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3-5학년 단순 ADHD아동과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아동의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 : :이야기담화 및 설명담화 중심으로

        박경민 조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학령기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장애의 하나로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요 문제로 가지고 있는 아동을 말한다(APA, 2004). ADHD아동은 정상범주의 지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주의집중이 어렵고, 충동적인 행동으로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언어능력을 보이며 학령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습과 읽기에서의 어려움을 보인다. 학령기 ADHD아동은 또래 아동과 비교 시 주의집중 저하 및 충동성으로 인해 화용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대화 시 주제유지나 자신의 차례를 지키며 주고받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야기 이해와 관련된 연구에서도 ADHD아동이 사실적 이해는 어려움이 없으나 인과관계이해의 어려움이 있으며 저조한 추론능력 및 이해모니터링 능력으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Loe & Cuttino, 2008). 이후 다양한 연구에서 ADHD아동이 화용적 측면뿐 아니라 의미적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두드러진다는 보고들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학령기 ADHD아동의 언어적 어려움은 다양한 이야기 및 설명담화의 이해에도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ADHD아동이 보이는 언어문제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언어지식과 인지적 처리가 함께 요구되는 읽기과제를 수행하는 데 잠재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Bialystok, 2001). ADHD아동은 그들의 행동특성으로 관련되지 않은 자극을 억제하고, 필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며 학습에서 요구하는 복잡한 여러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 조직화, 점검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전의 정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처럼 ADHD아동은 반응 억제, 계획하기와 같은 실행기능과 작업기억 등을 포함한 결함으로 언어뿐 아니라 읽기이해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rkley, 1997). ADHD아동의 경우 실행기능의 결함으로 인하여 불분명한 읽기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낮은 학업능력을 보일 수 있다. 많은 ADHD아동은 이러한 행동 특성으로 인하여 주어진 정보를 이해하고 오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적극적인 활동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언어능력은 읽기를 위해 필요한 기본능력 중 하나로 학령기 아동에게 있어서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공식적인 읽기상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읽기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학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읽기의 궁극적인 목적은 읽기이해인데, 읽은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독과 언어이해능력이 필수적이며 동시에 다양한 상위인지기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상위인지능력은 독자가 글을 읽으면서 그에 따른 행동을 계획하고 조직화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 모니터링 하는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을 말한다(Flavell, 1979). 읽기에서의 상위인지능력은 독자가 읽기의 목적을 깨닫고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독자 스스로가 계획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읽은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때 이를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략을 세우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읽기를 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상위인지 전략에는 정교화전략, 정의적 전략과 이해모니터링 전략이 있다(Berthiaume, Lorch, & Millich, 2005) 그 중 읽기이해모니터링은 효과적으로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읽기이해모니터링을 살펴본 연구들에 따르면 모니터링의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은 읽기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고 한다(Oakhill, Hartt, & Salmols, 2005). 그러므로 읽기이해모니터링은 읽기이해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Oakhill, Hartt, & Salmols, 2005).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을 살펴보기 위한 대표적인 평가과제는 오류확인(error-detection)과제이다. 연구자는 의도적으로 글에 오류를 포함시킨 후 독자에게 오류가 포함된 글을 읽도록 요구한다. 독자는 글을 읽다가 이해를 방해하는 오류를 찾아야 한다. 활발하게 자신의 이해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독자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독자는 오류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읽기이해모니터링 과제에 포함되는 오류는 일반적으로 어휘지식과 관련한 어휘 비일관성(lexical inconsistency)오류, 글 속에 포함된 두 개의 문장의 내용을 불일치시켜 만든 내적 비일관성(internal inconsistency)오류, 배경지식에 반하는 내용이 포함된 외적 비일관성(external inconsistency)오류이다(김경선, 2014; Baker & Anderson, 1982). 이러한 이해모니터링 오류유형은 어휘나 문법 및 배경지식과 작업기억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선행연구 보고들에 따르면 ADHD아동은 언어적 어려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읽기이해능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Marinda, Sorino, & Garcia, 2006). 읽기는 학습에 중요한 도구로서 읽기의 어려움은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ADHD아동이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읽기이해모니터링은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이며, ADHD아동이 가지고 있는 작업기억 및 실행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 상위인지능력이다. 하지만 ADHD아동이 글을 읽는 동안 위에서 언급한 상위인지전략을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읽기이해모니터링을 하고 있는 지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ADHD아동의 읽기이해 어려움의 원인이 이해모니터링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봄으로써 해당 주제에 관한 기초적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5학년 언어문제를 동반하지 않은 ADHD아동뿐 아니라 언어문제를 동반한 단순 ADHD아동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통제집단으로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을 선정하여 이 아동들의 읽기이해모니터링 과정에서 효율적인 전략사용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두 담화유형 모두에서 읽기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교과과정에 포함된 다양한 담화유형을 이해하는 것은 학업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읽기이해모니터링을 살펴본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야기담화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송영주, 1998; 남윤정,2007). 반면 설명담화는 초등 저학년 교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고학년이 되면 대부분의 교과 내용에서 사용되는 담화유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 교과과정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 모두를 사용하여 이해모니터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 내에 세 가지 오류유형(내적비일관성, 외적비일관성, 어휘비일관성)을 포함하여 이해모니터링과 관련한 능력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including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with written storie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with ADHD have difficulty to understand text because of their behavior deficits such as carelessness, hyperactivity and impulsiveness. They are also likely to have difficulty to integrate and organize previous information with incoming information due to working memory and execution capabilities deficits.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readers need to use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One of the strategies is comprehension monitoring skills. Comprehension monitoring is being aware whether the text makes sense. It’s occurs when the reader reflects on his or her own understanding. There were several studies that comprehension monitoring is one of the components to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comprehension monitoring for children with ADHD who are likely to have reading comprehension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for ADHD children with/without language impairment.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in narrative discourse?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in expository discourse?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among the three types(lexical inconsistency, internal -inconsistency, external inconsistency) of errors in the narrative discourse? 4)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cores among the three types of errors in the expository discourse? Total 56 ADHD children with/without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tudents from third, fourth and fif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should have intelligence quotient score of 80 or above in K-CTONI-2 and obtain 10 perentile or above in word decoding test on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DHD children without language impairment should obtain higher than –1 of standard deviation o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DHD with language impairment should obtained lower than –1 of standard deviation on REVT. As well, all children have no history of neur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The narrative and expository discourse are created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Because familarity would play important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all stories were created by investigators. All the stories have 13 sentences and contained grade appropriate vocabularies. In order to assess comprehension monitoring, stories contained three different type of errors. The errors which embedded within consisted of nonsense words (i.e. lexical inconsistency), violation of prior knowledge (i.e. external inconsistency) and internal inconsistency within the text. The number of each error type was 3, so total number of error was 12.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children were asked to find out errors in writte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After finding out errors, children were asked to change appropriate word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had the lowest score followed by only ADHD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wo discourse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hildren with ADHD regardless of language problems would have difficulty to monitor their comprehension. Second, internal inconsistency was the most difficult error to identify and correct and lexical inconsistency was the easiest error for all three groups. In summary,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id show difficultly i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when compared to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only ADHD children without language impairment. The poor performance of monitoring tasks for two ADHD groups could be explained cognitive deficit such as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As well, language deficit in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may be more likely to influence negatively o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tasks than do only ADHD children. This results would suggest that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intervention would be initiated in an effort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ADHD.

      • 저소득가정아동대상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연구

        박경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사례연구 목적은 멘토링 프로그램이 사회사업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 그 의미를 재조명하고자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과정분석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관련 문헌연구와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직·간접 참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직·간접 참여자들의 멘토링 프로그램 개선방안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입과정 개선방안 분석은 먼저 멘티 수를 고려한 활동보조비 편성이 분석되었다. 멘티 수를 고려한 예산 편성을 토대로 질적인 멘토링 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멘토 수당이 하향 편성되어야 한다. 멘토 수당을 조정하여 봉사의 의미를 부여하고, 그 차액을 제반 멘토링 활동 지원금 특히, 멘티 지원에 편성되어야 한다. 교사 수당 편성이 필요하다. 학교와 교사의 지원과 지지는 멘토링 프로그램 과정과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그들의 업무 보상이 여러 각도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멘토 선발은 멘토 평가체제 수립과 멘토 모집 시 멘토링 프로그램 취지와 지향점을 충분히 알려야한다. 또한 멘티 선발은 수급자격요건 규정에 의한 선발보다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들이 참여할 수 있는 선발과정 노력이 필요하다. 멘토 멘티 사전 관계형성이 필요하다. 공식적인 활동 이전에 멘토·멘티간 라뽀(rapport)형성 기회를 제공하여 멘토링 활동 사전에 관계형성을 도와야한다. 사전준비기간 필요성과 이를 통한 하부조직 구조 확립이 필요하다. 사전준비기간을 통해 프로그램 내외적인 환경변화를 위한 개입전략 및 업무 조정이 필요하다. 전문 인력 보완이 필요하다. 즉,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선 교육, 상담 전문가뿐만 아니라 사회사업전문가를 보강하여 팀워크를 이루어야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것은 자체 홍보 강화이다. 즉 프로그램 사전과 그 과정에서 직·간접참여자들의 적극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자체 홍보가 강화되어야 한다. 활동과정 개선방안 분석 범주는 먼저, 멘토링 활동 영역 통합이다. 즉 학습과 인성 멘토링 영역 구분은 인성 멘티 낙인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멘티 개인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필요시 전문가 의뢰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멘토링 활동 장소 및 자원봉사인력 지원이 보강되어야 한다. 즉, 지역사회 인적, 물적 자원을 연계하여 멘토링 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즉, 멘토링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기 위해선 부모, 교사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아동체계접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문화 및 특기 멘토링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저소득가정아동의 문화소외 극복을 지원하고 아동의 잠재적 소질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학습 그룹은 아동 수준별 욕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즉, 효과적인 집단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하여 집단 구성원 수준별 욕구와 특성을 반영하여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멘토 슈퍼비전 시스템 구축 및 사전 멘토 교육 강화되어야 한다. 즉, 멘토 들의 지속적인 슈퍼비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그 체제를 정비하고 슈퍼비전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아울러 사전 멘토 교육은 보다 구체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의 의의와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 및 강화해야 한다. 산출과정 개선방안 범주는 멘토·멘티 인원수, 멘토링 기간 그리고 멘토링 제공시간과 횟수 등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멘토링 프로그램 조직 시 멘토링 관계가 성립될 수 있도록 멘티 수를 조정해야 할 것이다. 즉, 1:1관계를 지원할 수 있어야한다. 멘토군이 확보되어야 한다. 즉, 각 지역사회에서 멘티 군을 조사하고 멘티를 지원할 멘토군을 상시 모집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멘토링 기간은 최소한 1년 이상을 기획하여야 한다. 즉, 목표 성취가 가능한 기간을 예상하고 멘토링 프로그램 대상 아동의 사후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해야 한다. 멘토링 제공 시간과 횟수는 멘토 멘티 생활주기를 고려한 시간조정이 필요하다. 멘토, 멘티의 생활주기를 고려하지 않는 멘토링 제공시간 및 횟수설정은 멘토 소진을 초래할 수 있다. 성과과정 개선방안은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는 방법 개선이 분석되었다. 학습편중 평가를 개선해야 한다.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를 멘티의 학습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은 멘티 내면의 변화를 간과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멘토를 포함한 간접 참여자의 변화효과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멘토링 프로그램 평가는 직·간접참여자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평가 결과가멘토링 프로그램 의사결정의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질적 평가체제를 보완해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사례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면접참여자 선정을 통한 개별적인 관점과 경험 반영, 사회사업정책과 관점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는 사례선정, 멘토링 프로그램 구조 및 요소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을 토대로 구체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초등학생 This study has a purpose of re-examining the meaning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finding out th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in the social welfare. For such purpose, I examined the case of the mentoring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levant records, and the quality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nts of the mentoring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the improvement measure for mentoring program is as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input process includes the organization of the fund for the opera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mentees is required. The high quality mentoring is possible based on the budget organiza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mentees. The cost of mentoring should be reduced. The balance after adjusting the cost of mentoring should be used for supporting mentees. The organization of the allowance for teachers is necessary. The support for schools and teache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its outcome. When selecting mentors, the assessment system and its purpose should be informed. When selecting mentors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blind spots shall be considered instead of making selection in the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condition. The prior organ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and mentee is necessary. The opportunity of rapport should be provided before commencing the public operation. The prior preparation period and the confirmation of the lower body structure is necessary. Through the preparation period, the strategy facing the change of environment should be organized. The professional staff is necessary. To continue with the mentoring program, education, consultation and social welfare professions should work as a team. The last thing seen from the analysis is the reinforcement of the public relation. The public relation should be reinforc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by the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nts.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process includes the operation range of mentoring should be integrated first. The separation of the academic learning and human nature may result in the failure of the mentee's realization of human nature. The personal status of the mentee should be examined and the professional advice may be needed when necessary. The support for the mentoring location and volunteers should be improved. The continuous finding of the resource is necessary with the connection to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 of the local society.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rogram is necessary. The program which may be accessed by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o make the mentoring program more efficient. The particip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of culture and talent should be extended. The low income earners' cultural isolation should be supported, and the opportun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talents should be provided. The learning group should be organized considering the desire and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s according to their level. To organize the efficient group program, the mutual reaction of the group members should be reinforced. Finally, the mentor's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organized and prior mentor training should be reinforced. To make the mentor's continuous supervision possible, its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nd supervision's content should be organized. For the prior mentor training, the meaning and purpose of mentoring program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content and its structure. The improvement of output process includes the number of mentor and mentee, mentoring period, provided mentoring period and the frequency analysis. The number of mentee should be adjusted for the establishment of mentoring program and mentoring relationship. That is to say, 1:1 relationship between mentor and mentee should be supported. The group of mentor should be secured. The group of mentee should be examined in the local region, and the group of mentor should be secured to support mentee. The period for mentoring should last for more than 1 year. The potential period of achieving such purpose may be estimated, and the after care period for children should be established. The time adjustment of the time and frequency of mentoring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mentor and mentee is required. The mentoring time and frequency without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mentor and mentee may cause montor's burn out. The improvement method which assesses the metoring program's effect has been analyzed. The learning tendency should be improved. The analysis of the mentoring program effect should not be don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mentee may not examine the internal change of mentee. The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nt including mentor may not investigate the change effect. Thus the assessment should be done by reflecting the various opinions from indirect participant. Also the assessment with the revised quality assessment system may be used as the subjective data for making decision of the mentoring program. The detailed guide for mentor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questions asking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human structure factor, the case studies that may assess the social operation policy and the structure & factors of the mentoring program. The research of the political practice for social operation which may establish the mentoring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is necessary. The research of the mentoring program, which may look for the joint boarding support, for low income earners' children should be organized.

      • 주울가열에 의한 저융점합금-에폭시 이중라인형 OLED 봉지에 대한 연구

        박경민 호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 OLED encapsulation technologies such as metal cap, glass cap and glass frit requires high temperature, which may damage on the OLDE device and make it inapplicable for the flexible devices. TFE(thin film encapsulation) technology is suggested as an solution for these problems, which has a problems to be solved mainly due to the high cost and unsatisfactory barrie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new encapsulation technology using LMPA-epoxy double line structure which is obtained under low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ocess conditions. Through experiments we optimized the materials and dimensions of the layers so as to generate a sufficient Joule heat energy without spark. The multilayered line pattern consisted of the heating layer(Mo, ITO), insulating layer(SiO2, (Pb,Si,B)-O) and sacrificial layer(Cu). Above this pattern, a mixture of Sn58Bi and epoxy was screen printed. Electrical voltage was applied to the line pattern so as to melt the Sn58Bi alloy to be separated from the epoxy. Continuous and instantaneous discharge were compared to generate the temperature which is sufficient to melt the Sn58Bi alloy.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 of the instantaneous discharge, ITO/(Pb,Si,B)-O/Cu auxiliary line pattern generated 187 ℃ o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line pattern in 7 seconds. Moreover, although the line pattern endured 187 ℃, 2 mm distant point endured only 49 ℃ owing to the short time duration at peak temperature. In this condition, Sn58Bi and epoxy was well separated, which showed the good possibility for the OLED device not to be thermally damaged during the encapsulation process.

      • 英祖代 蕩平策에 관한 硏究

        박경민 인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英祖 시대에 혼란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실행된 蕩平策에 관하여 蕩平策의 成立過程과 蕩平政局의 推移, 그리고 政治史的 意味를 살펴보면서 당시의 탕평책이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英祖는 수 차례의 換局과 戊申亂을 겪으면서 자신의 王權强化를 위해서는 朋黨간의 다툼을 해소하고 자신을 지지하는 새로운 세력을 형성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 이에 英祖는 肅宗代부터 등장하여 朋黨打破를 주장했던 蕩平論을 기반으로 하여 蕩平策을 시행하게 되었다. 蕩平策에 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존재한다. 朴 世趙采文, 趙文命등을 비롯한 蕩平論자들은 君主權의 확립을 강조했고, 緩論政派를 바탕으로 雙擧互對의 방식을 써서 당파간의 調劑保合을 시도하는 調劑蕩平論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에 반대하는 反蕩平論者들은 唯一君子黨을 분별한 후 蕩平을 추진한다는 朱子朋黨論에 입각한 기본입장을 가지고 시비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英祖의 蕩平策은 이 두 가지 입장 중에서 前者의 견해를 받아들여서 정국을 운영하였다. 英祖代의 蕩平政局은 정국을 급변시킨 사건에 따라 다섯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는 英祖 즉위 이후 己酉大處分까지로 이 시기에 英祖는 蕩平을 표방하기는 했으나 실제로는 앞의 肅宗代와 같은 一黨 專制的 換局政治의 형태를 취했던 시기였다. 그러다가 무신란을 계기로 기존의 정치 운영방식의 한계를 절감하고 蕩平策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시기이다. 제2기는 己酉大處分에서 庚申處分까지로 南人과 峻論계를 배제하고 老·少론의 緩論을 중심으로 蕩平 派를 강화시킨 시기이다. 제3기는 庚申處分이후 乙亥獄事까지로 蕩平을 제도적으로 보완하여 蕩平派 정권이 안정되어서 英祖 득의의 蕩平이 시행된 시기이다. 제4기는 乙亥獄事에 서 壬午禍變까지의 시기로 緩論 및 老·少論 외척당 계열이 정국을 주도하였고 이 두 세력간의 갈등속에서 思悼世子의 죽음이 초래된 시기이다. 제5기는 壬午禍變에서부터 正祖의 代理聽政시기까지이며 국왕과 인척관계에 있는 蕩平黨이 정국을 움직이고 이들과 대항하는 老·少論 정파가 淸流를 표방하면서 결집되어 다음 正祖대의 정국을 주도하는 세력으로 성장하게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英祖대의 蕩平策 시행의 정치사적 의미에 관한 평가에 있어서 두 가 지의 시각이 존재하고 있다. 朴光用은 이 당시의 蕩平策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면서 蕩平策이 곧 大同의 原理로 가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치적 통합과 사회적 大同을 이루고 나아가 근대적인 庶民의 시대로 나아가는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李載浩는 蕩平策에 대하여 보다 부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면서 蕩平策에 참가한 집단이 제한적이었고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英祖대의 蕩平策은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가진 정책이었지만 英祖대 초반의 혼란한 상황을 극복하고 왕권을 강화하였으며 당파를 調劑 保合하는 방식으로 고른 인재등용을 가져와 새로운 정치흐름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This treatise examines specific meaning of then "Tang-pyeong" policy "examining "Tang-pyeong" policy's organization process and "Tang-pyeong" jeongguk's change, and politics historical spot meaning about "Tang-pyeong" policy executed to overcome confused situation in King Yeongjo period. King Yeongjo felt necessity that must solved quarrel between faction for own sovereign power reinforcement and form new influence that support own undergoing number Hwanguk and Musinnan. Hereupon King Yeongjo did and enforce "Tang-pyeong" policy based on "Tang-pyeong" theory that insisted Bung-dangtapa appearing from Sukjongdae. Two sights exist about "Tang-pyeong" policy. "Tang-pyeong" theorist emphasized establishment of seigniory including Park Se-chae, Jo Mun-myeong, and insisted "Joje Tang-pyeong" theory that try Jojebohap between party because practicing "Ssanggeohodae's" way with Wannonjeongpa. And "Anti Tang-pyeong" theorist that oppose hereupon insisted that must clarify dispute with basis situation that is based to Jujabungdangnon that propel "Tang-pyeong" after divide Yuilgunjadang. "Tang-pyeong" policy of construction receives electron's opinion among these two situations and operated political situation. "Tang-pyeong" jeongguk of King Yeongjo can divide by five times according to the event that change rapidly political situation. The first flag prepared soup calm soup doing political situation operation of advance and retreat to Giyudaecheobun since King Yeongjo enthronement, and Musinnan time that propel actively "Tang-pyeong" by meter be. The second mournings are time that exclude Namin and Junnongye from Giyudaecheobun to Gyeongsincheobun and do so that solidify "Tang-pyeong" party laying stress on Wannon of No·Sonon. The third mournings are time that " Tang-pyeong" party government stabilizes because supplementing "Tang-pyeong" systematically to Eulhaeoksa after Gyeongsincheobuni and "Tang-pyeong" of King Yeongjo pride is enforced. Order per Wannon and No·Sonon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of the fourth flags led political situation and is time that Sadoseja's death is caused in discord between this two influences by time from Eulhaeoksa to Imohwabyeon. The fifth flags that is concentrated as Daeicheongjeongsigikkajii and No·Sonon Jeongpa that "Tang-pyeong" dang in king and relative by marriage relation moves political situation and opposes with these of unhulled rice professes pleasant outing from Imohwabyeon time that is grown by influence that lead political situation of chastity belt be. Two sight in estimation about politics historical spot meaning of "Tang-pyeong" policy enforcement of this King Yeongjo exists. Is evaluating that Park Gwang-yong presented direction that go forward by modernistic people's age because accomplish and advance political unification and social accompaniment as important urea that "Tang-pyeong" policy goes soon to principle of accompaniment seeing these then "Tang-pyeong" policys positively. Yi jae-ho is evaluating that group which attend to "Tang-pyeong" policy doing to emboss more contradictory side about "Tang-pyeong" policy did not bring limited and fundamental change than this. "Tang-pyeong" policy of King Yeongjo was policy that have limit of some measure but overcomes confused situation of Yeong-jo dae opening part and solidified sovereign power, party coarse manufacturing steadiness do bringing uniform selection of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 by way to understand new politics stream form in terms of high evaluate can.

      • 구어 말뭉치 분석을 통한 encore와 toujours의 의미기능 연구

        박경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프랑스어 부사 encore와 toujours의 의미기능을 구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연구로, 특히 구어 담화에서 두 부사의 의미기능을 결정짓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는 두 부사를 다루기에 앞서, 2장에서는 프랑스어에서의 시간, 상 그리고 양태의 기본 개념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를 통해 프랑스어에서 세 가지 개념은 서로 긴밀하게 얽힌 방식으로 사용됨을 살펴볼 수 있다. 3장에서는 encore와 toujours의 의미기능에 대해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검토할 것이다. 특히 C. Fuchs(1988)와 C. Muller(1999)의 연구를 바탕으로 두 부사의 문법적, 화용적 가치에 대한 통합된 설명을 살펴본다. 이보다 더 나아가 M.-B. Hansen(2002, 2004), É. Buchi(2007, 2008)의 연구를 통해 encore는 지속적, 반복적, 양화 용법 등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고, toujours 또한 지속적, 반복적, 시간적 용법 등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구어 말뭉치에 대해 소개한다. 본 연구는 TCOF 구어 말뭉치에서 성인들 간의 대화 가운데 프랑스어가 모국어인 화자가 2인 이상 참여한 일상 대화, 토론, 회의 담화의 전사문 50개를 선별한 후 재처리하여 TCOF-Y 구어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대화 참여자 수 총 141명, 단어 수 총 141,649개, 약 10시간 분량의 TCOF-Y 구어 말뭉치에서 encore와 toujours는 각각 139회, 123회 출현한다. 분석 결과,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두 부사의 몇몇 용법들은 구어 말뭉치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141명의 많은 화자가 참여한 말뭉치를 분석한 결과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것은 구어 말뭉치에서 발견되지 않는 encore의 양보 용법이나 toujours의 일반적 용법, 주제 용법, 양보 용법, toujours est-il que 용법이 사용된 언술은 다소 문어적인 표현일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데 유효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4.2장에서는 구어 말뭉치에서 등장하지 않는 용법을 제외하여 구어 말뭉치 분석을 위한 두 부사의 새로운 용법 분류를 제안한다. 상적 용법과 양태적 용법을 기준으로, encore에 대해서는 지속적, 반복적, 양화, 추가, 비교 용법으로 분류하고, toujours에 대해서는 지속적, 반복적, 항구적, 척도, 단정적 용법으로 분류한다. 제안된 용법 분류를 바탕으로 한 구어 말뭉치 분석을 통해, 구어 담화에서 두 부사의 의미기능이 시제나 상적 범주, 점상 술어나 지속상 술어, 상황소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됨을 밝힌다. 이와 더불어, encore와 toujours의 용법 가운데 구어 담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법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Ce mémoire a pour objectif tout d’abord d’analyser la fonction sémantique de encore et toujours par l'analyse d’un corpus oral, plus particulièrement de révéler quels facteurs déterminent les fonctions sémantiques des deux adverbes dans les discours parlés. Dans un deuxième temps, avant d'aborder les deux adverbes qui peuvent avoir un sens temporel, aspectuel et modal, nous avons introduit brièvement les concepts de base de temporalité, d’aspect et de modalité en français contemporain. Grâce à cela, il a été possible de voir que les trois concepts sont utilisés de manière étroitement liée en français. Nous avons traité ensuite des fonctions sémantiques de encore et toujours, qui ont été révélées jusqu'à présent par des études précédentes. En particulier, sur la base des travaux de C. Fuchs (1988) et C. Muller (1999), une explication intégrée des valeurs grammaticales et pragmatiques de ces adverbes a été revue. De plus, les travaux de M.-B. Hansen (2002, 2004) et É. Buchi (2007, 2008) ont montré que encore peut avoir des valeurs telles que l'emploi continuatif, itératif et concessif etc, et que toujours peut également avoir des différentes valeurs telles que l'emploi persistant, itératif et permanent etc. Dans la quatrième partie, nous avons présenté un corpus oral TCOF-Y, qui fait l'objet d'une analyse dans cette étude. Le corpus oral TCOF est un corpus construit dans le cadre du projet TCOF, un projet de construction de corpus oral mené par le CNRTL. Dans cette étude, le corpus a été construit en sélectionnant 50 transcriptions de conversations quotidiennes, de discussions et de discours de réunion dans lesquels deux ou plusieurs locuteurs natifs français ont participé à des conversations entre adultes. Ainsi, un total de 141 locuteurs, 141,649 mots au total et environ 10 heures de corpus de discours oral TCOF-Y ont été analysés. Dans ce corpus, encore et toujours apparaissent respectivement 139 et 123 fois. En conclusion, nous avons vu que, certains emplois des deux adverbes suggérés dans les études précédentes n'ont pu être retrouvés dans le corpus oral. Étant donné qu'il est le résultat de l'analyse des conversations auxquelles de nombreux 141 locuteurs ont participé, il serait raisonnable de considérer que les énoncé utilisant l'emploi de concessif de encore, ou l’emploi générique, thématique, concessif de toujours, et toujours est-il que sont plutôt des expressions écrites. Ainsi, une nouvelle classification d'emplois de deux adverbes pour l'analyse de corpus oral a été proposée. L’adverbe encore a été classé en emploi continuatif, itératif, quantifiant, additif et comparatif basé sur les emplois aspectuels et modaux. L’adverbe toujours a été classé en emploi continuatif, itératif, permanent, scalaire et assertif basé sur les emplois aspectuels et modaux. À la suite de l'analyse du corpus oral basé sur la classification d'emplois proposées, il a été possible de découvrir que la fonction sémantique des deux adverbes dans la langue parlée est déterminée par divers facteurs tels que les temps ou les catégories d’aspect, les prédicats ponctuels ou les prédicats duratifs et les circonstanciels. De plus, parmi les emplois de encore et toujours, nous avons vu quels emplois sont fréquemment utilisés dans le discours oral.

      • 또래간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의 어려움 및 도움 요인에 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비교

        박경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Internet has transformed the way of our life innovatively, it has also served a space for cyberbullying, a serious form of misbehavior. Recently mobile and online technologies have brought enormous opportunities for pleasure and communication, knowledge seeking. But they also bring a lot of risks, including cyberbullying. Cyberbullying is occuring at widespread rates among youth, with some investigation showing nearly 27.7% of adolescents experiencing this form of aggression at least once in the last three months. The victimizing of cyberbullying has been linked with a host of negative outcomes for both individuals and schools, including anxiety, depression, suicide, decreased performance in school, absenteeism and truancy, etc. Henc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mpirical research on the concrete factors of difficulties and helping factors of cyberbullying victims. Th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about cyberbullying is important to provide data for th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yberbullying victim’s pereptions,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bullying matters, and to compare th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how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difficulties and helping factors of cyberbullying victim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ir perspective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The total participants were 60, comprising of 20 students, 20 school counselors, 20 teachers. Only those students who have been victimized by cyberbullying in last two years and those teachers who have served in school bullying management for at least three years have been qualified for the sample. In the first stage, the focus question was developed and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tudy interviews. After, total of 30 participants comprising of 10 students, 11 school counselors, 9 teachers were interviewed one by one about difficulties and helping factors of cyberbullying victims. As a result 385 statements about difficulties factors and 369 statements about helping factors were initially produced. In the second stage, research team including 3 experts reviewed and edited stateme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Finally, 39 statements of difficulties factors and 36 statements of helping factors were identified. In the last stage, all the participants sorted statements into piles based on similarities of meaning and rated importance by 5-point likert scale. With these piles, similarity matrix of individual participants was formed, which was transformed to goup similarity matrix. Then multi-diment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duce concept mapping. The result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bout difficulties factors revealed two dimensions,‘cyber environment vs impact’and‘action vs psychological harm’. As a result of hierarchical cluter analysis, 7 clusters were brought: ‘cyber-specific characteristics’,‘communication problem ’,‘adverse effect of active coping’,‘impulsive· passive coping’,‘negative emotion & evasion of relationship’,‘ interpersonal anxiety & oversensitivity’,‘covertness & provo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ce between groups are as follows. First, each group divided difficulties factors of cyberbullying victims into ‘cyber environment vs impact’ in one dimensions, but in the other dimensions, students perceived ‘action vs media·method’while teachers and counselors divided ‘action vs psychological harm’. Second, school counselors and teachers pereived wide range of factors including ‘relatedness to offline bullying’,‘various ways of bullying’as cyber-specific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students perceived those factors as ‘cybermedia traits associated to offline relationship’. Third, students and school counselors perceived that ‘negative emotion & evasion of relationship’is highly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 oversensitivity’. On the other hand, teachers perceived that ’interpersonal anxiety & oversensitivity’is highly related to ’covertness & provocation’. Among 7 cluters, ‘negative emotion & evasion of relationship’and ‘interpersonal anxiety & oversensitivity’,‘covertness & provocation’are considered the relatively more important difficulties factors for all groups. Whereas ‘communication problems’,‘adverse effects of active coping’are the least important factors. The result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bout helping factors revealed two dimensions,‘parent-school vs individual’and‘direct-behavioral vs indirect interpersonal’. As a result of hierarchical cluter analysis, 6 clusters were brought: ‘rational & technical coping’,‘communication between bully & victim’,‘school’s active & lasting intervention’,‘parental sympathy & monitoring’,‘peer support & couseling’,‘positive thinking & behavior’.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ce between groups are as follows. First, each group divided helping factors of cyberbullying victims into‘direct-behavioral vs indirect interpersonal’in one dimensions, but in the other dimensions, school couselors perceived ‘school vs individual ’while students and teachers divided ‘parent-school vs individual’. Second,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that ’rational & technical coping’is highly related to ’positive thinking & behavior’in individual coping dimension, while counselors perceived that ’rational & technical coping’is highly related to ’communication between bully & victim’. Third,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communicaion between bully & victim‘ and ‘school/parents monitoring, prevention, intervention‘ as mian helping factors of school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counselor perceived ‘school‘s active intervention‘ as primarily focused helping factor. Fourth, students and teachers included peer and counselors as main agents of support and couseling, but counselors also included parents as helping agents. Among 7 cluters, ‘communication between bully & victim’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helping factors for all groups. Whereas ‘rational & technical coping’is the least important one. When comparing each group’s rating result,‘positive thinking & behavior’, ‘peer support & counseling’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helping factors for students and school counselors. On the other hand,‘peer support & counseling’is considered the least important one for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empirical exploration of difficulties and helping factors of school related cyberbullying matt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intervention, counseling approach and school prevention programs of cyberbullying. 인터넷 세상은 우리의 생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괴롭힘과 같은 부정적인 현상이 발생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최근의 스마트폰과 여러 기술의 발전은 오락과 의사소통, 지식 탐색에 대한 기회의 장을 제공하면서도 사이버 괴롭힘을 비롯한 여러 위험 요소 또한 급증하게 만들었다.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 사이버 괴롭힘 피해가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불안, 우울, 자살과 같은 심리적 문제뿐 아니라 여러 가지 학교 부적응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사이버 괴롭힘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들이 겪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이 학교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괴롭힘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피해 학생과 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사이버 괴롭힘 문제에 대한 개입과 예방의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간 사이버 괴롭힘의 피해 학생과 학교에서 발생한 괴롭힘 사안의 조사와 개입, 상담의 주체인 전문상담교사, 사안담당교사가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가 경험하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세 집단의 인식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내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전체 연구 참여자는 60명으로, 세 집단 모두 각각 20명씩 참여하였다. 피해 학생 면접은 지난 2년 사이에 사이버 괴롭힘 피해를 경험한 학생들 중에 선정하였으며 사안담당교사와 전문상담교사 집단은 학교폭력 사안 업무나 학교 상담 업무에 3년 이상 재직자에 한해 면접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예비연구를 실시한 결과에 토대하여 초점 질문을 개발하였다. 이후 학생 11명, 전문상담교사 11명, 사안담당교사 9명을 대상으로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의 어려움 및 도움 요인에 대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려움 요인에 대한 385개의 진술문과 도움 요인에 대한 369개의 진술문이 추출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자를 포함한 학교상담 전문가 3인의 연구팀이 수집된 진술문을 검토하고 편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어려움 요인 39 진술문과 도움 요인 36개의 진술문이 확정되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전체 연구 참여자들이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의 최종 진술문들을 유사성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중요도에 따라 평정하였다. 분류 자료를 개별 유사성 행렬표로 코딩한 후 다시 집단 유사성 행렬표로 합산하여 다차원 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집단이 지각한 어려움 요인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이버환경-영향’차원과 ‘행동-심리적 폐해’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군집분석 결과‘사이버공간의 특수성’,‘비대면 소통의 문제’,‘능동적 대응의 역효과’,‘충동적· 소극적 대처’,‘부정 정서와 관계 기피’,‘대인 불안과 과민성’,‘은밀함과 자극성’으로 총 7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학생, 전문상담교사, 사안담당교사 세 집단은 전체집단과 마찬가지로 군집들이‘사이버환경-영향’차원으로 구분지어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 차원에서 학생 집단은 ‘행동-매체· 방법’차원으로 구분한 반면 두 교사 집단은 행동-심리적 폐해’차원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피해를 경험한 사이버 공간이나 매체, 방법상의 특징에 초점을 둔 반면 교사들은 피해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부적응적인 심리 양상에 초점을 두고 그에 대한 대응과 개입의 초점을 대비시키는 차이를 보였다. 첫째, 학생들은 괴롭힘의 표현 양상, 다양한 매체의 사용, 동조성, 오프라인 연계성 등을 ‘오프라인과 연계된 사이버 매체 특성’이라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분류한 반면 두 교사 집단은 이들을 사이버 공간의 특수성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사이버 공간의 특수성에서 비롯되는 어려움 요인과 비대면 소통의 문제를 사이버 환경 차원과 행동 차원의 어려움으로 인식한 반면 두 교사 집단은 이들 군집을 ‘영향’차원과‘행동’차원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과 전문상담교사는‘대인 불안과 과민성’요인을 영향 차원에서 ‘부정 정서와 관계기피’요인과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지각하였으나 사안담당교사는 ‘대인 불안과 과민성’요인을 ‘은밀함과 자극성’요인과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어려움 요인에 대한 세 집단의 군집별 중요도 평정 결과를 비교해보면 세 집단 모두 ‘부정 정서와 관계 기피’를 가장 중요한 군집으로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대인 불안과 과민성’,‘은밀함과 자극성’군집이었다. 세 집단 모두 ‘비대면 소통의 문제’,‘능동적 대응의 역효과’군집을 가장 낮게 평정하였다. 학생과 전문상담교사는 ‘은밀함과 자극성’의 중요도를 높이 평정하였으나 사안담당교사는 ‘충동적· 기술적 대처’의 중요도를 높이 평정하였다. 전체 집단이 지각한 도움 요인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 · 학교-개인’차원과 ‘직접적· 행동적-간접적· 관계적’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이성적· 기술적 대처’‘가 · 피해자간 이해와 소통’,‘학교의 적극적 · 지속적 개입’,‘부모의 공감과 감독’,‘또래 지지와 전문상담’,‘긍정적 사고 · 행동전략’로 총 6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학생, 전문상담교사, 사안담당교사 세 집단은 전체 집단과 마찬가지로 군집 분포가‘직접적· 행동적-간접적· 관계적’차원에서 구분되고 있었다. 그러나 도움의 주체를 나타내는 다른 한 차원에서는 학생과 사안담당교사가 ‘‘부모· 학교-개인’차원으로, 전문상담교사는 ‘학교-개인’차원으로 구분하고 부모 요인이 그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다. 개념도 상에서 나타나는 집단 간 인식 차이의 특징은 첫째, 학생과 사안담당교사는 학교와 부모를 개입과 감독의 주체로 함께 유목화하였으나 전문상담교사는 부모 요인을 학교와 분리시키고 그 역할을 직접적 도움(감독과 개입)과 간접적 도움(지지적 도움)으로 분리하여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개인 차원의 도움 요인으로써 학생과 사안담당교사는‘이성적 · 기술적 대처’와 ‘긍정적 사고· 행동전략’을, 전문상담교사는‘이성적· 기술적 대처’와 ‘가 · 피해자간 이해와 소통’을 서로 관련성이 높은 군집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학교와 부모의 직접적· 행동적 도움 요인으로 학생들은‘가․ 피해자간 이해와 소통’과 ‘학교/부모의 감독과 예방’을, 사안담당교사들은‘가· 피해자간 이해와 소통’과 ‘학교/부모의 적극적 · 지속적 개입과 예방’을, 그리고‘전문상담교사는‘학교의 적극적 개입’을 우선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과 사안담당교사는 지지와 상담의 주체로 또래와 전문상담교사를 포함시켰으나 전문상담교사는 부모를 함께 포함시켰다. 도움 요인에 대한 세 집단의 군집별 중요도 평정 결과를 비교해보면 세 집단 모두‘가· 피해자간 이해와 소통’군집을 가장 중요하게 평정하였으며 가장 낮은 중요도 평정을 보인 군집은 ‘이성적· 기술적 대처’군집이었다. 학생은‘긍정적 사고· 행동전략’군집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정하였고 학생과 전문상담교사는 공통적으로 ‘또래 지지와 전문 상담’군집을 중요하게 평정하였다. 한편 사안담당교사는 ‘학교의 적극적· 지속적 개입’,‘부모의 공감과 감독’군집을 중요하게 평정하였으나 ‘또래 지지와 전문 상담’,‘긍정적 사고· 행동전략’군집을 낮게 평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을 바탕으로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의 관점뿐만 아니라 사안의 조사와 개입, 그리고 상담을 통한 피해자의 회복을 돕는 사안담당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관점을 비교함으로써 피해자가 경험하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을 구체적으로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학교의 개입과 중재, 상담적 접근, 그리고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濟州島 無文土器文化의 流入과 展開

        박경민 嶺南大學校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濟州島 無文土器文化의 流入과 展開 朴 京 敏 嶺南大學校 大學院 文化人類學科 考古學專攻 (指導敎授 李 淸 圭) 요 약 제주도는 한반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독립된 섬이지만 선사시대부터 한반도와 유사한 문화의 속성을 공유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인 청동기시대도 같은 문화의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해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이동수단과 화산섬이라는 독특한 자연환경은 같은 문화의 분포권이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의 상이성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와 한반도의 문화는 상사성과 상이성이 공존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주도의 무문토기문화는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양상이 뚜렷하지 않은 편이였다. 하지만 최근 삼화지구를 비롯한 삼양동 일대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고산리에서 송국리문화가 확인되면서 제주도의 무문토기문화가 어느 정도 드러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활발한 발굴조사가 진행되면서 남한지방의 무문토기문화가 좀 더 명확해지고 있어 제주도의 무문토기문화를 재검토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제주도의 무문토기문화를 재검토하고자 한다. 검토 가능한 자료로는 크게 유물과 주거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물은 다시 토기류와 석기류로 구분가능하다. 하지만 석기는 출토양상이 토기에 비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보조자료로만 활용하도록 하겠다. 토기는 발형토기ㆍ호형토기ㆍ마연토기로 구분하여 분석하며 외반구연토기는 호형토기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발형토기는 크게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가능하며 각 형식간에는 시기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형토기류는 호형토기가 비교적 빠른 시기에 등장하였다가 사라지는데 송국리계외반구연토기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인다. 호형토기도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되며 Ⅰ식에서 Ⅱ식과 Ⅲ식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보인다. 토기시문되는 문양은 주로 발형토기에서 확인되는데 여러 가지 문양요소가 복합되다가 문양요소가 단순화되고 마지막에는 문양요소가 모두 사라지는 모습을 보인다. 주거지는 (장)방형주거지가와 원형주거지가 확인되고 있다. (장)방형주거지는 매우 소형이며 내부시설이 확인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원형주거지는 송국리식주거지로 내부 중앙에 타원형수혈이 설치된다. (장)방형주거지가 점차 원형주거지로 대체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제주도에서 확인되는 유적들은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고 있는데 해안 저지대에 용천수가 밀집되고 양질의 토양이 분포하기 때문일 것이다. 무문토기가 확인되는 유적은 모두 13곳인데 이 중 비교적 유물출토양상이 뚜렷한 대표적인 유적은 상모리유적, 삼화지구유적, 고산리유적 등이 있다. 상모리유적은 복합문토기문화가 발달되어 있고, 삼화지구유적은 소형의 (장)방형주거지와 단순문토기를 중심으로한 토기문화가 형성되었다. 고산리유적은 원형의 송국리식주거지만 확인되는데 토기의 문양요소가 사라지고 외반구연토기가 성행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유적간의 유물출토양상을 토대로 제주도의 무문토기문화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Ⅰ기는 상모리유적을 중심으로 한 복합문토기문화 단계로 복합문토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토기문양요소가 확인되며 호형토기가 공반된다. Ⅰ식의 마연토기와 다양한 석기류가 확인되는데 합인석부가 많이 확인되는 특징을 보인다. Ⅱ기는 삼화지구유적을 중심으로한 단순문토기문화 단계로 호형토기가 감소하고 외반구연토기가 등장한다. Ⅱ식과 Ⅲ식의 마연토기가 확인되며 합인석부가 줄어들고 편인석부류가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소형의 (장)방형주거지가 성행하며 원형주거지의 등장도 Ⅱ기에 이뤄졌다고 보인다. Ⅲ기에는 토기의 문양요소가 거의 사라지고 무문양의 토기가 주로 확인된다. 호형토기는 거의 보이지 않고 외반구연토기가 성행했단 것으로 보인다. 편인석부류가 주로 확인되며 일단경식석촉이 보인다. (장)방형주거지는 사라지고 원형의 송국리식주거지만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세 단계로 구분되는 제주도의 무문토기문화는 각 시기마다 남한지방으로부터 많은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정지역으로 부터의 영향을 논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현재까지 축적된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추정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우선 Ⅰ기에서 확인되는 복합문토기문화는 남부지방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확인되고 있지만 그나마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봤을 때 남강유역의 복합문토기가 제주도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인다. Ⅱ기에서 확인되는 주거지의 소형화와 토기문양의 단순화는 전국적으로 확인되는 현상으로 특정지역으로부터 유입되었다기 보다는 전국적인 흐름에서 제주도도 자체적인 변화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마연토기와 이단병식석검을 통해 봤을 때 전혀 교류가 없지는 않았겠지만 상모리유적 중심의 무문토기문화가 제주도의 각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문양이 단순화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Ⅲ기에서 확인되는 송국리문화는 주거지 형태의 유사성과 근접성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영산강유역의 송국리문화와의 관련성이 가장 크다고 생각된다. 물론 만경강유역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송국리식주거지가 주류를 보이고 있지만 만경강유역에서 제주도로 직접 유입되었다고 보기에는 다소 거리가 있어 영산강유역의 영향으로 보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제주도의 문화는 크게 세 번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각 변화에 따라 다른 지역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M.A. Thesis A Study on Mumun Pottery Culture in Jeju Island Gyeong-Min Park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eong-Gyu Lee) Abstract Although Jeju Island is an independent island from Korean peninsula with a certain distance, they share the similar cultural characteristics since the prehistoric time. During the Bronze age, the subject of this thesis, as well the same cultural distribution was established. However, a level of discrepancy also existed due to the sole transportation measure through sea route and the unique environment of volcanic island. In summary, Jeju Island and Korean peninsula shared the similarity and discrepancy in their culture. The culture of Jeju Island mumun pottery is to date relatively uncertain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s. However, the recent findings such as the Bronze age village in Samyangdong including Samhwa area and Songgukli culture in Gosanli started to shed new light on the mumun pottery of Jeju Island. The study on South Korean mumun pottery has been flourishing with active excavation since 2000 and become a foundation for revaluating the culture of mumun pottery in Jeju Island.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take a new look to the mumun pottery of Jeju Island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ed data. The considerable data consists of living sites and artifacts composed of pottery and stoneware. But stoneware is used only for supporting data as it shows indistinctive presence. pottery is classified as Balhyung, Hohyung and Mayun pottery and flared Guyun pottery is reviewed with Hohyung pottery. Balbyung pottery has three types of different period. Hohyung pottery appeared during the early stage and was replaced by flared Gugyun pottery of Songgukli. It also has three types; type II and III came after type I. The patterns confirmed on Balhyung pottery exhibit integrated pattern elements which are gradually simplified and eventually disappear. The living sites consists of rectangular and circular sites. Rectangular sites are very small and show no sign of facilities. Circular sites is Songgukli type site which has an oval pit in the middle of interior. The rectangular sites appear to replaced by the circular ones. The sites confirmed in Jeju Island a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 line due to the clear water coming up on the lowland of coast and fertile soil. Among the 13 sites with mumun pottery, a few show relatively clear display including Sangmori site, Samhwa area and Gosanli site. Sangmori site shows mixed pattern culture while small rectangular sites with simple pattern pottery are found in Samhwa area. Gosnali sites only show the circular sites of Songgukli type and the pottery of the site shows no pattern and consists of flared Guyun pottery. The mumun pottery of Jeju Isl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in terms of artifacts found in the sites. Phase I is the period of mixed pattern pottery concentrated on Sangmori site. Various pattern elements are found in the mixed pattern pottery and Hohyung pottery is also found. Mayun pottery of type I and a variety of stoneware with a large number of Hapin axes are found. Phase II is the period of simple pattern pottery concentrated on Samhwa area and shows less Hohyung pottery and newly appearing flared Guyun pottery. Mayun pottery of types II and III are found and Pyunin axes have replaced Hapin axes. The small rectangular sites are prevalent and the circular ones also appear in phase II. Phase III mainly shows the pottery with no pattern. Hohyung pottery is rarely found and flared Guyun pottery seems prevalent. The majority of stoneware is Pyunin axe while Ildangyungsik spears are also found. The rectangular site has disappeared and the circular one of Songgukli type seems widely used. Jeju Island's mumun pottery culture that consists of three phases seem to have received substantial influence from South Korean region. Although a definite attribution of particular region is difficult, estim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to date. The mixed pattern pottery of phase I is found in almost all areas of South KOrean region, however, based on the various circumstances the one of Namgang seems the most probable to reach Jeju Island. The small sites and simple pattern of pottery are found all around the country. Jeju Island may also have had its own shift as opposed to the influence from other region. Although Mayun pottery and Idanbyungsik sword confirm the exchange the pattern was simplified as the mumun pottery culture of Sangmori site was spread to the other areas of Jeju Island. The sites of Songgukli culture of phase III shows the most relevance with Songgukli culture of Youngsan river area based on their similarity and approximation. Although similar sites of Songgukli tyle are also prevalent in Mankyung river area, it is more distant to cast a significant influence on Jeju Island. Therefore, it is more likely to consider it as the influence of Youngsan river area. In summary, the culture in Jeju Island seems to have three shifts and each had influence from other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