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福祉NGO 發展을 위한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박경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야흐로 접근(access)과 네트워크(network)가 21세기를 대표하는 키 워드가 되었다. 즉, 동시성과 초공간영역을 지배하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그 동안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독점적인 정보나 지식, 기술 등이 이제 누구나가 접근(access)이 가능한 사회로 전환 되었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모든 부문에서 권력이동(power shift)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치의 개념으로 사용된 government가 governance(協治, 公治)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뀌었다. 물론 이러한 변화가 일방적인 추세로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일부에서 역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보이고는 있지만 대세인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복지분야에서는 “복지국가의 책무를 이제 국가만이 떠맡지 않고 민간부문에 위임시킬 때만이 훌륭한 governance가 된다”는 새로운 이론이 정립되고 있는 실정으로 복지와 관련된 NGO의 활동과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NGO(시민단체)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치, 사회, 문화 등 우리의 모든 생활영역에서 NGO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NGO는 1980년대 후반 냉전종식과 함께 그동안 정부가 주도해 오던 국제질서가 다변화 되면서 정부와 민간기업의 틈새에 제 3의 영역으로 국제 사회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고 이들은 정부조직에 비해 실수요자에게 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차원의 참여를 촉진하고 사회적 혁신을 기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더군다나 NGO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신장하는데 있어 정부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는 인식이 팽배됨으로써 사회적 영향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7년 6.29 선언으로 NGO운동이 본격적으로 발전 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되어 지난 10여간에 걸쳐 세계 어느 곳에서도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괄목할 만한 급성장을 이룩했고 사회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시민의 신문」이 발간한 「한국시민단체 총람 2003」에 의하면 국내 민간단체는 각종학회와 해외 단체 및 지부를 포함하여 98년 9,468개에서 99년 약 20,000개로 2002년말 기준 25,000여개 단체로 집계되고 있으며 회원수 또한 약 150만명으로 육박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활동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상의 세계시민운동단체와 비정부기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국제적 ‘사이버 시민운동단체’들의 활동과 정보공개 청구권 행사에 주력하는 등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NGO는 자발성을 바탕으로 하는 긴 역사를 가진 선진국과는 달리 짧은 기간에 급속한 팽창을 한 관계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그 역사와 사회적 여건에서 오는 필연적인 문제점을 자기 혁신적 차원에서 극복하고 개선 발전시키는 방안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복지NGO의 활동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또한 쟁점화 되고 있는 NGO의 시민사회로부터의 신뢰성 문제와, 연대활동에서 오는 NGO간 협력관계 그리고 정부와의 관계성을 자기진단적 차원에서 논의하고 문제점을 도출,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복지NGO의 활동에 있어서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NGO활동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세부적으로 구체화한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NGO활동의 문제점으로 나타난 것은 ① 백화점식 운동방식으로 인한 질적 성숙이 미흡하고 ② 소수의 엘리트에 의해 활동이 주도됨으로써 다수의 풀뿌리 시민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소위 ‘시민없는 시민운동’에 안주하고 있고 ③ 이를 만회하기 위한 수단으로 언론홍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가운데 ④ 특히 시민운동을 정치권 입성의 관문으로 이용하거나 출세의 발판으로 삼는 일부 운동가들의 정치 지향으로 인한 내부적 조직역량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⑤ 각종 사업에 대한 투명성 부족으로 인한 시민사회로부터 신뢰성이 실추되어 있는데다 ⑥ 재정적 자립 기반의 취약과 ⑦ 정부의 인식 및 지원노력 부족으로 인한 상근 실무자들이 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어려운 실정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국내 복지 NGO가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 결과 ① NGO자체적인 명확한 목표와 비전하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조직의 전문화를 도모하는 한편 ② 사명감 있는 실무자를 확보, 조직의 민주성을 강화하는 한편 ③ 지역의 민심과 민의를 대변하는 활동 기반을 구축하고, 국내외적 NGO간 연대활동 강화에 주력해야 할 것이며 또한 ④ 자체적으로는 조직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확립하고 ⑤ 밖으로는 민주적 정치과정의 확립과 자율성을 제고시키는 일방 정부와의 협력 및 견제를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며 기타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 개정을 통한 정부차원의 간접지원방안 확대, 모금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도입 검토, 자원봉사지원법 조기 제정 및 활성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NGO는 지난 10여년간 사회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NGO가 비약적 발전을 할 수 있었던 현상에 대해 아직 이렇다 할 과학적 해석이 불충분한 상태이며 사회과학적 이론으로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이론이 갖는 객관적 보편성이 한국이라는 주관적 특수성에 제대로 접근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3섹터적 접근, 신사회운동적 접근, 조합주의적 접근, 정책적 연결망적 접근, 레짐이론적 접근 등을 발전시킨 이론의 부재와 국가론적 접근을 통한 시민사회와 NGO에 대한 분석연구의 부재에서 오는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로 우리나라 복지 NGO가 올바르게 자리하고 복지국가 건설의 시금석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관광목적지로서 도시관광이미지 구성요인 도출 및 측정척도 개발 : 도시관광상품개발에 주는 시사점

        박경렬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Cities have become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since they themselves would be great tourist attractions as well as gateways to nations. And urban tourism development used to revitalize cities as a new tool for a regional economy rebirth. Most researchers have explored the theme park, resorts, hotels and tourist destination for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image measurement. Also, previous studies was just related to tourism image and had no systematic approach to urban tourism image. Because they did not regard cities themselves as one tourist destination.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dentify urban tourism image components and develop more accurate measurement scale. Therefo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about urban tourism, tourism image, and urban image, this study finds out the urban tourism image components. Specifically, urban tourism image components is determined by cognitive image and affective image. Thus, this study identifies that cognitive image is consisted of 6 factors and 24 items; environmental factor, tourism attractive factor, economic factor, accessible factor, symbolic factor, structure factor, and affective image is also made up of 5 factors and 15 items; dynamic factor, traditional factor, unique factor, amenity factor, and visualization factor in urban tourism image. Delphi and pretest a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about urban tourism image components and measurement items. Moreover, measurement items of urban tourism image with using Cronbach's alpha in this study were used to verify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t-test were used to verify validit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field survey was implemented by random sampling. As a result of finding urban tourism image components, there are implications for urban tourism developing and urban tourism products. Like many studies about image has offered a useful information in a marketing research fields, urban tourism development and urban tourism product development will be systematic as result of finding the urban tourism image components. In conclusion, urban tourism is growing rapidly today. International tourism cities need to create effective and positive urban image to survive in a global competition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suggests the efficient strategies which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etitive cities throughout an accurate present diagnosis. 최근 전세계의 주요도시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 관광개발이 가지는 장점을 인식하고, 각 도시들이 보유한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관광도시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가 도시 혹은 지역이라고 부르는 환경은 그 나름대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과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은 장소간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미지는 도시관광에서 중요한 흡입요소로서 언급되고 있을 뿐, 일반화된 측정도구의 개발이나 기준이 불분명하다. 대부분 관광학분야의 이미지 연구는 주제공원, 리조트,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도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관광의 특성, 기본구조, 구성요소 등 도시관광개념을 파악하고, 도시관광이미지의 구성요인의 도출 및 측정 척도를 개발하여 도시관광상품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미지는 연구목적과 방법에 따라 각기 다양하게 정의되어져 통일된 견해를 찾기 어려우나, 대부분의 정의를 종합해보면 인간이나 사물들이 가지는 주관적인 평가, 대상 자체를 상징하는 관념이나 사물의 총체 등 다차원개념으로 나타난다. 기존 관광지 이미지 연구에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어떤 장소나 목적지에 대해 가지는 일련의 반응, 생각, 인상의 총체라는 것이다. 관광지 이미지는 대상의 속성에 대한 지식이나 신념의 합으로 정의되는 인지적 이미지(cognitive image)와 대상에 대한 각각 개인의 느낌, 감정 등의 정서적 이미지(affective image)로 구성되고 있다고 본다. 그 결과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서 총체적 이미지가 형성된다는데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결과를 검토해 보면 그 구성요인간에 공통된 합의는 거의 보기 힘들며 그 결과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관광이미지 구성요인 도출을 위해 관광지 개념이 도시관광보다 포괄적이므로 그 구성요인과 유사하거나 중복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국내외 이미지 관련 선행연구와 도시관광관련 문헌을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관광지 이미지는 인지적 이미지만을 이용한 연구가 많으며, 최근 정서적 이미지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연구되어지고 있다.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연구에서 인지적 이미지 구성요인은 관광매력 요인, 자연환경 요인, 경제소비 요인, 접근거리 요인, 문화적 요인, 상징적 요인 등이 사용되었다. 정서적 이미지는 역동성 요인, 전통성 요인, 독특성 요인, 쾌적성 요인, 시각성 요인 등이 사용되었다. 도시이미지는 대부분 도시구조물 요인, 상징적 요인, 문화적 요인, 공간환경적 요인, 도시기능적 요인 등 물리적 형태의 특성만을 구성요인으로 파악하고 있어 장소에 대한 느낌이나 감정에 대한 비물리적 특성에 의해서도 형성된다는데 소홀하였다. 도시관광이미지는 도시가 관광목적지로서 가지는 이미지와 장소로서 가지는 이미지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에 대해 각각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측정항목들을 개발하였다. 기존 연구를 고찰해 본 결과 도시관광이미지 크게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를 통해서 인지적 이미지는 6개 요인(환경적 요소, 관광매력적 요소, 경제적 요소, 접근거리적 요소, 상징적 요소, 구조적 요소)과 정서적 이미지 5개 요인(역동성, 전통성, 독특성, 쾌적성, 시각성) 등 총 11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인과 측정항목에 대해서는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조사와 예비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도시관광이미지 측정문항의 신뢰도는 크론바하 알파계수(Cronbach’s α)값을 이용하였으며, 타당도는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이론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도시관광이미지의 구성요인과 측정 척도는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로 구성되며, 인지적 이미지는 환경적 요인(4개 항목), 관광매력적 요인(11개 항목), 경제적 요인(2개 항목), 접근거리적 요인(3개 항목), 상징적 요인(3개 항목), 구조적 요인(2개 항목)의 6개 요인 24개 측정 항목을 개발하였다. 정서적 이미지는 역동성 요인(3개 항목), 전통성 요인(3개 항목), 독특성 요인(4개 항목), 쾌적성 요인(3개 항목), 시각성 요인(2개 항목)의 5개 요인 15개 측정 항목을 개발하였다. 도시관광상품개발에 있어 도시관광이미지는 관광도시로서의 상징성과 고유성의 부각, 복합․통합적 도시관광이미지 창출을 통한 차별성 강화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수전해를 위한 고성능 TiO₂@Copper-Nickel Selenide 코어-쉘 나노 구조체의 합성

        박경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Seeking a cost-effective and high-performance nonprecious electrocatalyst has been a critical challenge for effective water splitting so far. In this study, a facile approach was applied to design a porous amorphous-crystalline copper nickel selenide (Cu-Ni-Se) heterostructures shelling over 1D TiO2 nanorods with the fine-tuned morphology and electronic properties, which effectively accelerated kinetics of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The TiO2@Cu-Ni-Se supported carbon cloth substrate as a bifunctional catalyst required small overpotentials of 156.9 and 339 mV to achieve current response of 10 mA cm-2 for HER and OER in 1.0 M KOH medium, respectively. In addition, an electrolyzer by the CC@TiO2@Cu-Ni-Se catalyst for overall water splitting allowed a small cell voltage of 1.62 V at 10 mA cm-2 along with excellent long-term stability of at least 20 h. The interfacial engineering of amorphous-crystalline Cu-Ni-Se heterostructures along with the unique properties of 3D porous core@shell architecture were assumed to the dominant factors, which significantly modulated the electronic properties and exposed electroactive site/types, thereby leading to an extreme promotion for the catalytic performance. The achievements suggested a rational approach of simultaneous structure and shape engineering to design potential catalyst for producing green hydrogen gas via water spitting.

      • LabVIEW 기반의 NI시스템을 이용한 MCU시스템 검증 테스트

        박경렬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a system validation test method using NI system based on LabVIEW was proposed. It should contribute to the ability and quality to obtain the intended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by eliminating defects in advance and improving the fault detection rate. The core items such as IDD and POR were tested and the quality level of the general-purpose MCU products was verified. The samples to identify the vulnerabilities and issue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were analyzed.

      • 加外性 情報通路와 情報失敗 硏究 : 한국외환위기 사태와 김선일 피살사건 사례를 중심으로

        박경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정책결정과정의 정보체제상에 존재하는 가외성 정보통로(Intelligence channel redundancy)가 본래의 기능인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정보실패(intelligence failure)을 초래하는 이유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외성 정보통로가 정책결정과정에서 제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구비요건은 무엇이며,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결과, 가외성 정보통로가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주 정보통로(main intelligence channel)와는 별개로 정보판단을 비롯한 독립적인 정보체계력을 갖추고, 주 정보통로와 최고정책결정자의 잘못된 정보판단을 시정할 수 있는 정보의 영향력(대항력)을 기본요건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외성 정보통로의 정보활동상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➀ 문제사안에 대한 주 정보통로와의 인식의 상이성, ➁ 주 정보통로와의 독립성 정도, ➂ 최고정책결정자에대한 접근성과 신뢰도 등이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영향변수를 중심으로 연구의 분석틀을 설정하였고,m 이 분석틀에 입각하여 1997년 한국외환위기 사태와 2004년 이라크에서의 故김선일 피살사건을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다. 첫째, 정책결정과정에 제공되는 주 정보통로의 정보는 적시성, 신뢰성, 명확성을 갖추어야 하고, 이러한 요소상의 하자는 결국 가외성 정보통로가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주 정보통로의 정보품질을 저해하는 요인은 정보생산자의 정보수집과 판단에 대한 역량, 문지기의 특성, 집단사고, 편견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가외성 정보통로는 정보판단의 독립적인 정보체계력을 갖추고 주 정보통로와 최고정책결정자의 잘못된 판단을 시정할 수 있는 정보의 영향력(대항력)이 있어야 정보통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사안에 대한 전문지식의 보유와 최고정책결정자들에 대한 접근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가외성 정보통로와 주 정보통로의 정보판단에 대한 견해의 상이성이 높을수록, 또한 양자가 독립적일수록 정보실패의 확률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주 정보통로와 가외성 정보통로가 긴밀한 협조관계이거나 일방통제를 받을 경우, 가외성 정보통로의 독립적인 판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 정보통로의 잘못된 정보판단을 시정 할 수 없었다. 넷째, 최고정책결정자에 대한 접근성과 신뢰성이 높을수록 정보실패의 확률은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무리 정확하고 중요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사용하는 최고정책결정자에게 전달될 수 없다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팩 및 이론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최고정책결정자는 가외적 업무구조가 자동적으로 조직상에서 경쟁을 유발하거나 부서간의 견제와 균형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평적 가외구조의 최소 업무단위에서 경쟁적 업무형태가 구조적으로 유도되고, 정보통로 상호간의 정책신념이 최고정책결정자의 신념을 중심으로 상호대립적인 성향이 도리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인력을 배치하는 업무구조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최고정책결정자는 정책결정과정에서 정보실패를 억제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의 가외성 정보통로를 강화하는 동시에 주 정보통로의 정보 품질을 제고 할 수 있도록 정책환경을 고려하여 적재적소에 전문인력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내의 문지기의 특성과 집단사고를 차단하고, 다양한 통로의 접근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조직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최고정책결정자는 위기상황시 현장 실무진과 직접 핫라인을 개설하는 등 정보통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하고, 소수의 집단에게 정보가 독점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국내외 학자들에 의한 연구된 가외성이론은 현실적으로 그 유용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가외서 이론을 정보통로와 연계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정책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은 이 연구의 이론적 기여라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모형의 탐색 등의 노력이 더욱 확대 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reason why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which is designed to be the safeguard of information system in public policy making process, fails to as it intends. For this purpose, it reviews the literature for what are the conditions recessary to fuction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and what are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activities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reveals that, different from main intelligence channels, the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must have independent information system power in order to judge the informaion. And it also should have informaion dounteraction power which can correct the false judgement of the cheif policy maker and main intelligence channels. The main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ctivities of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are cognititive differences about the issue and the degree of independence with mai intelligence channels. Also are the accessability to and reliability from the chief policy maker. This study sets up the analytical framework with above variables and tries to analyze the cases of korean foreign currency crisis in 1997 and death of hostage kim sun-il Iraq.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intelligence channel in policy making process must have the traits of timeliness, reliability , accuracy, otherwise the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has a room for influencing policy making process. Second, the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has to have information system power, which includes independent informaion judgement in order to chief policy maker. Third, the probability of information failure become less as the discrepancy of viewpoint and the independency between the main and redundant intelligence channel vecome high. Fourth, it is also confirmed that accessability to and reliability from the chief maker are getting high. Th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ar as followings; First, the chief policy maker has to keep in mind that redundant working structure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competition and check and balance among working units in oganization. Thus, establishing a working structure system which enables working unit of horizontal redundant channels mutually competitive and oppsing from the viewpoint of value system of chief policy maker is necessary. Second, the chief policy maker has to strengthem the main intelligence channel and set specialized manpower to necessary position with a consideration of policy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to decrease the provability of information failur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Third, the chief policy maker to promote the strategies which increase the information accessability such as opening hot lines with not to monopolize the information. Finally, this study confirms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redundant theory on practice which is studied by many scholars in and out of the country. Additionally,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field of this area by connecting redundant theory whith information channels and by analyzing real policy cases with this frame. The endeavor to search a new theoretical framework to this fields, however, should be continued and enlarged in future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