈착이 반복해서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헬륨, 질소, 탄산 가스에 비해 산소의 용해도계수가 크게 증가한 것은 코발트이온과 산소의 친화력이 다른 기체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막에 있어서 각 기체의 확산계수는 기체의 분자직경에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용해도계수는 Lennard-Jones force constant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금속착체를 사용하여 특정기체에 대한 용해도계수와 분리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PDMS membrane and CoCl₂/PDMS membrane fixed a metal complex were prepared. Permeability and diffusion coefficients of gases as H₂, He, N₂, O₂, and CO₂ through the prepared membrane were measured using the volumetric method and the time-lag method. The consequence was that the permeability coefficients of gases through CoCl₂/PDMS membrane were sligh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PDMS membrane. Also, the separation factor, P(O₂)/P(N₂), represented by the ratio of permeability coefficient was 2 in the PDMS membrane but 3.3 in the CoCl₂/PDMS membrane with [CoCl₂·6H₂O/PDMS] = 0.6 wt%. It was estimated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oxygen through CoCl₂/PDMS membrane was reduced by repeated binding and dissociation of oxygen to the fixed cobalt ion. One hand, the solubility coefficient of oxygen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He, N₂, and CO₂ because the cobalt ion had the grater affinity for oxygen than for other gases. In the both membranes, the diffusion coefficient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olecular diameter, the solubility coefficient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nard-Jones force constant. We provided the possibility using the metal complex to improve the solubility and the separation factor for a specific gas.

      • 『책거리 그림』 분석을 통한 조선 후기 '空間 認識'에 관한 연구

        박기홍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이라는 현상은 건축에서만 구체적인 실체로서 그 의미를 가지며, 건축만의 독특한 성격 구성요소가 된다. 그런데 공간을 구축하는 제반 요소들의 다양한 구조적 특성이 작게는 각 건물마다의 특성을 나타내고 크게는 한 사회나 문화를 특징 지워주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공간에 대한 범주가 같다고 할 지라도 공간을 구축해 나아가는 방법은 지역성, 시대성 등에 의해 다양한 양상을 띄게 된다. 그러나 다양성 속에서도 특정 시기의 공간을 지각하고 구축하는 방법에는 특정한 시지각 양식이 내재하게 된다. 먼저, 서양의 경우를 살펴보면, 르네상스에서 금세기 초기 10년까지, 선형 투시도법은 서양의 회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구축요소의 하나였으며, 르네상스 이전의 문화에 속했던 회화가 2차원적인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어떠한 지각 양식도 상상하지 못할 정도였다. 따라서 이러한 선형 투시도법은 당시의 새로운 공간개념을 창출하게 되었고 이것은 공간을 주된 표현 대상으로 하는 건축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근대 과학에서 상대성 이론의 등장과 현대 양자역학의 이론에 의해서, 예술에서는 르네상스 선형 투시도법의 ‘대상과 관찰자간의 배타적 구조’에 반(反)하는 세잔느 이후 입체파의 영향으로 새로운 지적 패러다임의 변혁이 일게된다. 이러한 탈 선형투시도법적 공간개념의 탄생은 당시 1920년대의 건축에 혁신적인 영향을 주게된다. 이와 같이 특정한 시지각 양식은 건축공간 구축에 필연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그러한 시지각 양식의 전형을 회화에서 발견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동양의 경우는 어떠한가? 엘 리시츠키(El Lissitzky)나 라스무센(S. E. Rasmussen)과 같은 사람들의 동양의 시지각 양식에 관한 서로 상반된 견해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건축의 주된 구축 대상이 공간이고, 공간구축과 특정 시지각 양식과의 관련을 부정하지 않는다면, 역시 동양에도 공간을 구축하고 지각하는 그 나름의 시지각 양식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후기, 특히 18세기~19세기에 다량으로 제작된 책거리 그림은 이러한 맥락에서 흥미롭다. 진경산수화, 풍속화, 군현지도류(郡縣地圖類), 판소리등의 새로운 예술형태의 출현과 함께 등장한 책거리 그림은 경물(景物)의 표현방식에 있어 그 이전에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식을 구축한 그림이다. 또한 책거리 그림은 19세기 말에 이르면 다른 회화 양식과 습합현상을 일으키며 그 특이성을 잃어버리면서 소멸기를 맞이한다. 다음의 가정이 가능하다. 즉, 특정시기의 특정 양식의 회화로 볼 수 있는 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경물표현의 조형적 조치에 특정한 시지각 양식이 내재하고 있고, 이러한 시지각 양식을 당시의 ‘공간인식’에 대한 표상으로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 민화의 한 종류로 다량 제작된 책거리 그림을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아 표출된 독특한 시지각 양식에 대해 규명하고, 이러한 시지각 양식을 당시 공간 구축의 지적 패러다임으로 보아, 조선시대 후기 공간의 지각과 구축에 대한 인식론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우선, 객관적 분석의 틀을 확립하기 위하여 책거리 그림을 시대순으로 분류하고 각 시대별 특징을 기술한 뒤, 경물의 표현방식과 공간의 표현방식에 중점을 두어 책거리 그림자체의 현상적 분석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책거리 그림 이전의 회화와 동시대의 회화 중, 공간의 표현방식-특히 투시도법(협의(狹意)의 투시도법)-에서 유사한 회화를 분석하여 책거리 그림의 유형사적 위상을 정립한다. 이는 책거리 그림에서 나타난 현상적 분석의 결과물들의 인식론적 의미를 밝힐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마지막으로 책거리 그림의 분석을 통해서 드러난 경물 표현방식과 공간 구축의 의미들을 토대로 조선 후기의 주체의 시선과 대상과의 관계, 즉 공간인식에 대한 의미를 밝힌다. 책거리 그림은 책과 그 주변의 사물들을 모아서 그린 그림이라는 뜻이며 조선후기 민간에 널리 퍼져 그려졌던 일종의 장식화로서 시대별 특징으로 볼 때, 대략 세가지 단계로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까지의 책거리 그림은 다른 회화에서 찾아 보기 힘든 독특한 입체 표현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책거리 그림에서 보여지는 대상체들의 입체표현 방식은 17세기에서 18세기사이에 나타나는 ‘탁장 기명도’ 형식의 책거리 그림을 제외하면, 선형 투시도법이나 투상도법 같은 통일화된 체계내지는 기하학적 통일성으로 구축된 표현법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즉, 각각의 대상체들이 서로 다른 투사축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대상체들의 위상학적 관계 역시 비합리적인 양상을 띄고 있다. 책거리 그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조치들 중, 유형사적인 계통을 이루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는, 책거리 그림만의 특이성을 갖는 표현 방식이 역투시도법이다. 그러나 각각의 대상체들의 표현 방식에 있어 역투시도법을 일반적인 양상으로 규정지을 수는 없다. 개별 물체의 표현방식은 대부분 그 투사의 방법에 있어 투상도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역투시도법으로 표현된 물체는 부분적으로만 나타날 뿐이다. 하지만 전체공간의 전개 방식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면 양상은 달라진다. 각각의 대상체들의 입체 표현방식이 종합된 것으로서의 공간의 구축방법은 역투시도법을 일반적인 양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즉, 각 대상체들의 투사의 축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면 화면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는 형식을 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역투시적인 공간전개의 구축속에서도 하나의 규칙적인 양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대상체들을 바라보는 전체적인 시선의 위치로 볼 때,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것에 배타적인 지위를 부여한다는 점이다. 이른바 이러한 부감시(俯瞰視)의 배타적 지위는 종종 책거리 그림의 물상전개의 다양성과 입체파 회화의 그것을 유사하게 취급하는 경향에 대한 반증(反證)자료가 될 수 있다. 즉 입체파에 나타난 다시점적 표현은 다양한 시점을 추구하면서 어떠한 시점에도 배타적인 권위를 부여하지 않는 반면, 책거리 그림의 대상체 표현방식은 여러시점에서의 표현을 추구하면서도, 부감시(俯瞰視)에 배타적인 지위를 부여한다는 것이 그 차별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책거리 그림을 대상체의 소재가 나타내는 표현의미와 대상체간의 위치관계의 측면에서 분석해 볼 때, 절대적, 보편적, 균질적 시․공간 개념으로서는 해석되지 않는 시각적 조치들이 상존해 있다. 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조형적 조치들의 현상적 특성은 개별 대상체의 표현에 있어, 투상도법과 다양한 투사축의 채택에 의한 물상전개의 다면화와 전체 공간의 구축에 있어, 역투시적인 공간전개와 부감시의 특권적 지위 부여로 정리 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의 소재가 상징하는 표현의미와 대상체간의 위치관계의 측면에서는 비합리적인 시․공간을 구축하는 것으로도 귀결될 수 있다. 결국 주체의 시선과 대상과의 관계로서의 이러한 인식은 세계에 관한 체험을 보다 높은 의식의 경지에서 확장해 나가는 것이며, 이러한 경지는 공간과 시간에 대한 근원적으로 다른 경험에 몰두하는 것이다. 즉 일상적인 3차원 공간을 깊은 명상을 통해 초월하는 것 뿐만아니라 한층 더 강력하게 시간에 대한 일상적인 인식까지 초월되어야 하는 순수 초월적인 시선으로 규정될 수 있다. 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공간인식은 가시적 대상을 주체가 이성의 힘에 의존하여 분석하고 설명하며 대상과 관찰자간의 배타적 구조를 이루는 단층적(單層的) 가시성으로 규정될 수 있는 서구 르네상스의 공간인식과는 다르며, 가시성의 문제에 있어 객체의 영역에 존재하는 관념적 투사 주체와 주체의 영역에 속하는 지각적 관찰 주체간에 끊임없는 넘나들기에 의해서 구축되는 ‘중층적 가시성’을 가진 공간인식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당시의 공간인식이 이러한 질적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점의 지위로서 부감시에 배타성이 부여된다. 즉 역투시도법에서는 경물의 외형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투사 주체의 ‘눈’은 하부에, 지각 주체의 ‘눈’은 상부에 위치할 수 밖에 없다. 책거리 그림에서 보여지는 조선후기 공간인식의 특징은, 유형사적 검토에 의한 절대적 관념인 순수 초월적 시선의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객체의 영역에 위치하는 관념적 투사주체와 주체의 영역에 위치하는 지각적 관찰주체간의 부단한 넘나들기에 의해서 구축되는 중층적 가시성의 구조를 갖는다. 예술사적으로 볼 때, 조선조 후기는 진경산수화와 풍속화, 민화, 판소리 등 새로운 예술형태가 출현한 시기이다. 즉, 경제적 주도권을 장악한 계층 사이에서 자신들의 이상을 구현할 현실에 애정을 쏟으려는 풍조와 함께 주체적 문예의식이 싹터, 이제까지의 중국의 예술양식에서 탈피하려는 시도들이 부흥케 되는 것이다. 또한 예술의 대상을 실존하는 한국의 국토와 실생활품으로 삼았으며, 인식활동의 표적으로서의 대상의 실체성으로의 이러한 이행은 철학적 의미에서 이전의 순수 ‘관념적’ 경향에서 점차로 실체적 ‘객관성’에로 변모하는 시기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요컨대, 조선후기 공간인식은 보이는것과 비전 사이에서 벌어지는 ‘내적 존재론'의 문제로 볼 수 있으며, ‘주리/주기’, ‘주관/객관’, ‘관념/실체’로 나누어지는 개념적 원리의 선택문제가 아니다. 보이는 것과 비전 사이의 교감의 형태로 가장 뚜렸하게 부각되는 지대가 바로 인심, 즉 마음이다. 비전(la vision)은 ‘봄(voir)'이다. 그러나 그것은 데카르트(R. Descartes)의 철학이 말하는 ‘보는 생각'과 전혀 다르다. 다시 말해 조선후기의 공간인식은 초월론적 관념성도, 유물론적 실체성도 아닌 주관과 객관의 거리를 없애면서 중층적 가시성의 구조를 가진 것이다. 이러한 중층적 가시성의 구조는 필연적으로 주체의 지각적 시선을 주변의 세계로 던지는 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