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 Schuman 「Davidsb?ndlert?nze Op. 6」에 관한 연구

        문정옥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연구하는 다비드동맹무곡 Op.6이 그것이다. 총 18곡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춤곡형식의 소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은 클라라에 대한 슈만의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허구의 등장인물을 설정해 곡을 작곡했는데, 힘차고 정렬적인 플로레스탄, 선율적이고 우아한 오이제비우스가 나온다. 이 캐릭터를 흥미롭고도 확실히 그려내었다. 슈만 특유의 기법과 색채를 가지고 많은 시도를 한 곡이다. 또한 그의 마음속에 잠재되어 있는 자신의 사상을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이 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연주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성격소품이 어떤지와, 문학적 배경에 대해서도 충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hen it comes to what makes the romantic music of the 19th century separated from others of different centuries, how freely it deals with personal thoughts and feelings features in the romantic music. Mass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capitalism caus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back then did change everything about traditional ways of living, and people started to get obsessed with dreams, ideals and fantasies and as a consequence, music took over the most influential position in every field of arts. Such changes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had a huge influence on music, and finally, composers who had never felt unrestricted were given a chance to pour out their artistic senses and personal feelings without limits. As far as Schumann, a composer of romanticism, understands, this exposure of feeling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nd, today, Schumann is regarded as a composer who had worked on an impressive sense of literary imagination. Schumann wrote many inspiring pieces of music in these different genres such as songs, chamber music, symphonies and others, and as for a difference between Schumann and other composers, he even invented this new genre, “Character Piece”, which had never been seen before, and there, Schumann tried to pursue fantasies, humors, humane aspects and others as expressing his own unrestricted feelings or subjective thoughts. Schumann found himself very much close to literature and therefore, as trying to go beyond musical elements, he introduced literature to his own music work and enjoyed creating his some private world. Now,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described about Schumann, this paper looks into Davidsbündlertänze Op. 6. As work consisting of these 18 pieces, it plays character pieces in a form of dance music. After all, the work is considered a piece that Schumann had dedicated to Clara. Schumann created fictional characters to compose the piece and, strong, enthusiastic Florestan and melodic, refined Eusebius make appearances. Schumann succeeded in representing the characters interesting and real. To complete the piece, Schumann tried so many of his original techniques and colors, and not only that, he was not afraid of expressing his belief hidden inside. That is why this study suggests that if the field of music wants to see musicians perform the piece correctly with right understanding on it, they should encourage follow-up researches to focus even on features of the character piece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ose times.

      • 티오나프탈이미드의 탈황화 반응에 의한 수은 이온 선택적 이중 신호화

        문정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련의 티오나프탈이미드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그들의 Hg2+ 이온에 대한 선택적인 신호화 거동을 연구하였다. 합성된 티오나프탈이미드 화합물 중 모노티오나프탈이미드(anti)는 Hg2+ 이온에 대해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발색 변화를 보였고, 이는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모노티오나프탈이미드(anti)는 Hg2+ 이온에 대해 off-on 타입의 형광 신호화 거동도 보였다. 이러한 신호화는 티오이미드가 Hg2+ 이온에 의해 상응하는 이미드 구조로 탈황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며, 이러한 Hg2+ 이온에 선택적인 신호화에 다른 경쟁 금속 이온들은 아무런 방해를 하지 않았다. A series of new thionaphthalimide derivatives were prepared, and their Hg2+-selective signaling behaviors were investigated in aqueous acetonitrile solution. A monothionaphthalimide (anti) exhibited pronounced Hg2+-selective chromogenic signaling behavior through a solution color change from red to yellow, which was easily detectable by eye. It (anti) also showed prominent off-on type Hg2+-selective fluorescent signaling behavior. The signaling is due to the Hg2+-assisted desulfurization of the thioimide to its imide structure. The presence of other common metal ions did not interfere with the Hg2+-signaling of the monothionaphthalimide (anti).

      •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論 : 무대예술과 회화를 중심으로

        문정옥 朝鮮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중반 추상표현주의에 반기를 든 영국 팝 아트(Pop Art)의 일원으로 작가적 활동을 시작한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의 무대예술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호크니의 무대에술에 나타난 주제 및 표현양식에 따른 제반사항을 연구하고자 한다. 데이비드 호크니의 무대예술은 현대 팝아트의 대표적 특성인 상업성, 대중성, 유행성, 소비성, 해학성의 뚜렷한 요소를 지니고 끊임없는 실험과 연구, 그리고 많은 여행을 통한 실질적 경험을 기반으로 향상 새롭게 변화시키는 예술세계를 펼쳐 보인다. 그는 원시미술에서부터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가의 작품과 정신을 수용하였으며, 고대 이집트와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양의 문화는 그의 작품의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반영되어진다. 특히 입체주의와 피카소의 추상미술은 호크니가 극단적인 자연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다양함속에서도 그의 작품속에 베어있는 순수성은 대중과의 거리를 훨씬 가깝게 만들어 준다. 호크니의 무대예술은 일반적인 무대설치가들에게 나타난 전문적인 테크닉이 아닌 언제나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추구한다. 그의 무대작업은 일종의 변형된 작곡가의 음악과도 같은 것이며 원작가의 의도에 거의 밀접하게 처리하면서 또 다른 시각을 창조하여 공간속에서 관객과 함께 호흡하도록 상상력을 유발시킨다. 형식과 전통을 존중하는 오페라 무대에서 호크니가 보여준 현란한 색채와 많은 유형으로 이루어진 환상적인 공간의 설치는 현대 무대예술 및 공간설치 미술에 창의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2차원의 평면으로서 회화가 갖는 무한한 가능성을 입증해 주었다. 또한 그의 무대예술에서 얻어진 실험정신은 최근에 와서 다시 평면에 집착해 있는 호크니에게 새로운 모티브를 안겨 주게되고 호크니의 예술세계에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게 한다. 본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무대예술을 논함에 있어 첫째, 호크니의 회화형성과 작품의 경향, 둘째로는 호크니의 무대예술에 영향을 끼친 주제별 특성과 회화와의 관련성을, 셋째, 호크니가 제작했던 대형 오페라와 발레의 대표적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그동안 장식적이고 회화적 개념에서 벗어나 美-이전의 상태(Pre-aesthetic State)의 요소로 단순한 극본의 보조적 역할에 불과했던 무대예술의 개념을 '설명'이나 '설정'의 영역을 넘어서 무대 스스로 연기하고 추상화된 자신의 언어로서 상징적이고 환상적인 깊이로 관객과 동일시되는 종합예술의 한 형태로 표현했다는데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the study about David Hockney who started his Work as a member of English pop art and opposed to abstractive expressionism in the mid of 1960 I want to analyze his stage art For this I would like to study about his theme and method of expression in his stage Art David Hockney's stage Art represents business, popularity fad, consumption, pleasantry which are tepusentative feather. He made consistent experiment and research through many travelling. He always renovated everything. He accepted many artist's art and work from primitive paintings to modern ones. Asian Culture including ancient Egypt, China and Japan World be reflected as theme of his work especially cubism and Picasso's abstractive art heavily influenced on his new direction. He overcame excessive natural trend and changed new direction in various diversity, purity in his work close the distance of the masses. Hockney's stage art always pursues not, professional technique of general stage maker but creative art world. His stage work is like some modified music of composer and treat his work closely by the artist's intention and he creates another vision which make breathe and imagine with audience in the some space. The opera stage esteem the formality and tradition but Hockney's splendid color and fantastic space installation make great accomplishment on Modern stage art, space installation art, and also he proved eternal probability as 2 dimensional plane. His experimental spirit of his stage art recently made new motivation and he faced on turning point of his art world. In this paper, Discussing Hackney's stage art, his painting formation and trendy of art second the relation between each theme's character which affects his stage art. The conception of stage art which means decorative painting escape the element from pre-aesthetic state, explanation and creation, it act by itself and express the composite art which creation, it act by itself and express the composite art which contains symbolic and fantastic depth and coincide with audience.

      •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9 제천한방바이오 박람회를 중심으로

        문정옥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extended life span brings our attention to how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we enter the era of "well-being life"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ur food, culture, and industry. Moreover, the tourism industry, which considers health and wellness (healing) as tourist resources, has been rapidly growing while local festivals have been playing a key role i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e regions as important tourist products. Particularly among them, well-being festivals have been emerging, reflecting our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promo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tie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food tourism and medical tourism, herbal medicine festival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ve been attracting our attention. Thus,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ffects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promote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By examining their correlations, it aims to raise awareness of well-being festivals' success factors, such as service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l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well-being festivals. To achieve this article's goal, it uses a mixtur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uring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held from October 2 to 7, 2019, for seven days.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in person. Out of the 380 questionnaires, a total of 347 were collected, and from which, this article analyzed 313 valid questionnaires. In this articl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ervice qualit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festival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festival content." Meanwhile, in terms of "information and promotion," this factor fails to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and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t turns out that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information and promotion" have an impact on the visitors' revisit intention. However, unlike our expectations, "festival content" does not bring abou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its level of significance. As you can see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on Korean medicine to satisfy the visitors' expectations of the fair.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ut constant effort into developing and differentiating the fair content that would prompt a broader range of people to revisit the fair. Hopefully, this article can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 well-being (healing) festival that satisfies its visitors' needs, which could eventually become a tourist resource in the Korean medicine and wellness sectors.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우리는 식품, 문화, 산업으로 확대되는 이른바 ‘well-being life'시대를 살게 되었다. 더불어 건강과 힐링(치유)을 관광자원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의 축제는 지역의 발전과 홍보를 위한 중요한 관광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중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역색과 특산물을 살린 웰빙축제가 등장하였고, 식품 관광, 의료 관광과 함께 한국의 전통 의술인 한방과 관련한 한방축제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빙을 테마로 한「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의 활성화를 위해 웰빙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웰빙축제와 관련된 서비스 환경, 편의시설 등 웰빙축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웰빙축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웰빙축제에 대한 방문객의 축제서비스품질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9년 10월 2일에서 2019년 10월 7일까지「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7일간의 축제 기간에 배포하였으며「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에 방문하는 방문객이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시행하였다. 총 380부를 배포하여 347부를 수거하여 그중 유효 설문지 313부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 요인을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 내용성 차원으로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내용성’이 축제 박람회를 방문하는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내·홍보성’에 대한 부분은 방문객에게 충분히 전달이 되지 못한 부분에 따른 만족을 주지 못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가운데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는 다르게 ‘내용성’의 경우 유의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축제 박람회의 다양한 욕구에 맞출 수 있는 한방과 어울리는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박람회의 차별화된 내용성이 다양한 방문객의 재방문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방문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웰빙(치유)축제를 개발하여 한방의료와 웰니스(wellness)관광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영어 드라마화’ 수업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향상 지도방안 : 초등 4학년 하위 학습자 중심으로

        문정옥 수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English Dramatizing’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whether this methodology influences the slow learners’ interest and confidence in studying English and in improving thei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method through ‘English Dramatizing’ is different from the usual study discipline through ‘Role-play’ studies. Teaching method through role-playing is important in starting a dialogue. While teaching method through ‘English Dramatizing’ also involves nonverbal communication components such as song, dance, properties, director and so on along with role-play. The method is a self-study process where all courses are dependent on students’ design. It uses ‘Drama note’ for their recording all their processes. It’s focused on role-playing in the classroom whereby students can play freely and have self-contentmen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and CLT(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an improve communicative skills. To apply these theories, I established the steps needed for teaching students. The introduction stage needs to have motivation such as TPR, actions, vocal warm-up and mirror game. The development stage needs to have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divided roles, script making, group activities, pair and individual work. The closing stage needs to have role-playing, self-evaluation, the two-way evaluation, observed evaluation and feedback.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two classes in the 4th grad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re-test, both groups consisted of average level students based on their English marks. The result indicated that teaching this systematic wa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as well as acquiring interest and confidence. What is more, it is suggested that teaching method through ‘English Dramatizing’ could be a useful and helpful conveying tool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This teaching method is helpful to low self-esteem students as well as low-level learners who can’t read or write the fundamentals.

      •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정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 시기는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눈앞에 두고 있는 장애 학생이나 일반 학생에게 서로에 대한 긍정적 이해와 태도가 준비되어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초등ㆍ중학교에서 그나마 부분적으로 노력해 온 물리적ㆍ사회적ㆍ정서적 통합의 노력들이 오히려 고등학교에 와서 단절되고, 통합교육이 분리교육 상황으로 전개되는 안타까운 현실에 놓이게 된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3년부터 「특수교육 발전 종합계획(‘03~’07년)」에 의거하여 전국 모든 유·초·중·고등학교에 일반 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더불어 사는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한 학기 1회 이상 장애이해 교육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전국 유·초·중·고등학교에서 한 학기 1회 이상 장애이해 교육을 실시한 학교 비율을 97.6% 보고하고 있으나 그 효과나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실제 실시 여부는 알기 힘든 실정이다. 더구나 태도변화를 가져오기에 충분한 프로그램이나 실시기간에 대해서도 만족할만한 연구 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한편 여러 가지 전략이 혼합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통한 태도 변화연구는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장애이해 교육 방법의 하나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일반 고등학생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K일반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여학생 54명이다. 실험집단 1개 반 27명과 통제집단 1개 반 27명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해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한 학기 1회 장애 정보 강의만을 제공하였다. 실험 절차는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로 이루어졌으며, 실험 처치는 총 9회기로 실행되었다.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는 Siller가 개발한 장애태도 요인분석 척도를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차이점수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제공된 실험집단과 한 학기 1회 장애 이해교육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의 변화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제공된 실험집단과 한 학기 1회 장애 이해교육에 참여한 통제집단 간에는 장애 학생에 대한 ‘접촉 시 긴장’의 태도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한 학기 1회 장애이해 교육보다는 한 학기동안 구조화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의 변화 정도에 효과적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 연구는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 고등학교의 분리교육 현실상황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여러 가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장애이해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evious studies have showed that Disability-Awareness Program combined with various strategi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studies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change through Disability-Awareness Program haven't been reported yet.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ly qualitative difference in terms of effectiveness between being dispos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once a semester and being dispos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using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if there will be an improvement in public high school students' accep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Disability-Awareness Program combined with various strategies are conducted to non-disabled students systematically in adaptation classes. Also, it has attempted to make a sugges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s of segregated education by trying and introducing programs which non-disabled teachers can us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54 second grade non-disabled girl students of two classes at K high school in Gangdonggu for which the researcher has worked. This study included one experimental group with 27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s and one control group with 27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a lecture of disability information once a semester. The procedure of research was composed of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9 sessions in total. An adapted form of Siller's Disability Factor Scale-General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o determine accep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epending on being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were analyzed by t-testing differences in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1.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cep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n't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2.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ub-category of accep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n't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his study indicated that being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Program systematically and continually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non-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than being exposed to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once a semes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supplementing segregated education situation at public high school and is needed to be research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 初等 英語에서 水準別 小集團 活動에 관한 硏究

        문정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인차가 심한 학습자들을 학급 내 수준별 소집단 편성을 통해 활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및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제1장 서론에서는 초등 영어에서 수준별 소집단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초등학교 과밀학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획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학습자들의 실력 차가 점점 더 누적되게 되어 수준을 무시한 획일적인 학습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수준별 수업, 소집단 활동, 수준별 소집단 활동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제3장 연구의 설계에서는 연구 대상, 실태 분석, 연구 도구와 처치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학년 40명의 학습자들이다. 제4장 연구의 실제에서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소집단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전개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1절에서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의사소통 예시문을 추출하고 차시별 수준별 구성요소를 재구성하였다. 2절에서는 차시별 수준별 소집단 활동을 선정하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활동 자료를 제작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3절에서는 수준별 소집단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을 정립하여 교수.학습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제5장 연구의 결과 분석에서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소집단 활동 중심의 지도 결과를 제시하였다. 수준별 소집단 활동에 대한 흥미도와 효과도, 그리고 수준별 소집단 학습 자료 활용 효과도는 설문지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 향상도는 구두 평가 및 듣기 평가에 의해 분석했다. 마지막 장인 제6장에서는 앞에서 논한 내용을 요약.정리하였다. 4학년 영어교과서의 구성 요소를 재구성하고 수준별 소집단 활동을 선정하여 활동 자료를 수집.제작하여 교수.학습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습자들이 심화.보충으로 나뉘어 소집단별 활동을 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심화그룹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자기 주도적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주었고, 보충그룹의 학습자들에게 수준에 맞는 활동을 시킴으로써 부진 요인을 그때그때 처방하여 부진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소집단 활동이 기초적인 듣기.말하기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들에게 즐겁고 자유스런 영어 의사 소통 기회가 부여되어 듣기와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각각의 그룹 활동에서 실제로 말해보는 경험이 축적되어 영어 대화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셋째, 수준별 소집단 활동을 매 차시마다 실시한 것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습득을 유도하여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시키고, 수준별 수업의 궁극적 목표인 개별학습으로의 전환도 가능케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theory and practice of small group works through ability grouping within the English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that is to study how the group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nglish learners, and on their interests and confidence in English. After describing the necessity of small group activities through ability grouping in chapter 1, I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o small group activities including the differentiated teaching activity in chapter 2. In chapter 3, I showed subjects of study, analyses of actual conditions, tools of study and ways of deal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40 students who are in the 4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ju city. In chapter 4, I presented how to develop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entered on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deep and supplementary lesson. That is to say, in the first section I analyzed the textbook, picked up sample sentences and reconstructed the differentiated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eriod. In the second section I selected small group activities, made up teaching plans and introduced teaching materials. In the third section I develop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centered on small group activities and presented examples of applying them to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In chapter 5, I presented teaching results accomplished by small group activities. I analyzed the degree of interest and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through ability grouping by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achievement of communicative ability was analyzed by oral and listening evaluation. In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above chapters. First, learners preferred the small group activities divided into deep and supplementary lesson. The works performed in the deep-levelled groups gave learners much help increasing the self-paced learning ability while the learners of supplementary group were given activities suitable for themselves. Second, small group activities through ability grouping helped students to develop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and they had lots of confidence in English conversation on the basis of experiences from the small group activities. Third, small group activities in every period helped learners have much fun and interest in English and made it possible to turn to the individual learning, the fundamental goal differentiated les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